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454A -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454A
KR20110124454A KR1020100043824A KR20100043824A KR20110124454A KR 20110124454 A KR20110124454 A KR 20110124454A KR 1020100043824 A KR1020100043824 A KR 1020100043824A KR 20100043824 A KR20100043824 A KR 20100043824A KR 20110124454 A KR20110124454 A KR 20110124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osu
inlet
collection
dischar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4341B1 (ko
Inventor
박병철
김윤희
Original Assignee
박병철
김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철, 김윤희 filed Critical 박병철
Priority to KR1020100043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34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에 공급되어 화분을 통과하고 난 후 배출되는 여수를 용이하게 회수하여 안정적으로 저장한 후 배출하기 위한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분 받침대에 손쉽게 연결하여 수시로 여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분 물주기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하면서도 흙탕물인 여수가 바닥에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여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1면에는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다수개의 입구포트가 형성되고, 제2면에는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포트가 형성되는 여수 저장체; 화분 받침대로부터 상기 여수 저장체의 내부로 여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관체로서 일 단이 상기 입구포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화분 받침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수집관; 및 상기 여수 저장체 내부의 여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관체로서 일 단이 상기 출구포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Gathering and discharing device of the remaining water of flowerpots}
본 발명은 화분용 여수(餘水) 수집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의 실내 공간이나 공동주택의 베란다 등에 놓여진 다수의 화분 받침대에 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무거운 화분에 물을 주기 위하여 화분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화분에 공급되고 난 후 물받이통에 모아진 여수가 흘러넘치지 않도록 완벽하게 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외 바닥면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현재의 주거문화의 특성상 녹지 공간의 부족으로 인한 삭막함을 달래거나 취미 생활의 일환으로 각종 화초나 나무 등을 화분에 재배하고 있다. 꽃이나 나무 등이 식재된 화분은 주로 실내의 거실이나 공동주택의 베란다 등에 위치하게 되는데, 화분에 공급한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부분 화분 받침대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 받침대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종래의 화분 받침대(1)는 화분을 올려 놓기 위한 바닥판(2)의 중앙에 화분을 통과한 물이 소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2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a)을 통과한 물(여수)은 바닥판(2) 하부에 슬라이딩 삽입하도록 부착된 물받이통(4)에 저장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3은 화분 받침대(1)의 다리를 나타낸다.
이러한 종래의 화분 받침대(1)는 올려질 화분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가지며, 이에 따라 물받이통(4)의 용량 또한 다양하다. 그런데, 화분에 식재되는 화초류나 나무 등은 그 종류에 따라 물을 주는 주기와 양이 각기 다르다. 즉, 어떤 종류의 식물은 물을 자주 흠뻑 줘야하는 반면 선인장과 같은 식물은 물을 거의주지 않아도 된다.
행복수, 행운목, 알로카시아 및 폴리샤스와 같이 비교적 사이즈가 큰 나무들은 한 번 급수할 때 물을 흠뻑 주는 것이 좋으며, 작은 화분에 담긴 화초류 등은 한 번에 주는 물의 양이 적은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화분 받침대에 부착된 물받이통은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를 고려하지 않고 제조사에 의하여 일방적으로 그리고 임의적으로 부착된 경우가 많아 화분 받침대(1)에 올려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맞는 용량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물받이통의 용량이 작아 화분을 통과한 물이 물받이통을 흘러 넘칠 우려가 많으며, 베란다 등에 위치한 화분 받침대에서 여수가 흘러넘치는 경우에는 베란다 바닥면이 미세 흙가루가 섞인 여수로 인하여 더럽혀지게 된다. 그렇다고 하여 물받이통의 용량을 고려하여 물을 조금씩 여러차례 나누어 공급하는 것도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특히, 최근에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베란다를 확장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많은 수의 화분들이 거실과 같은 실내 공간에 놓여지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특히 주의하여 화분에 물을 공급하지 않으며 안된다. 조금만 물을 과하게 주거나, 물받이통에 물이 그득한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추가로 화분에 물을 주게되면 그대로 흙탕물이 거실 바닥 등에 넘쳐 흐르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사이즈가 크고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식물의 경우에는 화분의 사이즈 역시 큰 경우가 많아서 이들 식물에 물을 줄때마다 그 크고 무거운 화분을 베란다나 화장실 등으로 일일이 옮기는 것은 여간 고되고 힘든 일이 아니다.
