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717B1 -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717B1
KR102303717B1 KR1020190088745A KR20190088745A KR102303717B1 KR 102303717 B1 KR102303717 B1 KR 102303717B1 KR 1020190088745 A KR1020190088745 A KR 1020190088745A KR 20190088745 A KR20190088745 A KR 20190088745A KR 102303717 B1 KR102303717 B1 KR 10230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wick
outside
flower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623A (ko
Inventor
남광현
Original Assignee
남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광현 filed Critical 남광현
Priority to KR102019008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7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용기와 연결된 급수심지에 따른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급수량을 공급하도록 정해진 시간동안 일정 량의 급수가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급수심지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동안 급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공급 급수량을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급수가 담겨지고 화분측에 급수를 공급하도록 화분의 상측방향으로 기립되도록 배치된 급수용기와; 상기 급수용기의 외주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돌출되고, 상기 급수용기 내의 급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높이를 조정하여 상부에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차단판이 마련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급수구와; 상기 급수용기 내의 급수에 일단부가 침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급수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화분측으로 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심지; 및 상기 급수구의 외측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심지가 상기 화분측에 접촉되도록 중앙에 급수심지가 관통되도록 결합된 마개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AUTOMATIC WATERSUPPLY DEVICE FOR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수용기와 연결된 급수심지에 따른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급수량을 공급하도록 정해진 시간동안 일정 량의 급수가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급수심지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동안 급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공급 급수량을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분급수방식은 화분위에서 식물과 흙표면상으로 직접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흙에 스며든 물이 빠른 속도로 흙을 통과하여 화분저면의 배수구로 배출된다. 따라서 식물의 특성(수분의 흡수정도)에 따라 매일 또는 2~3일 간격으로 자주 물을 공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여행등의 사정으로 인하여 장시간 물을 공급하지 못할 경우에는 식물이 고사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표면상의 흙은 말라있으나, 화분내부의 흙에는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흙표면의 마른 상태만 보고 화분에 물을 계속 공급하다 보면 흙내부의 과다한 수분함량으로 인하여 뿌리가 썩어 식물이 죽게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시도로서, 미국 특허 제43,941호 ″자동급수화분″이 제시되었다. 이 화분은 흙은 담아 식물을 심는 재배조와 그 아래 구성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를 종방향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재배조 저면 중앙에는 천공을 하여 급수재가 내장된 튜브를 부착하되, 튜브상단은 다수개의 소공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천공에 부착하고, 튜브하단은 저수조의 저면 근처까지 연장하여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재배조에 식물을 심고 저수조에 물을 채울 경우, 저수조의 물은 급수재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다수의 소공이 형성된 튜브를 통과하여, 재배조내의 흙에 자동적으로 공급되었다. 또한 상기 튜브상단의 다수개의 소공중 일부를 개폐하여 재배조 내로의 급수량을 조절하였다.
그러한 상기 화분은 첫째로, 재배조와 저수조를 분리하여 제작하거나, 일체로 제작하는데에 있어서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단가가 많이드는 분제점이 있었고, 둘째로, 급수량을 조절하는데에 있어서, 식물을 화분에 심기전에 식물의 종류에 따라 미리 급수조절을 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 자동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91-010016호 "자동 급수조절식 화분"(공고일자 : 1991.12.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격벽에 의해 횡으로 분리되어 서로 다른 높이를 제각기 소정내부 공간을 가진 재배조 및 저수조와, 하부 중심에 유입부를 가지고 상기 재배조의 하부 중심에서 아래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원통형의 급수재 수용부와, 상부는 상기 급수재 수용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이며 하부는 상기 급수재 수용부의 직경과 유사하게 구성하되, 중심부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조절대 삽입부를 가지고 상기 급수재 수용부에 삽입되는 급수재와, 상기 급수재의 중심부에 형성된 조절대 삽입부에 삽입되어 급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조절수단 및, 상기 저수조의 하부 중심에 유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급수재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부간에 체결하여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한 소정직경의 급수용 파이프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저수조로부터 파이프를 통하여 급수재에 제공된 물을 상기 급수용 조절수단에 의해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위의 경우에는 급수용 파이프를 통해 저수조의 급수가 재배조측으로 공급되며 재배조와 저수조의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조절수단이 있더라도 저수조 내의 급수가 신속하게 급수되어 저수조를 자주 채워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기존 화분용 급수장치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8079호 "화분용 급수장치"(등록일자 : 2016.03.2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측 수용공간에 물을 저장하는 급수통과, 상기 급수통의 배출구측에 연결되어 급수통으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화분에 공급하는 급수관으로 이루어지는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로서, 상기 급수관은 연성의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정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수축 및 신장가능한 자바라부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관에는 내측으로 이동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구부를 가지는 배출노즐이 다수개 형성된 것이다.
