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720B1 -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 Google Patents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720B1
KR101899720B1 KR1020170054136A KR20170054136A KR101899720B1 KR 101899720 B1 KR101899720 B1 KR 101899720B1 KR 1020170054136 A KR1020170054136 A KR 1020170054136A KR 20170054136 A KR20170054136 A KR 20170054136A KR 101899720 B1 KR101899720 B1 KR 101899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t
port
fixing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재
이경자
Original Assignee
이훈재
이경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재, 이경자 filed Critical 이훈재
Priority to KR102017005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 꽃 및 씨앗 등을 판매할 때 사용하는 포트화분을 별도의 옮겨심는 과정 없이 포트판에 삽입하여 저면관수 또는 심지관수 등을 이용해 양분 및 물을 공급하여 다양한 식물을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RADIATION HEAT PROTECTION DUAL STRUCTURE PLANT POTS}
본 발명은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 꽃 및 씨앗 등을 판매할 때 사용하는 포트화분을 별도의 옮겨심는 과정 없이 포트판에 삽입하여 저면관수 또는 심지관수 등을 이용해 양분 및 물을 공급하며, 복사열에 의해 내부온도의 변화를 방지하여 식물을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을 실내에서 재배할 때 화분에 옮겨심고 물 및 양액 등을 공급하여 재배하고 있다.
이때, 합성수지의 얇은 일회용 화분에 심어진 식물, 씨앗 등을 가져와 알맞은 크기의 화분에 옮겨심어 재배하게 된다.
따라서 일회용 화분의 소비가 증가하여 불필요한 쓰레기 및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사용자는 화분을 옮겨심어 번거론운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실내에 흙, 자갈, 거름 등이 사용하게 되어 지저분해 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실내에서 재배하는 식물에 일정량의 물을 항시 공급하기 위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나 초심자나 바쁜 일상에 의해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을 외부 또는 햇빛이 드는 위치에 배치하여 광합성을 통한 에너지 변환 과정을 발생하고 있으나 외부, 내부온도 및 햇빛에 의해 전달되는 복사열에 의해 내부 온도가 변화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3303247호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관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화분장착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화분장착홀에 삽입되며, 측면에 절개부가 형성된 화분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화분의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을 통해 본체에 물을 공급하는 순환펌프가 설치된 저장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순환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화분의 내부로 직접 공급되며, 화분의 밑으로 배출된 물을 본체에 일정수위를 유지하며 저장하고 수위 이상의 물을 순환시켜 저장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본체에 화분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화분만 사용할 수 있어 식물을 정해진 화분에 옮겨심게 되는 불필요한 과정이 필요하고, 화분에 식재된 식물, 흙, 거름 등에 의해 결합이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화분의 상부에서 급수가 이루어져 있어 다수개의 화분장착홀에 화분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어 주변환경이 오염 및 더럽혀질 수 있다.
아울러, 순환펌프를 이용해 저장된 물을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필수적으로 전기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 및 배치할 수 있는 장소가 한정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중에서 꽃, 식물 및 씨앗을 판매, 보관 및 이동 식재되는 포트화분의 하부에서 물과,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규격화된 포트판에 결합하여 별도의 작업과정을 거치지 않고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외 온도 및 햇빛에 의해 전달되는 복사열을 차단하여 화분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저장된 토양 및 물의 온도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많은 양의 물을 저장되어 포트화분에 심지관수, 저면관수의 방식을 통해 물 및 약액을 꾸준히 공급하여 관리가 편리하며, 포트화분에 식재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 별도의 화분으로 옮겨심지 않고 관리가 가능하고 식물의 종류 및 크기에 맞춰 간격 및 위치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된 물의 공급이 편리하며, 일정수위 이상을 넘어가면 자연적으로 배출되어 수위 관리가 용이한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를 배치하여 다량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일정량의 물을 꾸준히 공급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빗물 등과 같이 자연적으로 공급되는 물을 사용할 수 있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부와 물이 유입되는 급수부가 구비되며, 내부에 식물 및 씨앗이 식재되는 포트화분; 상기 포트화분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고정부가 체결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포트판; 상기 포트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며, 이중구조를 가지는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부면에 형성된 제 1통기공과 하부면에 형성된 제 2통기공으로 구성된 저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저수부는 하부면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저수부의 내부를 구획하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끼움홈에 의해 구획된 양측으로 끝단이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끼움홈의 상단에 배치되는 공급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포트화분의 하단면 및 하부측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포트화분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보관부와,
