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468B1 -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 Google Patents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468B1
KR101379468B1 KR20130105645A KR20130105645A KR101379468B1 KR 101379468 B1 KR101379468 B1 KR 101379468B1 KR 20130105645 A KR20130105645 A KR 20130105645A KR 20130105645 A KR20130105645 A KR 20130105645A KR 101379468 B1 KR101379468 B1 KR 101379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ter
pipe
water supply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숙
이지이
Original Assignee
이지이
이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이, 이지숙 filed Critical 이지이
Priority to KR20130105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468B1/ko
Priority to PCT/KR2014/008168 priority patent/WO20150342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이 구비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내부와 연결관을 통해 연통되는 용기받침과, 화초가 식재되어 용기받침의 상부에 안착되고 바닥면에 주입구가 형성되어 물이 유입되는 용기와, 상기 연결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여 주입구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급수하는 자동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수장치는 상기 연결관로부터 유입된 물을 주입구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유도하며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설치되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수평방향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연결관과 연결되는 유입관과, 수직방향으로 주입구에 끼움되어 용기의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배출관과, 타측 수평방향으로 배출관을 차폐하는 개폐수단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조절관이 형성되는 주입관;
활꼴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용기받침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탄성부와, 제1탄성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개폐수단을 압지하는 압지부를 포함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비하여,
상기 용기가 제1탄성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자중에 의해 제1탄성부를 아래로 누르면, 압지부가 개폐수단을 압지하여 주입관을 차단함으로써,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의 무게에 대응하여 용기로 급수되는 물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To respond to changes in soil moisture content non-motorized automatic water supply}
본 발명은 자동급수장치가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초가 식재되는 토양이 수용된 용기의 내부에 물이 주입되거나 증발됨에 따라 나타나는 무게 변화에 대응하여 물통과 연통되는 용기받침의 연결관을 개방 또는 차단하여 적절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적 주거 공간이나 상업적인 공간에는 화초가 식재된 화분이 구비되는데, 상기 화분에 대해서 급수 및 배수시설이 필요한 바, 화초 또는 분재의 특성을 무시한 급수가 이루어지거나 적절한 배수가 이루어지 지지 않게 되면 화초 또는 분재가 정상적으로 생장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거리 미화용 화분의 경우, 사람 및 차량의 통행량이 많은 도로변이나 도로 중간의 중앙분리대 등에 설치되는 화분으로 최근에는 단순히 조경 식물을 식재하는 목적뿐 아니라 화분 자체도 조형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미적 기능을 많이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거리 미화용 화분은 식재된 화초에 물을 급수함에 있어서 수시로 물이나 영양분을 공급하여야 하지만 살수차를 동원하거나 관리인이 호스로 물을 급수하는 실정이며, 특히 살수차를 동원하여 물을 급수할 경우 수시로 살수차를 동원하여야 하며, 하계절인 경우 수분 증발량이 다른 계절보다 높아 살수차를 동원하는데 소요비용의 효율이 낮으며, 물을 공급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면 그로 인해 교통혼잡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리 미화용 화분은 매일 한번씩은 화분에 물을 주어야 하는데, 도로에 비치된 각각의 화분에 일일이 물을 공급해야 하므로 많은 인력이 소요되며, 그리고 화분에 물이 일정량 이상으로 공급되며 물이 하부로 배출되므로 주변환경이 지저분해지고, 또 각각의 화분에 물의 양을 조절하기 힘들어 물의 손실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9852호에는 자동급수식 화분 및 그 화분으로 조립되는 꽃탑이 게시되어 있으며, 상기한 자동급수식 용기은 하부에 일정간격마다 소정크기로 구비되어 있으며 대기중의 공기를 용기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에 공급함과 동시에 과도하게 공급된 물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통공과, 상부 전방구조와 연결되는 측면 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모세관현상 또는 삼투압현상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하부의 물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물공급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삽입공이 구비된 상태로 상부후방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꽃식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항시 물공급부재가 수분을 흡수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용기 내부에 과도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력이나 전원 및 사용자의 조작이 아니라 화초가 식재되는 토양을 수용하는 용기의 내부에서 물이 주입되거나 증발됨에 따라 나타나는 무게 변화에 대응하여 물통과 연통되는 용기받침의 연결관을 개방 또는 차단함으로써 자동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는 자동급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이 구비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내부와 연결관을 통해 연통되는 용기받침과, 화초가 식재되어 용기받침의 상부에 안착되고 바닥면에 주입구가 형성되어 물이 유입되는 용기와, 상기 연결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여 주입구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급수하는 자동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수장치는 상기 연결관로부터 유입된 물을 주입구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유도하며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설치되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수평방향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연결관과 연결되는 유입관과, 수직방향으로 주입구에 끼움되어 용기의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배출관과, 타측 수평방향으로 배출관을 차폐하는 개폐수단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조절관이 형성되는 주입관;