그런데 기존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는 급수관 또는 급수재의 종류에 따라 화분에 공급되는 급수량이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화분측에 과도한 급수량이 일시적으로 공급되거나, 장시간 급수가 공급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화분의 식물 생장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91-010016 "자동 급수조절식 화분"(공고일자 : 1991.12.1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8079호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등록일자 : 2016.03.25)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급수용기와 연결된 급수심지에 따른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급수량을 공급하도록 정해진 시간동안 일정 량의 급수가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수심지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동안 급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공급 급수량을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급수가 담겨지고 화분측에 급수를 공급하도록 화분의 상측방향으로 기립되도록 배치된 급수용기와; 상기 급수용기의 외주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돌출되고, 상기 급수용기 내의 급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높이를 조정하여 상부에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차단판이 마련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급수구와; 상기 급수용기 내의 급수에 일단부가 침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급수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화분측으로 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심지; 및 상기 급수구의 외측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심지가 상기 화분측에 접촉되도록 중앙에 급수심지가 관통되도록 결합된 마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급수심지의 타단부를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돌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을 갖는 다른 실시 예는 내부에 급수가 담겨지고 화분측에 급수를 공급하도록 화분의 상측방향으로 기립되도록 배치된 급수용기와; 상기 급수용기의 외주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돌출되고, 상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구멍이 형성되며, 일측단에 제1심지부재가 결합된 차단부재가 마련된 급수구와; 상기 급수용기 내의 급수에 일단부가 침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급수구의 차단부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제1심지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의 외측에 록킹수단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일단부가 제1심지부재의 타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제1심지부재와의 접촉시 상기 급수용기 내의 급수를 상기 화분측에 공급하는 복수의 제2심지부재가 관통되도록 결합된 캡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차단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록킹돌기와, 상기 차단부재의 외측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캡부재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록킹홈과, 상기 차단부재의 외주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둘레홈, 및 상기 캡부재의 내측 둘레에 상기 둘레홈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캡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상기 둘레홈 내에 요철 결합되는 걸림턱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캡부재의 회전시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심지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2심지부재가 비접촉, 일부접촉, 전부접촉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급수용기 내의 급수를 화분측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조절수단이나 전원 공급없이 급수심지를 통해 지속적이고 일정한 양의 급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식물의 급수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식물의 생장에 유리한 급수조건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캡부재의 회전 각도마다 앞서 설명한 비접촉, 일부접촉, 전부접촉상태로 구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급수 공급량이 차등 공급되므로,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종류에 따라 공급 급수량을 임의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부분 확대도로서, 길이가 서로 다른 급수심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의 사용상태를 구분되도록 나타낸 도면으로서, 비접촉, 일부접촉, 전부접촉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의 일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부에 급수가 담겨지고 화분(50)측에 급수를 공급하도록 화분(50)의 상측방향으로 기립되도록 배치된 급수용기(100)와; 상기 급수용기(100)의 외주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돌출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구멍(210)이 형성된 급수구(200)와; 상기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에 일단부가 침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급수구(20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화분(50)측으로 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심지(400); 및 상기 급수구(200)의 외측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심지(400)가 상기 화분(50)측에 접촉되도록 중앙에 급수심지(400)가 관통되도록 결합된 마개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급수용기(100)는 페트병 소재의 용기로서, 상부에는 내부에 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뚜껑(105)이 개폐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주 일측에는 급수구(200)가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급수구(200)는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측에 공기구멍(210)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서, 하부 높이가 상기 급수용기(100)의 하부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급수구(200)는 상기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높이를 조정하여 상부에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차단판(220)이 일정 높이로 구비된다.
