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888B1 -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 - Google Patents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888B1
KR101322888B1 KR1020110101423A KR20110101423A KR101322888B1 KR 101322888 B1 KR101322888 B1 KR 101322888B1 KR 1020110101423 A KR1020110101423 A KR 1020110101423A KR 20110101423 A KR20110101423 A KR 20110101423A KR 101322888 B1 KR101322888 B1 KR 101322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t
receptor
plat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8089A (ko
Inventor
정기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시
Priority to CN201210024396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920225A/zh
Publication of KR20130018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물을 내부에 저장시킬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수분공급용심지를 갖는 다수의 화분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을 형성하여, 화분이 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수분공급용심지를 통하여 수분(물)이 화분측으로 자동 공급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다층구조로 형성하여 좁은 공간에 많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물을 저장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되되, 바닥면에는 일정량 이상의 물은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도록 대응되는 단면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상부로 공급되는 물을 몸체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 아울러 또한, 판상에는 식물이 식재되고 저면에는 수분공급용심지의 일단이 인출된 다수의 화분을 각각 수용하는 것에 의해 수분공급용심지가 몸체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덮개로 구성된 다수의 화분수용체와, 상기 다수의 화분수용체를 서로 이격되게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다수의 화분수용체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적층된 화분수용체의 오버플로우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에 설치되는 화분수용체의 덮개부측으로 인출되어 최상단에 위치된 화분수용체로 공급된 물을 하부에 설치된 화분수용체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물공급용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The pot holder where the moisture supply is possible}
본 발명은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내부에 저장시킬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수분공급용심지를 갖는 다수의 화분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을 형성하여, 화분이 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수분공급용심지를 통하여 수분(물)이 화분측으로 자동 공급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다층구조로 형성하여 좁은 공간에 많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 받침대는 실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공간을 갖도록 저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다리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는 화분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면을 형성하여 단일체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화분 받침대는 단순히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안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화분에 물을 많이 줄 경우, 화분 받침대의 안착면을 넘쳐흘러 바닥으로 떨어져 바닥면을 더럽히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화분 받침대의 저면에 인.입출가능한 물 받침부재를 갖춘 화분 받침대가 제안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 받침대는 화분에 식재된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야 되는데, 그 주기가 잘 맞지 않으면 식물은 쉽게 죽게 되므로 특히 초보자의 경우에는 유지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83-0000198호에 자동급수 화분받침이 게시되어 있다.
즉, 자동급수 화분받침은, 속이 비어있는 밀폐된 부력통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급수관을 천설하고 측면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측정관을 천설하고 상면판의 측면에 주수구를 천공하여 상부가 개구된 물통내에 부드럽게 함입되도록 하고 화분 바닥 구멍밑에 수직으로 부착한 흡수관이 급수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급수 화분받침은, 화분 한 개당 하나씩 설치하게 되므로, 자동급수 화분받침에 비하여 식물 재배 면적이 너무 좁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83-0000198호, 출원일:1983년1월12일 고안의 명칭:자동급수 화분받침, 4쪽 43줄~46줄, 도 1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물을 내부에 저장시킬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수분공급용심지를 갖는 다수의 화분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을 형성하여, 화분이 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수분공급용심지를 통하여 수분(물)이 화분측으로 자동 공급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다층구조로 형성하여 좁은 공간에 많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에 있어서, 물을 저장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되되, 