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038B1 -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 Google Patents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038B1
KR102147038B1 KR1020190105110A KR20190105110A KR102147038B1 KR 102147038 B1 KR102147038 B1 KR 102147038B1 KR 1020190105110 A KR1020190105110 A KR 1020190105110A KR 20190105110 A KR20190105110 A KR 20190105110A KR 102147038 B1 KR102147038 B1 KR 102147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mber
water
flow path
plant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이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정 filed Critical 이현정
Priority to KR1020190105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05Three-way check or safety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 형태로 조립가능한 모듈형 식물재배기기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물을 수용하는 제1 챔버;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챔버에 수용되는 물이 유입되는 제1 유로 유닛; 제1 유로 유닛에 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챔버에 연결되고, 제1 챔버에 수용되는 물이 제1 유로 유닛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화분 유닛; 및 제2 유로 유닛에 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화분 유닛에 연결되고, 화분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제2 유로 유닛을 통해 유입되는 제2 챔버를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Modular Plant Cultivation Equipment of Train Type}
본 발명에 따른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는, 기차 형태로 조립이 가능하고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식물재배기기에 관한 것이다.
화분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재배구로서, 보통 상방이 개방되고 아랫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화분의 위에서 공급되는 물이 그 하방에 배치된 물받이에 배출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화분에 물을 주는 경우, 과습으로 인해 식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삼투를 이용하여 화분의 아랫면에서 위로 물을 공급하는 저면관수법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저면관수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한번에 공급되는 물이 양이 적으므로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고 하더라도, 화분에서 흡수하고 남는 물을 처리하는 것에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9540호 (발명의 명칭: 수분센서를 활용한 회전하는 화분)
본 발명에 따른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는, 저면관수법을 이용하되 챔버를 구비하여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물도 간이하게 수용되도록 하여 식물 재배 및 화분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 형태로 조립가능한 모듈형 식물재배기기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물을 수용하는 제1 챔버;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챔버에 수용되는 물이 유입되는 제1 유로 유닛; 제1 유로 유닛에 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챔버에 연결되고, 제1 챔버에 수용되는 물이 제1 유로 유닛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화분 유닛; 및 제2 유로 유닛에 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화분 유닛에 연결되고, 화분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제2 유로 유닛을 통해 유입되는 제2 챔버를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챔버의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수용공간의 수위를 조절하는 부레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챔버의 상방에서 아래로 물의 공급을 가이드 하는 물 주입로를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물 주입로에 삽입되어, 제1 챔버의 수위에 따라 일단부의 높낮이가 변경되는 수위 체크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분 유닛은 아랫면에 통공을 구비하여, 제1 유로 유닛을 통해 유동하는 물이 통공을 통하여 아래에서 위로 공급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챔버와 제1 유로 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1 밸브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밸브 유닛은 개폐를 조절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유로 유닛과 제2 유로 유닛을 화분 유닛에 연결하는 제2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제2 밸브는 삼방 밸브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유로 유닛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화분 유닛의 수용공간 및 제2 유로 유닛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유로 유닛을 제2 챔버에 연결하는 제3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제3 밸브 유닛은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분 유닛은 일측면에 돌출부를 구비하고, 타측면에 돌출부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를 구비하여, 다른 화분 유닛의 오목부 및 돌출부와 각각 끼움 결합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분 유닛의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흡습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그 내부에 배치되는 식물에 공급되도록 하는 흡습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는 