상기 포트화분의 내부에서 하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노출된 부분이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심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포트화분의 하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 제 1고정돌기와, 상기 제 1고정돌기와 대응되며, 상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포트판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포트화분의 상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2고정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포트의 하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 제 1고정돌기와, 상기 제 1고정돌기의 상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포트판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포트화분이 확장된 확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트판은 상부에 공급된 물이 상기 고정홈을 통해 상기 저수부로 유입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트판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결합공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삽입되는 상기 포트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표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트화분의 내부에 저장된 토양 및 씨앗의 유실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융착된 비닐막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트판과 상기 저수부가 다수개 배치되며, 상기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를 연결하여 상호간에 물을 공급하여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된 수위조절관과, 상기 저수부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위조절관에 물을 공급하는 저수통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에 따르면, 시중에서 꽃, 식물 및 씨앗을 식재하여 판매, 보관 및 이동하는 포트화분에 고정부를 형성하여 규격화된 포트판에 결합시킬 수 있어 화분으로 옮겨심는 별도의 작업을 거치지 않고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외 온도 및 햇빛에 의해 전달되는 복사열을 이중구조를 통해 차단하여 내부에 저장된 물 및 화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트판의 하부에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가 구비되어 저장된 물은 저면관수 및 심지관수의 방법을 통해 포트화분에 꾸준히 물 및 양액을 공급하여 식물을 관리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된 물은 일정수위가 넘으면 자연적으로 배출되어 물 공급시 수위관리가 편리하고, 외부에 개별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저수통이 연결되어 장기간 일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저수부를 연결시켜 다량의 식물을 동시에 재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수부의 하부에 빗물을 저장하는 빗물저장부가 구비되어 빗물 및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과 저수부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펌핑수단을 통해 편리하게 저수부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트화분에 형성된 급수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막이 융착된 포트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이 형성된 포트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의 공급 및 순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홈이 형성된 수조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부의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돌기가 형성된 수조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통 및 수위조절관이 연결되어 물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장부 및 펌핑수단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트화분에 형성된 급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막이 융착된 포트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이 형성된 포트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의 공급 및 순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홈이 형성된 수조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부의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돌기가 형성된 수조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통 및 수위조절관이 연결되어 물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장부 및 펌핑수단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 꽃 및 씨앗 등을 판매할 때 사용하는 포트화분을 별도의 옮겨심는 과정 없이 포트판에 삽입하여 저면관수 또는 심지관수 등을 이용해 양분 및 물을 공급하여 다양한 식물을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포트화분에 식재된 식물을 저면관수 및 심지관수 등의 방법을 통해 일정량의 물을 꾸준히 공급하여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포트화분(10), 포트판(20) 및 저수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트화분(10)은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부(12)와 물이 유입되는 급수부(11)가 구비되며, 내부에 꽃, 식물 및 씨앗이 식재된다.
이러한 상기 포트화분(10)은 시중에서 꽃, 식물 및 씨앗을 구입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꽃, 식물 및 씨앗이 식재되어 판매가 이루어져 보관 및 이동시킬 때 사용한다.
따라서, 별도의 화분에 옮겨 담을 필요가 없으며, 일반적인 꽃집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포트판(20)은 상기 포트화분(10)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결합공(2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21)에는 상기 고정부(12)가 체결되는 고정홈(2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포트판(20)에는 다수개의 상기 포트화분(10)을 결합하여 다양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상기 저수부(30)는 상기 포트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며, 이중구조를 가지는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부면에 형성된 제 1통기공과 하부면에 형성된 제 2통기공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저수부(30)는 대기 및 햇빛에 의해 전달되는 복사열을 이중구조에 의한 상기 내부공간(34)에서 열기의 전달을 차단하고 가해지는 열기를 하부면과 상부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 1통기공(35)과 상기 제 2통기공(36)을 통해 순환시켜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상기 저수부(30)에 저장된 물과 상기 포트화분(10)으로 복사열의 전달을 방지하고, 여름철 및 겨울철의 온도에 의해 전달되는 열기 및 냉기의 전달을 억제하여 내부온도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수부(30)의 측면 상단에는 일정수위의 물이 저장되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배출공(31)은 마개 등을 이용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며, 배출되는 물은 호스, 받침판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선택되는 장소로 유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11)는 저면관수 또는 심지관수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기 저수부(30)에 저장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부(11)는 상기 포트화분(10)의 하단면과 하부측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홈(11a)이 형성된다.