바닥면에는 일정량 이상의 물은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도록 대응되는 단면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상부로 공급되는 물을 몸체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 아울러 또한, 판상에는 식물이 식재되고 저면에는 수분공급용심지의 일단이 인출된 다수의 화분을 각각 수용하는 것에 의해 수분공급용심지가 몸체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덮개로 구성된 다수의 화분수용체와, 상기 다수의 화분수용체를 서로 이격되게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다수의 화분수용체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적층된 화분수용체의 오버플로우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에 설치되는 화분수용체의 덮개부측으로 인출되어 최상단에 위치된 화분수용체로 공급된 물을 하부에 설치된 화분수용체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물공급용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연결수단은 화분수용체의 덮개 상면에 형성된 수용홈과 수용홈 사이의 선단부에 각각 걸림턱이 형성되게 관통된 다수의 연결홀과, 상기 다수의 연결홀에 일단이 각각 삽입되어 걸림턱에 걸림가능하도록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되, 일단과 타단 내측면에는 연결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연결바와, 상기 다수의 연결바 각 타단을 관통시키도록 몸체의 오목부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과, 상기 다수의 연결바를 서로 고정 연결시키기 위해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제1,2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에 따르면, 물을 내부에 저장시킬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수분공급용심지를 갖는 다수의 화분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을 형성하여, 화분이 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수분공급용심지를 통하여 수분(물)이 화분측으로 자동 공급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다층구조로 형성하여 좁은 공간에 많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를 도시한 일부단면 결합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를 도시한 일부단면 결합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는, 물을 내부에 저장시킬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의 상면에 수분공급용심지를 갖는 다수의 화분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 갖는 덮개로 구성된 화분수용체를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다수 적층시켜 구성함으로써, 화분이 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수분공급용심지를 통하여 수분(물)이 화분측으로 자동 공급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100)는, 물을 저장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되되, 바닥면에는 일정량 이상의 물은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관(111)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를 덮도록 대응되는 단면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상부로 공급되는 물을 몸체(11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 아울러 또한, 판상에는 식물이 식재되고 저면에는 수분공급용심지(20)의 일단이 인출된 다수의 화분(10)을 각각 수용하는 것에 의해 수분공급용심지(20)가 몸체(110)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덮개(120)로 구성된 다수의 화분수용체(130)와, 상기 다수의 화분수용체(130)를 서로 이격되게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다수의 화분수용체(130)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수단(140)과, 상기 연결수단(140)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적층된 화분수용체(130)의 오버플로우관(11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에 설치되는 화분수용체(130)의 덮개부측으로 인출되어 최상단에 위치된 화분수용체(130)로 공급된 물을 하부에 설치된 화분수용체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물공급용호스(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화분수용체(130)의 몸체(110) 외주면에는 물이 과공급될 경우 넘침되어 항상 일정한 양의 물이 몸체(110)에 저장되어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일단은 몸체에 연결되고 나머지는 절개되는 것에 의해 개폐가능한 넘침용절개판(114)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100)의 화분수용체(1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를 덮되, 상면에는 다수의 화분(10)을 각각 수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덮개(120)로 구성되는바, 상기한 몸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부는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된 삼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의 중앙부에는 공급되는 물을 일정량 저장하고 과공급된 물을 하부에 설치되는 화분수용체(130)측으로 물공급용호스(150)를 통하여 공급시킬 수 있도록 공급홀(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된 오버플로우관(11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바닥판(112)과, 상기 바닥판(112)의 테두리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것에 의해 공간부(110a)가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되, 측면은 연결수단(140)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측방향으로 들어간 오목부(113a)가 형성된 측면판(113)과, 상기 측면판(113)의 상단면으로부터 덮개(120)와의 체결을 위해 돌출 형성된 체결용돌기(도면부호 