화분에 식물을 기르면서 가장 번거롭고 고통스러운 일 중의 하나가 바로 물주기이며, 이러한 물주기의 까다로움 때문에 혹자는 화분에 식물을 기르는 것을 포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물받이통의 저수 용량의 한계로 인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몇가지 개선된 화분 받침대가 제안되기도 하였는데, 등록특허 제0716168호 "화분 받침대"와 등록실용신안 제0186536호 "화분 받침대의 물 배수장치"와 같은 것들이 그러한 예들이다.
도 2는 전자의 화분 받침대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후자의 화분 받침대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의 경우 종래의 화분 받침대에 설치된 물받이통의 여수 저장 용량을 늘렸다는 점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물받이통의 용량을 크게한 점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종래의 화분 받침대와 그 개념이 동일하다. 그리고, 여러 화분을 일정한 높이의 직선구조의 선반과 같은 받침대 위에 올려 놓아야 하므로 화분의 배치구조가 일직선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실내의 거실이나 베란다 등의 구조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화분을 배치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화분 받침대 자체의 크기가 크고 높이가 높아 장소를 많이 차지하게 된다.
도 3의 경우 화분 받침대의 받침다리(11)에 관통공(40a)을 형성한 후 화분 받침대의 저부의 결합관(31)에 직선형 물유도관(32)을 설치하도록 한 것으로서, 각 물유도관의 일측단에 끼움관(33)을 형성하여 물유도관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물유도관의 경우 화분이 놓여진 상태에서는 설치나 분리가 어려워 설치나 분리를 위해서는 반드시 화분 받침대 위의 화분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고 난 후 화분 받침대를 들어서 설치나 분리를 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렇듯 설치와 해제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한 번 설치하여 상시로 두고 사용하는 경우 화분 주변이 배관으로 인하여 복잡해지고 공간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물유도관이 직선 구조로만 설치되고 연장되므로 화분을 다양하게 배치하는데에도 한계가 있어 실용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나 해체가 자유로우며, 그 취급이나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여수가 화분 받침대의 물받이통을 넘쳐 흐를 염려가 없는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청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16168호 "화분 받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86536호 "화분받침대의 물 배수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화분 받침대 및 물 배수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분 받침대에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화분들의 배치 형태에 구애되지 않고 즉석에서 설치가 가능하며, 부피가 작아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여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1면에는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다수개의 입구포트가 형성되고, 제2면에는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포트가 형성되는 여수 저장체; 화분 받침대로부터 상기 여수 저장체의 내부로 여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관체로서 일 단이 상기 입구포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화분 받침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수집관; 및 상기 여수 저장체 내부의 여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관체로서 일 단이 상기 출구포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에는 상기 각 입구포트 및 출구포트의 각각에 대응하는 입구마개 및 출구마개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입구포트 및 출구포트는 상기 여수 저장체로부터 돌출하도록 관체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관체의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수집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돌출하여 형성되는 화분 받침대용 배출포트를 구비한 화분 받침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에 의하면, 실내의 거실이나 공동주택의 베란다 등에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화분에 물을 줄 때 여수가 바닥에 흘러넘칠 우려가 없게 되어 물주기가 쉽고 편리해진다.
특히, 사용자의 취향대로 다양하게 배치된 크고 작은 화분이 놓인 화분 받침대에 단지 수집관을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그 설치나 분리가 신속하고 편리하며, 사용시나 보관 중에 차지하는 장치의 부피가 적어 공간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물주기를 위하여 화분들을 재배치하거나 무거운 화분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물주기를 위하여 과중한 육체노동을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노약자들도 대형 화분에 큰 식물들을 재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 받침대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에 의한 화분 받침대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예에 의한 화분 받침대의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의 사용방법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의 보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전면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후면부 사시도.
도 8은 도 6의 'A' 부분인 입구포트부의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가 연결되는 화분 받침대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가 연결되는 화분 받침대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원리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의 사용방법을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는 기본적으로 여수 저장체(100), 상기 여수 저장체(100)의 일 면(전면)에 형성되는 입구포트(110), 상기 여수 저장체(100)의 타 면(후면)에 형성되는 출구포트(120), 상기 입구포트(110)에 연결되는 수집관(131~134) 및 상기 출구포트(120)에 연결되는 배출관(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수 저장체(100)는 도시한 것과 같이 투명 또는 불투명의 비닐백 형상으로 하거나, PVC,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한다. 비닐백으로 하는 경우 제품의 중량이 가볍고, 제조단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고무 계열의 재질로 할 경우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여수 저장체(100)는 필요에 따라 그 용량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리터, 2리터, 3리터 등 필요에 따라 적절한 저장용량을 가지도록 선택하여 제조한다.
