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341B1 - 분리형 화분 - Google Patents

분리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341B1
KR102346341B1 KR1020190171667A KR20190171667A KR102346341B1 KR 102346341 B1 KR102346341 B1 KR 102346341B1 KR 1020190171667 A KR1020190171667 A KR 1020190171667A KR 20190171667 A KR20190171667 A KR 20190171667A KR 102346341 B1 KR102346341 B1 KR 102346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flowerpot
coupling
semi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9656A (ko
Inventor
정기성
Original Assignee
정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성 filed Critical 정기성
Priority to KR1020190171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341B1/ko
Priority to PCT/KR2020/018175 priority patent/WO2021125707A1/ko
Publication of KR20210079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을 식재하도록 제1반조립체와 제2반조립체로 분리가능하게 조합되는 화분본체와, 화분본체 내에 구비되어 수조에 채워진 물로 수분을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수분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수분공급수단 및 수분공급수단과 함께 화분본체를 받치고, 분갈이 때에는 화분본체를 지면으로부터 간편하게 회전 상승시킨 다음, 화분본체의 제1반조립체와 제2반조립체를 상부에서 순간 가압하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화분본체의 분리 후 분갈이 작업을 좁은 공간에서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분리형 화분{Detachable flowerpot}
본 발명은 분리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분리형 화분을 개선하여 화분이 놓은 지면으로부터 화분을 일정높이로 위치시켜 분갈이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더불어 화분에 식재되어 성장중인 식물(수목)에 지속적인 수분공급기간을 대폭 늘려 발육할 수 있도록 하여 중대형 화분사용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분리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사무실 내에서 환경미화 목적과 더불어 실내공기 환원을 위해 자연 친화적으로 화분에 식물을 식재하여 키우게 된다.
식물을 화분에 식재하여 키우는 경우, 발육, 성장을 위해서는 햇빛, 적정의 영양공급 및 수분공급이 최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제일 중요하게는 수분공급이 제때 이루어지는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장기간 집이나 사무실을 비우게 될 경우 물을 충분히 주지만, 시간이 오랠될수록 수분공급이 어려워 별도의 수분 공급기를 제공하여 화분 옆에 장착하여 수분이 서서히 공급되게 하여 식물이 마르지 않게 보호해주어야 한다.
또한, 식물을 발육, 성장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분갈이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때에는 식재된 식물을 화분에서 흙과 뿌리부분을 함께 분리시켜 좀더 큰 화분으로 옮겨심는다.
대부분 소형화분은 간단히 화분을 뒤집은 상태에서 화분에 채워진 흙과 화분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지만, 특히 분갈이가 쉽지 않은 중대형 크기의 화분은 식물의 뿌리가 다치지 않는 범위에서 흙을 소량씩 들어내어 뿌리부분을 캐내는 형태로 들어내어 분갈이를 하여야 한다.
대부분 중대형 크기의 화분에 채워진 흙은 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화분에 단단히 채워져 있고, 무게가 상당하여 상기 화분을 소형 화분처럼 엎어 흙을 쉽게 빼낼 수도 없지만 이러한 분갈이 방식의 작업은 베란다 등의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하기란 더더욱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분리형 화분 혹은 조립식 화분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수분이 자동 보충되는 관상용 화분으로서, 그 구성은 물을 담아두는 화분 하부 케이스와; 상기 화분 하부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분의 공급을 받고, 토양이 담겨져 식물이 생육되는 화분 상부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화분 하부 케이스는 워터 챔버와 워터 챔버의 상부에 형성된 다이아프램 결합공을 갖는 하부 케이스 본체와; 상기 하부 케이스 본체에 일체된 상태로 상기 화분 상부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두는 워터 보충용 챔버, 워터 보충용 챔버의 상부에 형성된 워터 주입구, 워터 보충용 챔버내 바닥면 1개소에 상기 워터 챔버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워터 보충용 개폐구를 갖는 워터 보충 탱크와; 상기 워터 챔버의 벽측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밸브 레버와; 상기 밸브 레버의 일단에 연결되어 워터 챔버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따라 수면에 부상하는 부구와; 상기 밸브 레버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구의 높낮이 위치에 따라 상기 워터 챔버에 물이 부족하게 되면 상기 워터 보충용 개폐구를 개방하고, 워터 챔버에 물이 가득 차면 상기 워터 보충용 개폐구를 닫는 워터 보충용 밸브와; 상기 다이아프램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화분 상부 케이스의 바닥을 지지하고, 복수개 이상의 심지꽂이용 타공포켓을 갖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심지꽂이용 타공포켓에 삽입되어지는 수분공급용 모세심지;로 구성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화분은 화분 하부 케이스로부터 밸브 개폐방식에 의해 지속적인 수분의 공급이 화분 상부 케이스 내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위의 감소를 LED 점등의 