생략)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덮개(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20)의 개구된 상부를 덮되, 상면에는 다수의 화분(10)을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수용된 화분(10) 일측으로 물이 공급되는 것에 의해 몸체(110)측으로 물을 저장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덮개(120)는 상기 몸체(110)의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모서리부는 만곡된 삼각 형상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되, 저면 선단부에는 체결용돌기를 수용하여 몸체(110)와 체결가능하도록 체결용홈(도면부호 생략)이 요설되고, 상면 모서리부에는 식물이 식재되고 저면에는 수분공급용심지(20)의 일단이 인출된 화분(10)을 각각 수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분공급용심지(20)가 몸체(110)측으로 인출되어 수분을 각각 흡수가능하도록 바닥면에는 인출용홀(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된 다수의 수용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21)과 수용홈(121) 사이에는 화분(10)을 수용홈(121)으로부터 빼내지 않고도 어느 방향에서도 몸체(110)측으로 물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저장용홀(122)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다수의 수용홈(121)의 바닥면에는 화분으로부터 흙 또는 이물질이 몸체(110)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수분을 물을 먹음을 수 있는 걸름체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한 연결수단(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수용체(130)를 서로 연결시켜 화분수용체(130)가 적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연결수단(140)은 화분수용체(130)의 덮개(120) 상면에 형성된 수용홈(121)과 수용홈(121) 사이의 선단부에 각각 걸림턱(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게 관통된 다수의 연결홀(141)과, 상기 다수의 연결홀(141)에 일단이 각각 삽입되어 걸림턱에 걸림가능하도록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되, 일단과 타단 내측면에는 연결나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연결바(142)와, 상기 다수의 연결바(142) 각 타단을 관통시키도록 몸체(110)의 오목부(113a)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143)과, 상기 다수의 연결바(142)를 서로 고정 연결시키기 위해 외주면에 나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제1,2연결부재(144,14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연결수단(140)는 화분수용체(130)와 화분수용체(130)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적층가능하도록 일단과 타단 내측면에는 연결나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는 연결바(142)와, 상기 연결바(142)를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제1,2연결부재(144,145)를 포함하여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화분수용체(130)간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중공의 외부연결바(미도시함)와, 상기 외부연결바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연결바(미도시함)와, 상기 내부연결바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연결바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홀이 걸림되는 볼(미도시함)과, 상기 볼을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미도시함)으로 구성된 고정수단에 의해 길이 조절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200)는, 상부는 개구되면서 연결편(211)에 의해 방사상으로 서로 연결됨에 따른 물을 저장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바닥면에는 일정량 이상의 물은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앙부는 관통된 배출부(212)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물저장부(210)와, 상기 물저장부(210)의 상단부를 저면 테두리측으로 수용하는 것에 의해 결합되되, 중앙부에는 상부로 공급되는 물을 물저장부(21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 아울러 선단부에는 식물이 식재되고 저면에는 수분공급용심지(20)의 일단이 인출된 다수의 화분(10)을 각각 수용하는 것에 의해 수분공급용심지(20)가 물저장부(210)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다수의 화분수용편(221)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수용결합부(220)로 구성된 다수의 화분수용부(230)와, 상기 다수의 화분수용부(230)를 서로 이격되게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다수의 화분수용부(230)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용부연결수단(240)과, 상기 수용부연결수단(240)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적층된 화분수용부(230)의 배출부(21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에 설치되는 화분수용부의 수용결합부측으로 인출되어 최상단에 위치된 화분수용부로 공급된 물을 하부에 설치된 화분수용부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물공급관(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200)의 물저장부(210)는,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여 화분수용부(230)의 수용결합부(220)에 화분(10)이 수용되는 것에 의해 저면에 일단이 인출된 수분공급용심지(20)측으로 수분을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물저장부(210)는 서로에 대하여 각각 120도의 각도를 갖도록 연장된 바닥판(213)과, 상기 바닥판(213)의 선단부로부터 상향 절곡 연장되어 연결편(211)에 의해 서로 연결됨에 따른 물을 저장가능하도록 형성된 측벽판(214)과, 상기 바닥판(213)의 상면으로부터 측벽판(214)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되, 중앙부에는 물이 일정량 이상 저장되면,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된 배출부(212)로 구비된다.
