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365A -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 Google Patents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365A
KR20180104365A KR1020170030985A KR20170030985A KR20180104365A KR 20180104365 A KR20180104365 A KR 20180104365A KR 1020170030985 A KR1020170030985 A KR 1020170030985A KR 20170030985 A KR20170030985 A KR 20170030985A KR 20180104365 A KR20180104365 A KR 20180104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bee
bees
door
en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희
Original Assignee
김봉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희 filed Critical 김봉희
Priority to KR1020170030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4365A/ko
Publication of KR20180104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의 출입이 가능하여 양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벌통에 있어서: 일측에 벌의 출입이 가능하게끔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일정 크기의 출입문을 구비하고, 상부에 삽설되어 양봉판의 안착이 가능하게 요홈을 갖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내부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방지하는 상부커버; 상기 몸체의 출입문 상에 벌의 안전한 출입과 함께 벌의 출입을 제한하고, 해충의 출입을 방지하는 출입수단; 및 상기 몸체와 상부커버 상에 내외부로의 공기유입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통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벌통을 EPP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고, 벌통의 내외부로 일정한 공기유입이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벌의 성장 및 생활환경에 대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또 벌의 안전한 출입과 함께 각종 해충의 출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벌의 생존률을 크게 높일 수 있고, 특히 벌이 활동할 수 있는 내부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게끔 하면서도 벌에서 묻어나는 꽃가루와 이물질들을 벌통 외부에서 미리 제거하여 벌통 내부가 깨끗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Beehive for improve living environment and good quality honey picking}
본 발명은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벌통을 EPP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고, 벌통의 내외부로 일정한 공기유입이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벌의 성장 및 생활환경에 대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또 벌의 안전한 출입과 함께 각종 해충의 출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벌의 생존률을 크게 높일 수 있고, 특히 벌이 활동할 수 있는 내부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게끔 하면서도 벌에서 묻어나는 꽃가루와 이물질들을 벌통 외부에서 미리 제거하여 벌통 내부가 깨끗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 양질 꿀의 채득(採得)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養蜂)은 토종벌이나 외래종 등의 여러 벌들을 키우면서 벌꿀과 밀랍, 그 밖의 부산물을 생산하여 경제적 이득을 추구하는 산업을 말하는 것으로서, 부산물로는 꿀, 밀랍 이외의 로열제리, 꽃가루 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양봉을 하기 위해서는 벌통을 사용하게 되는데, 벌통은 나무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나무 등으로 형성된 벌통의 경우 가격이 높고 제작하기 어려우며 장시간 사용이 어렵고, 생산성 하락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합성수지 벌통이 많이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667628호에 따르면, ‘상부의 입구를 가지는 박형의 사각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먹이통 본체(10); 상기 먹이통 본체(10)의 내부에 양편으로 조성되어 먹이가 채워지는 공간으로서 격판(11)에 의해 구획되는 먹이실(12) 및 공급실(13); 상기 공급실(13)의 내부에 공급되는 먹이의 수위에 따라 상하 회전동작하면서 먹이 공급을 위한 밸브(14)를 개폐하는 플로터(15); 상기 공급실(13)의 일측에 설치되어 먹이 공급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밸브(14) 및 상기 밸브(14)에 연결되는 먹이공급용 호스(16); 상기 먹이실(12)의 내부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 장착되어 먹이실(12)의 체적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용 플레이트(17);를 포함하며, 상기 먹이공급용 호스(16)는 먹이통 본체(10)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진 구조의 공간부(18a)와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 형태의 공간부(18b) 내에 나란하게 위치됨과 더불어 공간부(18)를 따라 연장되면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 먹이통.’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벌 먹이통은 해충의 출입을 막을 수 있는 수단이 미비하여 벌의 성장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다른예로, 한국 공개특허 제2015-0140115호에 따르면, ‘벌통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는 온습도 센서 고정부(400)에 설치된 온습도 센서(510)를 이용하여 상기 벌통 내부의 온습도를 모니터링 하는 장치로서, 일정한 수용공간(110)을 구비한 벌통과; 상기 온습도 센서(510)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의 일 측에 배치되는 온습도센서 고정부(400)와; 상기 온습도 센서(510)에서 감지한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싱보드(500)와; 상기 복수의 센싱보드(500)에서 감지한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는 미들웨어 임베디드(600)와; 상기 미들웨어 임베디드(600)에서 수집 및 저장된 정보를 일정 주기로 수신하여 데이터를 종합하는 메인서버(7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습도센서 고정부를 구비한 벌통의 모니터링 장치.’