색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물 주입시기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고, 화분 내 수분함수율을 스마트 워치 등의 단말기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수분이 자동 보충되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조립식 화분이며, 바닥부와 원주방향을 따라 분할된 다수개의 분할측벽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의 윗면 가장자리 일부에 다수개의 역사다리꼴형 결합레일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주면을 따라 호형으로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양쪽 결합레일 사이에는 오목한 결합홈이 원주면을 따라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레일과 결합홈이 교대하여 배열되어서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분할측벽판은 그 하단에 결합레일과 결합하도록 역사다리꼴 형상의 오목홈을 구비한 걸림분할판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한 삽입분할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걸림분할판과 삽입분할판의 길이방향 모서리에는 각각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결합시킬 수 있게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화분은 바닥면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레일에 걸림분할판을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지지가 되게 하고, 상기 걸림분할판 사이에 삽입분할판을 상단에서 끼워 넣어 걸림분할판과 삽입분할판이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화분을 간단하고 단단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게 하여, 분갈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3은, 수조가 구비된 기능성 화분으로서, 이에 대한 구성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측벽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흙이 충전되는 화분 본체; 하단부가 상기 화분 본체 내의 바닥부에 접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충전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의 상부 개구에 배치되되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부 수조의 물이 자연증발 하면서 식물뿌리에 물을 일정기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3은 수분공급이 이루어져 장기간 식물성장에 따른 관리가 용이한 반면에, 분갈이는 어려운 구조를 갖으며, 특허문헌 2에서의 분할 조립식의 화분은 초기에 흙을 담기 전 화분형태로 조립은 용이하나 많은 양의 흙이 채워져 식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각부의 분리가 수월하지 못하기 때문에 특히 중대형 크기의 화분일 경우에는 분갈이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767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880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84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분리형 화분을 개선하여 화분이 놓은 지면으로부터 화분을 일정높이로 위치시켜 분갈이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더불어 화분에 식재되어 성장중인 식물에 지속적인 수분공급기간을 대폭 늘려 발육할 수 있도록 하여 중대형 화분사용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분리형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화분은,
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다각면을 갖는 측면부 상부에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의 양측 상부에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측면부의 양측 길이 변 중간에 제2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측면부의 양측 상부에 제1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측면부의 하부 내측면에 받침돌부가 형성된 제1반조립체와,
상기 제1반조립체와 맞대응되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다각면을 갖는 측면부 상부에 외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함몰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의 양측 상부에 상기 제1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측면부의 양측 길이 변 중간에 상기 제2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측면부의 양측 상부에 상기 제3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연결부가 마련되며, 측면부의 하부 내측면에 받침돌부가 형성된 제2반조립체로 이루어져 분할조립되는 화분본체;
중공으로 상단에 ㄴ자형 체결홈이 다수개 형성된 내통부 및 내통부의 외곽방향으로 상기 제1반조립체 및 제2반조립체의 내면에 안내되는 다각형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물 수용을 위한 깊이를 갖는 외통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 하부에 드레인밸브가 마련되고, 하단 가장자리에 상기 받침돌부와 결합되는 결합요홈부가 다수개 형성된 수조와,
중공의 원통형체로, 상부에 다수개의 끼움돌기가 마련된 플랜지부 및 플랜지부의 하부측 외측둘레에 상기 내통부의 ㄴ자형 체결홈에 안내 조립되는 체결돌기가 다수개 형성되고 저부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결합돌부가 형성된 연결조립부재와,
상부 중앙에 상향 만곡지고, 저부에 상기 플랜지부의 끼움돌기와 결합되는 조립홈이 다수개 형성죄고, 상부 중앙에 손잡이가 마련된 갓부 및 갓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메쉬부가 외측으로 하향 만곡지게 부착 구비된 커버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조립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조의 내통부와 외통부 사이에 유입되는 흙(모래)과 물을 구획하는 수분공급수단;
