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776B1 -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 Google Patents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776B1
KR102109776B1 KR1020190088571A KR20190088571A KR102109776B1 KR 102109776 B1 KR102109776 B1 KR 102109776B1 KR 1020190088571 A KR1020190088571 A KR 1020190088571A KR 20190088571 A KR20190088571 A KR 20190088571A KR 102109776 B1 KR102109776 B1 KR 102109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inlet
inlet pipe
po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88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물 공급이 이뤄질 필요가 있는 화분과 같은 물 수요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수위 변화에 따른 물 공급 제어가 자동으로 이뤄지는 물 공급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물 공급이 자동으로 이뤄지는 화분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Water supply device and flower pot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물 공급이 이뤄질 필요가 있는 화분과 같은 물 수요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수위 변화에 따른 물 공급 제어가 자동으로 이뤄지는 물 공급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물 공급이 자동으로 이뤄지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화분과 같이 식물을 기르거나, 또는 축사와 같이 동물을 기르는 공간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화분의 경우 식물이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적절한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고, 양돈장 또는 양계장과 같은 축사의 경우 동물에게 음용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다.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물을 공급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장치들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14751(2018년10월19일 공개)는 양돈용 자동 물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물그릇 내의 물을 항상 일정한 양을 공급하며, 돼지가 물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적정하게 공급하게 되어 물의 허실을 방지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종래기술의 또다른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5935(2014년11월20일 등록)는 자동 사료 급이기의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급이기판 내의 물을 항상 일정한 수위로 유지하며, 돼지가 니플을 쓸데없이 작동 하더라도 니플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적정하게 공급하게 되어 물의 허실을 방지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전자식 센서를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방식이므로, 사용 환경에 따라 고장이나 오작동의 우려가 있으며, 전원 공급 설비를 갖추거나 배터리 교체가 필요하는 등 전원 공급 관리가 필요하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14751(2018년10월19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5935(2014년11월20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물 공급이 이뤄질 필요가 있는 화분과 같은 물 수요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수위 변화에 따른 물 공급 제어가 자동으로 이뤄지는 물 공급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물 공급이 자동으로 이뤄지는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밀폐 공간을 이룬 상태에서 내부에 물을 보관하는 물 보관통; 물이 유입되는 제1 단부가 상기 물 보관통의 바닥 측에 연결 설치되며 물이 배출되는 제2 단부가 상기 물 보관통의 바닥보다 더욱 하부 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물 배출관; 및 공기를 물 보관통 내부로 공급하는 제3 단부가 상기 물 보관통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제4 단부가 상기 물 보관통의 바닥보다 더욱 하부 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 유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물 배출관의 제2 단부와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가 각각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물 보관통에 보관된 물을 상기 물 배출관을 통해 공급하여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물이 저장되도록 하며, 상기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의 수위면이 낮아져서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가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의 수위면 아래에서 위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물 보관통 내부의 압력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물 보관통 내부에 보관된 물이 상기 물 배출관을 통해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 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 배출관의 제2 단부와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는 하나의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가 상기 물 배출관의 제2 단부보다 상부 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 배출관의 제2 단부와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는 서로 다른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물 배출관의 제2 단부가 위치한 물 수요처가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가 위치한 물 수요처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며, 상기 물 배출관의 제2 단부가 위치한 물 수요처에 저장된 물을 하부로 배수하여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가 위치한 물 수요처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 보관통은, 수직으로 연장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 배출관 및 공기 유입관은 상기 마개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 보관통은, 수직으로 연장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 배출관은 상기 마개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관은 