KR100883710B1 -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 Google Patents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710B1
KR100883710B1 KR1020070063075A KR20070063075A KR100883710B1 KR 100883710 B1 KR100883710 B1 KR 100883710B1 KR 1020070063075 A KR1020070063075 A KR 1020070063075A KR 20070063075 A KR20070063075 A KR 20070063075A KR 100883710 B1 KR100883710 B1 KR 100883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reservoir
po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3975A (ko
Inventor
하금선
김유진
Original Assignee
하금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금선 filed Critical 하금선
Priority to KR1020070063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710B1/ko
Priority to JP2008166709A priority patent/JP2009005702A/ja
Publication of KR20080113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9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movable installations on whe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4Hand watering devices, e.g. watering cans
    • A01G25/145Hand watering devices, e.g. watering cans with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에 관한 것으로, 한 번에 다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이동식 급수기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각종 화분을 용이하고 주변이 깨끗한 상태로 한꺼번에 급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수하고자 하는 화분이 많은 경우에도 손쉽게 급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서 급수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중형 화분 이상의 경우 화분 받침대로 배수된 물을 저수통 상단의 여과망에 다시 부어 물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물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난과 식물들과 같은 소형 화분의 경우에는 저수통 상단의 화분 거치대를 활용해 직접 급수할 수 있으므로 인해 물의 재활용과 동시에 별도의 배수 처리가 용이한 장소로 이동함이 없이 즉석에서 편리하게 급수 및 배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수돗물에 함유된 유해 염소나 불소 성분이 제거된 상태의 물을 사용할 수 있어서 식물의 생장을 효율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물의 재활용시 화분의 배수 구멍으로부터 나올 수 있는 모래나 흙 등을 필터링한 상태로 급수할 수 있어서 기기 내부의 부품이 손상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여 부품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화분, 이동식 급수기

Description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Mobile water supply device for flowers and plants care}
도 1은 본 발명의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저수통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자체를 이용하여 화분에 급수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저수통에 급수시 수도 꼭지에 연결되는 급수 호스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동 카트 12; 바퀴
14; 손잡이 20; 저수통
30; 비품 보관대 32; 포켓
40; 밀폐 커버 42; 삽입공
50; 화분 거치대 52; 플랜지
54; 걸림턱 56; 통공
60; 여과망 70; 작동 스위치
80; 수중 펌프 82; 토출구
90; 호스 100; 정수 장치
102; 인입구 104; 배출구
106; 필터 하우징 108; 카본 필터
109; 마감캡 110; 스프레이 분사노즐
120; 배터리 박스 122; 충전 단자
130; 급수 호스 132; 연결 부재
본 발명은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번에 다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이동식 급수기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각종 화분을 용이하고 주변이 깨끗한 상태로 한꺼번에 급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아파트나 빌딩에는 자연적인 느낌과 부드러운 느낌은 물론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신선한 공기를 자연스럽게 공급해 줌 에 따라 실내 공기 속에 있는 각종 오염 물질이나 유해 물질 등을 정화하여 실내 환경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각종 식물이 식재된 다수개의 화분을 재배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 데, 최근에는 일반 가정은 물론 사무실 등의 내부에 가능한 한 다수개의 화분을 배치하여 관리함으로써 상기한 효과 이외에, 실험에 의해 다양한 효과가 입증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실내에 살아있는 식물을 재배함으로써 실내에 산소나 음이온 방출, 공기 정화, 거주자들이나 근무자들의 피로와 스트레스 감소, 집중력 증가 및 생산성 향상, 실내에 에너지 효율 증가, 먼지 감소, 소음 및 전자파 감소 등과 같은 매우 유익한 효과가 있다고 입증된 바 있어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가능한 한 많은 화분들을 배치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종래 각종 식물들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들을 주기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급수 작업을 진행하고자 할 때는 작업자가 들을 수 있는 크기의 양동이 등과 같은 용기에 물을 담아 급수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급수 작업을 하기 위한 화분의 갯수가 많을 경우에는 한번에 많은 량의 물을 담아 이동할 수가 없어서 작업자가 여러 번 물을 양동이에 담아 급수 작업을 해야 하는 데 이동시 물을 흘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인해 작업자들이 급수 작업을 진행시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고, 이에 따른 급수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급수시 물을 주는 화분 주변이 지저분해지기 때문에 별도로 물청소를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고, 급수에 필요한 량 만큼의 물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가 없어서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었다.
