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453Y1 - 화분 외장용기 - Google Patents
화분 외장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6453Y1 KR200446453Y1 KR2020070017111U KR20070017111U KR200446453Y1 KR 200446453 Y1 KR200446453 Y1 KR 200446453Y1 KR 2020070017111 U KR2020070017111 U KR 2020070017111U KR 20070017111 U KR20070017111 U KR 20070017111U KR 200446453 Y1 KR200446453 Y1 KR 20044645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pot
- potted
- water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화분을 수납하는 외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화분을 내부에 수납하여 미관을 높이는 한편 식물의 교체를 위한 분갈이 작업이 필요 없으며, 별도의 물받이 없이 배수된 물과 토양을 내부에 수집하여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고, 담겨진 토양의 배수 상태를 식물의 생장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정형적인 화분의 외관과 질감에서 탈피한 새로운 미감을 줄 수 있는 화분 외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화분이 수납되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관체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어 본체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환형부재로 이루어지며 본체에 수납되는 화분의 입구 부분이 안착되는 지지부를 구비한 상부캡;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삽입 결합되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져 화분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된 물을 수용하는 집수기를 포함하는 화분 외장용기를 제공한다.
화분, 본체, 상부캡, 지지부, 집수기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분 외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의 구입시 식재된 간이화분과 같은 저렴한 화분을 내부에 수납하여 미관을 향상시키고, 식물의 교체 시 번거로운 분갈이 작업이 필요 없으며, 화분에서 배출된 물과 토양을 내부에 수용하여 화분과 주변의 미관과 청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금속 소재의 질감을 통해 기존의 화분과 다른 새롭고 미려한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화분 외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소정 형태의 용기에 식물이 식재된 토양을 담아 자연적인 토지가 구비되지 않은 실내 또는 실외에서 식물을 생육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화초나 수목을 원하는 장소에 두고 장기간에 걸쳐 관찰 및 감상할 수 있어 실내/외의 장식과 학습, 정서 및 건강 증진 등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화분은 점토를 굽거나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된 천편일률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장식효과가 떨어질 뿐 아니 라, 식재된 식물을 다른 것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 기존의 식물과 토양을 빼내고 다시 새로운 식물을 심는 분갈이 작업을 요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화분은 하부의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물과 토양이 배출되기 때문에 이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이하, 물받이)를 별도로 화분 밑에 받혀주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으며, 이러한 물받이를 사용해도 물받이에 물과 토양이 지저분한 상태로 담겨 외부로 노출되고, 경우에 따라 외부로 넘쳐 화분 하부 및 그 주변의 미관과 청결 상태가 좋지 못하게 되며, 잦은 청소를 요하여 유지관리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화분의 하부가 물받이 내부에 수용됨에 따라 물받이에 고인 물로 인해 화분의 수분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담겨진 토양의 수분 함유 상태가 식물의 생장에 부적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분을 내부에 수납하여 미관을 높이는 한편 식물의 교체를 위한 분갈이 작업이 필요 없으며, 별도의 물받이 없이 배수된 물과 토양을 내부에 수집하여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고, 담겨진 토양의 배수 상태를 식물의 생장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정형적인 화분의 외관과 질감에서 탈피한 새로운 미감을 줄 수 있는 화분 외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화분이 수납되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관체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어 본체(100)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환형부재로 이루어지며 본체에 수납되는 화분의 입구 부분이 안착되는 지지부를 구비한 상부캡;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삽입 결합되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져 화분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된 물을 수용하는 집수기를 포함하되, 상기 집수기는 벽체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의 외벽면에 둘레 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내벽면과 탄성적으로 가압 밀착되는 다수개의 고정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외장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화분 외장용기는, 상기 상부캡이 각각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어 동심원 상에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캡부재로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다른 직경의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고 표면을 아노다이징 처리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가) 간이화분과 같은 저가의 화분을 본체의 내부에 수납하여 고가의 화분 없이도 보다 향상된 미관을 제공할 수 있고, 최초 식물의 식재나 교체를 위한 분갈이 작업이 필요 없어 화분 관리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나) 화분에서 배출된 물과 토양이 화분 하측에 이격되어 내장된 집수기에 수집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물받이를 구비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종래의 물받이를 사용할 경우와는 달리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져 식물의 성장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배출된 물과 토양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넘치지 않아 화분과 그 주변의 미관 및 청결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화분 관리가 더욱 간편하게 된다.