상기 급수심지(400)는 일단부가 상기 급수용기(100)의 내부에 충전된 급수에 침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급수구(200)를 통해 상기 마개부재(300)의 외측으로 빠져나와 상기 화분(50)측에 급수를 공급하도록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상기 급수심지(400)는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를 외부로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급수를 공급할 수 있는 소재(예를 들어 섬유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마개부재(300)는 상기 급수구(200)를 개폐시키도록 결합되고, 내주면에 상기 급수구(200)의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마개부재(300)는 상기 급수심지(400)의 타단부가 관통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부재(300)의 외측에는 상기 급수심지(400)의 타단부를 하측의 화분(50)측으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돌부(3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부(310)는 상기 급수심지(400)의 타단부를 가이드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생략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일 실시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급수가 채워진 급수용기(100)를 뚜껑(105)이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기립되게 배치한 후에, 급수심지(400)를 화분(50)측에 접촉시키면, 상기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상기 급수심지(400)를 통해 화분(50)측에 급수된다.
이때, 상기 급수심지(400)를 통해 화분(50)측으로 급수가 흘러 나오게 되면, 상기 급수구(200) 내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공기층으로 이루어진 공간이 확장됨과 아울러, 공기층의 공기가 차단판(220)의 하측을 통해 급수용기(100) 내에 공급되고, 공급된 공기의 양만큼의 급수가 급수구(200) 내에 공급된다.
이어서, 급수구(200) 내에 물이 채워지면 상기 공기층의 공간이 축소되고, 급수심지(400)를 통해 화분(50)측으로 급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다시 공기층의 공간이 확장되면서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가 차단판(220)의 하측을 통해 급수구(200) 내로 유입되므로,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급수심지(400)를 통해 화분(50)측에 급수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가 부족해질 경우에는, 뚜껑(110)을 개방시킨 후에 급수를 급수용기(100) 내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급수심지(400)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급수 공급량이 차등지도록 다른 이종의 소재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지름 사이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도 3a의 급수심지(400)의 길이보다 급수심지(400)의 길이를 길게 형성시킴으로써, 급수의 급수속도를 도 3a의 짧은 급수심지(400)보다 더 빠르게 화분(50)측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급수심지(400)의 길이 조절로 급수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를 화분(50)측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조절수단이나 전원 공급없이 급수심지(400)를 통해 지속적이고 일정한 양의 급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식물의 급수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식물의 생장에 유리한 급수조건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은 내부에 급수가 담겨지고 화분(50)측에 급수를 공급하도록 화분(50)의 상측방향으로 기립되도록 배치된 급수용기(100)와; 상기 급수용기(100)의 외주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돌출되고, 상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구멍(210)이 형성되며, 일측단에 제1심지부재(700)가 결합된 차단부재(500)가 마련된 급수구(200)와; 상기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에 일단부가 침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급수구(200)의 차단부재(50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제1심지부재(700); 및 상기 차단부재(500)의 외측에 록킹수단(80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일단부가 제1심지부재(700)의 타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제1심지부재(700)와의 접촉시 상기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를 상기 화분(50)측에 공급하는 복수의 제2심지부재(750)가 관통되도록 결합된 캡부재(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급수용기(100)는 페트병 소재의 용기로서, 상부에는 내부에 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주 일측에는 급수구(200)가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급수구(200)는 상측에 공기구멍(210)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서, 하부 높이가 상기 급수용기(100)의 하부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급수구(200)는 상기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높이를 조정하여 상부에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차단판(220)이 일정 높이로 구비된다.