물 공급 챔버, 복수 개의 화분 유닛, 물 배출 챔버가 일방향으로 나란히 결합되어 기차 형태를 가지며, 물 공급 챔버에 공급되는 물이 화분 유닛에 공급되고, 사용된 물이 다시 물 배출 챔버로 배출되어,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는 유로 유닛이 화분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화분 유닛의 하방에서 그의 내측 수용공간으로 물이 공급되어 식물에게 저면급수가 가능하여 적정량의 물의 공급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기의 부품들이 조립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챔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챔버 및 수위 체크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챔버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부레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유닛의 아랫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유닛의 아랫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밸브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밸브 유닛 및 제3밸브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의 부품들이 조립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는 기차 형태로 조립이 가능하고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식물재배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는 제1 챔버(10), 화분 유닛(20, 30), 제 2 챔버(40), 유로 유닛(50), 밸브 유닛(51, 52, 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챔버(1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챔버(10) 및 수위 체크 유닛(14)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챔버(10)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부레 유닛(12)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챔버(10)는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챔버(10)는 기차의 차량 중 운전차의 형상을 가지고, 상부 일부분이 개방되어 사용자가 개방된 부분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는 기차 형태를 보이기 위해 제1 챔버(10)에 결합되는 굴뚝 형상의 물 주입로(11), 바퀴 유닛(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는 제1 챔버(10)의 수용공간의 수위를 체크 및 조절하기 위한 수위 체크 유닛(14), 부레 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물 주입로(11)는 굴뚝 형상을 가지고, 제1 챔버(10)의 상방에서 아래로 물의 공급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물 주입로(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 주입로(11)는 하단부에는 제1 챔버(10)의 개구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태의 덮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덮개의 넓이는 제1 챔버(10)의 개구된 부분에 대응하는 넓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직접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챔버(10)는 가습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 챔버(10)가 선술한 바와 같이 가습기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물 주입로(11)는 물을 기화시킨 수증기를 상기 물 주입로(11) 주변으로 분출해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물 주입로(11)에는 증발기 또는 기화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챔버(10)의 수용공간 내부에는 물이 충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상기 물 주입로(11)는 제1 챔버(10)와 결합/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물 주입로(11)를 제 1 챔버(10)와 분리시킬 경우, 상기 제1 챔버(10)의 수용공간 내부에 물을 충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물 주입로(11)를 제1 챔버(10)와 결합시킨다음, 상기 물 주입로(11)에 형성된 증발기 또는 기화기를 구동시키면, 수용공간 내부에 충진된 물이 증발 또는 기화되면서 수증기 상태로 상태 천이를 일으킨 후 상기 물 주입로(11)의 외부로 분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인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 또는 제1 챔버(10)에는 상기 증발기 또는 기화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또는 아두이노(ARDUINO))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퀴 유닛(13)은 제1 챔버(10)의 하부에 결합되며,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가 기차 형태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퀴 유닛(13)은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챔버의 높이가 조절되어, 지면으로부터 제1 챔버의 수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챔버(10)에 크기가 큰 바퀴 유닛(13)을 결합하고 화분 유닛(20, 30)에 크기가 작은 바퀴 유닛(13)이 결합한 경우, 제1 챔버(10)가 화분 유닛(20, 30) 보다 지면으로부터 높게 위치하여, 그에 연결된 화분 유닛(20, 30)으로 물의 공급이 많아질 수 있다. 이는 물의 공급량이 많아야 하는 식물의 재배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10)에 결합된 바퀴 유닛(13)이 화분 유닛에 결합된 바퀴 유닛(13)과 크기가 같거나 작은 경우, 제1 챔버(10)의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화분 유닛(20, 30)과 같거나 낮게 되어, 화분 유닛(20, 30)으로 물의 공급이 적어질 수 있다. 이는 물의 공급량이 적어도 되는 선인장 등의 식물 재배에 유리할 수 있다.
수위 체크 유닛(14)은 제1 챔버(10)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체크하기 위한 것이다. 수위 체크 유닛(14)은 물 주입로(11)에 삽입되는 막대 형태를 가지고, 제1 챔버(10)의 수위에 따라 스틱의 일단부의 높낮이가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위 체크 유닛(14)의 일단부의 높낮이를 확인하여 제1 챔버(10)에 물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알 수 있다.