활꼴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용기받침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탄성부와, 제1탄성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개폐수단을 압지하는 압지부를 포함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비하여,
상기 용기가 제1탄성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자중에 의해 제1탄성부를 아래로 누르면, 압지부가 개폐수단을 압지하여 주입관을 차단함으로써,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의 무게에 대응하여 용기로 급수되는 물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주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출관의 하부를 기준으로 유입관과 조절관 사이를 수평이동하며 위치에 따라 배출관을 차폐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후방 단부가 조절관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부, 상기 돌기부를 배출관이 개방된 상태로 탄지하여 고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수단은 용기받침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의 중심측 저면을 지지하는 제2탄성부를 추가로 구비하되, 용기의 무게에 대응하는 제1탄성부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2탄성부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는 주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주입관의 단부가 끼움되는 안내관과, 상부가 상기 안내관이 연결되어 임시로 물을 수용하는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의 측부에서 돌출되어 용기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투입관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물통의 주위에 복수개의 용기받침과 용기을 추가로 구비하되, 물통으로부터 각 용기받침과 연통되는 연결관을 추가로 구비하고, 각 용기받침에 설치되는 자동급수장치에 의해 개별적으로 용기에 급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이나 전원 및 사용자의 조작이 아니라 용기의 내부에서 물이 주입되거나 증발되면서 나타나는 토양의 함수율의 변화에 따른 무게 변화에 대응하여 물통과 연통되는 용기받침의 연결관을 개방 또는 차단함으로써 자동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는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수장치가 구비된 용기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수장치가 구비된 용기의 저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수장치가 구비된 용기의 수직단면도
도4는 도3의 부분확대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관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절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관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절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8은 본 발명의 용기의 무게에 의해 주입관이 차단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9는 본 발명의 조절수단에 의해 주입관이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라 주입관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을 수평방향으로 절개한 부분절개도
도13은 본 발명에 따라 물통에 복수개의 용기 및 용기받침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11)이 구비되는 물통(10)과, 상기 물통의 내부와 연결관(21)을 통해 연통되는 용기받침(20)과, 화초가 식재되어 용기받침의 상부에 안착되고 바닥면에 주입구(31)가 형성되어 물이 유입되는 용기(30)와, 상기 연결관(21)으로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여 주입구(31)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급수하는 자동급수장치(40)에 있어서,
삭제
상기 자동급수장치(40)는 상기 연결관(21)로부터 유입된 물을 주입구(31)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유도하며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42)이 설치되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수평방향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연결관(21)과 연결되는 유입관(411)과, 수직방향으로 주입구(31)에 끼움되어 용기의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배출관(412)과, 타측 수평방향으로 배출관을 차폐하는 개폐수단(42)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조절관(413)이 형성되는 주입관(41);
활꼴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용기받침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탄성부(431)와, 제1탄성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개폐수단(42)을 압지하는 압지부(432)를 포함하는 조절수단(43);을 포함하여 구비하여,
상기 용기가 제1탄성부(431)의 상부에 안착되어 자중에 의해 제1탄성부(431)를 아래로 누르면, 압지부(432)가 개폐수단(42)을 압지하여 주입관(41)을 차단함으로써,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의 무게에 대응하여 용기로 급수되는 물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수장치가 구비된 용기(100)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인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11)이 구비되는 물통(10)과, 상기 물통의 내부와 연결관(21)을 통해 연통되는 용기받침(20)과, 화초가 식재되어 용기받침의 상부에 안착되고 바닥면에 주입구(31)가 형성되어 용기받침에 수용된 물이 유입되는 용기(30)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1)으로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여 주입구(31)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급수하는 자동급수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통(10)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에 구비되는 펌프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급수관(11)을 구비하여 내부에 공급된 물을 수용하며 저장한다.