중공의 원통형체로, 상단 외측둘레에 상기 결합돌부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결합요철부가 형성되고, 내경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리프팅부재와,
원통형체로 외측둘레에 상기 리프팅부재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체결부가 형성되며, 수나사체결부가 끝나는 하부 외측둘레에 리프팅부재의 저면이 받쳐지는 제1받침턱이 형성되고, 제1받침턱의 외측 하부에 일체로 확장 형성되어 화분본체의 저부를 받치고 화분본체의 수직가이드부를 안내하는 제2받침턱이 형성된 바닥받침부재로 구성된 화분받침대;
화분받침대를 수용하는 커버받침 및 상기 화분본체의 상단을 덮는 상부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프팅부재의 외측둘레에는 암나사부와 연통되는 강구삽입구 및 강구삽입구에 각각 강구가 개재되고, 상기 강구 삽입구에는 강구의 이탈방지를 위한 무두볼트가 체결되어 바닥받침부재에 리프팅부재가 볼스크류 체결방식으로 나사결합되어 암나사부로터 수나사체결부의 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닥받침부재의 제2받침턱 저면에는 내경과 통하는 배수홈이 다수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받침턱이 위치한 내경에는 십자형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화분은, 식물을 식재하도록 제1반조립체와 제2반조립체로 분리가능하게 조합되는 화분본체와, 화분본체 내에 구비되어 수조에 채워진 물로 수분을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수분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수분공급수단 및 수분공급수단과 함께 화분본체를 받치고, 분갈이 때에는 화분본체를 지면으로부터 간편하게 회전 상승시킨 다음, 화분본체의 제1반조립체와 제2반조립체를 상부에서 순간 가압하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화분본체의 분리 후 분갈이 작업을 좁은 공간에서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분리형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화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화분본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수분공급수단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바닥받침부재의 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형 화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분리형 화분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받침대의 바닥받침부재로부터 리프팅부재와 화분본체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화분본체를 상단부분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화분본체의 양방향 분리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화분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분본체(100), 수분공급수단(200), 바닥받침대(300)로 크게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화분본체(100)는, 제1반조립체(110)와 제2반조립체(120)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각각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다각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반조립체(110)는 다각면을 갖는 측면부(111) 상부에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손잡이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11)의 양측 상부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113), 상기 측면부의 양측 길이 변 중간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114)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측면부(111)의 양측 하부에 마련되는 제3결합부(115)가 마련되고, 측면부의 하부 내측면에 받침돌부(116)가 형성된다.
상기 제2반조립체(120)는, 다각면을 갖는 측면부(121) 상부에 외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손잡이(122)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의 양측 상부에 마련되어 제1결합부(113)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123), 상기 측면부의 양측 길이 변 중간에 마련되어 제2결합부(114)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124)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측면부의 양측 하부에 마련되어 제3결합부(115)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연결부(125)가 각각 마련되고, 측면부의 하부 내측면에 받침돌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상의 제1결합부는 제1연결부에 대해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고, 제3결합부는 제3연결부에 대해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고, 제2결합부는 제2연결부에 대해 단추와 같이 채우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면상에서의 상기 제1반조립체(110)와 제2반조립체(120)의 조합은 8각 형태를 이루는 화분본체(100)로서, 그 외 6각형으로도 제작 가능하다.
상기 화분본체(100)는 내구성을 갖는 합성수지계열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성형 제작된다.
상기 수분공급수단(200)은 상기 화분본체(100) 내부에 안내 설치되는 수조(210)와, 연결조립부재(220)와, 커버부재(230)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조립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조의 내통부와 외통부 사이에 유입되는 흙(모래)과 물을 구획하는 용도로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이다.