부레 유닛(12)은 제1 챔버(10)의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부레 유닛(12)은 밸브부 및 부레부를 포함하여, 제1 챔버(10)로부터 유로 유닛(50)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부레 유닛(12)은 상기 통로에 부레부가 수평적으로 배치되는 수평 부레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챔버(10)의 수용공간 내부에 물이 일정 수위 이상인 경우에 부레 유닛(12)의 부레 부분이 물에 부유하여 높이가 높아지면서 밸브부가 상기 통로를 개방하고, 물이 일정 수위 이하인 경우에 부레 부분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밸브부가 상기 통로를 폐쇄할 수 있다. 이로써, 부레 유닛(12)은 화분 유닛(20, 30)으로 물이 과잉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유닛(20, 30)의 아랫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유닛(20, 30)의 아랫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화분 유닛(20, 30)은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그 수용공간에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화분 유닛(20, 3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화분 유닛(20, 30)은 유로 유닛(50)에 의하여 유로 유닛(50)이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챔버(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분 유닛은 제1 화분 유닛(20), 제2 화분 유닛(30)으로 구비되어, 제1 챔버(10), 제1 화분 유닛(20), 제2 화분 유닛(30), 제2 챔버(40) 순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챔버(10)에 수용되는 물이 유로 유닛(50)을 통해 화분 유닛(20, 30)의 수용공간으로 공급되고, 화분 유닛(20, 30)에서 배출된 물이 제2 챔버(40)로 유입될 수 있다.
화분 유닛(20, 30)은 아랫면에 통공(21)을 구비하여, 유로 유닛(50)을 통해 유동하는 물이 통공(21)을 통하여 아래에서 위로 공급될 수 있다. 이로써, 화분 유닛(20, 3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식물에 저면급수가 가능하다.
저면급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화분 유닛(20, 30)의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흡습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제1 챔버(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그 내부에 배치되는 식물에 공급되도록 하는 흡습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흡습 유닛은 수분을 가두고 있어서 건조한 날씨에도 흙이 마르지 않도록 수분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화분 유닛(20, 30)에서 흡습 유닛 쉽게 분리되므로, 분갈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화분 유닛(20, 30)은 기차 형태를 보이기 위해 하부에 바퀴 유닛(13)이 결합될 수 있다.
화분 유닛(20, 30)은 일측면에 돌출부(22b, 23b)를 구비하고, 타측면에 돌출부(22b, 23b)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22a, 23a)를 구비하여, 다른 화분 유닛(20, 30)의 오목부(22a, 23a) 및 돌출부(22b, 23b)와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분 유닛(20, 30)의 돌출부(22b, 23b)가 다른 화분 유닛(20, 30)의 오목부(22a, 23a)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여러 개의 화분 유닛(20, 3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22b, 23b)와 오목부(22a, 23a)의 형상은 측방으로는 분리가 불가능하되 상하방향으로는 분리가 가능한 레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화분 유닛(20, 30)의 돌출부(22b, 23b) 또는 오목부(22a, 23a)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오목부 또는 돌출부를 가지는 걸이 부재(미도시)를 벽이나 문 등에 설치하고, 화분 유닛(20, 30)을 걸이 부재에 걸어서 사용하여 화분 유닛(20, 30)의 인테리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제2 챔버(40)는 화분 유닛(20, 30)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2 챔버(40)는 유로 유닛(50)에 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화분 유닛(20, 30)에 연결되어 화분 유닛(20, 3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유로 유닛(50)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일 예로, 화분 유닛(20, 30)이 제1 챔버(10)에 수용된 물을 공급받는 것이 아니고, 화분 유닛(20, 30)의 개방된 상부에서 일반적인 급수를 하는 경우에, 화분 유닛(20, 30)들로부터 배출된 물이 제2 챔버(4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2 챔버(40)는 제1챔버(10)와 직접 연결되었을 시 애완동물의 급수통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2챔버(40)는 그의 상부에 수용 유닛(41)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용 유닛(41)은 제2챔버(40)와 분리하여 별개의 화분으로 사용이 가능하거나, 화분의 재배에 필요한 도구들을 수용하는 등 다양한 수납공간으로 활용 가능하다. 유로 유닛(50)을 통하여 제1 챔버(10), 화분 유닛(20, 30), 제2 챔버(40)가 순서대로 연결되어 기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챔버(40)는 기차 형태를 보이기 위해 하부에 바퀴 유닛(13)이 결합될 수 있다.