상기 제3 단부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4 단부가 상기 마개보다 더욱 하부 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 보관통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 배출관은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본체의 바닥 측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관은 상기 제3 단부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유입관의 중간에는 공기 유로의 개폐 및 개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 개폐 밸브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 배출관의 중간에는 물 공급 유로의 개폐 및 개도 조절이 가능한 물 개폐 밸브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의 위치를 상기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서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입관의 중간에는 공기 유입관 이동 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물 공급 장치를 구비한 상기 물 수요처인 화분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분은, 복수의 화분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화분으로서, 내부에 저장된 물을 하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화분의 바닥부에 배수관이 형성되어 상부에 위치한 화분으로부터 하부에 적층 결합된 또다른 화분으로 물을 배수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수관은 미리 설정된 수위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물 배출관의 제2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된 화분 중 가장 상층의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된 화분 중 가장 하층의 화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의 위치를 상기 화분의 내부 공간에서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화분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 유입관의 일부를 끼움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기 유입관 고정 수단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물 공급이 이뤄질 필요가 있는 화분과 같은 물 수요처에 수위 변화에 따른 물 공급 제어가 자동으로 이뤄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식 센서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고장이나 오작동의 우려가 적으며, 전원 공급 설비를 갖추거나 배터리 교체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 장치가 화분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 장치의 물 공급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 장치가 화분에 물 공급을 하기 위해 설치된 상태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 장치가 복수개의 화분에 물 공급을 하기 위해 설치된 상태의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 장치가 복수개의 화분에 물 공급을 하기 위해 설치된 상태의 모식도,
도 6은 도 4 내지 도 5의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관 이동 수단의 모식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 장치가 화분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 장치의 물 공급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물 공급 장치는 다양한 공지의 고정 수단(예, 걸이식, 끼움식)을 이용하여 화분이나 벽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설명 편의 상 이하의 설명에서 고정 수단의 도시는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물 공급 장치는 물 보관통(200), 물 배출관(300) 및 공기 유입관(400)을 포함하며, 지속적인 물 공급이 필요한 물 수요처(10)에 물을 공급한다.
물 수요처(10)로서는 일예로 화분(10)이 될 수 있고, 다른예로 양돈장과 같이 음용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급수기도 될 수 있으며, 특정 수요처로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물 보관통(200)은 밀폐 공간을 이룬 상태에서 내부에 물(W)을 보관한다. 본 실시예에서 밀폐 공간이란, 공기와 물의 출입이 공기 유입관(400) 및/또는 물 배출관(300)으로만 이뤄지고 다른 곳을 통해 이뤄지지 않는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물 배출관(300)에는, 물(W)이 유입되는 제1 단부(300a)가 상기 물 보관통(200)의 바닥 측에 연결 설치되며 물(W)이 배출되는 제2 단부(300b)가 상기 물 보관통(200)의 바닥보다 더욱 하부 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 유입관(400)에는, 공기(A)를 물 보관통(200) 내부로 공급하는 제3 단부(400a)가 상기 물 보관통(20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공기(A)가 유입되는 제4 단부(400b)가 상기 물 보관통(200)의 바닥보다 더욱 하부 측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유입관(400)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직경은 상기 물 배출관(30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물 배출관(300)의 제2 단부(300b)와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는 하나의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가 상기 물 배출관(300)의 제2 단부(300b)보다 상부 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2의 (a)의 예가 이러한 경우에 해당하며, 상기 물 배출관(300)의 제2 단부(300b)와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가 하나의 수위면(H)을 이루는 하나의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다른예로, 상기 물 배출관(300)의 제2 단부(300b)와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는 서로 다른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물 배출관(300)의 제2 단부(300b)가 위치한 물 수요처(10)가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가 위치한 물 수요처(10)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도 5 및 도 2의 (b)의 예가 이러한 경우에 해당하며, 상기 물 배출관(300)의 제2 단부(300b)가 위치하는 수위면(H1)과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가 위치하는 수위면(H2)이 서로 다른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물 배출관(300)의 제2 단부(300b)가 위치한 물 수요처(10)에 저장된 물을 하부로 배수하여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가 위치한 물 수요처(1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물 공급 장치는, 상기 물 배출관(300)의 제2 단부(300b)와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가 각각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물 보관통(200)에 보관된 물(W)을 낙차에 의한 수압으로 상기 물 배출관(300)을 통해 공급하여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물(W)이 저장되도록 한다.