(다) 화분의 외장부를 이루는 본체를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으로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화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미감을 제공하여 화분의 장식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 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외장용기의 일실시예를 분리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분 외장용기를 결합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분 외장용기는 상하로 연통된 수용공간을 내부에 구비한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상부 입구 측에 결합되는 상부캡(110)과, 상기 본체(100)의 하부 입구 측에 결합되는 집수기(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화분의 외장부를 이루는 주요 부분으로, 합성수지나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기존과 다른 질감을 줄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출 성형을 통해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경량화에 유리한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본체(100)의 표면은 아노다이징(산화부식피막) 처리를 통해 표면강도를 높이고 부식을 방지하며 착색 및 광택 효과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본체(100)의 측벽부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토양의 공기 소통을 위한 통풍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캡(110)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감재로 기능하는 한편, 화분(10)을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이룬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캡(110)은 본체(100)의 상단을 커버하는 외장부(115)의 하부에 본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부(111)가 형성되고, 그 내측 상부에 상기 화분(10)의 입구측 돌출부가 안착되는 지지부(113)가 구비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집수기(120)는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화분(10)으로부터 배출된 물과 토양을 수용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21)을 구비한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의 벽체는 상기 본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부(125)를 이룬다. 이 집수기(120)를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결합부(125)에 본체(100) 내벽면에 탄성적으로 가압 밀착되는 고정편(12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5)에는 고정편(127)이 끼워지는 끼움홈(125a)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127)의 전면에는 본체(100)에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안내부(127a)와 본체(100)의 내벽면을 가압밀착하는 압착면(127b)이 형성되어 집수기(120)가 본체(10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고정편(127)에 의해 내벽면에 가압밀착되면 본체(100)와 집수기(120)의 고정력이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캡(110)과 집수기(120)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제조비용 및 사용 편의성 등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화분 외장재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식물이 식재된 화분(10)을 수용하여 종래와 다른 새로운 감각의 화분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화원 등에서 판매되는 식물과 함께 제공된 간이화분과 같은 저렴한 화분(10)을 그 입구 부분(11)이 상기 상부캡(110)의 지지부(113)에 안착되도록 본체(100) 내부에 거치하면, 종래의 통상적 화분 형태에서 탈피한 본체(100)의 외형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화분을 이루게 되므로, 특히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 재질이 주는 금속의 질감에 의해 저렴한 화분(10) 만으로도 높은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화분에 식재된 식물을 다른 것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 종래와 같이 번거로운 식재작업을 할 필요 없이 기존의 화분을 빼낸 다음 새로운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거치하면 되므로, 화분 관리가 간편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화분(10)에 공급된 물 중 잉여된 수분과 토양이 화분(10)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된 후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하부의 집수기(120)에 수집되므 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토양의 수분함유가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배수된 물이 내장형으로 구비된 상기 집수기(120)에 수집되므로, 별도의 물받이를 화분 밑에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종래의 물받이에 화분으로부터 배출된 토양과 물이 고이고 넘침으로 인해 발생되었던 미관 및 청결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외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본체(100), 상부캡(110), 및 집수기(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캡(110)이 각각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어 동심원 상에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캡부재(110a, 110b, 110c, 110d)로 이루어지고, 각 캡부재(110a, 110b, 110c, 110d)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부(113)가 순차적으로 다른 직경의 안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수납되는 화분(10)의 크기에 따라 화분(10)의 입구 부분(11)을 안착시키기에 적합한 크기의 상부캡(110)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 갯수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화분(10)에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외장용기의 일실시예를 분해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결합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외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4)