상기한 수용결합부(220)는, 상기 물저장부(210)의 상단을 덮어 다수의 화분(10)을 수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으로 물 공급시 물저장부(210)측으로 자동 배출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수용결합부(220)는 물저장부(210)의 연결편(211)과 측벽판(214) 상단에 결합되어 물저장부(210)의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하여 각각 120도의 각도를 갖는 "Y"자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상면으로 물 공급시 물저장부(210)측으로 물이 자동 배출가능하도록 공급홀(222a)이 다수 형성된 결합판(222)과, 상기 결합판(222)의 연장된 부분의 끝단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되, 중앙부는 저면에 수분공급용심지(20)가 일출된 화분(10)을 수용 걸림시킬 수 있도록 관통된 화분수용편(221)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수용부연결수단(2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수용부(230)를 서로 연결시켜 화분수용부(230)가 적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수용부연결수단(240)은 수용결합부(220)의 결합판(222)상에 형성된 공급홀(222a) 사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연결결합홀(241)과, 상기 수용결합부(220)가 물저장부(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다수의 연결결합홀(241)과 일치되는 물저장부(210)의 바닥판(213) 상면에 돌출되되, 중앙부는 관통된 다수의 결합가이드편(242)과, 상기 결합가이드편(242)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최상단 하부에 설치되는 화분수용부(230)의 수용결합부(220)에 형성된 연결결합홀(241)을 관통하여 각각 스크류(243)로 결합 고정가능하도록 내주면 양단에는 결합나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결합연결바(244)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200)의 수용결합부(2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화분을 수용 걸림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을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0)을 안착시키는 것에 의해 저면에 인출된 수분공급용심지(20)를 물저장부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도있다.
즉, 상기한 수용결합부(2200)는 물저장부(2100)의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하여 각각 120도의 각도를 갖는 "Y"자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상면으로 물 공급시 물저장부(2100)측으로 물이 자동 배출가능하도록 물공급홀(2210a)이 다수 형성된 연결결합판(2210)과, 상기 연결결합판(2210)의 연장된 부분의 끝단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되, 중앙부는 화분(10)을 안착시키는 것에 의해 화분의 저면에 인출된 수분공급용심지(20)(도 1 또는 도 3참조)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심지인출용홀(2220a)이 각각 형성된 화분안착편(222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를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화분수용체(130)의 몸체(110) 상부에 덮개(120)를 올려 놓은 후, 힘을 가하여 덮개(120)를 몸체(110)의 상부에 체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덮개(120)가 몸체(110)의 상면에 체결되면, 연결수단(140)을 이용하여 화분수용체(130)를 적층되게 설치한다.
즉, 연결수단(140)의 연결바의 일단을 덮개(120) 상면에 형성된 연결홀(141)에 각각 삽입시킨 후 제2연결부재(145)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연결수단(140)의 연결바(142)가 덮개(120) 상면에 형성된 연결홀(141)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면, 연결바(142)의 타단을 덮개(120)가 몸체(110)의 상면에 체결된 또 다른 화분수용체(130)의 몸체(110) 오목부(113a)에 형성된 관통홀(143)측으로 삽입시킨다.
이후, 제1연결부재(144)를 이용하여 연결바(142)를 고정시키므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수용체(130)가 적층된다.
이와 같이 연결수단(140)을 통하여 화분수용체(130)가 적층되면, 덮개(120)의 수용홈(121)에 식물이 식재된 화분(10)을 삽입시키면서 화분 저면에 인출된 수분공급용심지(20)를 수용홈(121)의 바닥면에 형성된 인출용홀을 통하여 몸체(110)의 공간부(110a)측으로 인출시킨다.
이와 같이 수분공급용심지(20)의 일단이 몸체(110)의 공간부(110a)측으로 삽입되게 덮개(12)의 수용홈(121)에 화분(10)이 수용되면, 최상단에 설치된 화분수용체(130)의 덮개(120) 상면측으로 물을 공급시킨다.