상기 여수 저장체(100)의 전면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각 입구포트(110)에는 수집관(131~134)이 연결되는데, 각 수집관의 타단은 연결할 화분 받침대들(210~240)의 각 물받이통(211~241)에 결합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01~204는 종류가 다른 각각의 화분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의 보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여수 저장체(101)는 연질 또는 경질의 고무나 합성수지로 형성한다. 상기 여수 저장체(101)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입구포트(111~116)가 돌출하여 형성되며, 타면에는 한 개의 혹은 그 이상의 개수의 출구포트(120,121)가 형성된다. 상기 각 입구포트(111~116)에는 각각 입구마개(111a~116a)가 결합하며, 상기 출구포트(120,121)에는 출구마개(120a,121a)가 결합한다. 상기 입구마개(111a~116a)와 출구마개(120a,121a)는 사용하지 않는 입구포트(111~116)나 출구포트(120,121)를 막아두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전면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후면부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입구포트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여수 저장체(101)의 제1면(전면,101a)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입구포트(111~1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집관들(131~136)을 각각 연결하게 된다. 상기 수집관들(131~136)은 투명 또는 불투명의 연질 비닐튜브로 하거나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튜브나 호스와 같은 관체로 형성한다.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각 입구포트(111~116)는 외주면이 경사진 관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수집관(131~136)은 비닐,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하되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도록 하여 일 측단을 상기 입구포트(111~116)에 끼울때 잘 늘어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11b는 입구포트의 경사면을 나타낸다. 상기 입구포트(111~116)의 외주면을 경사지게 구성하는 경우 수집관(131~136)을 끼우기가 용이할 뿐 아니라 결합 부위의 밀봉기능이 향상되어 물이 새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입구포트(111~116)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여수 저장체(101)의 제2면(후면,101b)에 형성되는 출구포트(120,121)에는 배출관(140,141)이 결합한다. 상기 출구포트(120,121)의 재질이나 구조는 입구포트(111~116)와 같으며, 상기 배출관(140,141)의 재질이나 구조는 수집관(131~136)과 같다. 상기 제2면(101b)에는 출구포트(120,121)와는 별도로 배출구(151)와 이에 결합하는 배출캡(15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51)는 출구포트(120,121)와는 별개의 여수 배출수단으로서 여수 저장체(101) 내의 여수를 보다 신속하게 배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위한 것이며, 출구포트(120,121)보다 직경을 크게하여 여수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배출구(15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것으로 하며, 상기 배출캡(152)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출구(151)의 외주면 나사산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가 연결되는 화분 받침대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a)는 테두리(251)와 바닥판(252)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대 본체의 하부에 배수구멍(252a)과 연통하는 물받이통(255)을 일체로 형성한 화분 받침대(250)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의 (b)는 테두리(261)와 바닥판(262)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대 본체의 하부에 배수구멍(262a)과 연통하는 물받이통(265)을 서랍식으로 슬랑이딩하도록 장착한 화분 받침대(260)를 나타낸 것이다.
