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048A - 이중화분 - Google Patents

이중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048A
KR20130089048A KR1020120010393A KR20120010393A KR20130089048A KR 20130089048 A KR20130089048 A KR 20130089048A KR 1020120010393 A KR1020120010393 A KR 1020120010393A KR 20120010393 A KR20120010393 A KR 20120010393A KR 20130089048 A KR20130089048 A KR 20130089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supply pipe
pot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6759B1 (ko
Inventor
김민경
Original Assignee
김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경 filed Critical 김민경
Priority to KR1020120010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7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steam pressure
    • A47J31/303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steam pressure classical type of espresso apparatus, e.g. to put on a stove, i.e. in which the water is heated in a lower, sealed boiling vessel, raised by the steam pressure through a rising pipe and an extraction chamber and subsequently is collected in a beverage container on top of the water boiling vessel
    • A47J31/30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steam pressure classical type of espresso apparatus, e.g. to put on a stove, i.e. in which the water is heated in a lower, sealed boiling vessel, raised by the steam pressure through a rising pipe and an extraction chamber and subsequently is collected in a beverage container on top of the water boiling vessel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8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화분에 관한 것으로, 화분을 통과해서 배수되는 물을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물이 저장되는 저수통 내부에 화분이 수납된 이중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을 통과해서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통을 포함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수통 내부에서 승하강 하는 가압부재를 통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저수통에 저장된 물이 저수통 일측면 하측에 연결시킨 급수관을 통해 상승하여 식물에 직접 물이 분사되도록 한 공급부로 이루어져, 소량의 물로도 식물을 키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화분{FLOWER POT}
본 발명은 이중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을 통과해서 배수되는 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중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꽃, 나무 등과 같은 식물을 심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화분은 주택의 베란다, 거실, 방 및 빌딩의 실내 공간 등에 놓고 실내 정원을 조성하거나 식물들을 가꾸면서 정서적 풍요로움을 맛볼 수도 있고 수목이나 초화류 등의 식물에서 내뿜는 맑은 공기를 마실 수도 있다. 특히, 물을 식물에 분무하거나 적당량의 물을 용토에 직접 붓는 이른바 '상향급수' 방식으로 물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공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화분은 많은 양의 물을 한 번에 주게 되면 식물 이나 용토에서 수용하는 양을 넘게 되면 화분 아래로 흘러서 빠져나가게 된다. 즉, 전 세계적으로 물부족현상을 겪고 있는 이때 이처럼 낭비되는 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리하여, 낭비되는 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물이 저장되는 저수통 내부에 화분이 수납된 이중화분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중화분은 식물에 물을 직접 주는 방식이 아닌 저수통에 저장된 물이 용토에 스며들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중화분은 화분을 통과해서 배수된 물을 손쉽게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중화분은 저수통에 어느 정도의 물이 저장되고 있는지 외부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종래의 이중화분은 식물에 직접적으로 주기 위해서는 화분을 들어서 옆에 두고 저수통을 들어서 부어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분을 통과해서 배수되는 물을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저수통에 저장되는 물의 양을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주사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저수통에 저장된 물을 식물에 직접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저수통 내부에 화분이 수납된 이중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을 통과해서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통을 포함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수통 내부에서 승하강 하는 가압부재를 통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저수통에 저장된 물이 저수통 하부에 연결시킨 급수관을 통해 상승하여 식물에 직접 물이 분사되도록 한 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수통에 상부로 개구된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저수통의 측면 상측에는 인입밸브가 결합된 인입관이 설치되고 측면 하측에는 배출밸브가 결합된 배출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수통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이격된 눈금이 형성되어 저수통에 담기는 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저수통의 일측면 하측에 공급관을 결합하여 급수관의 일측이 연결되고 급수관의 타측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확산부재를 결합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재의 상부면에 작동부재를 결합하여 가압부재를 승하강 시키되, 상기 작동부재의 상단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급수관이 결합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화분과 연통하는 배수공이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배수공은 하부 지름보다 상부의 지름이 넓은 역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급수관은, 주름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화분은 화분을 통과해서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통 내부에서 승하강 하는 가압부재를 통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저수통에 저장된 물이 저수통 일측면 하측에 연결시킨 급수관을 통해 상승하여 식물에 직접 물이 분사되도록 한 공급부로 이루어져, 화분을 통과해서 배수되는 물을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어서, 소량의 물로도 식물을 키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화분은 투명한 재질의 저수통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이격된 눈금이 형성되어, 저수통에 담기는 물의 양을 손쉽게 알 수 있어서, 식물에 공급되는 양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이중화분은 저수통의 하부면에 급수관의 일측이 연결되고 급수관의 타측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확산부재를 결합하여, 주사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저수통에 저장된 물을 식물에 직접 분사시킬 수 있어서, 물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중화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이중화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중화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이중화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분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저수통 111을 포함하는 저장부 110와, 저수통 111에 저장된 물이 상승하여 식물에 직접 물이 분사되도록 한 공급부 12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분 100은 물이 저장되는 저수통 111 내부에 화분 1이 수납된 이중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 1을 통과해서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통 111을 포함하는 저장부 110와, 상기 저수통 111 내부에서 승하강 하는 가압부재 121를 통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저수통 111에 저장된 물이 저수통 111 일측면 하측에 연결시킨 급수관 123을 통해 상승하여 식물에 직접 물이 분사되도록 한 공급부 120로 이루어진다.