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물(W)의 수위면(H 또는 H2)이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까지 올라와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가 수위면 아래에 잠기게 되면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를 통한 공기 유입이 중단되며, 이로 인해 물 보관통(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도 차단되어 음압이 발생하는 상태가 되므로 물 배출관(300)을 통한 배수가 자연스럽게 중단된다.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물(W)은 물 수요 요소(예, 식물, 양돈)에 의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수위면(H 또는 H2)이 낮아지게 된다. 일예로, 물 수요처(10)가 화분인 경우, 화분 내의 식물이 물을 흡수함에 따라 물(W)의 수위면(H 또는 H2)이 점차 낮아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실시예의 물 공급 장치는, 상기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W)의 수위면이 낮아져서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가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W)의 수위면(H 또는 H2) 아래에서 위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를 통해 유입된 공기(A)가 상기 물 보관통(200) 내부의 압력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물 보관통(200) 내부에 보관된 물(W)이 상기 물 배출관(300)을 통해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물(W)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물 보관통(200) 내부의 압력 상태 변화는 예를 들어, 음압 상태가 해제되고 대기압 상태가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렇게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물(W)의 수위면(H 또는 H2)이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까지 올라와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가 다시 수위면 아래에 잠기게 되면 공기 유입이 중단되고, 물 배출관(300)을 통한 배수가 다시 자연스럽게 중단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본 실시예의 물 공급 장치는 별도의 전자적 제어 수단이 없이도 지속적으로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물(W)의 수위면(H 또는 H2)을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의 높이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 보관통(200)은 다음과 같이 더욱 상세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 도 2의 (a)와 같이, 상기 물 보관통(200)은, 수직으로 연장되고 하부에 개구부(212)가 형성된 본체(210)와, 상기 개구부(212)에 결합되어 개구부(212)를 밀폐시키는 마개(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개(220)는 끼움식, 나사 결합식 등 공지의 다양한 마개 결합 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배출관(300) 및 공기 유입관(400)은 상기 마개(220)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다른예로, 도 2의 (b)와 같이, 상기 물 보관통(200)은, 수직으로 연장되고 하부에 개구부(212)가 형성된 본체(210)와, 상기 개구부(212)에 결합되어 개구부(212)를 밀폐시키는 마개(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공기 유입관(400)의 연결 구조가 상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물 배출관(300)은 상기 마개(220)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관(400)은 상기 제3 단부(400a)가 상기 본체(210)의 일측(예, 본체 상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4 단부(400b)가 상기 마개(220)보다 더욱 하부 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도 2의 (a), (b)의 물 보관통(200)은 본체의 형상을 고려할 때 물병형 본체로 볼 수 있다.
다른예로, 상기 물 보관통은 수직으로 연장된 본체의 상부에 개구부 및 마개가 구비되고, 본체 하부에 물 배출관이 설치되고, 본체 상부 또는 하부, 그 중간 위치에 공기 유입관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물 공급 장치는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의 높이를 사용자가 상부 또는 하부로 조작함에 따라,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물(W)의 수위면(H)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공기 유입관(400) 및/또는 물 배출관(300)은 경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 장치가 화분에 물 공급을 하기 위해 설치된 상태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 장치가 복수개의 화분에 물 공급을 하기 위해 설치된 상태의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 장치가 복수개의 화분에 물 공급을 하기 위해 설치된 상태의 모식도, 도 6은 도 4 내지 도 5의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관 이동 수단의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큰 보관 용량을 갖는 물통형 본체를 사용한다. 이러한 물통형 본체는 많은 수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물 수요처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많은 수량의 물이 필요한 물 수요처의 예로는, 도 4 내지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화분(1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여 사용하는 벽면 장식(벽면 녹화)용 화분(10)이 될 수 있다.
예시된 화분(10)은 내부에 저장된 물(W)을 하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화분(10)의 바닥부에 배수관(120)이 형성되어 상부에 위치한 화분(10-1)으로부터 하부에 적층 결합된 또다른 화분(10-2)으로 물(W)을 배수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부에 위치한 화분(10-1)에만 물을 공급해도 최종적으로는 가장 하부에 위치한 화분(10-n)에 물이 공급된다.
도 6에 예시된 화분은 도 4 내지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화분(1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여 사용하는 벽면 장식(벽면 녹화)용 화분(10)으로서, 본체부(100)와 화분 케이싱부(200)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5은 설명 편의를 위해 후술하는 화분 케이싱부(200)가 삭제된 상태로 도시된 것이다.