위에서 기술한 구조의 수집관(131~136)의 일 단은 입구포트(111~116)에 연결되고, 타 단은 물받이통(255,265)의 측면 또는 저면에 형성되는 화분 받침대용 배출포트(254,264)에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받침대용 배출포트(254,264)에 수집관(131~136)을 연결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받이통(255,265) 내부의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용 배출포트(254,264)에 마개를 결합시켜둔다. 받침대용 배출포트(254,264)의 마개는 전술한 입구마개(111a~116a)나 출구마개(120a)와 같은 구조의 것을 채택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53,263은 화분 받침대의 다리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가 연결되는 화분 받침대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화분 받침대(270,280)의 경우에는 별도의 물받이통을 가지지 않는다. 즉, 화분 받침대는 테두리(271,281), 바닥판(272,282) 및 다리(273,283)로 이루어지며, 바닥판(272,282)에는 배구수멍(272a,282a)이 형성된다. 전술한 도 9의 화분 받침대(250,260)와의 차이는 본 실시예에서는 물받이통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배수구멍(272a,282a)과 연통하도록 바닥판(272,282) 에 바로 화분 받침대용 배출포트(274,284)를 형성한다는 점이다. 이렇게 하면, 화분 받침대용 배출포트(274,284)와 여수 저장체(101)의 입구포트(111~116)와의 낙차를 크게할 수 있어 화분을 통과한 여수의 배수에 유리하며, 화분 받침대의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면의 (a)는 배수구멍(272a)과 화분 받침대용 배출포트(274)를 바닥판(272)의 중앙부 저면에 형성한 예를 나타내며, (b)는 화분 받침대용 배출포트(284)를 바닥판(282)의 측부 저면에 절곡하여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받침대용 배출포트(274,284)에 수집관(131~136)을 연결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닥판(272,282) 상에 고인 물인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용 배출포트(274,284)에 마개를 결합시켜둔다. 받침대용 배출포트(274,284)의 마개는 전술한 입구마개(111a~116a)나 출구마개(120a,121a)와 같은 구조의 것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 받침대용 배출포트(254,264,274,284)는 상기 입구포트(111~116) 및 출구포트(120,121)와 마찬가지로 수집관(131~136)의 단부를 탄력 끼움하기 쉽도록 돌출하는 관체 형상으로 하되 관체의 외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도 9 및 도 10에 기술된 화분 받침대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않으며, 화분 받침대의 형상은 전술한 구조 외에 다양한 것이 채택될 수 있으며, 화분 받침대에 본 발명의 수집관의 일 단을 결합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배출포트를 형성한 것이면 어느 것이나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나, 여수 저장체(101)의 제3면(측면,101c)에도 다수개의 입구포트(161~169)가 형성되는 차이가 있다. 이는 여수 저장체(101)를 연결할 화분의 개수가 매우 많은 경우를 위한 것이며, 여수 저장체(101)의 저수 용량 자체도 이전의 실시예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수집관(131~136) 및 배출관(140)을 착탈식으로 여수 저장체(102)에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여수 저장체(102)에 일체로 고정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수집관(131~136) 및 배출관(140)이 여수 저장체(102)와 분리되지 않고 여수 저장체(102)와 함께 수납되고 사용된다는 점에서 이전의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실내 거실 또는 베란다에 놓여진 화분들에 물을 주고자 하는 경우각 입구포트(111~116)로부터 입구마개(111a~116a)를 제거한 후 수집관(131~136)의 일 단을 상기 입구포트(111~116)의 단부에 끼운다. 그리고 나서 화분 받침대(250,260,270,280)의 받침대용 배출포트(254,264,274,284)에서 마개를 제거 한 후 상기 수집관(131~136)의 타 단을 상기 받침대용 배출포트(254,264,274,284)에 연결한다.
이후 상기 출구포트(120)에서 출구마개(120a)를 제거한 후 배출관(140)의 일 단을 상기 출구포트(120)의 단부에 끼운다. 이때 상기 배출관(140)의 타 단은 베란다의 수채구멍과 같이 물이 잘 빠질 수 있는 배수구 등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설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각 종류의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 및 생육조건에 따라 그에 알맞는 양의 물을 주면된다. 이때, 사용자가 화분에 아무리 많은 양의 물을 주더라도 화분을 통과한 여수가 여수 저장체(101)에 모이고 연속하여 배출관(140)을 통하여 수채구멍 등으로 배출되므로 여수가 화분 받침대의 물받이통을 넘쳐 흐르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분에 물을 줄때 물넘침을 고려하여 물을 조금씩 나누어 여러 차레 주거나 화분을 재배치하거나 무거운 화분을 들고 이동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매우 편리하다.
상기 입구포트(111~136) 및 출구포트(120)의 직경은 물이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 여수 저장체(101)를 연질의 비닐,고무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경우 여수 저장체(101) 내부의 물을 신속히 배출하고자 할 때 여수 저장체(101)의 중간부를 손으로 눌러 가압하면 출구포트(120)나 배출구(151)를 통하여 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여수 저장체(101)의 중간부를 눌러 내부의 물을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입구포트(111~116)에는 역류 방지용 기구를 장착하는 것이 편리하다. 즉, 물놀이용 튜브에 적용되는 것과 같은 역류방지용 막을 상기 입구포트(111~116) 또는 상기 수집관(131~136)의 단부에 형성하는 경우 상기 여수 저장체(101)를 눌러 출구포트(120)나 배출구(151)를 통하여 물을 배출할 때 여수 저장체(101) 내부의 물이 수집관(111~116)측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다수개의 입구포트(111~116) 중에서 일부만 수집관(131~136)과 연결하는 경우 수집관(131~136)이 연결되지 않는 입구포트(111~116)는 입구마개(111a~116a)로 막아둔다.
