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462B1 -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462B1
KR101027462B1 KR1020080121060A KR20080121060A KR101027462B1 KR 101027462 B1 KR101027462 B1 KR 101027462B1 KR 1020080121060 A KR1020080121060 A KR 1020080121060A KR 20080121060 A KR20080121060 A KR 20080121060A KR 101027462 B1 KR101027462 B1 KR 101027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beekeeping
machine
storage unit
specification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2422A (ko
Inventor
금 석 오
Original Assignee
금 석 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 석 오 filed Critical 금 석 오
Priority to KR102008012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4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양기에 확분을 공급함과 아울러 일정량의 사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벌통에 삽입되는 소비광의 상부에 구비되는 양봉용 사양기에 있어서, 상기 사양기의 양측에는 벌들이 왕래하면서 사양액을 섭취할 수 있도록 액 섭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벌들이 화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화분이 수용되는 화분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 수용부와 액 섭취부 사이에는 사양액이 저장되는 저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에는 사양액을 공급하며, 사양액의 수위를 일정 범위 내로 유지시키는 자동공급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를 제시한다.
벌통, 사양기

Description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Multipurpose horizontal bee-breeding device}
본 발명은 사양기에 화분을 공급함과 아울러 일정량의 사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에 사용되는 사양기는 월동기, 장마철이나 개화기 등과 같이 무밀기에 벌들이 충분한 량의 꿀을 자연적으로 모을 수 없을 때나 유밀기에도 꿀의 수집량이 부족할 때, 설탕물 등과 같은 사양액을 공급하여 부족한 식량을 충당시키도록 벌통 내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하다.
이렇게, 벌통 내로 삽입되어 사용되는 통상적인 사양기는 꿀이 저장되는 소비광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소비광과 소비광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하였으나, 벌통 내의 사양기로부터 먼 거리에 떨어진 곳의 벌들이 소비광과 소비광을 통과하여 왕래하면서 사양액을 섭취하게는 상당히 번거롭고 부적합하여 결국에는 식량의 저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실용신안 제369755호 "양봉용 사양기"를 등록받은바, 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양기(100)는 벌통(200)에 삽입되는 다수의 소비광(300) 상부에 구비되도록 중앙에 벌들이 왕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통로(1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상면이 개방되어 벌들이 사양액을 섭취할 수 있도록 각각의 사양액 저장부(120)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벌통에 삽입되는 소비광의 상부에 구비되는 사양기로 인해 벌들이 소비광과 소비광을 거쳐 왕래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로 이동하여 왕래하면서 번거로움 없이 사양액을 섭취하여 식량의 저장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상기 사양액 저장부에서 벌들이 빠져 폐사하는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한편, 사양액의 섭취만큼 중요한 화분의 섭취를 위하여 종래에는 별도의 용기에 화분을 넣은 후 그 용기를 벌통 내의 일측에 삽입시켜 벌들이 섭취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이 또한 화분이 넣어진 용기가 벌통 내의 한 쪽에 편중되게 구비됨으로 벌통 내의 소비광과 소비광을 거쳐 왕래하는 벌들에게는 원활한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본 출원인은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실용신안 제340390호 "벌통용 프로폴리스 채집기"에서와 같이 벌통의 상부에 구비되는 프로폴리스 채집기의 중앙에 화분을 넣어 놓을 수 있는 탈착되는 화분통을 구비한 바, 이 프로폴리스 채집기의 중앙에 탈착되는 화분통은 벌통 내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여 벌통 내의 벌들이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왕래하면서 섭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실용신안 제340390호 "벌통용 프로폴리스 채집기"와 등록실용신안 제369755호 "양봉용 사양기"를 토대로 서로 장점만을 합쳐 개량 발명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벌통에 삽입되는 소비광의 상부에 구비되는 사양기에 화분을 함께 공급하면서 일정량의 사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에 구비된 사양액 저장고에서 양봉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벌의 섭취에 의하여 소모되는 사양액을 자동의 