결국, 이중화분 100은 화분 1을 통과해서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통 111 내부에서 승하강 하는 가압부재 121를 통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저수통 111에 저장된 물이 저수통 111 일측면 하측에 연결시킨 급수관 123을 통해 상승하여 식물에 직접 물이 분사되도록 한 공급부 120로 이루어져, 화분 10을 통과해서 배수되는 물을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어서, 소량의 물로도 식물을 키울 수 있고 물에 있는 좋은 성분을 재사용할 수 있다.
먼저, 화분 10의 내부에는 여과수단 11이 수납되어 있다. 이때, 여과수단 11은 큰 돌, 중간 돌, 작은 돌, 숯 및 부직포로 구성된다. 이러한, 여과수단 11을 통과한 물이 정수 된다. 즉, 화분속으로 스며들었던 물이 여과장치 부분을 통과하면서 크기가 큰 먼지 알갱이들이 먼저 걸러지고 모래층이나 석탄층을 지나며 물속의 미세한 오염 물질에 제거된다. 자갈과 모래, 숯, 부직포 등을 쌓은 것은 바로 이 자연정수법을 축소한 것이다. 특히, 숯(활성탄)에 나 있는 구멍들은 먼지나 중금속 등을 잘 흡수하여 불순물이나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준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숯은 냄새 제거나 각종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리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정수기는 인공 여과장치인 필터를 이용하여 아주 미세한 구멍으로 물을 통과시켜 불순물이나 세균등을 걸러내는 원리로 작용하는 것이다.
한편, 저장부 110는 저수통 111, 저장공간 113, 눈금 115, 인입관 117, 배출관 119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저수통 111은 상부로 개구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 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저수통 111은 원통형상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또한, 저수통 111은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아울러, 저수통 111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이격된 눈금 11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저수통 111에 담기는 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더불어, 가압부재 121를 하부로 가압시 급수관 123을 통해 빠져나가는 물의 양을 손쉽게 알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이중화분 100은 투명한 재질의 저수통 111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이격된 눈금 115이 형성되어, 저수통 111에 담기는 물의 양을 손쉽게 알 수 있어서, 식물에 공급되는 양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저수통 111의 타측면 상측에는 인입관 117이 설치된다. 이러한, 인입관 117에는 인입밸브 117a를 결합한다. 즉, 인입관 117을 통해 저장공간 113으로 인입되는 공기의 양을 인입밸브 117a로 조절하면 저장공간 113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결국, 저장공간 113의 압력상태에 따라 화분 10에서 떨어지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덧붙여, 저수통 111의 타측면 하측에는 배출관 119이 설치된다. 이러한, 배출관 118에는 배출밸브 119a를 결합한다. 즉, 배출관 118을 통해 저수통 111에 저장된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여과수단 11을 통과한 깨끗한 물을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공급부 120는 가압부재 121, 급수관 123, 공급관 125, 확산부재 12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 121는 저수통 111의 내부에서 승하강 한다. 즉, 가압부재 121의 형상은 저수통 111의 내주연 형상과 대응된 형상이다. 아룰러, 가압부재 121의 재질은 압축력이 향상되도록 수지재질이 적합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더불어, 가압부재 121의 상부면에는 상기 화분 1과 연통하는 배수공 121a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배수공 121a은 하부 지름보다 상부의 지름이 넓은 역삼각형 형상이다. 즉, 배수는 잘되고 가압부재 121가 하강시 저장공간 113의 공기가 배수공 121a을 통해 잘 빠져나가지 않아 압축력이 향상된다.