즉, 상기 포트화분(10)의 하단부분이 상기 저수부(30)에 저장된 물에 침수되어 상기 유입홈(11a)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저면관수 방식을 이용하여 식물에 물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유입홈(11a)은 상기 포트화분(10)에 저장된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이 공급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포트화분(10)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옮겨심기 등과 같은 별도의 과정 없이 상기 포트판(20)에 결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부(11)는 상기 포트화분(10)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보관부(11b)와 상기 포트화분(10)의 내부에서 하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노출된 부분이 상기 보관부(11b)에 보관된 심지(11c)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보관부(11b)에 저장된 상기 심지(11c)를 상기 저수부(30)에 저장된 물에 침수시켜 상기 포트화분(10)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관부(11b)는 개폐 가능한 커버를 통해 상기 심지(11c)를 보관하며, 사용시 외부로 노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버는 밴드, 접착 및 융착된 비닐을 제거하여 심지를 노출시켜 일회성으로 사용하는 구성과, 나사결합, 힌지결합 및 끼움결합 등을 이용하여 개방 및 폐쇄하여 심지를 노출 및 보관할 수 있는 지속성을 가지는 구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트화분(10)의 하부에 보관된 상기 심지(11c)는 보관이 용이하여 편리하게 이동 및 보관이 가능하며, 사용시 외부로 노출시켜 심지관수 방식을 이용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포트화분(10)은 심지관수 및 저면관수의 방법을 통해 상기 저수부(30)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여 편리하게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는 상기 포트화분(10)을 편리하게 상기 포트판(20)에 고정하며, 다양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는 상기 포트화분(10)의 하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 제 1고정돌기(13)와 상기 제 1고정돌기(13)와 대응되며, 상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포트판(20)이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15)가 형성되도록 상기 포트화분(10)의 상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2고정돌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 1고정돌기(13)는 상기 고정홈(21a)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두 개 이상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고정돌기(14)는 상기 제 1고정돌기(13)와 대응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포트판(20)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는 상기 포트화분(10)의 하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 제 1고정돌기(13)와 상기 제 1고정돌기(13)의 상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포트판(20)이 삽입되는 삽입부(15)가 형성되도록 상기 포트화분(10)이 확장된 확장부(16)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 1고정돌기(13)는 상기 고정홈(21a)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두 개 이상이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16)는 상기 제 1고정돌기(13)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포트판(20)을 끼우고 외부에 노출된 상기 포트화분(10)의 상부 외주면이 확장되어 큰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고정돌기(13)를 상기 고정홈(21a)에 일치시킨 후 상기 포트화분(10)을 상기 결합공(21)에 삽입하여 상기 포트화분(10)의 하부 또는 상기 심지(11c)가 상기 저수부(30)에 저장된 물에 침수시킨다.