상기 수조(210)는 그 중심부가 중공으로 상단에 ㄴ자형 체결홈(211a)이 다수개 형성된 내통부(211) 및 내통부의 외곽방향으로 상기 제1반조립체(110) 및 제2반조립체(120)의 내면에 안내되는 다각형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물 수용을 위한 깊이를 갖는 외통부(212)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수조의 저면은 상기 제1반조립체(110)와 제2반조립체(120)의 내면에 형성된 받침돌부(116)(126)에 안착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조(210)에 있어, 측면 하부에 수조내에 채워진 물을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밸브(213)가 마련되고,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받침돌부(116)(126)와 결합되는 결합요홈부(214)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조립부재(220)는 중공의 원통형체로서, 상부에 다수개의 끼움돌기(221a)가 마련된 플랜지부(221) 및 플랜지부의 하부측 외측둘레에 상기 내통부의 ㄴ자형 체결홈(211a)에 안내 조립되는 체결돌기(221b)가 다수개 형성되고 저부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결합돌부(221c)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230)는 상부 중앙에 상향 만곡지고, 저부에 상기 플랜지부(221)의 끼움돌기(221a)와 결합되는 조립홈(231a)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함몰 손잡이(231a)가 형성된 갓부(231) 및 갓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메쉬부(232)가 외측으로 하향 만곡지게 부착 구비되어 상기 수조(210)에 설치된다.
상기 갓부(231) 부분에는 화분에 채워지는 흙을 받치는 형태이고, 상기 메쉬부(232)는 부식이 없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소재로서 수조(210) 내부로 물이 통과되고 굵은 입자의 흙은 받쳐지는 형태로 수조 내부를 구획한다.
한편, 상기 화분받침대(300)는 리프팅부재(310)와 바닥받침부재(320)로 구성되며, 상기 리프팅부재(310)는 중공의 원통형체로, 상단 외측둘레에 상기 결합돌부(221c)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결합요철부(311)가 형성되고, 내경에 암나사부(312)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받침부재(320)는 원통형체로 외측둘레에 상기 리프팅부재(310)의 암나사부(312)에 체결되는 수나사체결부(321)가 형성되며, 수나사체결부가 끝나는 하부 외측둘레에 리프팅부재(310)의 저면이 받쳐지는 제1받침턱(322)이 형성되고, 제1받침턱의 외측 하부에 제2받침턱(323)이 일체로 확장 형성다.
상기 제2받침턱(323)의 저면에는 안정감을 위해 논슬립 패드가 부착되어 유동되지 않게 받쳐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닥받침부재(320)의 제2받침턱(323) 저면에는 내경과 통하는 배수홈(323a)이 다수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받침턱(323)이 위치한 내경에는 십자형 손잡이(323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리프팅부재(310)의 외측둘레에는 암나사부(312)와 연통되는 강구삽입구(313) 및 강구삽입구에 각각 강구(B)가 개재되고, 상기 강구 삽입구에는 강구의 이탈방지를 위한 무두볼트(314)가 체결되어 바닥받침부재(120)에 리프팅부재(310)가 볼스크류 체결방식으로 나사결합되어 암나사부로터 수나사체결부의 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된다.
상기 강구는 이탈방지 목적 외에 베어링 역할을 수행하여 나사체결방향 혹은 풀림방향으로 회전시 바닥받침부재(320)로부터 리프팅부재(310)의 원활한 승하강 동작을 돕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본체(100)의 상부에는 상부덮개(50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받침부재(320)의 저면에는 커버받침(400)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덮개(500)는 화분본체(100)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화분 본체 내에 흙을 담아 놓은 상태에서 비료와 숙성시에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부에 손잡이부가 마련된다.
상기 커버받침(400)은 바닥받침부재(320) 바닥 측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받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화분받침 용도와 동일하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A는 화분에 식재된 식물을 나타내고, 부호 E는 흙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분리형 화분을 이용한 식물재배 및 분갈이에 다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화분본체(100)는 제1반조립체(110)에 형성된 제1결합부(113), 제2결합부(114)를 제2반조립체(120)의 제1연결부(123), 제2연결부(124)에 일치시켜 제1반조립체(110)를 제2반조립체(120)에 대해 각각 결합하여 하나의 화분본체를 형성하게 된다.