상기 용기받침(20)은 물통(10)의 내부와 연결관(21)을 통해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의 일측에 차단밸브(22)를 구비하여 유사시 공급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30)는 내부에 토양을 수용하며 화초가 식재되어 용기받침(20)의 상부에 안착되고 바닥면에 주입구(31)가 형성되어 주입구(31)를 통해 물이 용기(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자동급수장치(40)는 연결관(21)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여 주입구(31)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급수한다.
상기 자동급수장치(40)는 상기 연결관(21)로부터 유입된 물을 주입구(31)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유도하며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42)이 설치되는 주입관(41);과 활꼴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용기받침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탄성부(431)와, 제1탄성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개폐수단(42)을 압지하는 압지부(432)를 포함하는 조절수단(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입관(41)은 상기 연결관(21)로부터 유입된 물을 주입구(31)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유도하며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4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주입관(41)은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수평방향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연결관(21)과 연결되는 유입관(411)과, 수직방향으로 주입구(31)에 끼움되어 용기의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배출관(412)과, 타측 수평방향으로 배출관을 차폐하는 개폐수단(42)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조절관(4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42)은 상기 주입관(41)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출관의 하부를 기준으로 유입관(411)과 조절관(413)을 수평이동하며 위치에 따라 배출관(412)을 차폐하는 마개부(421), 상기 마개부(421)의 후방 단부가 조절관(413)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부(422), 상기 돌기부(422)를 배출관(412)이 개방된 상태로 탄지하여 고정하는 스프링(4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개부(421)은 유입관을 향하여 전방의 단부가 점점 좁아지는 바늘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으로 단부가 조절관(413)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부(422)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423)은 조절관(413)의 단부와 돌기부(422)의 사이에 설치되어 돌기부(422)의 단부를 후방으로 탄지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마개부(421)은 스프링(423)에 의해 탄지되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고정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돌기부(422)의 후면을 압지하면 조절관(413)의 내부에 위치한 마개부(421)가 배출관(412)의 하부를 지나 유입관(411)로 삽입되면서 유입관(411)을 통해 배출관(412)로 유도되는 물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42)은 작동부가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어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는 앵글형 글브밸브(Angle Type Globe Valve)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조절수단(43)은 활꼴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용기받침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탄성부(431)와, 제1탄성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개폐수단(42)을 압지하는 압지부(4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431)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탄성체로써 중심부가 상부로 볼록한 활꼴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용기받침(2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볼록한 정도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압지부(432)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1탄성부(431)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며, 제1탄성부(431)의 중심부의 높이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조절수단(42)의 돌기부(422)를 압지한다.
한편, 상기 제1탄성부(431)의 양측 단부에는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고정편(433)과 이동편(434)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고정편(433)은 용기받침(20)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이동편(434)은 제1탄성부(431)의 중심부의 높이에 관계없이 수평을 유지하며 용기받침(20)의 바닥면과 나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동편(434)의 상부에 압지부(432)가 안착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편(433)과 이동편(434)는 제1탄성부(431)의 양측에서 힌지결합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압지되는 제1탄성부(431)의 형상에 관계없이 용기받침(20)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기(30)이 제1탄성부(41)의 상부에 안착되어 자중에 의해 제1탄성부(41)를 아래로 누르면, 일측이 용기받침(2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탄성부(41)의 타측이 개폐수단(42)를 향하여 슬라이딩되어 이동되고, 압지부(432)가 개폐수단(42)의 돌기부(422)를 압지하여 마개부(421)가 유입관(411)의 내부로 이동되어 주입관(41)을 차단함으로써, 용기(30)에 급수되는 물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30)의 내부로 유입되어 토양으로 주입된 물이 화초에 의해 흡수되거나 건조될 때까지 마개부(421)는 유입관(411)의 내부에 삽입되며 용기에 급수되는 물을 차단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용기(3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화초에 의해 흡수되거나 건조됨에 따라 용기(30)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의 하중이 가벼워지면 용기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탄성부(431)의 중심부가 상승하게 되어 압지부(432)가 돌기부(422)의 후면에서 이탈되고, 돌기부(422)는 스프링(423)에 의해 탄지되어 마개부(421)이 조절관(413)의 내부로 수용되며 배출관(412)이 개방됨으로써 연결관(21)을 통해 물통(10)에 수용된 물이 배출관(412)과 주입구(31)을 통해 용기(30)의 내부로 유입되어 급수가 이루어진다.