사양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분할된 각 사양액 저장 장소에 사양액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한편, 사양기를 견고하게 적층할 수 있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사양과 프로폴리스의 채집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벌통에 삽입되는 소비광의 상부에 구비되는 양봉용 사양기에 있어서, 상기 사양기의 양측에는 벌들이 왕래하면서 사양액을 섭취할 수 있도록 액 섭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벌들이 화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화분이 수용되는 화분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 수용부와 액 섭취부 사이에는 사양액이 저장되는 저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에는 사양액을 공급하며, 사양액의 수위를 일정 범위 내로 유지시키는 자동공급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자동공급기는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고정턱과 전 또는 후 측벽 사이에 끼워져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액 섭취부에는 상기 자동공급기에 수용액을 공급하는 튜브(52)가 통과하도록 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화분 수용부에는 전,후 측벽의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격판부, 마주보는 상기 격판부의 측면에서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저장부를 구획하는 통로벽 및 상기 격판부 사이의 천공된 바닥면에 안치되는, 밑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화분통이 구비되되, 상기 화분통의 상부에는 다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벽에는 상기 플랜지가 걸리는 받침턱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턱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화분 수용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저장부가 서로 통할 수 있도록 상기 격판부의 하단부에는 개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사양기의 저부에서 상기 저장부의 바닥 배면은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의 바닥 배면에는 상기 바닥 배면과 이격되는 프로폴리스 채집판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를 제시한 다.
또한, 상기 사양기의 측벽 위에는 상부에 적층되는 벌통과 결합되기 위한 끼움블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에 따르면, 화분 수용부가 구비되어 사양액의 공급과 동시에 화분을 동시에 공급하게 되면서, 사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기가 구비됨으로써 사양기에 공급되는 사양액은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므로, 벌에게 안정적인 사양액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양봉자가 사양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매번 벌통의 뚜껑을 개방하지 아니하여도 되기에 편리한 효과도 갖는다.
또한, 자동공급기는 고정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분리, 교체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가이드홈과 가이드핀이 구비됨에 따라 화분통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아니하고 제 위치에 바로 안착되어, 화분통이 기울어짐에 따라 화분통에 담긴 화분이 벌통에 떨어지지 아니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개방홈이 형성되는 경우, 양 저장부에 사양액이 일정한 수위로 유지되어 양 액 섭취부를 통하여 벌이 사양액을 원활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어느 한 쪽의 저장부에만 자동공급기를 설치하면 되므로 유지, 관리가 편리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사양기의 바닥 배면에 프로폴리스 채집판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종래에 별도로 채집되던 프로폴리스가 사양기와 일체로 구성되어, 사양액, 화분의 공급과 더불어 프로폴리스의 채집까지 하나의 사양기를 통하여 한 번에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끼움블록이 더 형성됨으로써 계상식 벌통에서 중간층 및 최상부층에 각각 사양기를 설치하여, 벌통이 높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끼움블록에 의하여 상,하 구조물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정되게 세워지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벌통에 삽입되는 소비광의 상부에 구비되는 양봉용 사양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사양기(100)의 양측에는 벌들이 왕래하면서 사양액을 섭취할 수 있도록 액 섭취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벌들이 화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화분이 수용되는 화분 수용부(20)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 수용부와 액 섭취부 사이에는 사양액이 저장되는 저장부(30)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30)에는 사양액을 공급하며, 사양액의 수위를 일정 범위 내로 유지시키는 자동공급기(50)가 구비된다.