특히, 관리가 어려운 동양란이나 서양란 등과 같은 난과 식물들은 충분히 급수한 상태에서 배수 처리를 해야 하는 데, 이러한 난과 식물들을 급수할 경우에는 별도의 화장실 등과 같이 배수 처리가 용이한 장소로 이동하여 급수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등의 많은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한 번에 다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이동식 급수기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각종 화분을 용이하고 주변이 깨끗한 상태로 한꺼번에 급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분이 많은 경우에 손쉽게 급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서 급수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급수된 물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물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동양란 등과 같은 난과 식물들도 별도의 배수 처리가 용이한 장소로 이동함이 없이 즉석에서 편리하게 급수 및 배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의 생장에 해로운 유해 염소 또는 불소 성분이 제거된 상태의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어서 식물의 생장을 효율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의 재활용시 화분의 배수 구멍으로부터 나올 수 있는 모래나 흙 등을 필터링한 상태로 급수할 수 있어서 기기 내부의 부품이 손상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여 부품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분에 급수시 전방 및 후방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 카트와, 상기 이동 카트의 상부에 장착되어 수도 꼭지에 연결되는 급수 호스를 통해 수돗물을 공급받아 급수시 사용하는 물을 담아두기 위한 저수통과, 상기 저수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비품이나 공구를 담아 보관하기 위한 복수개의 포켓이 구비된 비품 보관대와, 상기 저수통의 상단 외주면에 삽입되며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밀폐 커버와, 상기 밀폐 커버의 삽입공에 삽입 지지되며 하단부에는 화분의 배수 구멍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저수통의 내부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화분 거치대와, 상기 화분 거치대의 내부에 삽입되며 화분의 배수 구멍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에 불순물이 혼합되어 저수통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망과, 상기 저수통의 내부에 장착되어 화분에 급수시 이동 카트 상부의 손잡이 내측에 설치된 작동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작동하여 저수통에 있는 물을 상부로 펌핑시켜 내부로 끌어올리기 위한 수중 펌프와, 상기 저수통 내부의 수중 펌프 일측에 장착되며 수중 펌프의 토출구와 호스로서 인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수중 펌프의 토출구와 호스 및 인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정수 장치와, 상기 정수 장치의 배출구와 호스로서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화분에 급수하기 위한 스프레이 분사노즐과, 상기 이동 카트의 후방에 장착되며 수중 펌프 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기와 접속되는 충전 단자가 구비된 배터리 박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화분 거치대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공에 화분 거치대를 지지하기 위한 플렌지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 거치대의 상부 내주면에는 급수시 화분을 안착시키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수 장치는 투명체로 된 필터 하우징과, 이 필터 하우징에 내장되어 유입되는 물에 함유된 염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카본 필터와,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물이 유입되는 인입구와 정수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마감캡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수통의 하단에는 배수 구멍이 형성되고, 이 배수 구멍에는 개폐가능한 마감캡이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수도 꼭지에 연결되는 급수 호스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급수 호스가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 부재에 의해 결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저수통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자체 를 이용하여 화분에 급수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저수통에 급수시 수도 꼭지에 연결되는 급수 호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는 각종 화분에 급수시 전방 및 후방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바퀴(12)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 카트(10)의 