한편, 용기(30)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에 물이 흡수되면 용기(30)와 유입된 물의 하중에 의해 용기(30)의 저면이 제1탄성부(431)의 중심부를 압지하고 압지부(432)가 개폐수단(42)의 돌기부(422)를 압지하여 주입관(41)을 차단함으로써 용기(30)에 급수되는 물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동력이나 전원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용기(30)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에 물이 주입되거나 건조되며 발생하는 함수율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무게 변화에 대응하여 용기(30)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으로 급수되는 물을 개방 또는 차단함으로써 자동으로 용기에 적절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조절수단(43)은 용기받침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431)의 중심측 저면을 지지하는 제2탄성부(435)를 추가로 구비하되,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의 무게에 대응하는 제1탄성부(431)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2탄성부(435)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탄성부(435)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인장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에는 제2탄성부(435)와 제1탄성부(431)의 중심부 저면 사이에 끼움되는 밀착부(436)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제2탄성부(435)의 하부를 지지하되 측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추가로 구비되는 너트(438)에 의해 용기받침(20)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43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탄성부(433)의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용기(30)를 지지하는 제1탄성부(431)의 탄력조절이 가능해지고, 용기(30)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이 이탈되거나 화초가 점차 생장함에 따른 무게의 변화에 따른 개폐수단(42)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기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급수되거나 건조됨으로써 발생되는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의 무게 변화에 따라 조절수단(43)이 개폐수단(42)를 압지함으로써 바람직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용기(30)의 바닥면에는 주입구(31)를 통해 삽입되는 주입관(41)의 단부가 끼움되는 안내관(32)과, 상부가 상기 안내관이 연결되어 임시로 물을 수용하는 저장통(33)과, 상기 저장통의 측부에서 돌출되어 용기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투입관로(34)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관(41)은 용기(3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주입구(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주입구(31)의 내부로 삽입되는 배출관(412)이 끼움되어 고정설치되되, 배출관(412)이 안정적으로 끼움될 수 있도록 하부가 넓어지도록 구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관(412)의 단부 외주면에는 안내관(32)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오링(414)이 추가로 구비되어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통(33)은 안내관(32)을 통해 용기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임시로 수용하는 저장용기로서 측부에서 돌출되어 용기에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투입관로(34)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관로(34)는 외주면에 다수의 개방공이 구비되어 투입관로(34)를 통해 유입된 물이 용기(30)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으로 급수된다.
상기 투입관로(34)는 균일하게 용기의 내부로 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부에서 바라볼 때 복수개의 연결된 원형관로로 형성되거나, 필요에 따라 저장통(33)의 외주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저장통(33)의 상부와 안내관(32)이 연결되되 저장통(33)의 상부는 원뿔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부력에 의해 수면의 상부에 떠 있는 플로팅부재(35)가 구비되어, 강우 또는 급수차량으로부터 용기으로 외부에서 급수가 이루어 질 때 투입관로(35)를 통해 토양이 혼합된 물이 저장통(33)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저장통(33)의 내부에서 수면이 상승하여 플로팅부재(35)가 상승되어 안내관(32)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역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통(33)의 하부에는 단부가 용기(30)의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36)가 구비되어 토양이 혼합된 물을 주기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주입관(41) 및 물통(10)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통(10)의 주위에 복수개의 용기받침(20')과 용기(30')을 추가로 구비하되, 물통(10)으로부터 각 용기받침(20')과 연통되는 연결관(21')을 추가로 구비하고, 각 용기받침에 설치되는 자동급수장치에 의해 각 용기(30,30')의 무게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급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11)이 구비되는 물통(10)과, 상기 물통의 내부와 연결관(21)을 통해 연통되는 용기받침(20)과, 화초가 식재되어 용기받침의 상부에 안착되고 바닥면에 주입구(31)가 형성되어 물이 유입되는 용기(30)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1)으로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여 주입구(31)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급수하는 자동급수장치(40)가 구비되되,