- 화분(10)이 수납되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관체 형태의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어 본체(100)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환형부재로 이루어지며 본체(100)에 수납되는 화분(10)의 입구 부분(11)이 안착되는 지지부(113)을 구비한 상부캡(110); 및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삽입 결합되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져 화분(10)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된 물을 수용하는 집수기(120)를 포함하되,상기 집수기(120)는 벽체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100)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25)의 외벽면에 둘레 방향으로 상기 본체(100)의 내벽면과 탄성적으로 가압 밀착되는 다수개의 고정편(12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외장용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상부캡(110)이 각각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어 동심원 상에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캡부재(110a, 110b, 110c, 110d)로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다른 직경의 화분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된 화분 외장용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본체(100)는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고 표면을 아노다이징 처리하여 형성된 화분 외장용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결합부(125)에는 고정편(127)이 끼워지는 끼움홈(125a)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127)의 전면에는 본체(100)에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안내부(127a)와 본체(100)의 내벽면을 가압밀착하는 압착면(127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외장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7111U KR200446453Y1 (ko) | 2007-10-23 | 2007-10-23 | 화분 외장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7111U KR200446453Y1 (ko) | 2007-10-23 | 2007-10-23 | 화분 외장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3904U KR20090003904U (ko) | 2009-04-28 |
KR200446453Y1 true KR200446453Y1 (ko) | 2009-10-30 |
Family
ID=4128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7111U KR200446453Y1 (ko) | 2007-10-23 | 2007-10-23 | 화분 외장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6453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4491A (ko) | 2014-08-26 | 2016-03-07 | 주식회사하이트론씨스템즈 | 고 중량 감시 카메라용 조립 설치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6660Y1 (ko) * | 1990-08-29 | 1992-09-25 | 최정자 | 화분 케이스 |
KR200300226Y1 (ko) * | 2002-10-18 | 2003-01-10 | 하상훈 | 화분커버 |
JP2003134937A (ja) | 2001-10-29 | 2003-05-13 | Goto Yokohama Jimusho:Kk | 植木鉢ケース |
-
2007
- 2007-10-23 KR KR2020070017111U patent/KR20044645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6660Y1 (ko) * | 1990-08-29 | 1992-09-25 | 최정자 | 화분 케이스 |
JP2003134937A (ja) | 2001-10-29 | 2003-05-13 | Goto Yokohama Jimusho:Kk | 植木鉢ケース |
KR200300226Y1 (ko) * | 2002-10-18 | 2003-01-10 | 하상훈 | 화분커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3904U (ko) | 2009-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6202276A1 (en) | Plant bowl | |
US20090065504A1 (en) | Rainwater collector and lid | |
KR100792582B1 (ko) |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 |
KR200446453Y1 (ko) | 화분 외장용기 | |
KR200412714Y1 (ko) | 돌출부 및 급수구가 형성된 이중 화분 | |
KR200214155Y1 (ko) | 화분 | |
CN105594480A (zh) | 一种花架 | |
KR20150083316A (ko) | 꽃꽂이 병 | |
KR100997306B1 (ko) |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 |
US20170000049A1 (en) | Garden plant watering device | |
KR200445650Y1 (ko) | 분리형 화분 | |
KR102346341B1 (ko) | 분리형 화분 | |
KR200367528Y1 (ko) | 급수식 다용도 화분 | |
KR102377902B1 (ko) | 자동 관수 화분 | |
KR200300226Y1 (ko) | 화분커버 | |
US20090173003A1 (en) | Plant care device | |
CN201238502Y (zh) | 花盆 | |
CN101617612A (zh) | 花盆 | |
CN2234694Y (zh) | 组装式水培花盆 | |
GB2118415A (en) | Decorative flower pot | |
CN2265671Y (zh) | 多功能工艺花盆 | |
KR102538925B1 (ko) | 저면급수 화분 | |
KR20180002505U (ko) | 다단 분리 가능한 화분 | |
CN210076081U (zh) | 鱼植共养盆 | |
WO1993003657A1 (fr) | Dispositif de bac floral ou cache-pot avec une tres grande reserve d'eau, sans risque de surirrig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