상부에 수도 꼭지에 연결되는 급수 호스(130)를 통해 수돗물을 공급받아 급수시 사용하는 물을 담아두기 위한 저수통(20)이 장착되고, 이 저수통(20)의 외주면에는 부드러운 천 등으로 제작되어 비품이나 공구 등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복수개의 포켓(32)이 구비된 비품 보관대(30)가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수통(20)의 상단 외주면에는 중앙에 삽입공(42)이 형성된 밀폐 커버(4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밀폐 커버(40)의 삽입공(42)에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갖는 화분 거치대(5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데, 이 화분 거치대(50)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공(42)에 화분 거치대(50)를 지지하기 위한 플렌지(52)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 거치대(50)의 상부 내주면에는 급수시 화분을 안착시키기 위한 걸림턱(54)이 형성되며, 상기 화분 거치대(50)의 하단부에는 화분의 배수 구멍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저수통(20)의 내부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5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화분 거치대(50)의 내부에는 화분의 배수 구멍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에 모래나 흙 등과 같은 불순물이 혼합되어 상기 저수통(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여과망(60)이 삽입되는 데, 이 여과망(60)은 불순물은 걸러주고 물만 통과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떤 소재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는 화분에 급수시 상기 이동 카트(10) 상부 의 손잡이(14) 내측에 설치된 작동 스위치(70)의 온/오프에 의해 작동하여 저수통(20)에 있는 물을 상부로 펌핑시켜 내부로 끌어올리기 위한 수중 펌프(80)가 장착되고, 상기 저수통(20) 내부의 수중 펌프(80) 일측에는 수중 펌프(80)의 토출구(82)와 호스(90)로서 인입구(102)와 연결되어 상기 수중 펌프(80)의 토출구(82)와 호스(90) 및 인입구(10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여 배출구(104)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정수 장치(100)가 장착된다.
상기 정수 장치(100)는 투명체로 된 필터 하우징(106)과, 이 필터 하우징(106)에 내장되어 유입되는 물에 함유된 염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카본 필터(108)와, 상기 필터 하우징(106)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물이 유입되는 인입구(102)와 정수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04)가 형성된 마감캡(109)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통(20)의 외부에는 정수 장치(100)의 마감캡(109)에 형성된 배출구(104)와 호스(90)로서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화분에 급수하기 위한 스프레이 분사노즐(110)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 카트(10)의 후방에는 상기 수중 펌프(8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기(도시는 생략함)와 접속되는 충전 단자(122)가 구비된 배터리 박스(12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각종 화분들에 물을 정기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 작업을 진행하고자 할 때는 먼저, 작업자가 상기 이동 카트(10)를 이동하여 상기 이동 카트(10)의 상부에 장착된 저수통(20)의 내부에 물을 채우기 위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수도 꼭지에 급수 호스(130)를 연결하여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채운 다음, 상기 이동 카트(10)를 끌고 각종 화분들에 급수하고자 하는 급수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그 후, 상기 이동 카트(10) 상부의 손잡이(14) 내측에 설치된 작동 스위치(70)를 온 시키면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장착된 수중 펌프(80)가 작동하여 상기 저수통(20) 내부의 물을 상부로 펌핑시켜 그 내부로 끌어올리게 되므로 이 물이 순차적으로 상기 수중 펌프(80)의 토출구(82)와 호스(90)를 통해 상기 정수 장치(100)의 필터 하우징(106) 상부의 마감캡(109)에 형성된 인입구(102)로 유입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106)에 내장된 카본 필터(108)에서 수돗물에 함유되어 있는 염소 성분이 제거되면서 상기 정수 장치(100)의 필터 하우징(106) 상부의 마감캡(109)에 형성된 배출구(104)를 통해 호스(90)를 거쳐 상기 저수통(20)의 외부에 설치되어 호스(90)와 연결된 스프레이 분사노즐(110)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스프레이 분사노즐(110)을 급수하고자 하는 화분을 향하여 당겨주게 되면 이 스프레이 분사노즐(110)을 통해 정수된 물이 토출되어 화분에 급수됨으로써 이동식 급수기를 사용하여 상기한 방식에 의해 용이하고 편리하게 급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정수된 물을 급수하므로 인해 화분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자체를 이용하여 난과 식물들과 