그리고 상기 포트화분(10)을 회전시켜, 상기 삽입부(15)에 상기 포트판(20)을 끼움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 1고정돌기(13)의 상부는 상기 포트판(20)의 하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 2고정돌기(14) 및 상기 확장부(16)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하부면이 상기 포트판(20)의 상부에 밀착되어 고정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트화분(10)에 저장된 토양 및 씨앗의 유실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융착된 비닐막(17)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비닐막(17)은 씨앗이 심어진 상기 포트화분(10)에 융착시켜 외부에서 공기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흙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어 전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여 편리하게 홍보 및 판매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트판(20)은 상부에 공급된 물이 상기 고정홈을 통해 상기 저수부(30)로 유입되도록 경사면(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면(22)은 상기 고정홈(21a) 및 상기 결합공(21)을 통해 공급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22)은 상기 포트판(20)의 양측 끝단에서 중앙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공급된 물은 상기 경사면(22)을 통해 중앙으로 이동하며, 중앙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21)과 상기 고정홈(21a)을 통해 상기 저수부(30)로 유입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22)은 다수개의 상기 결합공(21)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을 기준으로 각각의 상기 결합공(21)과 상기 고정홈(21a)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공(21)과 상기 결합공(21)의 사이의 중앙이 상부로 돌출되고 양측의 상기 결합공(21)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경사면(22)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중 선택되는 방향으로 다수개의 상기 결합공(21)에 맞춰 형성됨으로, 상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각각의 상기 결합공(21)과 상기 고정홈(21a)을 통해 상기 저수부(30)에 물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상기 포트판(20)의 상부에 임의로 공급된 물은 상기 경사면(22)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결합공(21)과 상기 고정홈(21a)을 통해 상기 저수부(30)로 유입될 수 있어 편리하게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경사면(22) 상기 결합공(21) 및 상기 고정홈(21a)으로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트판(20)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결합공(21)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삽입되는 상기 포트화분(10)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는 표시부(23)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23)는 상기 포트판(20)에 결합되는 상기 포트화분(10)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 및 크기 등의 다양한 조건에 맞춰 간격을 유지하여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다양한 도형, 숫자, 문자 등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상기 결합공에 순서대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식물이 성장하여도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부(30) 및 상기 포트화분(10)은 다음과 같이 물의 공급 및 순환된다.
상기 포트화분(10)을 상기 포트판(20)에 결합한 후 하부에 저수부(30)를 고정시킨다.
이때, 포트화분(10)에 식재된 식물에 따라 상기 포트판(20)의 상기 표시부(23)를 확인하여 알맞은 위치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포트판(20)의 상부에서 물을 공급하면, 상기 결합공(21)과 상기 고정홈(21a)을 통해 상기 저수부(30)에 물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포트판(20)은 상기 경사면(2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용이하게 유도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저수부(30)에 물이 저장되면, 상기 포트화분(10)은 상기 급수부(11)에 따라 상기 저수부(30)에 저장된 물에 침수되어 상기 유입홈(11a)을 통해 유입되거나, 상기 심지(11c)를 노출시킨 후 침수하여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면관수 또는 심지관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포트화분(10)에 편리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포트화분(10)의 상단에는 재배시에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18)가 결합되며, 상기 덮개(18)는 천, 비닐로 이루어진 끝단에 탄성부재(18a)를 삽입하여 상기 포트화분(10)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고 중앙에는 식재된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공(18b)이 형성된다.
따라서 포트화분(10)의 상단에 덮개(18)를 결합시켜 실외에서는 바람에 의해 포트화분(10) 내부에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실내에서는 흩어지는 흙에 의해 실내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부(30)는 베란다(100)의 끝단 단턱이 형성된 장소에서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저수부(30)는, 하부면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저수부(30)의 내부를 구획하는 끼움홈(32)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부(30)의 내부에는 상기 끼움홈(32)에 의해 구획되어 양측에 양 끝단이 위치하도록 상기 끼움홈(32)의 상단에 배치되는 공급부재(33)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끼움홈(32)은 상기 베란다(100)의 끝단에 형성된 단턱에 끼움결합 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부(30)의 하부면을 구획시킨다.
여기서 상기 끼움홈(32)은 상기 베란다(100) 이외의 발코니 및 테라스 등과 같이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는 다양한 장소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수부(30)는 상기 끼움홈(32)에 의해 구획된 일측이 상기 베란다(100)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안착된다.