그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사양기(100)는 벌통(200)에 삽입되는 소비광(30) 의 상부에 구비됨으로써, 소비광에서 생활하는 벌들이 소비광과 소비광을 거치는 것이 아니라 그 상부에 설치된 사양기로 번거로움 없이 왕래하면서 사양액과 함께 화분의 섭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액 섭취부(10)는 양 측벽(101)의 내측으로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도록 수평이나 수직 형태의 통상적인 슬릿홈 등에 의해 연결되는 구획판(12)이 형성되며, 상기 양 측벽과 구획판 사이에 벌들이 통과하는 높이를 가지는 분리판(14)을 사이에 두고 밑면이 틔여져 벌들이 왕래할 수 있는 통로(15)와 이 통로를 통하여 들어온 벌들이 상기 액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사양액이나 물을 섭취할 수 있는 섭취부(1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 섭취부(10)의 상부에, 즉 구획판과 후술하는 분할판에 끼워지도록 통상적인 한 쌍의 턱 사이에 끼움홈이 다수 개 형성되는 투명의 덮개(18)를 결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액 섭취부에서 벌들이 왕래하는 것과 사양액이나 물을 섭취하는 것을 용이하게 투시하여 액 섭취부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통로(15)를 통하여 들어온 벌들이 분리판(14)을 거쳐 구획판(12)을 통하여 저장부(30)의 사양액이 유입되어 있는 섭취부(16)로 들어가 사양액을 섭취한 후 다시 분리판을 거쳐 통로를 통하여 나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양 측벽(101)과 구획판(12) 사이에는 분리판과 직교되도록 일정 간격을 갖는 각각의 분할판(19)을 형성함으로써, 벌들이 왕래하는 과정에서 한쪽으로 편중 되지 않고 골고루 분포되어 왕래하는 벌들 간에 간섭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분 수용부(30)는 전,후 측벽(105)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격판부(40)의 사이에 소비광에서 생활하는 벌들의 왕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화분의 섭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밑면이 관통되고 내측면으로 바닥면에 다수의 홀(25a)이 형성되어 화분이 넣어지는 화분통(25)이 삽입되게 통로벽(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화분 수용부(20)에는 전,후 측벽(105)의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격판부(40)가 형성되고, 이 마주보는 격판부(40)의 측면에서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저장부(30)를 구획하는 통로벽(22) 및 상기 격판부(40) 사이의 천공된 바닥면에 안치되는, 밑면에 다수의 홀(25a)이 형성된 화분통(25)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로써 화분 수용부(30)를 구비한 사양기를 벌통(200)에 삽입되는 소비광(30)의 상부에 적층함으로써 소비광에서 생활하는 벌들이 소비광과 소비광을 거치는 것이 아니라 그 상부에 설치된 사양기에서 번거로움 없이 왕래하면서 사양액과 함께 화분을 원활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화분통(25)의 상부에 플랜지(25b)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벽(22)에는 상기 플랜지가 걸리는 받침턱(22a)이 형성되어 상부에서 안치되는 화분통의 플랜지가 받침턱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화분통이 바르게 안치될 수 있도록 상기 화분통의 플랜지에는 복수의 가이드홈(25c)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받침턱(22a)의 상부에는 가이드홈(25c)에 삽입되는 가이드핀(2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에서 삽입되는 화분통의 플랜지는 통로벽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타고 슬라이딩하는 가이프핀에 의하여 어느 한 쪽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아니하고 제 위치에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용액의 자동공급기(50)는 저장부에 공급되는 사양액을 조절하여 일정한 수위를 유지케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공급기(50)는 상부가 개방된 속이 빈 케이스(54)와, 이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부구(55)와, 외부에 구비되는 사양액 저장고와 연통되는 튜브(52)가 연결되며 케이스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5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케이스의 바닥면 또는 측면 하단부에는 저장부에 사양액을 흘려보내는 홀(54a)이 형성된다.
또한, 뚜껑의 상부에는 튜브(52)가 결합되는 결합돌기(56a)가 형성되고, 이 결합돌기의 하부, 즉 뚜껑의 하부에는 돌출돌기(56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와 돌출돌기를 관통하는 사양액 유입통로(56c)가 형성되어, 튜브로 공급되는 사양액이 통과하게 된다.
한편, 부구(55)의 상단에는 돌출돌기가 대어지는 부분에 연질의 고무패드(55a)가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에 사양액이 부족한 경우에는 낮아진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 부구(55)가 내려가 튜브(52)를 통하여 사양액이 공급되고, 이 사양액은 자동공급기의 내부를 통과하여 케이스(54) 하단부의 홀(54a)을 통하여 저장부로 흘러 유입된다.