상기 차단부재(500)는 상기 급수구(200)의 일측단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심지부재(70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캡부재(600)는 상기 차단부재(500)의 외측에 록킹수단(800)으로 일정한 각도마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심지부재(750)의 일단부가 상기 차단부재(500)의 외측면과 서로 마주보는 내측으로 관통되며 상기 제2심지부재(750)의 타단부가 화분(50)측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캡부재(600)의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록킹수단(800)은 상기 차단부재(50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록킹돌기(810)와, 상기 차단부재(500)의 외측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캡부재(600)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록킹홈(820)과, 상기 차단부재(500)의 외주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둘레홈(830), 및 상기 캡부재(600)의 내측 둘레에 상기 둘레홈(830)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캡부재(60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상기 둘레홈(830) 내에 요철 결합되는 걸림턱부(84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록킹수단(800)은 상기 캡부재(600)의 회전시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심지부재(700)와 상기 복수의 제2심지부재(750)가 비접촉, 일부접촉, 전부접촉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캡부재(600)의 회전시 상기 걸림턱부(840)가 상기 둘레홈(830) 내에 요철 결합방식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록킹돌기(810)가 상기 록킹홈(820)에 록킹 결합됨에 따라 일정 각도씩 상기 캡부재(600)의 회전각도를 90˚의 각도마다 정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심지부재(700)가 복수개일 경우, 제1-1심지부재(710)와 제1-2심지부재(720)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심지부재(750)를 제2-1심지부재(752)와 제2-2심지부재(754)로 구분할 수 있다.
도 7의 (a)에서와 같이 상기 비접촉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제1-1,1-2심지부재(710,720)에 상기 제2-1,2-2심지부재(752,754)가 접촉되지 않게 되어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가 화분(50)측으로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도 7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캡부재(600)를 일방향으로 90˚의 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1-1,1-2심지부재(710,720)와 상기 제2-1,2-2심지부재(752,754) 중 일부가 접촉되는 일부접촉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기 제1-1심지부재(710)에 상기 제2-1심지부재(752)가 접촉됨에 따라, 상기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가 제1-1심지부재(710) 및 제1-1심지부재(710)와 접촉된 제2-1심지부재(752)를 통해 화분(50)측에 급수를 일정량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c)에서와 같이, 상기 캡부재(600)를 상기 비접촉상태에 비해 180˚ 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1-1심지부재(710)에 접촉되어 있던 제2-1심지부재(752)가 회전되어 상기 제1-2심지부재(720)에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제2-2심지부재(754)가 상기 제1-1심지부재(710)에 접촉되어 상기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가 제1-1,1-2심지부재(710,720)를 통해 상기 제2-1,2-2심지부재(752,754)를 거쳐서 화분(50)측에 급수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일부접촉시 또는 전부접촉시일 경우 제1심지부재(700)와 제2심지부재(750)의 접촉부위에서 모세관현상을 통해 급수가 전달되고, 제2심지부재(750)의 타단부가 접촉되어 있는 화분(50)측으로 급수가 공급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캡부재(600)의 회전 각도마다 앞서 설명한 비접촉, 일부접촉, 전부접촉상태로 구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급수 공급량이 차등 공급되므로, 화분(50)에 심어진 식물의 종류에 따라 공급 급수량을 임의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50 : 화분 100 : 급수용기
110 : 뚜껑 200 : 급수구
210 : 공기구멍 220 : 차단판
300 : 마개부재 310 : 가이드돌부
400 : 급수심지 500 : 차단부재
600 : 캡부재 700 : 제1심지부재
710 : 제1-1심지부재 720 : 제1-2심지부재
750 : 제2심지부재 752 : 제2-1심지부재
754 : 제2-2심지부재 800 : 록킹수단
810 : 록킹돌부 820 : 록킹홈
830 : 둘레홈 840 : 걸림턱부

Claims (4)

  1. 내부에 급수가 담겨지고 화분(50)측에 급수를 공급하도록 화분(50)의 상측방향으로 기립되도록 배치된 급수용기(100)와;
    상기 급수용기(100)의 외주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돌출되고, 상기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높이를 조정하여 상부에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차단판(220)이 마련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구멍(210)이 형성된 급수구(200)와;
    상기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에 일단부가 침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급수구(20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화분(50)측으로 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심지(400); 및
    상기 급수구(200)의 외측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심지(400)가 상기 화분(50)측에 접촉되도록 중앙에 급수심지(400)가 관통되도록 결합된 마개부재(300)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구(200)는 상기 급수용기(100)의 외주 일측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개부재(300)의 관통되는 급수심지(400)의 위치는 상기 급수구(200)에 형성된 차단판(220)의 하단부 위치보다는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개부재(300)는 상기 급수심지(400)의 타단부를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돌부(3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2. 삭제