본체부(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114,116)가 구비되며, 수납부(114,116)에는 화분 케이싱부(200)가 끼움 결합된다. 수납부(114,116)는 도 6과 같이 좌측 수납부(114) 및 우측 수납부(116) 2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8과 같이 1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9와 같이 3개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 편의상 2개의 수납부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설명하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한 본 실시예의 구성은 수납부가 1개 또는 3개 이상인 경우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후면부(102)의 좌우 양단에 각각 좌측면 프레임부(104) 및 우측면 프레임부(106)가 전방(F) 측으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 프레임부(104)의 전단 측에 좌측 수납부(114)가 전방(F)으로 돌출된 형태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우측면 프레임부(106)의 전단 측에 우측 수납부(116)가 전방(F)으로 돌출된 형태로 연결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좌측 수납부(114)의 중앙측 단부(114a)와 우측 수납부(116)의 중앙측 단부(116a)가 중앙 프레임부(108)를 통해 중앙 측에서 연결된다. 수납부가 1개인 경우에는 중앙 프레임부에 해당하는 요소가 없을 수도 있으며, 수납부가 3개인 경우에는 중앙 프레임부가 중앙 측 수납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후면부(102), 좌측면 프레임부(104), 우측면 프레임부(106), 좌측 수납부(114) 및 우측 수납부(116)의 하부 측을 연결하는 바닥부(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바닥부(110)의 상부로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배수관(120)이 연장 형성된다. 배수관(120)에 형성된 배수홀(120a)을 통해 상부에 위치한 화분(10-1)으로부터 하부에 적층 결합된 또다른 화분(10-2)으로 물(W)을 낙하시켜 배수 공급할 수 있다. 배수홀(120a)은 미리 설정된 높이로 배수관(120)의 상단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홀(120a)의 높이 만큼 본체부(100)에 물이 저장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배수홀(120a)은 높이 차이를 갖도록 복수개가 형성되고 마개(미도시)를 이용하여 물의 저장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배수관(120)의 하단부에는 유연한 배관용 호스가 삽입되어 하부로 물 배출 시 물의 배출 방향을 호스로 유도할 수도 있다.
일예로, 수경 재배 식물의 경우 물의 수위가 높게 유지되는 것이 좋으며, 토경 재배 식물의 경우 물의 수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는 것이 좋다. 화분으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이 수경 재배 식물인지 또는 토경 재배 식물인지에 따라 물의 수위가 적절하게 가변 조절될 필요가 있다.
도 4 또는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본체부(100)는, 상측에 위치한 화분(10-1)의 좌측면 프레임부(104) 및 우측면 프레임부(106)의 하단부가 각각 하측에 위치한 화분(10-2)의 좌측면 프레임부(104) 및 우측면 프레임부(106)에 끼움 결합되어 상하 적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변형예로, 도 10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본체부(100)는 복수의 화분이 횡방향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결합을 위해 상기 좌측면 프레임부(104)의 외측면에는 제1 레일부(142)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우측면 프레임부(106)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레일부(142)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맞물림 결합이 가능한 제2 레일부(144)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나의 화분(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또다른 하나의 화분(10)이 상기 맞물림 결합에 의해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 레일부(142) 및 제2 레일부(144)는 요부 단면과 홈부 단면을 갖는 다양한 공지의 슬라이딩 결합부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일부(142) 또는 제2 레일부(144)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는 결합 위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제한하기 위해 걸림부가 더욱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측면 프레임부(104)에는 제1 유로용 홀(부호 미도시)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우측면 프레임부(106)에는 제2 유로용 홀(부호 미도시)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1 유로용 홀과 또다른 하나의 화분(10)의 제2 유로용 홀을 상호 관통하는 유로관(150)을 통해 하나의 화분(10) 내에 보관된 물을 또다른 하나의 화분(10)으로 횡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화분 케이싱부(200)는 상기 좌측 수납부(114) 및 우측 수납부(116)에 각각 끼움 결합되며 하부에 물 공급용 홀(200a)이 형성된다. 화분 케이싱부(200) 내부에 심겨 있는 꽃이나 식물은 물 공급용 홀(200a)을 통해 본체부(100) 바닥에 보관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화분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물 배출관(300)의 제2 단부(300b)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된 화분(10) 중 가장 상층의 화분(10-1)에 물(W)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된 화분(10) 중 가장 하층의 화분(10-n)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최상부에 위치한 화분(10-1)에만 물을 공급해도 배수관(120)에 형성된 배수홀(120a)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가장 하부에 위치한 화분(10-n)까지 물(W)을 낙하시켜 배수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각각의 화분(10)에는 배수관(120)에 형성된 배수홀(120a)의 높이만큼 물이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가장 하층의 화분(10-n)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W)의 수위면(도 2의 H2)이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까지 올라와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가 수위면 아래에 잠기게 되면 공기 유입이 중단되고, 물 보관통(200)의 내부에서 물이 더 배수되려면 물 보관통(200)의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는 상태가 되므로 물 배출관(300)을 통한 배수가 자연스럽게 중단된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가장 하층의 화분(10-n)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W)의 수위면이 낮아져서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가 가장 하층의 화분(10-n)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W)의 수위면(도 2의 H2) 아래에서 위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를 통해 유입된 공기(A)가 상기 물 보관통(200) 내부의 압력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물 보관통(200) 내부에 보관된 물(W)이 상기 물 배출관(300)을 통해 최상부에 위치한 화분(10-1)에 물(W)을 공급하게 된다.