수분공급수단(200)의 조립은 연결조립부재(220)의 플랜지부(221) 상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돌기(221a)를 커버부재(230)의 갓부(231) 저면에 마련된 조립홈(231a)에 일치시켜 결합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230)의 메쉬부(232)는 상기 수조(210)의 내통부(211)와 외통부(212)사이에 그 끝단이 안착되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조립부재(220)와 커버부재(230)의 조립이 완성되면, 연결조립부재(220)를 준비된 수조(210)의 내통부에 안치시키면서 그 외측둘레에 형성된 체결돌기(221b)를 내통부(211)의 ㄴ자형 체결홈(211a)에 일치시켜 안착되게 한 후 체결방향으로 상기 연결조립부재(220)를 회전시키면, 상기 ㄴ자형 체결홈(211a)에 체결돌기(221b)가 각각 결속되어 수조(210)와 함께 상기 커버부재(230)를 포함한 연결조립부재(220)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합된 화분본체(100) 내에 수분공급수단(200)을 안치시키면, 수조의 외통부(212)는 화분본체(100)의 내측 각진 형상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수조(210)의 저면은 제1반조립체(110)와 제2반조립체(120)의 내면에 형성된 받침돌부(116)(126)에 받쳐져 안착된다. 즉, 수조(210)의 외측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요홈(214)이 상기 받침돌부(116)(126)를 수용되게 결합되어 수조(210)를 받치는 형태로 제1반조립체(110)와 제2반조립체(120) 내에서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수조(210)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화분받침대(300)를 안착된 수조(210)와 연결된 연결조립부재(220)와 결합시켜 준다.
상기 화분받침대(300)를 구성하는 리프팅부재(310)는 바닥받침부재(320)와 선결합을 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받침부재(320)의 하부 내경 측에 마련된 십자형 손잡이(323b)를 잡고 바닥받침부재(32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켜 연결한다.
이때, 상기 바닥받침부재(320)의 수나사체결부(321)를 리프팅부재(310)의 하부측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부(312)와 체결하되, 상기 리프팅부재(310)의 외측둘레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강구삽입구(313)에 강구(B)를 삽입하고, 강구삽입구(313)에는 무두볼트(314)로 체결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바닥받침부재(320)의 체결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라면, 리프팅부재(310)의 저면은 상기 바닥받침부재(320)의 제1받침턱(322)에 안착된 상태이고, 화분본체(100)의 바닥부(117)에 형성된 호형의 수직가이드부(118)은 상기 바닥받침부재(320)의 제2받침턱(323) 외측둘레를 수용하는 형태로 상하 가이드되는 형태로 조합된다.
상기 강구(B)는 암나사부(312)에 체결되는 바닥받침부재(320)의 수나사체결부(321)의 나선가이드 역할로서 리프팅부재(310)의 승강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바닥받침부재(320)의 수나사체결부(321)가 암나사부(312)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리프팅부재(310)와 바닥받침부재(3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부재(310)의 상단 외측둘레에 형성된 결합요철부(311)를 연결조립부재(220)에 일치시켜 조립하면, 화분본체(100), 수분공급수단(200), 화분받침대(300)의 조립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화분을 제공한 상태에서 상기 화분본체(100) 내부에는 입자가 각기 다른 흙(E) 투입과 함께 식물(A)을 식재한다. 여기서 투입되는 흙은 상기 커버부재(230)의 메쉬부(232)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식물의 뿌리를 잡아주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물을 주면, 물은 흙을 통해 내부로 흡수됨과 수조(210)로 채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을 여유있게 공급하면, 상기 커버부재(230)의 만곡진 갓부(231)에서 메쉬부(232)측으로 물이 유입되고, 메쉬부를 거쳐 메쉬부의 안쪽부분에 해당하는 내통부(211)와 외통부(212) 사이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가령, 내통부의 상단을 넘어서는 정도로 물이 채워지면, 여기서 물은 내통부(211)의 상부로 오버플로우되고, 오버플로우된 물은 화분받침대(300)인 리프팅부재(310)와 바닥받침부재의 내경을 통해 지면과 접한 바닥받침부재(320) 저부측 배수홈(323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는 하부측 커버받침(500)에 최종 집수된다.
이로 하여금 충분히 물을 공급하였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와 물이 충분히 채워진 상태라면, 수분을 상당하게 머금고 있게 되며, 수조(210) 내에 있는 물은 흙 매체를 통해 서서히 식물에 필요한 수분공급을 하기 때문에 장기간 외출시 별도의 물을 주지 않고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식물의 성장 정도에 따라 분갈이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화분받침대로부터 화분 본체를 소정높이로 승강시켜 준다.
