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369Y1 -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369Y1
KR200254369Y1 KR2020010025590U KR20010025590U KR200254369Y1 KR 200254369 Y1 KR200254369 Y1 KR 200254369Y1 KR 2020010025590 U KR2020010025590 U KR 2020010025590U KR 20010025590 U KR20010025590 U KR 20010025590U KR 200254369 Y1 KR200254369 Y1 KR 200254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ing
container
control unit
filter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방호
Original Assignee
진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방호 filed Critical 진방호
Priority to KR2020010025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3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369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화분을 안치하여 자동으로 관수 할 수 있게하고; 여과통을 부설하여 화분 배출수를 식물 성장에 유익하고 깨끗한 용수가 되게끔 여과함과 동시에 연수화 하여 순환시키고; 구성을 간결화 하여 제작이 용이하게 하고; 조작 및 이용방법을 간단화 하여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정용, 직장용 또는 화원용 화분 관리에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 이다. 본 고안은 관수용기(11)의 구부에 관착하여 화분 배출수를 드레인(12)에 집수하는 상부 지지체(13)와; 지지체(13)의 드레인(12)에 조립 설치하고, 배출수 유입구(15), 여과재 수용부(16) 및 여과수 배출부(17)를 구비하는 여과통(18)과; 여과통(18)의 수용부(16)에 장입되는 교환식 여과재(21)와; 관수용기(11) 측면의 제어창(27) 내측에 수밀상태로 부착되는 제어부(28)와; 제어부(28)에 부착되어 구동제어되는 수중펌프(32)와; 수중펌프(32)의 토출관에 연결 설치되는 관수노즐(33); 로서 구성한 관수 장치를 가지는 화분 받침대이다.

Description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 {FLOWERPOT TABLE FOR AUTO SPRINKLER}
본 고안은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예약된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관수 할 수 있음은 물론, 재 순환 용수를 여과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화분을 자동 관수 할 수 있는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도 화분이 안치되는 관수 용기와, 용기내의 용수를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시간동안 양수하는 펌프와, 관수 용수를 화분에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관수 노즐과, 관수 노즐의 연결호스 및 취부 클립으로 구성하는 화분 관수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공개공보 10-1999-0064904호에 알려진 화분은 케이싱 내의 습기 발생 수단과, 케이싱 내의 송풍 수단과, 습기 발생 수단에서 발생된 습기를 식재용 용기내의 식물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단과, 케이싱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로서 구성하여; 배양 토양과 식물에 습기를 제공하고, 식물에 따른 생육에 적합하게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고,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고, 식물의 향기를 확산 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인용된 화분 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이용관리가 어렵고, 순환되는 관수 용수가 혼탁해지므로 악취를 발생하고, 혼탁해진 용수가 식물의 잎줄기에 분사되면 화초를 불결하게 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다양한 종류의 화분에 대하여 자동으로 관수 관리를 할 수 없는 장치로서; 범용적인 화분의 자동 관수 장치로서 적합지 못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화분이 안치되는 관수용기와, 용기내의 용수를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시간동안 양수하는 펌프와, 관수 용수를 화분에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관수 노즐과, 관수 노즐의 연결호스 및 취부 클립으로 화분 관수장치를 구성하되,
다양한 종류의 화분을 안치하여 자동으로 관수 할 수 있게 하고;
여과통을 부설하여 화분 배출수를 식물 성장에 유익하고 깨끗한 용수가 되게끔 여과함과 동시에 연수화 하여 순환시키고;
구성을 간결화 하여 제작이 용이하게 하고;
조작 및 이용방법을 간단화 하여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게함;
으로써 가정용, 직장용 또는 화원용 화분 관리에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단면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1은 관수용기, 12는 드레인, 13은 지지체, 18은 여과통, 21은 여과재, 27은 제어창, 28은 제어부, 32는 수중펌프, 33은 관수노즐 이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화분이 안치되는 관수용기와, 용기내의 용수를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시간동안 펌핑하는 펌프와, 관수 용수를 화분에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관수 노즐과, 관수 노즐의 연결호스 및 취부 클립으로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관수용기(11)의 구부에 관착하여 화분 배출수를 드레인(12)에 집수하는 상부 지지체(13)와;
지지체(13)의 드레인(12)에 조립 설치하고, 배출수 유입구(15), 여과재 수용부(16) 및 여과수 배출부(17)를 구비하는 여과통(18)과;
여과통(18)의 수용부(16)에 장입되는 교환식 여과재(21)와;
관수용기(11) 측면의 제어창(27) 내측에 방수패킹(27a)을 끼워 수밀상태로 부착되는 제어부(28)와;
제어부(28)에 부착되어 구동제어되는 수중펌프(32)와;
수중펌프(32)의 토출관에 연결 설치되는 관수노즐(33);
로서 구성한 관수 장치를 가지는 화분 받침대이다.