이렇게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가장 하층의 화분(10-n)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물(W)의 수위면(도 2의 H2)이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까지 올라와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가 다시 수위면 아래에 잠기게 되면 공기 유입이 중단되고, 물 배출관(300)을 통한 배수가 자연스럽게 중단된다. 이 과정에서 각각의 화분(10)에는 배수관(120)에 형성된 배수홀(120a)의 높이만큼 물이 저장된다.
도 4 및 도 5에는 4행, 4열의 구조로 화분이 배치되지만, 이러한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상하로 1열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된 화분(10) 중 가장 하층의 화분(10-n)의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는 더욱 상층에 위치한 화분들로부터 물이 순차적으로 흘러와 가장 하층의 화분(10-n)의 내부에 수위를 변화시키는데 수반되는 지연 시간(delay time)을 고려하여 설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물 보관통(200)은, 일측에 개구부(232)가 형성된 본체(230)와, 상기 개구부(232)에 결합되어 개구부(232)를 밀폐시키는 마개(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 배출관(300)은 상기 제1 단부(300a)가 상기 본체(230)의 바닥 측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관(400)은 상기 제3 단부(400a)가 상기 본체(23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된다.
일예로, 도 3 내지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중간에는 공기(A) 유로의 개폐 및 개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 개폐 밸브(410)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 개폐 밸브(410)로 공기(A) 유로를 폐쇄하는 경우 공기(A)의 흐름이 차단되고, 상기 물 보관통(200) 내부의 압력 상태 변화가 이뤄지지 않게 되므로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W)의 수위면(H)에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물 공급이 차단 제어된다. 물(W)의 수위면(H) 변화와 무관하게 물 공급 제어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공기 개폐 밸브(410)가 사용될 수 있다. 공기 개폐 밸브(410)는 다양한 공지의 제품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예로, 도 3 내지 도 4, 도 7을 통해 예시된 것처럼,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의 위치를 상기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서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중간에는 공기 유입관 이동 수단(42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물 공급 장치는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의 높이를 사용자가 상부 또는 하부로 조작함에 따라, 물 수요처(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물(W)의 수위면(H)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예로, 상기 공기 유입관(400)은 경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관으로 형성하고, 공기 유입관 이동 수단(420)을 통해 상하로 위치 조절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동휠(404)과 아이들휠(406) 사이에 공기 유입관(400)이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조작휠(402)을 사용자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동일한 회전축(403)에 설치된 구동휠(404)이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 유입관(400)을 상측 방향(A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조작휠(402)을 사용자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회전축(403)에 설치된 구동휠(404)이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 유입관(400)을 하측 방향(A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미설명된 부호 401은 공기 유입관 이동 수단(420)의 케이싱, 부호 405는 아이들휠(406)의 회전축이다.
공기 유입관 이동 수단(420)의 세부 구성은 실제 제작 측면을 고려하여 상기 모식도에 예시된 구성이 적절하게 변형 구성될 수 있다.
다른예로, 도 1 및 도 3을 통해 예시된 것처럼,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제4 단부(400b)의 위치를 상기 화분(10)의 내부 공간에서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화분(10)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일부를 끼움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기 유입관 고정 수단(191 또는 193)이 구비된다.