이러한 작업은 화분본체(100)를 잡고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상대적으로 리프팅부재(310)는 바닥받침부재(320)의 수나사체결부(321)에서 상승되고, 강구(B)에 의해 그 이상 상승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화분본체(100)를 상승시켜줌으로써, 무겁게 화분 전체를 들고 분갈이 하는 작업에 비해 작업이 한결 간단해짐은 물론, 베란다 등의 좁은 공간에서도 충분히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반조립체(110)와 제2반조립체(120)의 상부측에 형성된 손잡이부를 각각 잡고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화분본체(100)를 하향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동작은 화분받침대(300)와 연결된 수분공급수단(200)에 대해 상기 화분본체(100)의 내면은 그 내부에 채워진 흙(E)과 분리하기 용이한 형태로 만들어 줄 수 있게 되며, 여기서 제1반조립체(110)에 형성된 제1결합부(113), 제2결합부(114), 제2반조립체(120)의 제1연결부(123), 제2연결부(124)로부터 각각 분리시켜 주면, 첨부된 도 10에서와 같이 제1반조립체(110)와 제2반조립체(120)를 양측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반조립체(110)와 제2반조립체(120)의 분리가 이루어지면, 식재된 식물은 흙과 분리하여 새로운 화분에 분갈이를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화분본체 110: 제1반조립체
120: 제2반조립체 200: 수분공급수단
210: 수조 220: 연결조립부재
230: 커버부재 300: 화분받침대
310: 리프팅부재 320: 바닥받침부재
400: 받침커버 500: 상부덮개
A: 식물 B: 강구
E: 흙

Claims (3)

  1. 분리형 화분에 있어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다각면을 갖는 측면부(111) 상부에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손잡이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11)의 양측 상부에 제1결합부(113)가 마련되고, 상기 측면부(111)의 양측 길이 변 중간에 제2결합부(114)가 마련되고, 상기 측면부(111)의 양측 하부에 제3결합부(115)가 마련되며, 상기 측면부의 하부 내측면에 받침돌부(116)가 형성된 제1반조립체(110)와,
    상기 제1반조립체(110)와 맞대응되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다각면을 갖는 측면부(121) 상부에 외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함몰 손잡이(122)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의 양측 상부에 상기 제1결합부(113)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123)가 마련되고, 상기 측면부의 양측 길이 변 중간에 상기 제2결합부(114)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124)가 마련되고, 상기 측면부의 양측 하부에 상기 제3결합부(115)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연결부(125)가 마련되며, 측면부의 하부 내측면에 받침돌부(126)가 형성된 제2반조립체(120)로 이루어져 분할조립되는 화분본체(100);
    중공으로 상단에 ㄴ자형 체결홈(211a)이 다수개 형성된 내통부(211) 및 내통부의 외곽방향으로 상기 제1반조립체(110) 및 제2반조립체(120)의 내면에 안내되는 다각형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물 수용을 위한 깊이를 갖는 외통부(2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 하부에 드레인밸브(213)가 마련되고, 하단 가장자리에 상기 받침돌부와 결합되는 결합요홈부(214)가 다수개 형성된 수조(210)와,
    중공의 원통형체로, 상부에 다수개의 끼움돌기(221a)가 마련된 플랜지부(221) 및 플랜지부의 하부측 외측둘레에 상기 내통부의 ㄴ자형 체결홈(211a)에 안내 조립되는 체결돌기(221b)가 다수개 형성되고 저부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결합돌부(221c)가 형성된 연결조립부재(220)와,
    상부 중앙에 상향 만곡지고, 저부에 상기 플랜지부(221)의 끼움돌기(221a)와 결합되는 조립홈(231a)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손잡이(231a)가 마련된 갓부(231) 및 갓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메쉬부(232)가 외측으로 하향 만곡지게 부착 구비된 커버부재(230)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조립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조(210)의 내통부(211)와 외통부(212) 사이에 유입되는 흙(모래)과 물을 구획하는 수분공급수단(200);
    중공의 원통형체로, 상단 외측둘레에 상기 결합돌부(221c)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결합요철부(311)가 형성되고, 내경에 암나사부(312)가 형성된 리프팅부재(310)와,
    원통형체로 외측둘레에 상기 리프팅부재(310)의 암나사부(312)에 체결되는 수나사체결부(321)가 형성되며, 수나사체결부가 끝나는 하부 외측둘레에 리프팅부재(310)의 저면이 받쳐지는 제1받침턱(322)이 형성되고, 제1받침턱의 외측 하부에 일체로 확장 형성되어 화분본체(100)의 저부를 받치고 화분본체의 수직가이드부(118)(128)를 안내하는 제2받침턱(323)이 형성된 바닥받침부재(320)로 구성된 화분받침대(300);
    화분받침대(300)를 수용하는 커버받침(400) 및 상기 화분본체(100)의 상단을 덮는 상부덮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재(310)의 외측둘레에는 암나사부(312)와 연통되는 강구삽입구(313) 및 강구삽입구에 각각 강구(B)가 개재되고, 상기 강구 삽입구에는 강구의 이탈방지를 위한 무두볼트(314)가 체결되어 바닥받침부재(120)에 리프팅부재(310)가 볼스크류 체결방식으로 나사결합되어 암나사부로터 수나사체결부의 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받침부재(320)의 제2받침턱(323) 저면에는 내경과 통하는 배수홈(323a)이 다수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받침턱(323)이 위치한 내경에는 십자형 손잡이(323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화분.