상기 자동급수장치(40)는 상기 연결관(21)로부터 유입된 물을 주입구(31)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유도하며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42)이 설치되는 주입관(41);과 활꼴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용기받침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탄성부(431)와, 제1탄성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개폐수단(42)을 압지하는 압지부(432)를 포함하는 조절수단(43);을 포함하여 구비하여,
상기 용기이 제1탄성부(41)의 상부에 안착되어 자중에 의해 제1탄성부(41)를 아래로 누르면, 압지부(432)가 개폐수단(42)를 압지하여 주입관(41)을 차단함으로써, 용기의 무게에 대응하여 용기으로 급수되는 물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장치가 구비된 용기(100)에 관한 것으로,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100: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10: 물통
11: 급수관
20: 용기받침
21: 연결관
22: 차단밸브
30: 용기
31: 주입구
32: 안내관
33: 저장통
34: 투입관로
35: 플로팅부재
40: 자동급수장치
41: 주입관
411: 유입관
412: 배출관
413: 조절관
414: 오링
42: 개폐수단
421: 마개부
422: 돌기부
423: 스프링
43: 조절수단
431: 제1탄성부
432: 압지부
433: 고정편
434: 이동편
435: 제2탄성부
436: 밀착부
437: 지지부
438: 너트

Claims (6)

  1.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11)이 구비되는 물통(10)과, 상기 물통의 내부와 연결관(21)을 통해 연통되는 용기받침(20)과, 화초가 식재되어 용기받침의 상부에 안착되고 바닥면에 주입구(31)가 형성되어 물이 유입되는 용기(30)와, 상기 연결관(21)으로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여 주입구(31)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급수하는 자동급수장치(40)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수장치(40)는
    상기 연결관(21)로부터 유입된 물을 주입구(31)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유도하며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42)이 설치되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수평방향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연결관(21)과 연결되는 유입관(411)과, 수직방향으로 주입구(31)에 끼움되어 용기의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배출관(412)과, 타측 수평방향으로 배출관을 차폐하는 개폐수단(42)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조절관(413)이 형성되는 주입관(41);
    활꼴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용기받침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탄성부(431)와, 제1탄성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개폐수단(42)을 압지하는 압지부(432)를 포함하는 조절수단(43);을 포함하여 구비하여,
    상기 용기가 제1탄성부(431)의 상부에 안착되어 자중에 의해 제1탄성부(431)를 아래로 누르면, 압지부(432)가 개폐수단(42)을 압지하여 주입관(41)을 차단함으로써,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의 무게에 대응하여 용기로 급수되는 물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42)은 상기 주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출관의 하부를 기준으로 유입관과 조절관 사이를 수평이동하며 위치에 따라 배출관을 차폐하는 마개부(421), 상기 마개부(421)의 후방 단부가 조절관(413)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부(422), 상기 돌기부(422)를 배출관(412)이 개방된 상태로 탄지하여 고정하는 스프링(4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43)은 용기받침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431)의 중심측 저면을 지지하는 제2탄성부(435)를 추가로 구비하되, 용기의 무게에 대응하는 제1탄성부(431)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2탄성부(435)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는 주입구(31)를 통해 삽입되는 주입관의 단부가 끼움되는 안내관(32)과, 상부가 상기 안내관이 연결되어 임시로 물을 수용하는 저장통(33)과, 상기 저장통의 측부에서 돌출되어 용기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투입관로(3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10)의 주위에 복수개의 용기받침(20')과 용기(30')을 추가로 구비하되, 물통(10)으로부터 각 용기받침(20')과 연통되는 연결관(21')을 추가로 구비하고, 각 용기받침에 설치되는 자동급수장치(40')에 의해 개별적으로 용기(30')에 급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KR20130105645A 2013-09-03 2013-09-03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KR101379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645A KR101379468B1 (ko) 2013-09-03 2013-09-03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PCT/KR2014/008168 WO2015034231A1 (ko) 2013-09-03 2014-09-02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645A KR101379468B1 (ko) 2013-09-03 2013-09-03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468B1 true KR101379468B1 (ko) 2014-03-31