공기 유입관 고정 수단(191 또는 193)은 공기 유입관(400)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갖는 홀더 형태로 구성되며, 화분(10)의 측벽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조립 설치된다. 일예로 공기 유입관 고정 수단(191 또는 193)은 화분(10)의 측벽에 조립 설치되는 경우, 공지의 클립 형태의 끼움편(도면 미도시)을 구비하여 측벽의 내측 또는 외측에 끼움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입관 고정 수단(191 또는 193)에는 물 배출관(300)을 끼움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물 배출관(300)의 중간에는 물(W) 공급 유로의 개폐 및 개도 조절이 가능한 물 개폐 밸브(310)가 구비될 수 있다.
물(W)의 수위면(H) 변화와 무관하게 물 공급 제어(예, 개폐, 유량 제어)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물 개폐 밸브(310)가 사용될 수 있다. 물 개폐 밸브(310)는 다양한 공지의 제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관(300)은 경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관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 물 수요처(화분)
120: 배수관
200: 물 보관통
210: 본체
212: 개구부
220: 마개
230: 본체
232: 개구부
240: 마개
300: 물 배출관
300a: 제1 단부
300b: 제2 단부
310: 물 개폐 밸브
400: 공기 유입관
400a: 제3 단부
400b: 제4 단부
410: 공기 개폐 밸브
420: 공기 유입관 이동 수단

Claims (12)

  1. 밀폐 공간을 이룬 상태에서 내부에 물을 보관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물 보관통;
    물이 유입되는 제1 단부가 상기 물 보관통의 바닥 측에 연결 설치되며 물이 배출되는 제2 단부가 상기 물 보관통의 바닥보다 더욱 하부 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물 보관통의 본체의 바닥 측에 연결 설치된 물 배출관; 및
    연질의 합성수지관으로 형성되며, 공기를 물 보관통 내부로 공급하는 제3 단부가 상기 물 보관통의 본체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제4 단부가 상기 물 보관통의 바닥보다 더욱 하부 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 유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물 배출관의 제2 단부와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가 각각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물 보관통에 보관된 물을 상기 물 배출관을 통해 공급하여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물이 저장되도록 하며,
    상기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의 수위면이 낮아져서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가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의 수위면 아래에서 위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물 보관통 내부의 압력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물 보관통 내부에 보관된 물이 상기 물 배출관을 통해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 공급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물 수요처인 화분으로서,
    상기 화분은,
    복수의 화분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화분으로서,
    내부에 저장된 물을 하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화분의 바닥부에 배수관이 형성되어 상부에 위치한 화분으로부터 하부에 적층 결합된 또다른 화분으로 물을 배수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수관은 미리 설정된 수위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물 배출관의 제2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된 화분 중 가장 상층의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된 화분 중 가장 하층의 화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의 위치를 상기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서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입관의 중간에는 공기 유입관 이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 유입관 이동 수단은, 케이싱에 설치된 구동휠과 아이들휠 사이에 상기 공기 유입관이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조작휠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된 상기 구동휠이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공기 유입관을 위로 이동시키며, 상기 조작휠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된 상기 구동휠이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 유입관을 아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2. 밀폐 공간을 이룬 상태에서 내부에 물을 보관하는 물 보관통;
    물이 유입되는 제1 단부가 상기 물 보관통의 바닥 측에 연결 설치되며 물이 배출되는 제2 단부가 상기 물 보관통의 바닥보다 더욱 하부 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물 배출관; 및
    연질의 합성수지관으로 형성되며, 공기를 물 보관통 내부로 공급하는 제3 단부가 상기 물 보관통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제4 단부가 상기 물 보관통의 바닥보다 더욱 하부 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 유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물 배출관의 제2 단부와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가 각각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물 보관통에 보관된 물을 상기 물 배출관을 통해 공급하여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물이 저장되도록 하며,
    상기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의 수위면이 낮아져서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가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의 수위면 아래에서 위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물 보관통 내부의 압력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물 보관통 내부에 보관된 물이 상기 물 배출관을 통해 물 수요처의 내부 공간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 공급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물 수요처인 화분으로서,