아울러, 공급관 125은 저수통 111의 일측면 하측에 결합한다. 이러한, 공급관 125은 저장공간 113과 연통된다. 이때, 공급관 125에는 급수관 123의 일측이 연결된다. 이러한, 공급관 125은 자유굴곡이 가능한 재질이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관 125을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하여 화분 10의 승하강을 방해하지 않는다. 더불어, 급수관 123의 일측이 연결되고 급수관 123의 타측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확산부재 127를 결합한다. 덧붙여, 공급관 125에 급수밸브 123a를 결합하여 급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이중화분 100은 저수통 111의 일측면 하측에 급수관 123의 일측이 연결되고 급수관 123의 타측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확산부재 127를 결합하여, 주사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저수통에 저장된 물을 식물에 직접 분사시킬 수 있어서, 물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가압부재 121의 상부면에 작동부재 130를 결합하여 가압부재 121를 승하강 시키되, 상기 작동부재 130의 상단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급수관 123이 결합되도록 한다. 더불어, 저수통 111의 측면 하부에 지지편 140을 결합하여 급수관 123을 단속한다.
즉, 작동부재 130 또는 화분 10의 상부면을 가압하면 가압부재 121가 하강하면서 저장공간 113에 압축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압축력으로 인해 저수통 111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급수관 123을 통해 상승하여 확산부재 127로 확산되면서 식물에 직접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화분 11 : 여과수단
100 : 이중화분
110 : 저장부 111 : 저수통
113 : 저장공간 115 : 눈금
117 : 인입관 117a : 인입밸브
119 : 배출관 119a : 배출밸브
120 : 공급부 121 : 가압부재
121a : 배수공 123 : 급수관
123a : 급수밸브 125 : 공급관
127 : 확산부재 130 : 작동부재
140 : 지지편

Claims (7)

  1. 물이 저장되는 저수통 내부에 화분이 수납된 이중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을 통과해서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통을 포함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수통 내부에서 승하강 하는 가압부재를 통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저수통에 저장된 물이 저수통 하부에 연결시킨 급수관을 통해 상승하여 식물에 직접 물이 분사되도록 한 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수통에 상부로 개구된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저수통의 측면 상측에는 인입밸브가 결합된 인입관이 설치되고 측면 하측에는 배출밸브가 결합된 배출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이격된 눈금이 형성되어 저수통에 담기는 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저수통의 일측면 하측에 공급관을 결합하여 급수관의 일측이 연결되고 급수관의 타측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확산부재를 결합한 것을 포함하는 이중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상부면에 작동부재를 결합하여 가압부재를 승하강 시키되, 상기 작동부재의 상단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급수관이 결합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는 이중화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화분과 연통하는 배수공이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배수공은 하부 지름보다 상부의 지름이 넓은 역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주름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분.