KR1020190171667A 2019-12-20 2019-12-20 분리형 화분 KR102346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667A KR102346341B1 (ko) 2019-12-20 2019-12-20 분리형 화분
PCT/KR2020/018175 WO2021125707A1 (ko) 2019-12-20 2020-12-11 분리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667A KR102346341B1 (ko) 2019-12-20 2019-12-20 분리형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656A KR20210079656A (ko) 2021-06-30
KR102346341B1 true KR102346341B1 (ko) 2022-01-03

Family

ID=7647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667A KR102346341B1 (ko) 2019-12-20 2019-12-20 분리형 화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6341B1 (ko)
WO (1) WO20211257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9245B (zh) * 2021-11-29 2023-04-18 江西省永盛园艺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多肉植物种植的多功能种植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353B2 (ja) 1998-04-17 2000-08-14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再生方法
KR200398808Y1 (ko) 2005-07-18 2005-10-18 유재환 조립식 화분
KR200463030Y1 (ko) 2012-07-30 2012-10-18 김민석 다기능 화분 받침대
US20190183063A1 (en) 2017-12-20 2019-06-20 Classic Home and Garden, LLC Stackable self-watering planter with removable ris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353U (ja) * 2000-08-01 2001-02-16 宏治 坪野 二重底式鉢兼鉢カバー
KR20160044223A (ko) * 2014-10-15 2016-04-25 장명진 어항이 구비된 회전식 화분
KR101677675B1 (ko) 2016-02-29 2016-11-24 박세연 수분이 자동 보충되는 관상용 화분
JP2018029564A (ja) * 2016-08-26 2018-03-01 株式会社矢板製作所 植木鉢
KR200488475Y1 (ko) 2018-06-08 2019-02-08 진예빈 수조가 구비된 기능성 화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353B2 (ja) 1998-04-17 2000-08-14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再生方法
KR200398808Y1 (ko) 2005-07-18 2005-10-18 유재환 조립식 화분
KR200463030Y1 (ko) 2012-07-30 2012-10-18 김민석 다기능 화분 받침대
US20190183063A1 (en) 2017-12-20 2019-06-20 Classic Home and Garden, LLC Stackable self-watering planter with removable ri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656A (ko) 2021-06-30
WO2021125707A1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8415A (en) Multi-purpose self-watering system
KR101291237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200420135Y1 (ko) 환경 미화용 분리형 수경화분
EP1146785A1 (en) Plant container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US20050060934A1 (en) Plant wet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303247B1 (ko)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
KR102346341B1 (ko) 분리형 화분
KR101343379B1 (ko) 화분
US20060191196A1 (en) Planter and a planter assembly
KR20130046793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101548154B1 (ko) 모듈형 식물재배기
KR100792582B1 (ko)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KR100419903B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US20050166455A1 (en) Plant pot
KR20150103390A (ko) 무동력 관수 화분
SE541315C2 (en) Vertical growing system and use of such system for plant growing
KR102320508B1 (ko) 적층식 화분
JPH0724039Y2 (ja) 着生植物用鉢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JP4003103B2 (ja) 自動灌水植物栽培容器
KR200367512Y1 (ko)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KR20170003332U (ko) 포트 꽂이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