Family

ID=5064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5645A KR101379468B1 (ko) 2013-09-03 2013-09-03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9468B1 (ko)
WO (1) WO201503423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253B1 (ko) 2017-04-06 2018-07-19 장기철 무동력 화분 자동 급수장치
CN110199737A (zh) * 2019-04-10 2019-09-06 常熟梁方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农业自动化灌溉装置
KR102147038B1 (ko) * 2019-08-27 2020-08-21 이현정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CN111657103A (zh) * 2020-05-25 2020-09-15 宁波市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绿地节水灌溉装置
KR20220008113A (ko) * 2020-07-13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CN114521477A (zh) * 2022-03-07 2022-05-24 嘉兴职业技术学院 一种智慧城市建设用的多功能园艺展示架及其使用方法
US11758858B2 (en) 2020-07-13 2023-09-1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2110B (zh) * 2019-05-15 2021-09-03 吴志勇 一种陶瓷器皿
CA3192359A1 (en) 2020-08-18 2022-02-24 Enviro Metals, LLC Metal refine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166Y1 (ko) * 1998-01-14 2000-09-01 송윤섭 자동 급수용 화분 받침대
KR20120082753A (ko) * 2011-01-14 2012-07-24 손용만 무동력 관수장치를 이용한 식물재배 시스템
KR101231973B1 (ko) 2012-03-13 2013-02-08 (주)에코텍 실내 재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692B1 (ko) * 2002-06-11 2005-09-07 주식회사 셀그린 수분자동공급용 파티션화분
JP5101415B2 (ja) * 2008-07-08 2012-12-19 株式会社山利製作所 給水弁、その給水弁を用いた給水装置および植物栽培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166Y1 (ko) * 1998-01-14 2000-09-01 송윤섭 자동 급수용 화분 받침대
KR20120082753A (ko) * 2011-01-14 2012-07-24 손용만 무동력 관수장치를 이용한 식물재배 시스템
KR101231973B1 (ko) 2012-03-13 2013-02-08 (주)에코텍 실내 재배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253B1 (ko) 2017-04-06 2018-07-19 장기철 무동력 화분 자동 급수장치
CN110199737A (zh) * 2019-04-10 2019-09-06 常熟梁方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农业自动化灌溉装置
KR102147038B1 (ko) * 2019-08-27 2020-08-21 이현정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CN111657103A (zh) * 2020-05-25 2020-09-15 宁波市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绿地节水灌溉装置
CN111657103B (zh) * 2020-05-25 2021-10-01 宁波市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绿地节水灌溉装置
KR20220008113A (ko) * 2020-07-13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US11758858B2 (en) 2020-07-13 2023-09-1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KR102594727B1 (ko) * 2020-07-13 2023-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CN114521477A (zh) * 2022-03-07 2022-05-24 嘉兴职业技术学院 一种智慧城市建设用的多功能园艺展示架及其使用方法
CN114521477B (zh) * 2022-03-07 2023-02-21 嘉兴职业技术学院 一种智慧城市建设用的多功能园艺展示架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4231A1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468B1 (ko)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US20160120139A1 (en)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automatic rainwater supply function
CN105899069B (zh) 多重盆栽植物自灌溉系统
KR101880253B1 (ko) 무동력 화분 자동 급수장치
US20070028520A1 (en) Irrigation system
US9681612B2 (en) Watering system for plants
KR20130009505A (ko) 이중 플레이트 구조의 재배 베드가 구비된 식물 재배기
ES2476020T3 (es) Conjunto de maceta para plantas de riego automático
KR101344914B1 (ko) 수분 자동 공급장치
JP2010068735A (ja) 自動給水プランター
KR101327568B1 (ko) 화분용 급수장치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KR101851158B1 (ko) 급수 기능을 갖는 난초 재배용 화분
JPH04135426A (ja) 栽培鉢に対するかん水を行うためのプランター
JP6338058B2 (ja) 土保水量表示付きの遠隔自然給水の鉢
WO2014042286A1 (ja) 自動底面灌水装置
KR101231973B1 (ko) 실내 재배기
CN202310780U (zh) 一种具有储水功能的自动浇灌栽培装置
KR101380361B1 (ko) 토양 수분의 건조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JPH11192029A (ja) 植物栽培用自動給水装置付貯水タンク
KR102109776B1 (ko)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CN204317198U (zh) 带有自动调节功能的植物浇水装置
JP2000023580A (ja) 給水装置およびそれが装着された植木鉢
CN219165355U (zh) 一种盆景土壤保湿装置
KR102300685B1 (ko)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