상기 제어부(28)는 수중펌프(32) 구동 모터의 구동 전원을 개폐하고, 관수 주기와 양수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부로서, 실시 예에서 방수처리되어 펌프의 일부에 부착되고, 제어용 놉과 스위치를 상기 제어창(27)을 통하여 사용자가 접근하여 조작 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상기 수중펌프(32)의 구동 전원 코드는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창(27)을 통하여 관수용기(11) 밖으로 인출되게 구성하였다.
본 고안은 실시 예 도면에서 상기 구성요소의 지지체(13)에 연결호스 안내홈(14)을;
여과통(18)의 구부에 조립용 환턱(19) 및 통수판(20)을;
제어부(28)에 개폐스위치(29), 주기설정 놉(30) 및 양수시간 설정놉(31)을;
관수노즐(33)에 연결호스(34) 및 부설클립(35)을;
여과재(21)에 상하 섬유 여과층(23,23')으로 둘러싸인 연수화 여과층으로서 게루마늄층(24), 맥반석층(25), 옥돌층(26)을 각각 더 구성하고 있다.
상기 관수설정 주기는 실시 예에서 6시간 단위로 2주일을 설정할 수 있게 놉(30)의 둘레에 눈금과 주기단위를 표기하였고, 상기 양수시간은 30초 단위로 10분까지 설정할 수 있도록 놉(31)의 둘레에 눈금과 시간단위를 표기하였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어부(28)와 수중펌프(32)가 부착된 관수용기(11)에 일정량의 물을 붓고, 관수용기(11)의 구부에 상부 지지체(13)를 관착하고, 상부 지지체의 드레인(12)에 여과재(21)와 통수판(20)을 삽입한 여과통(18)을 삽입한 다음, 상부 지지체(13)위에 화분(1)을 얹고, 클립(35)으로 관수노즐(33)을 화분의 구연부에 고정시키고, 제어부(28) 및 수중펌프(32)의 구동 모터를 전원에 접속하고, 제어부(28)의 전원 개폐스위치(29)를 온 상태로 조작하고, 주기설정 놉(30)에서 관수 주기를 설정하고, 양수시간 설정 놉(31)에서 양수시간을 설정하면 설정 주기마다 수중펌프(32)가 설정 양수시간동안 구동되어 관수용기(11)내의 용수를 양수하고, 양수된 관수 용수는 연결호스(34)와 노즐(33)을 통하여 화분에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화분을 적신 양수용수는 화분 흙을 적신 후 화분의 저부에서 본 고안의 상부 지지체(13)에 전달되고, 드레인에 집수된 후, 유입구(15)를 통하여 수용부(16)에 수용된 여과재(21)에 공급되고, 여과재에서 여과된 후 관수용기(11)에 회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 지지체에 임의의 화분을 탑재하고 적당한 관수주기와 양수시간을 설정 해 주면 관수 관리를 화분 단위로 자동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관수용기(11)와 화분을 순환하는 용수가 화분에서 관수용기(11)로 회수될 때에 여과재에서 여과됨으로써 관수 용수를 깨끗하게 정수 하여 관수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노즐에서 분출되는 용수를 화초의 잎에 뿌려주더라도 화초가 불결해지지 아나하고, 용수가 관수용기(11)에 체류하더라도 악취가 발생되지 아니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은 여과재(21)에 섬유여과층(22,23)에 둘러싸인 게루마늄층(24), 맥반석층(25), 옥돌층(26) 등을 구성하는 연수화 필터를 삽입함으로써 용수는 식물성장에 유익한 연수 상태가 되어 화분에 심은 식물의 생육상태를 우량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연수화 재료는 상기 열거된 재료 외에도 미량비료요소나 기타 원적선 다량 방사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화분을 안치하여 자동으로 관수 할 수 있게하고; 여과통을 부설함으로써 화분 배출수를 식물 성장에 유익하고 깨끗한 용수가 되게끔 여과함과 동시에 연수화 하여 순환시키고; 구성을 간결화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조작 및 이용방법이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정용, 직장용 또는 화원용 화분 관리에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화분이 안치되는 관수용기와, 용기내의 용수를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시간동안 펌핑하는 펌프와, 관수 용수를 화분에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관수 노즐과, 관수 노즐의 연결호스 및 취부 클립으로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관수용기(11)의 구부에 관착하여 화분 배출수를 드레인(12)에 집수하는 상부 지지체(13)와;
    지지체(13)의 드레인(12)에 조립 설치하고, 배출수 유입구(15), 여과재 수용부(16) 및 여과수 배출부(17)를 구비하는 여과통(18)과;
    여과통(18)의 수용부(16)에 장입되는 교환식 여과재(21)와;
    관수용기(11) 측면의 제어창(27) 내측에 수밀상태로 부착되는 제어부(28)와;
    제어부(28)에 부착되어 구동제어되는 수중펌프(32)와;
    수중펌프(32)의 토출관에 연결 설치되는 관수노즐(33);
    로서 구성한 관수 장치를 가지는 화분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체(13)에 구성하는 연결호스 안내홈(14)과;