같은 소형 화분에 급수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저수통(20)의 상단 외주면에 삽입된 밀폐 커버(40) 중앙의 삽입공(42)에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는 화분 거치대(50)에 여과망(60)을 끼운 후, 화분을 안착시키거나, 또는 한 손은 화분을 파지하여 여과망(60)의 내부에 화분의 하부를 삽입시키고 다른 한 손은 상기 스프레이 분사노즐(110)을 파지한 상태로 급수 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이 화분의 배수 구멍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나 흙 등과 같은 불순물은 여과망(60)에 걸러진 상태로 배수되는 물만 상기 화분 거치대(50)의 하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56)을 통해 저수통(20)의 내부로 낙하하여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통(20)의 내부로 낙하하여 유입되는 물 중에 모래나 흙 등과 같은 불순물이 혼합되어 상기 저수통(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깨끗한 상태에서 물을 재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수중 펌프(80)나 카본 필터(108)가 불순물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여 부품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양란 등과 같은 난과 식물이 식재된 소형 화분들도 별도의 배수 처리가 용이한 장소로 이동함이 없이 급수기를 사용하여 즉석에서 편리하게 급수 및 배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채우기 위해 수도 꼭지에 연결하는 급수 호스(130)는 일반적인 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연결하는 수도 꼭지의 직경이 급수 호스와 맞지 않아 급수시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초래하는 일 등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도 6과 같이 별도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급수 호스(130)를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 부재(132)에 의해 결합시킨 상태로 제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 펌프(8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충전하고자 할 때 에는 상기 이동 카트(10)의 후방에 장착된 배터리 박스(120)에 구비된 충전 단자(122)에 충전기의 단자를 접속시킴으로써 용이하고 신속하게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저수통(20) 상단에 급수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먼지 등이 끼지 않도록 덮어둘 수 있는 별도의 커버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저수통(20)의 하단에 배수 구멍을 형성하고, 이 배수 구멍에 개폐가능한 마감캡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있는 물을 배수시키거나 내부 청소 등을 하거나 이동하고자 할 때 상기 이동 카트(10)의 저부로 손을 넣어 마감캡을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저수통(20)을 기울이지 않고도 저수통(20) 하단의 배수 구멍을 통해 손쉽게 배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수 장치(100)를 저수통(20)의 내부에 설치하지 않고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수도 꼭지에 연결하는 급수 호스(130)를 통해 급수시킬 때 이 수도 꼭지에 연결된 급수 호스(130)의 단부를 상기 정수 장치(100)의 필터 하우징(106) 상부의 마감캡(109)에 형성된 인입구(102)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급수 호스(130)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이 상기 정수 장치(100)의 인입구(102)를 통해 유입되어 카본 필터(108)를 통해 수돗물에 함유된 염소 성분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정수 장치(100)의 배출구(104)를 통해 정수된 물이 저수통(20)의 내부로 유입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우리나라에서는 수돗물에 염소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카본 필터(108)를 사용하지만, 우리나라 이외의 외국에서 제작하는 경우에는 수돗물 에 염소 성분 보다는 불소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 불소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설치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스프레이 분사노즐(110)의 길이나, 물살의 세기, 방식 등은 급수하고자 하는 화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번에 다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이동식 급수기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각종 화분을 용이하고 주변이 깨끗한 상태로 한꺼번에 급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약자들도 급수하고자 하는 화분이 많은 경우에 손쉽게 급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서 급수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중형 화분 이상의 경우 화분 받침대로 배수된 물을 저수통 상단의 여과망에 다시 부어 