유로 유닛(5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물이 유동되는 유로일 수 있다. 유로 유닛(50)은 제1 챔버(10)와 화분 유닛(20, 30)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유로 유닛(50a), 화분 유닛(20, 30)과 제2 챔버(40)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유로 유닛(50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밸브 유닛(51)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밸브 유닛(52) 및 제3밸브 유닛(53)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유닛(6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밸브 유닛은 유로 유닛(50)들을 서로 연결하고 그의 내부에 유동되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밸브 유닛은 제1 밸브 유닛(51), 제2 밸브 유닛(52), 제3 밸브 유닛(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 유닛(51)은 제1 챔버(10)와 제1 유로 유닛(50)의 사이에 결합 배치되어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밸브 유닛(51)은 개폐를 조절하는 레버(51b) 및 제1 밸브부(51a)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제1 챔버(10)로부터 제1 유로 유닛(50)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레버를 돌려서 조절할 수 있다.
제2 밸브 유닛(52)은 제1 유로 유닛(50a) 제2 유로 유닛(50b)을 화분 유닛(20, 30)에 연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2 밸브 유닛(52)은 삼방 밸브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유로 유닛(50a)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화분 유닛(20, 30)의 수용공간 및 제2 유로 유닛(50b)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밸브 유닛(53)은 제2 유로 유닛(50b)을 제2 챔버(40)에 연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3 밸브 유닛(53)은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 유닛(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챔버(40)에 수용된 물이 제2 유로 유닛(50b)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밸브 유닛(53)은 제1 화분 유닛(20)과 제2 화분 유닛(30)을 연결하는 유로 유닛(50)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밸브 유닛(53)은 제1 화분 유닛(20)과 제2화분 유닛(30) 사이의 유로 유닛(50)에 배치될 수 있고, 이 때, 제1 화분 유닛(20) 및 제2 화분 유닛(30)은 제1 챔버(1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그에 수용된 식물에 저면 급수를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는 제1 챔버(10), 복수 개의 화분 유닛(20, 30), 제2 챔버(40)가 일방향으로 나란히 결합되어 기차 형태를 가지며, 제1 챔버(10)에 공급되는 물이 화분 유닛(20, 30)에 공급되고, 사용된 물이 다시 제2 챔버(40)로 배출되어,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는 수위 체크 유닛(14) 및 부레 유닛(12)을 포함하여, 제1 챔버(10)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체크하고, 화분 유닛(20, 30)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는 유로 유닛(50)이 화분 유닛(20, 30)의 하부에 배치되며, 화분 유닛(20, 30)의 하방에서 그의 내측 수용공간으로 물이 공급되어 식물에게 저면급수가 가능하여 적정량의 물의 공급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는 이를 구성하는 제1 챔버(10), 화분 유닛(20, 30), 제2 챔버(40)에 형성된 바퀴유닛을 통해 유동성을 가져 일정한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는 자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스로 사물을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하는 지능형 로봇의 한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는 이동경로 탐색과 이동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설정된 이동경로로 주기 또는 비주기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가 탈착될 수 있는 데크 또는 도크가 있는 경우, 상기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는 일정한 위치에서 출발하여 상기 데크 또는 도크로 이동하여 상기 데크 또는 도크에 결합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기준이 충족되면, 상기 데크 또는 도크와 분리되어 출발지점인 상기 일정한 위치로 회귀하거나 또 다른 일정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에는 이와 같은 이동 과정에서 장애물 인식 및 회피를 위해 초음파, 적외선 등을 기반으로 하는 사물인식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 과정에서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동경로를 보정하기 위한 공간인식 센서 및/또는 카메라 또한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 및/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동경로를 탐색/보정한 후, 결정된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의 이동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는 위와 같은 이동동작에 대한 동력을 구비하기 위해 동력원(예를 들어, 충전가능한 배터리 