    상기 화분은,
    복수의 화분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화분으로서,
    내부에 저장된 물을 하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화분의 바닥부에 배수관이 형성되어 상부에 위치한 화분으로부터 하부에 적층 결합된 또다른 화분으로 물을 배수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수관은 미리 설정된 수위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물 배출관의 제2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된 화분 중 가장 상층의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된 화분 중 가장 하층의 화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관의 제4 단부의 위치를 상기 화분의 내부 공간에서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화분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 유입관의 일부를 끼움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기 유입관 고정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088571A 2019-07-22 2019-07-22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KR102109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571A KR102109776B1 (ko) 2019-07-22 2019-07-22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571A KR102109776B1 (ko) 2019-07-22 2019-07-22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776B1 true KR102109776B1 (ko) 2020-05-12

Family

ID=7067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571A KR102109776B1 (ko) 2019-07-22 2019-07-22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77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966U (ja) * 1999-01-21 1999-09-14 アァルピィ東プラ株式会社 鉢植え水供給セット
JP2006042775A (ja) * 2004-08-03 2006-02-16 Yasutomo Kitada 植物栽培容器を用いた立体型植物育成装置
KR20110084007A (ko) * 2010-01-15 2011-07-21 김하람 페트병을 이용한 화분
KR20120022455A (ko) * 2010-09-02 2012-03-12 김덕수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KR101465935B1 (ko) 2014-04-17 2014-11-26 김기주 자동 사료 급이기의 물공급장치
US20160366836A1 (en) * 2014-09-29 2016-12-22 Shanghai Worth Garden Products Co., Ltd. Stagger Stacked Flowerpot and Stereo Greening Wall Space Formed by Combining of Flowerpots in Stagger Stacked Mode
KR20180046623A (ko) * 2016-10-28 2018-05-09 김국경 개량된 급수구조를 갖는 다단식 식물 재배장치
KR20180114751A (ko) 2017-04-11 2018-10-19 김기주 양돈용 자동 물공급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966U (ja) * 1999-01-21 1999-09-14 アァルピィ東プラ株式会社 鉢植え水供給セット
JP2006042775A (ja) * 2004-08-03 2006-02-16 Yasutomo Kitada 植物栽培容器を用いた立体型植物育成装置
KR20110084007A (ko) * 2010-01-15 2011-07-21 김하람 페트병을 이용한 화분
KR20120022455A (ko) * 2010-09-02 2012-03-12 김덕수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KR101465935B1 (ko) 2014-04-17 2014-11-26 김기주 자동 사료 급이기의 물공급장치
US20160366836A1 (en) * 2014-09-29 2016-12-22 Shanghai Worth Garden Products Co., Ltd. Stagger Stacked Flowerpot and Stereo Greening Wall Space Formed by Combining of Flowerpots in Stagger Stacked Mode
KR20180046623A (ko) * 2016-10-28 2018-05-09 김국경 개량된 급수구조를 갖는 다단식 식물 재배장치
KR20180114751A (ko) 2017-04-11 2018-10-19 김기주 양돈용 자동 물공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4186B2 (en) Hydroponic planting tower with horizontal grow platform
US7055282B2 (en) Hydroponic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N105899069B (zh) 多重盆栽植物自灌溉系统
US20160120139A1 (en)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automatic rainwater supply function
KR102115913B1 (ko) 화분
KR101379468B1 (ko)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KR102175972B1 (ko) 자동급수가 가능한 걸이식 화분
EP2540155B1 (en) Self-watering pot assembly for plants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KR102650746B1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048554A (ko) 수경 재배 장치
KR101774647B1 (ko) 화분용 급수통
KR102109776B1 (ko)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KR102421134B1 (ko) 어항 겸용 수경재배장치
KR101212764B1 (ko) 모세관을 이용해 물을 공급하는 자가수분공급 화분
KR101638289B1 (ko)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KR20150094277A (ko)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심지관수식 식물재배기
KR20080011252A (ko) 바이오 누드화분
KR200367512Y1 (ko)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JPH04135426A (ja) 栽培鉢に対するかん水を行うためのプランター
JP4003103B2 (ja) 自動灌水植物栽培容器
KR101231973B1 (ko) 실내 재배기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KR20170001235U (ko) 공기 통로가 있는 액비 공급용 화분 받침과 이중화분
KR102303717B1 (ko)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