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벌통의 모니터링 장치는 온도와 습도 조절이 가능하여 내부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너무 복잡한 구성으로 형성됨에 따라 높은 비용의 발생으로 인해 소비자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는 폐단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667628호 “벌 먹이통” 한국 공개특허 제2015-0140115호 “벌통의 모니터링 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벌통을 EPP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고, 벌통의 내외부로 일정한 공기유입이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벌의 성장 및 생활환경에 대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또 벌의 안전한 출입과 함께 각종 해충의 출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벌의 생존률을 크게 높일 수 있고, 특히 벌이 활동할 수 있는 내부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게끔 하면서도 벌에서 묻어나는 꽃가루와 이물질들을 벌통 외부에서 미리 제거하여 벌통 내부가 깨끗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 양질 꿀의 채득(採得)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벌의 출입이 가능하여 양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벌통에 있어서: 일측에 벌의 출입이 가능하게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일정 크기의 출입문을 구비하고, 상부에 삽설되어 양봉판의 안착이 가능하게 요홈을 갖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내부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방지하는 상부커버; 상기 몸체의 출입문 상에 벌의 안전한 출입과 함께 벌의 출입을 제한하고, 해충의 출입을 방지하는 출입수단; 및 상기 몸체와 상부커버 상에 내외부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통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는 상부에 다수개로 적층되어 넓은 내부공간을 확보하여 많은 수의 양봉판을 장착 가능하게끔 상하부가 관통 형성된 보조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몸체는 출입문에 근접하여 벌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수용하고, 수용된 물이 여러 갈래로 퍼져 많은 수의 벌들이 수분을 섭취할 수 있게 분리판을 갖는 물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출입문에 근접하여 안착되어 벌의 유입 시 벌에 묻은 꽃가루와 이물질이 분리되게끔 분리공이 형성된 통로부와, 통로부의 하부에 분리되어 낙하된 꽃가루와 이물질을 수용하게끔 수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출입수단은 몸체의 출입문 상에 삽설 고정되어 벌의 안전한 안착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안착판과, 유입된 벌의 외부 이탈과 함께 해충의 출입을 방지하게끔 걸이구 상에 삽설하여 측면으로 슬라이드 개폐되는 막음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벌통을 EPP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고, 벌통의 내외부로 일정한 공기유입이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벌의 성장 및 생활환경에 대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또 벌의 안전한 출입과 함께 각종 해충의 출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벌의 생존률을 크게 높일 수 있고, 특히 벌이 활동할 수 있는 내부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게끔 하면서도 벌에서 묻어나는 꽃가루와 이물질들을 벌통 외부에서 미리 제거하여 벌통 내부가 깨끗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통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벌통의 사시도,
도 6a와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벌통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통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벌통의 사시도이고, 도 6a와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벌통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벌(1)의 출입이 가능하여 양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벌통에 관련되며, 몸체(10) 상부커버(20) 출입수단(30) 통풍구(40)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10)는 일 측에 벌(1)의 출입이 가능하게 내부공간(11)과 연통되는 일정 크기의 출입문(12)을 구비하고, 상부에 삽설되어 양봉판(13)의 안착이 가능하게 요홈(14)을 갖는 지지대(15)를 구비한다. 몸체(10)는 합성수지를 통해 형성되어 일 측에 벌(1)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문(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출입문(12)은 몸체(10) 내부에 형성되어 양봉판(13)이 수용되게 일정의 내부공간(11)이 상기 출입문(12)과 서로 연통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10)의 상부에는 양봉판(13)이 안착되어 지지 가능하게 다수개의 요홈(14)이 형성된 지지대(15)가 삽설하게 된다. 지지대(15)의 경우 양봉판(13)이 안착되는 구성으로 양봉판(13)의 하중에 의해 몸체(10)가 파손될 수 있고, 요홈(14)에 안착된 양봉판(1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지지대(15)의 경우, 플라스틱 계열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장시간 사용에 적합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부커버(20)는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안착되어 내부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방지한다. 