등)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원은 상기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가 데크 또는 도크에 결합됐을 때 충전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은 일반적인 전기 전력/전류/전압 또는 태양열 집열판에 따라 모집된 태양열 전력/전류/전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 때,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의 탈착이 가능한 상기 데크 또는 도크에는 식물의 광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빛을 조사하기 위한 램프 또는 라이트(예컨대, LED 라이트 등)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가 상기 데크 또는 도크에 결합되면, 상기 램프 또는 라이트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의 화분 유닛에 심어진 식물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화분 유닛에 심어진 식물의 광합성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어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물이 광합성에 사용하는 색소인 엽록소는, 광합성 수행에 있어 특정 파장의 빛을 주로 활용하며, 구체적으로 680 내지 700 nm(나노미터)의 적색 파장의 빛과 430 내지 460 nm (나노미터)의 청자색 파장의 빛을 주로 활용하기 때문에, 상기 램프 또는 라이트는 해당 파장의 빛을 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식물은 빛의 세기가 보상점보다 높아질 경우 광합성의 속도가 증가하게 되고, 광포화점보다 높아진 이후부터는 광합성의 속도가 일정해지므로, 상기 램프 또는 라이트가 발하는 빛의 세기는 상기 모듈형 식물재배기기(1)의 화분 유닛에 심어진 식물의 보상점과 광포화점 사이로 조절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10: 제1 챔버
11: 물 주입로
12: 부레 유닛
13: 바퀴 유닛
14: 수위 체크 유닛
20, 30: 화분 유닛
40: 제2 챔버
41: 수용 유닛
50: 유로 유닛
51: 제1 밸브 유닛
52: 제2 밸브 유닛
53: 제3 밸브 유닛
60: 역류 방지 유닛

Claims (10)

  1.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일체로 연결된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에 있어서,
    원통의 굴뚝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방에서 하방으로 물의 공급을 가이드 하는 물 주입로 및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물 주입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하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챔버에 수용되는 물이 유출되는 통로인 제1 유로 유닛;
    상기 제1 유로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챔버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연결되고, 상기 제1 챔버에 수용되는 물이 상기 제1 유로 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화분 유닛; 및
    제2 유로 유닛을 통해 상기 화분 유닛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연결되고, 상기 제1 유로 유닛 또는 상기 화분 유닛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상기 제2 유로 유닛을 통해 유입되는 제2 챔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을 수증기로 기화시키되 상기 기화된 수증기를 상기 원통의 굴뚝 형상으로 이루어진 물 주입로를 통해 분출시켜 외부에 가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챔버의 물 주입로는 기화기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챔버, 화분 유닛 및 제2 챔버는 상기 제1 유로 유닛 및 제2 유로 유닛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제1 챔버, 화분 유닛 및 제2 챔버 각각의 하부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바퀴 유닛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연결된 상기 제1 챔버, 화분 유닛 및 제2 챔버는 일정한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이동이 일체로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챔버에 결합된 바퀴 유닛은 상기 제1 챔버의 높이가 상기 화분 유닛 및 상기 제2 챔버보다 낮아지거나 높아질 수 있도록 크기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챔버에 결합된 바퀴 유닛의 크기 변형에 따라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화분 유닛 또는 상기 제2 챔버로 유출되는 물의 공급량이 제어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의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수위를 조절하는 부레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주입로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챔버의 수위에 따라 일단부의 높낮이가 변경되는 수위 체크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유닛은 아랫면에 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로 유닛을 통해 유동하는 물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화분 유닛의 수용공간에 공급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1 유로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챔버로부터 상기 제1 유로 유닛으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밸브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유닛은 