아울러 상기 저수부(3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및 "T" 형상을 가지며, 중앙측의 하부에 상기 끼움홈(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부(30)는 "T" 형상을 가지며, 폭이 넓은 부분이 베란다의 내부에 위치하고, 좁은 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32)을 베란다의 단턱에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부의 측면에는 끈을 통해 측면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저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수부(30)는 상부에 배출공(31)이 형성되고 하부에 유입공(61)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유입공(61)은 관, 호스 등을 통해 외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빗물, 호스 등을 통해 과 공급된 물은 상기 배출공(31)을 통해 배출되거나, 다수개의 저수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저수부(30)는 다양한 형상을 통해 베란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식물이 햇빛과 바람에 노출되어 광합성 및 이산화탄소의 공곱되어 성장이 잘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포트판(20)은 상기 끼움홈(32)의 상단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결합공이 배치되지 않도록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재(33)는 상기 저수부(30)의 일측과 타측에 양 끝단이 위치하여 일측 또는 타측에 저장된 물을 모세관작용을 통해 동일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재(33)는 물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직물, 솜 및 부직포 등과 같은 재질을 통해 상기 저수부(30)의 내부에 다수개의 심지형태 또는 천 형태 등을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끼움홈(32)에 의해 상기 베란다(100)의 끝단에 설치하여 햇빛을 받을 수 있으며, 내부에서는 상기 공급부재(33)을 통해 구획된 구간에 상관없이 일정량의 물을 항시 유지하여 식물을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부(30)의 하부면에 돌출된 다수개의 결합돌기(37)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37)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배란타(100)의 끝단에 형성된 단턱에 결합되는 구조로 상기 끼움홈(32)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37)는 하부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34)에 별도의 상기 공급부재(33)가 필요하지 않아 수위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트판(20)과 상기 저수부(30)가 다수개 배치되며, 상기 저수부(30)와 상기 저수부(30)를 연결하여 상호간에 물을 공급하여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된 수위조절관(40)과 상기 저수부(30)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위조절관(40)에 물을 공급하는 저수통(50)이 형성된다.
즉, 다수개의 상기 저수부(30)는 상기 수위조절관(40)을 통해 결합하되, 상기 수위조절관(40)은 상기 저수부(30)의 하부에 연결되어 용이하게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저수통(50)에 저장된 물을 일정량 지속적으로 배출하여 상기 수위조절관(40)을 통해 다수개의 상기 저수부(30)에 공급한다.
이를 통해 대량의 물을 상기 저수통(50)에 저장된 상태에서 일정량을 꾸준히 공급하여 장기간 동안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많은양의 식물을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부(30)의 하단에 배치하여 상기 저수부(30)에서 배출된 물 및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빗물저장부(60)와, 상기 빗물저장부(6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수부(30)로 공급하는 펌핑수단(7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빗물저장부(60)는 상부면에 빗물 및 물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공(61)이 형성되며, 측면의 상부에는 관통공(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펌핑수단(70)은 일측이 상기 빗물저장부(60)의 상기 관통공(62)으로 삽입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에 잠기고 타측이 상기 저수부(30)의 상기 배출공(31)의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펌핑수단(70)을 통해 펌핑이 이루어지면, 상기 빗물저장부(6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수부(3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펌핑수단(70)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자바라펌프 등과 같은 구성과,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펌프 등으로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저수부(30)의 수위가 증가하면 상기 배출공(31)을 통해 배출되면 상기 빗물저장부(60)에서 저장한 후 재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빗물저장부(60)에 빗물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저수부(30)의 수위 증가로 인해 배출된 물이 유입되어 재사용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빗물저장부(60)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저수부(30)로 재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포트화분 11: 급수부
11a: 유입홈 11b: 보관부
11c: 심지 12: 고정부
13: 제 1고정돌기 14: 제 2고정돌기
15: 삽입부 16: 확장부
17: 비닐막 18: 덮개
18a: 탄성부재 18b: 노출공
20: 포트판 21: 결합공
21a: 고정홈 22: 경사면
23: 표시부 30: 저수부
30a: 내측면 30b: 외측면
31: 배출공 32: 끼움홈
33: 공급부재 34: 내부공간
35: 제 1통기공 36: 제 2통기공
37: 결합돌기 37: 공급공
40: 수위조절관 50: 저수통
60: 빗물저장부 61: 유입공
62: 관통공 70: 펌핑수단
100: 베란다

Claims (10)

  1.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부(12)와 물이 유입되는 급수부(11)가 구비되며, 내부에 꽃, 식물 및 씨앗이 식재되는 포트화분(10);
    상기 포트화분(10)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결합공(2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21)에는 상기 고정부(12)가 체결되는 고정홈(21a)이 형성된 포트판(20);