    여과통(18)의 구부에 구성하는 조립용 환턱(19) 및 통수판(20)과;
    제어부(28)에 배열되는 개폐스위치(29), 주기설정 놉(30) 및 양수시간 설정놉(31)을 가지는 화분 받침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여과재(21)는 상하 섬유 여과층(23,23')으로 둘러싸인 연수화 여과층으로서 게루마늄층(24), 맥반석층(25), 옥돌층(26)을 구비한 관수 장치를 가지는 화분 받침대.
KR2020010025590U 2001-08-23 2001-08-23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 KR200254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590U KR200254369Y1 (ko) 2001-08-23 2001-08-23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590U KR200254369Y1 (ko) 2001-08-23 2001-08-23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369Y1 true KR200254369Y1 (ko) 2001-11-24

Family

ID=7306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590U KR200254369Y1 (ko) 2001-08-23 2001-08-23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36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470B1 (ko) 2009-09-16 2012-03-23 주식회사 비앤지 빗물을 이용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KR101376759B1 (ko) 2012-02-01 2014-03-25 김민경 이중화분
WO2019088461A1 (ko) 2017-11-03 2019-05-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물받이
KR20200086831A (ko) 2019-01-10 2020-07-20 김흥기 자동 관수 화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470B1 (ko) 2009-09-16 2012-03-23 주식회사 비앤지 빗물을 이용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KR101376759B1 (ko) 2012-02-01 2014-03-25 김민경 이중화분
WO2019088461A1 (ko) 2017-11-03 2019-05-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물받이
US11490574B2 (en) 2017-11-03 2022-11-08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lower water receiver
KR20200086831A (ko) 2019-01-10 2020-07-20 김흥기 자동 관수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1078Y1 (ko) 분수와 여과기능을 갖는 수족관용 식물재배기
KR100883710B1 (ko)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US8291639B2 (en) Growing system for hydroponics and/or aeroponics
US9113606B2 (en) Growing system for hydroponics and/or aeroponics
EP3799715A2 (en) Pressurized growing air system for vertical and horizontal planting systems
US4265050A (en) Flower pot with controlled moisture
KR20130089048A (ko) 이중화분
EP32531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tical cultivation of plants in plant pots, a device for vertical cultivation of plants in plant pots and a special plant pot
CN106665294A (zh) 一种带浇水装置的花盆座
KR20190062083A (ko) 식물 재배 기능을 갖는 휴대용 수족관
KR200254369Y1 (ko)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
TWM576376U (zh) 可供戶外戶內使用的圓柱支撐單元多層有機調控菜園
CN210928782U (zh) 一种园林设计用的绿化栽培装置
JP2001128588A (ja) プランター付水槽
KR101899720B1 (ko)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CN104585116B (zh) 一种集植物养护、空气净化、环境美化为一体的空气净化器
CN115176685A (zh) 一种花卉种植智能灌溉装置及其操作方法
CN211322202U (zh) 一种绿植栽培装置
JP2554820Y2 (ja) 観賞用鉢物植物への自動底面灌水装置
KR20070073554A (ko) 수중식물재배 공기청정가습기
KR200411248Y1 (ko) 화분의 물 자동 공급장치
US20020170979A1 (en) Drainage system
JP2006158383A (ja) 植物栽培方法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具
CN213214500U (zh) 一种铁皮石斛用的种植容器
CN208338536U (zh) 一种定时浇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