상기 덮개(120)의 상면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공급된 물은 수용홈(121)과 수용홈(121) 사이에 형성된 저장용홀(122)을 통하여 몸체(110)의 공간부(110a)로 저장되고, 저장되는 물이 몸체(110)의 바닥판(112)에 돌출 형성된 오버플로우관(111) 이상이 되면 공급되는 물은 오버플로우관(111)을 통하여 배출되며 배출된 물은 물공급용호스(150)를 통하여 하부에 설치된 화분수용체(130)의 덮개(120) 상면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용호스(150)를 통하여 배출된 물은 하부에 구비된 화분수용체(130)의 덮개(120)에 형성된 저장용홀(122)을 통하여 몸체(110)의 공간부측으로 저장된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는 것에 의해 최하단에 설치된 화분수용체(130)의 몸체(110) 공간부까지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110)의 공간부(110a)에 저장된 물은 몸체(110)측으로 유입된 수분공급용심지(20)를 통하여 화분(10)에 식재된 식물측으로 장시간 동안 수분(물)이 공급되므로 장시간 동안 화분(10)측으로 물이 공급된다.
한편, 몸체(110)에 저장된 물이 시간 경과에 대응되게 줄어 들게 될 경우, 이때에는 화분(10)을 들어올리지 않고 덮개(120)의 상면측으로 물을 공급시키면 몸체(110)측으로 물이 보충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는, 물을 과하게 공급하더라도 몸체(110)의 오버플로우관(111)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화분(1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물에 잠김되지 않으므로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적층 타입으로 구성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양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화분받침대
110 ; 몸체
120 ; 덮개
130 ; 화분수용체
140 ; 연결수단
150 ; 물공급용호스

Claims (7)

  1.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에 있어서,
    물을 저장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되되, 바닥면에는 일정량 이상의 물은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관(111)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를 덮도록 대응되는 단면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상부로 공급되는 물을 몸체(11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 아울러 또한, 판상에는 식물이 식재되고 저면에는 수분공급용심지(20)의 일단이 인출된 다수의 화분(10)을 각각 수용하는 것에 의해 수분공급용심지(20)가 몸체(110)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덮개(120)로 구성된 다수의 화분수용체(130)와;
    상기 다수의 화분수용체(130)를 서로 이격되게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다수의 화분수용체(130)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수단(140)과;
    상기 연결수단(140)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적층된 화분수용체(130)의 오버플로우관(11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에 설치되는 화분수용체(130)의 덮개부측으로 인출되어 최상단에 위치된 화분수용체(130)로 공급된 물을 하부에 설치된 화분수용체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물공급용호스(150)를 포함하되,
    상기 화분수용체(130)의 몸체(110)는, 모서리부가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된 삼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의 중앙부에는 공급되는 물을 일정량 저장하고 과공급된 물을 하부에 설치되는 화분수용체(130)측으로 물공급용호스(150)를 통하여 공급시킬 수 있도록 공급홀이 천공된 오버플로우관(11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바닥판(112)과, 상기 바닥판(112)의 테두리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것에 의해 공간부(110a)가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되, 측면은 연결수단(140)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측방향으로 들어간 오목부(113a)가 형성된 측면판(113)과, 상기 측면판(113)의 상단면으로부터 덮개(120)와의 체결을 위해 돌출 형성된 체결용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
  2. 삭제
  3.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에 있어서,
    물을 저장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되되, 바닥면에는 일정량 이상의 물은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관(111)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를 덮도록 대응되는 단면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상부로 공급되는 물을 몸체(11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 아울러 또한, 판상에는 식물이 식재되고 저면에는 수분공급용심지(20)의 일단이 인출된 다수의 화분(10)을 각각 수용하는 것에 의해 수분공급용심지(20)가 몸체(110)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덮개(120)로 구성된 다수의 화분수용체(130)와;
    상기 다수의 화분수용체(130)를 서로 이격되게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다수의 화분수용체(130)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수단(140)과;
    상기 연결수단(140)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적층된 화분수용체(130)의 오버플로우관(11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에 설치되는 화분수용체(130)의 덮개부측으로 인출되어 최상단에 위치된 화분수용체(130)로 공급된 물을 하부에 설치된 화분수용체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물공급용호스(150)를 포함하되,