한편, 저장부에 충분한 사양액이 저장되어 수위가 일정 이상 상승하면, 부구(55)가 상승하면서 고무패드(55a)가 돌출돌기(566b)에 대어져 유입통로(56c)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더 이상의 사양액의 유입은 차단되고, 일정 수위를 초과하여 저장부의 사양액이 증가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위의 조절은 부구의 상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며, 양봉자는 적절한 부구를 선택하여 사양액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공급기는(50)는 상기 저장부(30)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고정턱(51)과 전 또는 후 측벽(105) 사이에 끼워져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액 섭취부(10)에는 상기 자동공급기(50)에 수용액을 공급하는 튜브(52)가 통과하도록 통과공(53)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동공급기의 케이스 하단부는 고정턱과 측벽 사이에 끼움 고정되어, 저장부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이후,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자동공급기를 당겨 끼움결합을 해제하고, 자동공급기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액 섭취부(10)가 설치된 측벽과, 액 섭취부를 관통하는 통과공을 형성함으로써 사양액을 공급하는 튜브는 사양기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매번 사양기에 사양액을 투입하지 아니하여도 사양액이 일정 수위를 유지하게 되므로, 벌에게 안정적인 사양액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양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매번 벌통의 뚜껑을 개방하지 아니하여도 되기에 편리한 것이다.
한편, 어느 한 쪽의 저장부에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등록실용신안 제420859호에 따른 양봉용 훈증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양봉용 훈증기에 구비되어 바닥면에 대어지는 수용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 및 양 측면이 벽으로 세워진 상자형상이므로, 저장부에 유입되는 사양액이 양봉용 훈증기의 내부로 침투하지 아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양봉용 훈증기 내부에 충진되는 훈증제는 통상 개미산 등으로 이루어져, 상부를 통하여 기화됨으로써 벌통 내에 해충을 퇴출시킴과 동시에 접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분 수용부(20)의 상부 통로벽(22)의 상단에는 통상적인 한 쌍의 턱 사이에 고정홈이 다수 개 형성되는 투명의 차단덮개(26)를 결합 고정함으로써, 상기 화분통을 인출시나 화분통 내의 화분 량과 벌들이 섭취하는 상황을 용이하게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벌통(200) 내의 벌들이 사양액이나 물을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사양기(100)의 중앙 가운데에 벌들이 생활하면서 화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화분 수용부(20)인 화분통(25) 내의 화분을 홀(25a)을 통하여 원활하게 왕래하면서 섭취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화분 수용부(20)의 양측에 구비되는 저장부(30)가 서로 통할 수 있도록, 전,후 측벽(105)과 통로벽(22) 사이에서 상기 격판부(40)의 하단부에 개방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홈(41)에 의하여 양 저장부(30)는 바닥면 수위에서 서로 연결되므로, 어느 한 쪽의 저정부에 자동공급기가 설치되어 사양액이 투입되면, 나머지 한 쪽의 저장부에도 개방홈을 통과한 사양액이 흘러 유입된다.
따라서 양 저장부에 사양액이 일정한 수위로 유지되어 양 액 섭취부를 통하여 벌이 사양액을 원활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어느 한 쪽의 저장부에만 자동공급기를 설치하면 되므로 유지, 관리가 편리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방홈(41)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격판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어느 한 쪽의 저장부에는 사양액을 공급하고, 격판에 의하여 분리된 나머지 저장부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을 저면에서 바라본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사양기의 저부에서 상기 저장부(30)의 바닥 배면(31)은 함몰되게 형성되고, 저장부(30)의 바닥 배면(31)에는 상기 바닥 배면(31)과 이격되는 프로폴리스 채집판(6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프로폴리스 채집판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프로폴리스 채집판이 사용되되 프로폴리스 채집판의 상부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로폴리스 채집판의 가장자리와 중간 부분에는 저장부의 바닥 배면에 결합되기 위한 끼움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저장부의 바닥 배면은 저장부를 저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 상부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끼움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프로폴리스 채집판은 끼움구멍이 끼움돌기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이고, 프로폴리스 채집판의 상부에 형성된 단턱으로 인하여 저장부의 바닥 배면과 프로폴리스 채집판의 상면과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저장부의 바닥 배면은 상부를 향하여 함몰되게 형성됨에 따라 사양기를 지면에 내려 놓았을 때 프로폴리스 채집판이 지면에 직접 닿지 않게 된다. 