  3. 내부에 급수가 담겨지고 화분(50)측에 급수를 공급하도록 화분(50)의 상측방향으로 기립되도록 배치된 급수용기(100)와;
    상기 급수용기(100)의 외주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돌출되고, 상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구멍(210)이 형성되며, 일측단에 제1심지부재(700)가 결합된 차단부재(500)가 마련된 급수구(200)와;
    상기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에 일단부가 침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급수구(200)의 차단부재(50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제1심지부재(700); 및
    상기 차단부재(500)의 외측에 록킹수단(80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일단부가 제1심지부재(700)의 타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제1심지부재(700)와의 접촉시 상기 급수용기(100) 내의 급수를 상기 화분(50)측에 공급하는 복수의 제2심지부재(750)가 관통되도록 결합된 캡부재(600)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구(200)는 상기 급수용기(100)의 외주 일측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록킹수단(800)은 상기 차단부재(50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록킹돌기(810)와,
    상기 차단부재(500)의 외측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캡부재(600)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록킹홈(820)과,
    상기 차단부재(500)의 외주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둘레홈(830), 및
    상기 캡부재(600)의 내측 둘레에 상기 둘레홈(830)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캡부재(60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상기 둘레홈(830) 내에 요철 결합되는 걸림턱부(840)로 구성되어서,
    상기 캡부재(600)의 회전시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심지부재(700)와 상기 복수의 제2심지부재(750)가 비접촉, 일부접촉, 전부접촉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4. 삭제
KR1020190088745A 2019-07-23 2019-07-23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KR102303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745A KR102303717B1 (ko) 2019-07-23 2019-07-23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745A KR102303717B1 (ko) 2019-07-23 2019-07-23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623A KR20210011623A (ko) 2021-02-02
KR102303717B1 true KR102303717B1 (ko) 2021-09-23

Family

ID=7455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745A KR102303717B1 (ko) 2019-07-23 2019-07-23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7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080A (ja) * 2001-06-21 2003-01-07 Shunan Chiiki Jiba Sangyo Shinko Center 簡易土壌水分調節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4527B1 (ko) 1989-11-07 1998-11-16 후미나오 다니도미 경사수문장치
KR960002781U (ko) * 1994-06-30 1996-01-22 브이엠이(vme) 데이타 전송회로
KR20070113172A (ko) * 2007-10-13 2007-11-28 이정호 화분의 자동급수기
KR101608079B1 (ko) 2013-10-11 2016-04-19 주식회사 청호플라워 산업 화분용 급수장치
KR101655173B1 (ko) * 2013-12-11 2016-09-07 이장우 살수 패턴 조절이 가능한 유체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080A (ja) * 2001-06-21 2003-01-07 Shunan Chiiki Jiba Sangyo Shinko Center 簡易土壌水分調節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623A (ko)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1596A (e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potted plants
US6363658B1 (en) Flower pot
US3879889A (en) Planter
EP3071018B1 (en) Multiple potted-plant self-watering system
KR102175972B1 (ko) 자동급수가 가능한 걸이식 화분
US4453343A (en) Irrigation systems
KR100792582B1 (ko)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US20050166455A1 (en) Plant pot
KR102303717B1 (ko)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KR101327568B1 (ko) 화분용 급수장치
KR101638289B1 (ko)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JPH04135426A (ja) 栽培鉢に対するかん水を行うためのプランター
KR200367512Y1 (ko)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KR101380567B1 (ko) 화분용 급수기
KR200368043Y1 (ko)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연결상자
KR200251469Y1 (ko) 저수조가 내장된 화분
KR940000476B1 (ko)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급수 화분
KR100518814B1 (ko) 화분
KR102109776B1 (ko)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KR200329599Y1 (ko) 점적관수 화분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JPH10150867A (ja) 花壇の自動給水装置
JP2000023580A (ja) 給水装置およびそれが装着された植木鉢
JPH10113081A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木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