    상기 화분수용체(130)의 몸체(110)는, 모서리부가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된 삼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의 중앙부에는 공급되는 물을 일정량 저장하고 과공급된 물을 하부에 설치되는 화분수용체(130)측으로 물공급용호스(150)를 통하여 공급시킬 수 있도록 공급홀이 천공된 오버플로우관(11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바닥판(112)과, 상기 바닥판(112)의 테두리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것에 의해 공간부(110a)가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되, 측면은 연결수단(140)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측방향으로 들어간 오목부(113a)가 형성된 측면판(113)과, 상기 측면판(113)의 상단면으로부터 덮개(120)와의 체결을 위해 돌출 형성된 체결용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분수용체(130)의 덮개(120)는, 몸체(110)의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모서리부는 만곡된 삼각 형상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되, 저면 선단부에는 체결용돌기를 수용하여 몸체(110)와 체결가능하도록 체결용홈이 요설되고, 상면 모서리부에는 식물이 식재되고 저면에는 수분공급용심지(20)의 일단이 인출된 화분(10)을 각각 수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분공급용심지(20)가 몸체(110)측으로 인출되어 수분을 각각 흡수가능하도록 바닥면에는 인출용홀이 천공된 다수의 수용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21)과 수용홈(121) 사이에는 화분(10)을 수용홈(121)으로부터 빼내지 않고도 어느 방향에서도 몸체(110)측으로 물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저장용홀(122)이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
  4.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에 있어서,
    물을 저장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되되, 바닥면에는 일정량 이상의 물은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관(111)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를 덮도록 대응되는 단면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상부로 공급되는 물을 몸체(11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 아울러 또한, 판상에는 식물이 식재되고 저면에는 수분공급용심지(20)의 일단이 인출된 다수의 화분(10)을 각각 수용하는 것에 의해 수분공급용심지(20)가 몸체(110)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덮개(120)로 구성된 다수의 화분수용체(130)와;
    상기 다수의 화분수용체(130)를 서로 이격되게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다수의 화분수용체(130)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수단(140)과;
    상기 연결수단(140)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적층된 화분수용체(130)의 오버플로우관(11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에 설치되는 화분수용체(130)의 덮개부측으로 인출되어 최상단에 위치된 화분수용체(130)로 공급된 물을 하부에 설치된 화분수용체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물공급용호스(15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수단(140)은 화분수용체(130)의 덮개(120) 상면에 형성된 수용홈(121)과 수용홈(121) 사이의 선단부에 각각 걸림턱이 형성되게 관통된 다수의 연결홀(141)과, 상기 다수의 연결홀(141)에 일단이 각각 삽입되어 걸림턱에 걸림가능하도록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되, 일단과 타단 내측면에는 연결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연결바(142)와, 상기 다수의 연결바(142) 각 타단을 관통시키도록 몸체(110)의 오목부(113a)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143)과, 상기 다수의 연결바(142)를 서로 고정 연결시키기 위해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제1,2연결부재(144,1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
  5.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에 있어서,
    상부는 개구되면서 연결편(211)에 의해 방사상으로 서로 연결됨에 따른 물을 저장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바닥면에는 일정량 이상의 물은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앙부는 관통된 배출부(212)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물저장부(210)와;
    상기 물저장부(210)의 상단부를 저면 테두리측으로 수용하는 것에 의해 결합되되, 중앙부에는 상부로 공급되는 물을 물저장부(21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 아울러 선단부에는 식물이 식재되고 저면에는 수분공급용심지(20)의 일단이 인출된 다수의 화분(10)을 각각 수용하는 것에 의해 수분공급용심지(20)가 물저장부(210)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다수의 화분수용편(221)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수용결합부(220)로 구성된 다수의 화분수용부(230)와;
    상기 다수의 화분수용부(230)를 서로 이격되게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다수의 화분수용부(230)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용부연결수단(240)과;