따라서 양봉자가 잠시 상양기를 벌통에서 분리하여 내려놓는 경우에도 지면의 이물질에 의하여 프로폴리스 채집판이 더렵혀지지 아니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로폴리스 채집판이 구비됨으로써, 종래에 별도로 채집되던 프로폴리스가 사양기와 일체로 구성되어, 사양액, 화분의 공급과 더불어 프로폴리스의 채집까지 한번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양벌통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유지 관리가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한편,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사양기를 벌통 위에 적층하거나, 사 양기 위에 벌통을 적층할 때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사양기의 측벽(105) 위에는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는 벌통과 결합되기 위한 끼움블록(7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끼움블록은 격판부가 구비된 전,후 측벽(105)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 끼움블록은 구체적으로 사다리꼴블록(71) 및 상기 사다리꼴블록(71)의 양측에서 이격되게 형성되는 원추블록(7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후 측벽(105)의 하부에는 벌통의 측면에 형성된 끼움블록이 삽입 고정되도록 사다리꼴블록과 원추블록에 대응하여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사다리꼴블곡과 원추블록을 가지는 끼움블록은 상,하로 벌통 및 사양기가 결합될 때 세로 방향의 접촉면적을 크게 가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계상식 벌통에서 중간층 및 최상부층에 각각 사양기를 설치하여, 벌통이 높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끼움블록에 의하여 상,하 구조물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안정되게 세워질 수 있게 된다. 이는 특히 바람이 심하게 부는 산 계곡에 벌통이 세워지는 경우에도 쓰러지지 아니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에 채용된 자동공급기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저면에서 바라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종래 양봉용 사양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액 섭취부 12 : 구획판
14 : 분리판 15,110 : 통로
16 : 섭취부 18 : 덮개
19 : 분할판 20 : 화분 수용부
22 : 통로벽 22a : 받침턱
22b : 가이드판 25 : 화분통
25a : 홀 25b : 플랜지
25c : 가이드홀 26 : 차단덮개
30 : 저장부 31 : 바닥 배면
40 : 격판부 41 : 개방홈
50 : 자동공급기
51 : 고정턱 52 : 튜브
53 : 통과공 54 : 케이스
54a : 홀 55 : 부구
55a : 고무패드 56 : 뚜껑
56a : 결합돌기 56b : 돌출돌기
56c : 유입통로 60 : 프로폴리스 채집판
70 : 끼움블록 71 : 사다리꼴블록
72 : 원추블록 80 : 훈증기
100 : 사양기 101 : 양 측벽
105 : 전,후 측벽 200 : 벌통
300 : 소비광

Claims (6)

  1. 벌통에 삽입되는 소비광의 상부에 구비되는 양봉용 사양기에 있어서,
    상기 사양기(100)의 양측에는 벌들이 왕래하면서 사양액을 섭취할 수 있도록 액 섭취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벌들이 화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화분이 수용되는 화분 수용부(20)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 수용부와 액 섭취부 사이에는 사양액이 저장되는 저장부(30)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30)에는 사양액을 공급하며, 사양액의 수위를 일정 범위 내로 유지시키는 자동공급기(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공급기(50)는 상기 저장부(30)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고정턱(51)과 전 또는 후 측벽(105) 사이에 끼워져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액 섭취부(10)에는 상기 자동공급기(50)에 수용액을 공급하는 튜브(52)가 통과하도록 통과공(5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수용부(20)에는
    전,후 측벽(105)의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격판부(40);
    마주보는 상기 격판부(40)의 측면에서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저장부(30)를 구획하는 통로벽(22); 및
    상기 격판부(40) 사이의 천공된 바닥면에 안치되는, 밑면에 다수의 홀(25a)이 형성된 화분통(25);이 구비되되,
    상기 화분통(25)의 상부에는 다수의 가이드홈(25c)이 형성된 플랜지(25b)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벽(22)에는 상기 플랜지가 걸리는 받침턱(22a)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턱(22a)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홈(25c)에 삽입되는 가이드핀(2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4. 제3항에서,