개폐를 조절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유닛과 상기 제2 유로 유닛을 상기 화분 유닛에 연결하는 제2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밸브는 삼방 밸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 유닛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상기 화분 유닛의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유로 유닛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 유닛을 상기 제2 챔버에 연결하는 제3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밸브 유닛은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유닛은 일측면에 돌출부를 구비하고, 타측면에 상기 돌출부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를 구비하여, 다른 화분 유닛의 오목부 및 돌출부와 각각 끼움 결합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KR1020190105110A 2019-08-27 2019-08-27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KR102147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110A KR102147038B1 (ko) 2019-08-27 2019-08-27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110A KR102147038B1 (ko) 2019-08-27 2019-08-27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038B1 true KR102147038B1 (ko) 2020-08-21

Family

ID=7223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110A KR102147038B1 (ko) 2019-08-27 2019-08-27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03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586U (ja) * 2003-03-20 2003-09-26 正 森 自動給水連結植木鉢
KR20030096840A (ko) * 2002-06-18 2003-12-31 조흥렬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JP2006502730A (ja) * 2002-10-14 2006-01-26 ヨンソン ワン 底面管水用植物栽培器
KR20110124454A (ko) * 2010-05-11 2011-11-17 박병철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
KR20110135319A (ko) * 2010-08-18 2011-12-16 손용만 무동력 관수 및 양액장치를 이용한 무동력 포트재배 시스템
KR20120082753A (ko) * 2011-01-14 2012-07-24 손용만 무동력 관수장치를 이용한 식물재배 시스템
KR101379468B1 (ko) * 2013-09-03 2014-03-31 이지이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KR20180129540A (ko) 2017-05-27 2018-12-05 고병준 수분센서를 활용한 회전하는 화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840A (ko) * 2002-06-18 2003-12-31 조흥렬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JP2006502730A (ja) * 2002-10-14 2006-01-26 ヨンソン ワン 底面管水用植物栽培器
JP3096586U (ja) * 2003-03-20 2003-09-26 正 森 自動給水連結植木鉢
KR20110124454A (ko) * 2010-05-11 2011-11-17 박병철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
KR20110135319A (ko) * 2010-08-18 2011-12-16 손용만 무동력 관수 및 양액장치를 이용한 무동력 포트재배 시스템
KR20120082753A (ko) * 2011-01-14 2012-07-24 손용만 무동력 관수장치를 이용한 식물재배 시스템
KR101379468B1 (ko) * 2013-09-03 2014-03-31 이지이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KR20180129540A (ko) 2017-05-27 2018-12-05 고병준 수분센서를 활용한 회전하는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0504B2 (en) Multilevel mobile gutter system for growing indoor vegetation
KR101881368B1 (ko) 묘목 육성장치 및 그 묘목 육성방법
KR101670059B1 (ko) 식물재배장치
ES2908927T3 (es) Estantería de cultivo para productos hortícolas
KR101423127B1 (ko) 수경재배장치
KR101275976B1 (ko) 회전타워 식물 재배장치
KR101398928B1 (ko) 양액을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US10104843B2 (en) Self-watering portable greenhouse
JP2009114760A (ja) 雨水集水装置及びその雨水集水装置を備える植物栽培システム
KR102436407B1 (ko) 건조지역에서의 식물 재배를 위한 물 수확, 관개장치 및 식물재배를 위한 실시방법
KR101845132B1 (ko) 식물 공중 재배장치
KR20120007420A (ko) 적층 서랍식 식물재배기
KR102079443B1 (ko) 기압차를 이용한 흡인량조절장치
KR101687878B1 (ko) 식물재배장치
KR102147038B1 (ko)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KR20190021753A (ko) 수경재배기
KR101826269B1 (ko) 새싹 재배기
KR101536336B1 (ko) 식물 순환재배장치
KR101176761B1 (ko) 유로를 형성한 적층식 자동 수경재배기
KR20200015203A (ko) 인삼재배용 스마트팜 시스템
KR101903332B1 (ko) 도로 난간 설치용 이중 화분
JP6696943B2 (ja) 植栽育成ボックス
JP2019149952A (ja) 植物生育システム及び植物生育方法
KR20220091077A (ko) 스마트팜 수경재배장치
KR102225961B1 (ko) 반건식 식물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