    상기 수용부연결수단(240)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적층된 화분수용부(230)의 배출부(21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에 설치되는 화분수용부의 수용결합부측으로 인출되어 최상단에 위치된 화분수용부로 공급된 물을 하부에 설치된 화분수용부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물공급관(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연결수단(240)은 수용결합부(220)의 결합판(222)상에 형성된 공급홀(222a) 사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연결결합홀(241)과,
    상기 수용결합부(220)가 물저장부(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다수의 연결결합홀(241)과 일치되는 물저장부(210)의 바닥판(213) 상면에 돌출되되, 중앙부는 관통된 다수의 결합가이드편(242)과,
    상기 결합가이드편(242)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최상단 하부에 설치되는 화분수용부(230)의 수용결합부(220)에 형성된 연결결합홀(241)을 관통하여 각각 스크류(243)로 결합 고정가능하도록 내주면 양단에는 결합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결합연결바(2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결합부는, 물저장부의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하여 각각 120도의 각도를 갖는 판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상면으로 물 공급시 물저장부측으로 물이 자동 배출가능하도록 물공급홀이 다수 형성된 연결결합판과, 상기 연결결합판의 연장된 부분의 끝단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되, 중앙부는 화분을 안착시키는 것에 의해 화분의 저면에 인출된 수분공급용심지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심지인출용홀이 각각 형성된 화분안착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
KR1020110101423A 2011-08-11 2011-10-05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 KR101322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0243964A CN102920225A (zh) 2011-08-11 2012-01-19 带有供水功能的多层花盆托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199 2011-08-11
KR20110080199 2011-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089A KR20130018089A (ko) 2013-02-20
KR101322888B1 true KR101322888B1 (ko) 2013-10-29

Family

ID=4789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423A KR101322888B1 (ko) 2011-08-11 2011-10-05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8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26465A1 (it) * 2021-10-15 2023-04-15 Nicoli S R L Sottovaso ed assieme comprendente il sottovas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972A (ko) * 2008-09-25 2010-04-02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급수수단을 구비한 다중 화분
KR101045854B1 (ko) * 2009-06-26 2011-07-01 주식회사 포시산업 식물재배가 가능한 다층 구조의 물 저장용 유닛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972A (ko) * 2008-09-25 2010-04-02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급수수단을 구비한 다중 화분
KR101045854B1 (ko) * 2009-06-26 2011-07-01 주식회사 포시산업 식물재배가 가능한 다층 구조의 물 저장용 유닛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089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237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200477376Y1 (ko) 무동력 자동 관수 화분
US10602685B2 (en) Pole and wall adaptable plant container assembly and bracket
US20160353674A1 (en) Stackable planting system layer quarter section
KR101343379B1 (ko) 화분
KR100792582B1 (ko)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JPH0763278B2 (ja) 着生植物用多孔式栽培容器
KR200472746Y1 (ko) 식물 재배 용기
KR101322888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
KR20150103390A (ko) 무동력 관수 화분
KR101099542B1 (ko) 수직 적층에 적합한 화분의 급수 구조
JP2007104986A (ja) 壁面用植栽基盤とその製造方法
KR20170035513A (ko) 화분용 급수통
KR101167189B1 (ko) 페트병을 이용한 화분
KR102346341B1 (ko) 분리형 화분
KR20190137200A (ko) 입형화분 프레임
JP2006129842A (ja) 立体花壇装置
KR101027462B1 (ko)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CN102920225A (zh) 带有供水功能的多层花盆托架
KR101291235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102652312B1 (ko) 수직 정원장치
KR200470431Y1 (ko)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
KR101099546B1 (ko)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
JP2010158224A (ja) 植物栽培箱体、植物栽培セット、および植物栽培容器
KR200457475Y1 (ko) 화분용 수분 저장 및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