    상기 화분 수용부(20)의 양측에 구비되는 저장부(30)가 서로 통할 수 있도록, 상기 격판부(40)의 하단부에는 개방홈(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사양기의 저부에서 상기 저장부(30)의 바닥 배면(31)은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30)의 바닥 배면(31)에는 상기 바닥 배면(31)과 이격되는 프로폴리스 채집판(6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사양기의 측벽(105) 위에는
    상부에 적층되는 벌통과 결합되기 위한 끼움블록(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KR1020080121060A 2008-12-02 2008-12-02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KR101027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060A KR101027462B1 (ko) 2008-12-02 2008-12-02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060A KR101027462B1 (ko) 2008-12-02 2008-12-02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422A KR20100062422A (ko) 2010-06-10
KR101027462B1 true KR101027462B1 (ko) 2011-04-06

Family

ID=4236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060A KR101027462B1 (ko) 2008-12-02 2008-12-02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4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8931A (zh) * 2013-06-15 2013-10-16 张�诚 蜜蜂蜂箱副盖板饲喂器
KR20210076809A (ko) * 2019-12-16 2021-06-24 정진우 벌통
KR102554257B1 (ko) 2022-11-22 2023-07-11 주식회사 한국양봉산업 먹이공급이 편리한 벌통용 먹이공급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634U (ko) * 1999-03-24 2000-10-25 조용선 양봉용 다목적 사양기
KR20010096387A (ko) * 2000-04-19 2001-11-07 양승만 꿀벌 조기산란용 사양기 및 사양방법
KR200317685Y1 (ko) 2003-04-10 2003-06-25 노태원 양봉용 자동사양장치
KR200433173Y1 (ko) 2006-09-30 2006-12-11 박재용 양봉용 사양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634U (ko) * 1999-03-24 2000-10-25 조용선 양봉용 다목적 사양기
KR20010096387A (ko) * 2000-04-19 2001-11-07 양승만 꿀벌 조기산란용 사양기 및 사양방법
KR200317685Y1 (ko) 2003-04-10 2003-06-25 노태원 양봉용 자동사양장치
KR200433173Y1 (ko) 2006-09-30 2006-12-11 박재용 양봉용 사양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8931A (zh) * 2013-06-15 2013-10-16 张�诚 蜜蜂蜂箱副盖板饲喂器
KR20210076809A (ko) * 2019-12-16 2021-06-24 정진우 벌통
KR102338322B1 (ko) 2019-12-16 2021-12-10 정진우 벌통
KR102554257B1 (ko) 2022-11-22 2023-07-11 주식회사 한국양봉산업 먹이공급이 편리한 벌통용 먹이공급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422A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628B1 (ko) 꿀벌 먹이통
KR102002707B1 (ko) 꿀벌먹이통 및 이를 포함한 피딩장치
KR100535938B1 (ko) 양봉용 자동 이충기
KR102319536B1 (ko) 애완동물용 음수기
KR101027462B1 (ko)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KR101348832B1 (ko) 꿀벌 사양기
WO2012148086A2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US20190069526A1 (en) Beehive frame storage container
KR101090622B1 (ko) 양봉용 사양기
KR101027461B1 (ko) 화분통을 구비한 양봉용 사양기
KR20180104365A (ko)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KR200487626Y1 (ko) 양봉용 자동사양기
US11234417B2 (en) Bee feeder assembly
CN208095685U (zh) 一种蜂箱
KR20130049878A (ko) 벌꿀용 광식 사양기
KR20190091619A (ko) 화분채취기가 내장된 벌통
KR102266914B1 (ko)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JP2006230394A (ja) 自動給水機能付鉢カバーにも転用できる植木鉢
KR200433173Y1 (ko) 양봉용 사양기
JP2007020534A (ja) マルハナバチ巣箱
KR20140096213A (ko)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
KR200317685Y1 (ko) 양봉용 자동사양장치
KR200383074Y1 (ko) 양봉용 화분 채취기
KR101322888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다층구조형 화분받침대
KR20210095984A (ko) 벌통 가습기 겸용 자동 급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