    상기 포트판(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부(11)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며, 이중구조를 가지는 내측면(30a)과 외측면(30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면(30a)과 상기 외측면(30b)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34)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부면에 형성된 제 1통기공(35)과 하부면에 형성된 제 2통기공(36)으로 구성된 저수부(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저수부(30)는 하부면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저수부(30)의 내부를 구획하는 끼움홈(32)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끼움홈(32)에 의해 구획된 양측으로 끝단이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끼움홈(32)의 상단에 배치되는 공급부재(33)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11)는,
    상기 포트화분(10)의 하단면 및 하부측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저수부(3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홈(11a)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11)는,
    상기 포트화분(10)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보관부(11b)와,
    상기 포트화분(10)의 내부에서 하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노출된 부분이 상기 보관부(11b)에 보관된 심지(11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는,
    상기 포트화분(10)의 하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 제 1고정돌기(13)와,
    상기 제 1고정돌기(13)와 대응되며, 상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포트판(20)이 삽입되는 삽입부(15)가 형성되도록 상기 포트화분(10)의 상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2고정돌기(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는,
    상기 포트화분(10)의 하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 제 1고정돌기(13)와,
    상기 제 1고정돌기(13)의 상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포트판(20)이 삽입되는 삽입부(15)가 형성되도록 상기 포트화분(10)이 확장된 확장부(1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판(20)은 상부에 공급된 물이 상기 고정홈(21a)을 통해 상기 저수부(30)로 유입되도록 경사면(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판(20)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상기 결합공(21)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삽입되는 상기 포트화분(10)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표시부(23)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화분(10)의 내부에 저장된 토양 및 씨앗의 유실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융착된 비닐막(17)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판(20)과 상기 저수부(30)가 다수개 배치되며, 상기 저수부(30)와 상기 저수부(30)를 연결하여 상호간에 물을 공급하여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된 수위조절관(40)과,
    상기 저수부(30)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위조절관(40)에 물을 공급하는 저수통(5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10. 삭제
KR1020170054136A 2017-04-27 2017-04-27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KR101899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136A KR101899720B1 (ko) 2017-04-27 2017-04-27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136A KR101899720B1 (ko) 2017-04-27 2017-04-27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720B1 true KR101899720B1 (ko) 2018-09-17

Family

ID=6372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136A KR101899720B1 (ko) 2017-04-27 2017-04-27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7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557B1 (ko) * 2022-10-21 2023-12-27 박보정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CN117461498A (zh) * 2023-12-12 2024-01-30 青岛农业大学 一种日光温室封闭式无花果栽培系统及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372B1 (ko) * 2014-05-15 2015-11-26 이경자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372B1 (ko) * 2014-05-15 2015-11-26 이경자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557B1 (ko) * 2022-10-21 2023-12-27 박보정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CN117461498A (zh) * 2023-12-12 2024-01-30 青岛农业大学 一种日光温室封闭式无花果栽培系统及其方法
CN117461498B (zh) * 2023-12-12 2024-05-24 青岛农业大学 一种日光温室封闭式无花果栽培系统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38204A (en) Hydroponic growing apparatus
KR101139614B1 (ko) 벽면식재장치
KR101350394B1 (ko) 수로가 형성된 재배플레이트를 가지는 수경재배장치
JP2017522042A (ja) 垂直植物配列のためのアセンブリ
KR101893196B1 (ko)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JP2007306895A (ja) 植物水耕栽培装置
JP2008253165A (ja) 栽培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栽培装置
KR101466179B1 (ko) 수족관 겸용 식물재배장치
KR101362020B1 (ko) 수경 재배 장치
KR101899720B1 (ko)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KR101264143B1 (ko)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
KR20220084779A (ko) 냉난방이 가능한 수경 재배 시스템
KR200214155Y1 (ko) 화분
KR101659908B1 (ko) 수경식물 재배용 화분 키트를 사용한 식물 재배 장치
KR102038769B1 (ko) 급수화분을 갖는 식물재배화분
JP2010068735A (ja) 自動給水プランター
KR200405862Y1 (ko) 수경재배기
WO2017104703A1 (ja) 露地水耕栽培キット、露地水耕栽培システム、及び植物体の製造方法
JP2014030377A (ja) 栽培装置
TWM532149U (zh) 儲水型栽培容器及其容槽
JP2005040009A (ja) 底面給水式植物栽培容器
KR20130131822A (ko) 수경재배 겸용 삽목용 화분 수직 재배장치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190076385A (ko)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