본 발명의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는 설치면적이 작아 공간 활용에 유리하며, 그 재질을 비닐, 고무나 연질 합성수지로 하는 경우 여수 저장체(100,101,102)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이 편리하다. 또한, 수집관(131~136)의 길이, 직경 및 개수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분의 크기, 종류나 배치구조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여수 저장체(100,101,102)의 저수 용량도 필요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것을 선택하면 된다.
위의 실시예들에서는 출구포트(120,121)와 입구포트(111~116)를 여수 저장체(100,101,102)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여수 저장체(100,101,102)의 어느 일면에 입구포트(111~116)와 출구포트(120,121)를 같이 형성할 수도 있고, 다수개의 입구포트(111~116) 만을 형성한 후 그 중의 일부를 출구포트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보여주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100,101,102: 여수 저장체 111~116: 입구포트
111a~116a: 입구 마개 120,121: 출구포트
120a: 출구 마개 131~136: 수집관
140,141: 배출관 151: 배출구
152: 배출캡 210~280: 화분 받침대
254,264,274,284: 화분 받침대용 배출포트

Claims (4)

  1. 내부에 여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1면에는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다수개의 입구포트가 형성되고, 제2면에는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포트가 형성되는 여수 저장체;
    화분 받침대로부터 상기 여수 저장체의 내부로 여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관체로서 일 단이 상기 입구포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화분 받침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수집관; 및
    상기 여수 저장체 내부의 여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관체로서 일 단이 상기 출구포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입구포트 및 출구포트의 각각에 대응하는 입구마개 및 출구마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포트 및 출구포트는 상기 여수 저장체로부터 돌출하도록 관체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관체의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돌출하여 형성되는 화분 받침대용 배출포트를 구비한 화분 받침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여수 수집 빛 배출장치.








KR1020100043824A 2010-05-11 2010-05-11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 KR101224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824A KR101224341B1 (ko) 2010-05-11 2010-05-11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824A KR101224341B1 (ko) 2010-05-11 2010-05-11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454A true KR20110124454A (ko) 2011-11-17
KR101224341B1 KR101224341B1 (ko) 2013-01-18

Family

ID=4539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824A KR101224341B1 (ko) 2010-05-11 2010-05-11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3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038B1 (ko) * 2019-08-27 2020-08-21 이현정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201A (ko) * 2004-02-04 2005-08-09 김영문 자동 급수/배수제어방식의 농작물재배장치
KR200410854Y1 (ko) 2005-10-17 2006-03-10 권홍순 화분 진열대의 배수장치
KR20070119940A (ko) * 2006-06-16 2007-12-21 박금훈 화분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038B1 (ko) * 2019-08-27 2020-08-21 이현정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341B1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588010U (zh) 一种可收集雨水的自动浇水装置
US4174589A (en) Bathroom planter box
CN104303874A (zh) 直立式自动灌溉花园
KR100792582B1 (ko)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KR101224341B1 (ko) 화분용 여수 수집 및 배출장치
US20170000049A1 (en) Garden plant watering device
KR20110009107U (ko) 외통에 물받이대가 구비된 화분
CN204860291U (zh) 鱼缸花盆
CN107318506A (zh) 自动浇水花盆
CN208175484U (zh) 一种陶瓷组合花盆
CN207135604U (zh) 盆景植物自动补水器
KR101920412B1 (ko) 자동배수 및 수위감지 기능을 갖는 화분
CN2234694Y (zh) 组装式水培花盆
CN201127211Y (zh) 免浇水花盆
CN201216093Y (zh) 自动补水吊花盆
CN212936891U (zh) 一种阳台绿化装置
CN220986800U (zh) 一种便于清洗的陶瓷花盆
CN214413588U (zh) 方便更换养殖盆的生态绿植墙
CN103875482A (zh) 能防漏储水的花盆
KR200465179Y1 (ko) 이동식 칸막이 화분 겸용 수납장
KR200446453Y1 (ko) 화분 외장용기
CN214282634U (zh) 一种家用循环种植架
CN210328654U (zh) 一种节约用水的花卉养殖盆
CN214178197U (zh) 一种防积水花盆
CN210143399U (zh) 一种植物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