물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물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절감 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동양란 등과 같은 난과 식물들과 같은 소형 화분의 경우에는 저수통 상단의 화분 거치대를 활용해 직접 급수할 수 있으므로 인해 물의 재활용과 동시에 별도의 배수 처리가 용이한 장소로 이동함이 없이 즉석에서 편리하게 급수 및 배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식물의 생장에 해로운 유해 염소나 불소 성분이 제거된 상태의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어서 식물의 생장을 효율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물의 재활용시 화분의 배수 구멍으로부터 나올 수 있는 모래나 흙 등을 필터링한 상태로 급수할 수 있어서 기기 내부의 부품이 손상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여 부품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인해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화분에 급수시 전방 및 후방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바퀴(12)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 카트(10)와,
    상기 이동 카트(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수도 꼭지에 연결되는 급수 호스(130)를 통해 수돗물을 공급받아 급수시 사용하는 물을 담아두기 위한 저수통(20)과,
    상기 저수통(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비품이나 공구를 담아 보관하기 위한 복수개의 포켓(32)이 구비된 비품 보관대(30)와,
    상기 저수통(20)의 상단 외주면에 삽입되며 중앙에 삽입공(42)이 형성된 밀폐 커버(40)와,
    상기 밀폐 커버(40)의 삽입공(42)에 삽입 지지되며 하단부에는 화분의 배수 구멍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저수통(20)의 내부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56)이 형성된 화분 거치대(50)와,
    상기 화분 거치대(50)의 내부에 삽입되며 화분의 배수 구멍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에 불순물이 혼합되어 저수통(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망(60)과,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장착되어 화분에 급수시 이동 카트(10) 상부의 손잡이(14) 내측에 설치된 작동 스위치(70)의 온/오프에 의해 작동하여 저수통(20)에 있는 물을 상부로 펌핑시켜 내부로 끌어올리기 위한 수중 펌프(80)와,
    상기 저수통(20) 내부의 수중 펌프(80) 일측에 장착되며 수중 펌프(80)의 토출구(82)와 호스(90)로서 인입구(102)와 연결되어 상기 수중 펌프(80)의 토출구(82)와 호스(90) 및 인입구(10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여 배출구(104)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정수 장치(100)와,
    상기 정수 장치(100)의 배출구(104)와 호스(90)로서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화분에 급수하기 위한 스프레이 분사노즐(110)과,
    상기 이동 카트(10)의 후방에 장착되며 수중 펌프(8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기와 접속되는 충전 단자(122)가 구비된 배터리 박스(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거치대(50)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공(42)에 화분 거치대(50)를 지지하기 위한 플렌지(52)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 거치대(50)의 상부 내주면에는 급수시 화분을 안착시키기 위한 걸림턱(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장치(100)는 투명체로 된 필터 하우징(106)과, 이 필터 하우징(106)에 내장되어 유입되는 물에 함유된 염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카본 필터(108)와, 상기 필터 하우징(106)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물이 유입되는 인입구(102)와 정수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04)가 형성된 마감캡(10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20)의 하단에는 배수 구멍이 형성되고, 이 배수 구멍에는 개폐가능한 마감캡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 꼭지에 연결되는 급수 호스(13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급수 호스(130)가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 부재(132)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6. 삭제
KR1020070063075A 2007-06-26 2007-06-26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KR100883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075A KR100883710B1 (ko) 2007-06-26 2007-06-26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JP2008166709A JP2009005702A (ja) 2007-06-26 2008-06-26 鉢植え管理用移動式給水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075A KR100883710B1 (ko) 2007-06-26 2007-06-26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975A KR20080113975A (ko) 2008-12-31