KR1020120010393A 2012-02-01 2012-02-01 이중화분 KR101376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393A KR101376759B1 (ko) 2012-02-01 2012-02-01 이중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393A KR101376759B1 (ko) 2012-02-01 2012-02-01 이중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048A true KR20130089048A (ko) 2013-08-09
KR101376759B1 KR101376759B1 (ko) 2014-03-25

Family

ID=4921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393A KR101376759B1 (ko) 2012-02-01 2012-02-01 이중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75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88778A (zh) * 2013-11-30 2014-04-02 惠州市衡力达实业发展有限公司 智能花盆
CN104255399A (zh) * 2014-10-30 2015-01-07 湖州织里华宁园艺工程有限公司 一种可给多个花盆浇水的节水装置
CN106820915A (zh) * 2016-12-23 2017-06-13 宁波江北臻和设计发展有限公司 一种通过拉动窗帘转动花盆的窗帘装置
CN106820917A (zh) * 2016-12-23 2017-06-13 宁波江北臻和设计发展有限公司 一种拉动窗帘用于使花盆受到均匀日照的窗帘结构
FR3055180A1 (fr) * 2016-08-31 2018-03-02 Biopratic Dispositif pour la culture de plantes, en particulier de plantes potageres
CN107896905A (zh) * 2017-12-08 2018-04-13 范剑东 波斯菊种植装置
CN107950234A (zh) * 2017-12-08 2018-04-24 范剑东 可升降波斯菊种植装置
CN108522228A (zh) * 2018-04-20 2018-09-14 中国冶集团有限公司 一种可移动雨水重复利用花坛
US20210368691A1 (en) * 2020-05-29 2021-12-02 Vrm International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intensive biological hydrosynthesis,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and/or topsoil restoration
US11382287B2 (en) * 2020-09-29 2022-07-12 Vaughn Allen Automated plant pot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8009A (zh) * 2015-06-17 2015-11-11 安徽金水园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透气防破裂花盆
CN105165568A (zh) * 2015-10-21 2015-12-23 湖州园林绿化有限公司 一种绿化盆
CN105850554A (zh) * 2016-04-15 2016-08-17 杨淑祥 一种便携式组装节水花盆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369Y1 (ko) 2001-08-23 2001-11-24 진방호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
KR200278171Y1 (ko) * 2002-03-11 2002-06-20 곽남현 이중화분
JP2010022296A (ja) 2008-07-22 2010-02-04 Toshiro Furukawa 植木鉢用灌水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88778A (zh) * 2013-11-30 2014-04-02 惠州市衡力达实业发展有限公司 智能花盆
CN104255399A (zh) * 2014-10-30 2015-01-07 湖州织里华宁园艺工程有限公司 一种可给多个花盆浇水的节水装置
FR3055180A1 (fr) * 2016-08-31 2018-03-02 Biopratic Dispositif pour la culture de plantes, en particulier de plantes potageres
CN106820915A (zh) * 2016-12-23 2017-06-13 宁波江北臻和设计发展有限公司 一种通过拉动窗帘转动花盆的窗帘装置
CN106820917A (zh) * 2016-12-23 2017-06-13 宁波江北臻和设计发展有限公司 一种拉动窗帘用于使花盆受到均匀日照的窗帘结构
CN107896905A (zh) * 2017-12-08 2018-04-13 范剑东 波斯菊种植装置
CN107950234A (zh) * 2017-12-08 2018-04-24 范剑东 可升降波斯菊种植装置
CN108522228A (zh) * 2018-04-20 2018-09-14 中国冶集团有限公司 一种可移动雨水重复利用花坛
US20210368691A1 (en) * 2020-05-29 2021-12-02 Vrm International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intensive biological hydrosynthesis,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and/or topsoil restoration
US11968938B2 (en) * 2020-05-29 2024-04-30 Vrm International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intensive biological hydrosynthesis,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and/or topsoil restoration
US11382287B2 (en) * 2020-09-29 2022-07-12 Vaughn Allen Automated plant po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759B1 (ko)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759B1 (ko) 이중화분
CN205681977U (zh) 一种用于城市园林绿化工程的花盆固定装置
CN206101165U (zh) 一种园林水循环系统
CN204518629U (zh) 一种花盆
CN207277423U (zh) 一种用于园林节水的集雨器设备
CN106105837A (zh) 一种节水植物盆
CN201967400U (zh) 防旱且防涝的花盆
CN209837267U (zh) 一种海绵公园的集水系统
CN204880380U (zh) 一种智能生物净化器
CN107344757A (zh) 垂直污水净化与植物栽培系统
CN104798668A (zh) 大规模花盆供水装置
CN205830534U (zh) 一种多用式再利用盆栽
CN203884353U (zh) 防挥发自动吸水花盆
KR102189036B1 (ko) 공기정화용 식물 재배 장치
KR200461692Y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CN108142142A (zh) 一种储水透气花盆
CN207706825U (zh) 一种具有浇灌水收集结构的花盆
CN205623902U (zh) 一种花卉滴灌器
CN206005322U (zh) 一种喷洒与漫灌结合式花盆
CN104585116A (zh) 一种集植物养护、空气净化、环境美化为一体的空气净化器
CN200976771Y (zh) 吸水花盆
CN207399967U (zh) 花木种植器皿及花木种植装置
CN208540549U (zh) 一种新型水培盆栽盆
CN210492021U (zh) 一种可循环浇花的装置
CN211909656U (zh) 一种番石榴定时灌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