KR100883710B1 true KR100883710B1 (ko) 2009-02-12

Family

ID=40321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075A KR100883710B1 (ko) 2007-06-26 2007-06-26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9005702A (ko)
KR (1) KR1008837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347A (ko) 2018-08-14 2020-02-24 하금선 이동식 급수기의 이경(異徑)구조를 갖는 취수 연결 구조
KR20200059841A (ko) 2018-11-22 2020-05-29 하금선 이동식 급수기의 2차 전지 과방전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881B1 (ko) * 2010-05-19 2011-09-02 김희곤 태양전지모듈의 세정장치
US8087679B1 (en) 2010-08-26 2012-01-03 Salvucci Jr Frank Handcart
US8172241B2 (en) 2010-08-26 2012-05-08 Salvucci Jr Frank Handcart
CN103283570A (zh) * 2013-05-13 2013-09-11 安徽工程大学 自动浇水花盆
CN104257330B (zh) * 2014-09-26 2016-09-21 陈国英 一种智能拖地机
CN104509424B (zh) * 2014-11-04 2016-09-07 嘉兴职业技术学院 一种庭院式园林灌溉装置中的喷洒机构
CN104396699A (zh) * 2014-11-04 2015-03-11 嘉兴职业技术学院 一种庭院式园林灌溉装置
CN105165561A (zh) * 2015-09-10 2015-12-23 太仓市惠勤农场专业合作社 一种农业用浇灌壶
CN107787737A (zh) * 2017-12-04 2018-03-13 浙江湖州天强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滑动式大棚植物喷洒防冻设备
CN108605820A (zh) * 2018-03-08 2018-10-02 张人群 一种园林用双向喷头洒水车
CN108585292A (zh) * 2018-06-07 2018-09-28 广西博世科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矿区周边农用地灌溉水净化装置
CN109006377A (zh) * 2018-06-29 2018-12-18 广东知识城运营服务有限公司 一种大范围洒水车
CN110089512A (zh) * 2019-06-05 2019-08-06 山东建筑大学 一种农田水利用喷洒机
CN111034444A (zh) * 2019-12-24 2020-04-21 王彩荣 一种畜牧养殖草地安全喷水装置
CN112774892A (zh) * 2020-12-25 2021-05-11 颍上县十里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蔬菜养殖喷洒装置
CN113367049B (zh) * 2021-06-02 2022-11-01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基于物联网的农业灌溉设备
CN114303746B (zh) * 2021-12-21 2023-06-30 南京智慧阳光科技有限公司 一种何首乌种植用批量管理养殖装置
US11882800B2 (en) * 2022-06-29 2024-01-30 Franc Gergek Programmable bucket and method of use and manufa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4153U (ko) * 1988-08-30 1990-03-05
JP3068752U (ja) * 1999-11-04 2000-05-16 有限会社三浦園芸 水循環式植物陳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4153U (ko) * 1988-08-30 1990-03-05
JP3068752U (ja) * 1999-11-04 2000-05-16 有限会社三浦園芸 水循環式植物陳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347A (ko) 2018-08-14 2020-02-24 하금선 이동식 급수기의 이경(異徑)구조를 갖는 취수 연결 구조
KR20200059841A (ko) 2018-11-22 2020-05-29 하금선 이동식 급수기의 2차 전지 과방전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975A (ko) 2008-12-31
JP2009005702A (ja)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710B1 (ko)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KR20130089048A (ko) 이중화분
KR100991332B1 (ko) 가로등 화분의 급수장치
CN212405322U (zh) 一种用于园林灌溉的雨水收集装置
CN216740204U (zh) 自动灌溉景观墙
CN211020263U (zh) 多肉植物栽培用培养箱
CN211002938U (zh) 分类式多功能垃圾桶
CN205040371U (zh) 一种自动灌溉系统和花盆
CN115176685A (zh) 一种花卉种植智能灌溉装置及其操作方法
CN209861845U (zh) 一种新型农作物根系滴灌用的节水装置
KR200486849Y1 (ko) 물 받침 수용 화분
CN220157131U (zh) 一种园林雨水回收装置
GB2439617A (en) Water distribution system
KR200254369Y1 (ko)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
CN216906302U (zh) 一种小型植物种植装置
KR20080005701U (ko) 간이 샤워 장치
CN213784626U (zh) 一种防漏水花卉放置架
CN210782204U (zh) 家用种植盆栽的排水装置
KR20140013418A (ko) 화분의 물 공급장치
CN220986800U (zh) 一种便于清洗的陶瓷花盆
CN215124170U (zh) 便携式芒果清洗装置
CN208121859U (zh) 一种室内节水系统
CN213306430U (zh) 一种能够收纳水管的花盆
CN214430844U (zh) 一种风景园林用花盆供水装置
CN210470425U (zh) 花盆补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