상부커버(20)는 상술한 몸체(10)의 상부에 지지대(15)를 감싸 안착되도록 하고,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여 내부공간(11)에 유입되어 있는 벌(1)이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벌통의 경우 실내보다는 실외에 배치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보이며, 비 또는 눈 등의 유입을 상부커버(20)를 통해 방지하게 되고, 몸체(10) 내부에 일정 양의 비나 눈(snow) 등의 유입이 발생할 경우에도 몸체(10)의 내부공간(11) 하부 면은 출입문(12) 방향으로 기울어지게끔 형성하여 상기한 비나 눈 등이 자연스럽게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출입수단(30)은 상기 몸체(10)의 출입문(12)에 벌(1)의 안전한 출입과 함께, 벌(1)의 출입을 제한하고 해충의 출입을 방지한다. 출입수단(30)은 상술한 몸체(10)의 출입문(12)에 장착하여 벌(1)의 안전한 출입이 원활하도록 하고, 모든 벌(1)이 몸체(10)의 내부공간(11)으로 유입된 경우에 벌(1)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작은 크기의 벌(1)보다 큰 말벌 등의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여 벌(1)의 안전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통풍부(40)는 상기 몸체(10)와 상부커버(20)에 내외부로의 공기유입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통풍부(40)는 내외부에 공기가 유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몸체(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커버(20)의 측면 상에 형성된다. 이는 몸체(10)와 상부커버(20) 상에 형성됨에 따라 원활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몸체(10)는 상부에 다수개로 적층되어 넓은 내부공간(11)을 확보하여 많은 수의 양봉판(13)이 장착 가능하게끔 상하부가 관통 형성된 보조몸체(1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10)의 경우 일반적인 상자 형태로 형성되어 그 내부공간(11)이 좁아 많은 양의 양봉판(13)이 안착될 수 없기 때문에 몸체(10)의 상부에 다수개의 보조몸체(16)가 적층됨으로 인해 내부공간(11)을 넓게 확보하여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보조몸체(16)는, 상하부가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고, 보조몸체(16)의 상부에도 몸체(10)와 같이 요홈(14)이 형성된 지지대(15)가 삽설되어 많은 수의 양봉판(13)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출입문(12)에 근접하여 벌(1)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수용하고, 수용된 물이 여러 갈래로 퍼져 많은 수의 벌(1)들이 수분을 섭취할 수 있게끔 분리판(17a)을 갖는 물통(1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물통(17)은, 벌(1)에게 수분 보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벌통 내부에는 수천 내지 수만 마리의 벌(1)이 수용되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많은 수의 벌(1)들이 수분 보충을 위해 몰려들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물통(17)에는 분리판(17a)에 의해 수분이 여러 갈래로 퍼져 안전하게 수분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출입문(12)에 근접하여 안착되게끔 하여 벌(1)의 유입 시 벌(1)에 묻은 꽃가루(2)와 이물질(3)이 분리되게끔 분리공(18a)이 형성된 통로부(18)와, 통로부(18)의 하부에 분리되어 낙하된 꽃가루(2)와 이물질(3)을 수용하게끔 수용부(1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10)의 출입문(12)에는 벌(1)에 묻은 꽃가루(2)와 이물질(3)을 분리시켜 제거한 뒤, 벌(1)이 몸체(10)의 내부공간(11)으로 출입하게 됨으로서, 내부공간(11)이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주게 된다. 즉, 이는 통로부(18)와 수용부(19)로 나뉘어 구비되는데, 통로부(18)는 다수개의 분리공(18a)이 형성되어 벌(1)이 분리공(18a)으로 통과하게 됨으로써, 벌(1)에 묻은 꽃가루(2)와 이물질(3)을 벌(1)로부터 분리시키게 되고, 통로부(18)의 직 하방에 형성된 수용부(19)로 꽃가루(2)와 이물질(3)이 낙하하여 모여지게 된다. 이러한 통로부(18)의 분리공(18a)은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벌(1)이 통과할 때 묻은 꽃가루(2)와 이물질(3)을 제거할 수 있지만, 분리공(18a)에 별도의 솔(미 도시)이 형성되어 벌(1)의 몸을 쓸어내리도록 함으로써 꽃가루(2)와 이물질(3)을 제거할 수 있게끔 구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출입수단(30)은 몸체(10)의 출입문(12)에 삽설 고정되어 벌(1)의 안전한 안착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안착판(31)과, 유입된 벌(1)의 외부 이탈과 함께 해충의 출입을 방지하게끔 걸이구(32)에 삽설하여 측면으로 슬라이드 식으로 개폐되는 막음판(3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입수단(30)은 몸체(10)의 출입문(12)에 삽설되게끔 플라스틱 계열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 안착판(31)이 외부로 돌출 형성된다. 안착판(31)은 벌(1)이 비행한 후, 안전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벌(1)이 출입문(12)으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출입문(12)에 근접하여 3∼4개가량 형성되는 걸이구(32) 상에 삽설하여 측면으로 슬라이드 식으로 개폐되는 막음판(33)을 더 구비하게 된다. 막음판(33)은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며, 막음판(33)에 다수개의 통공(33a)이 형성되어 막음판(33)으로 출입문(12)을 막더라도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벌통을 EPP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고, 벌통의 내외부로 일정한 공기유입이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벌의 성장 및 생활환경에 대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또 벌의 안전한 출입과 함께 각종 해충의 출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벌의 생존률을 크게 높일 수 있고, 특히 벌이 활동할 수 있는 내부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게끔 하면서도 벌에서 묻어나는 꽃가루와 이물질들을 벌통 외부에서 미리 제거하여 벌통 내부가 깨끗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벌 2: 꽃가루
3: 이물질 10: 몸체
11: 내부공간 12: 출입문
13: 양봉판 14: 요홈
15: 지지대 16: 보조몸체
17: 물통 17a: 분리판
18: 통로부 18a: 분리공
19: 수용부 20: 상부커버
30: 출입수단 31: 안착판
32: 걸이구 33: 막음판
40: 통풍부

Claims (5)

  1. 벌의 출입이 가능하여 양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벌통에 있어서:
    일 측에 벌(1)의 출입이 가능하게끔 내부공간(11)과 연통되는 일정 크기의 출입문(12)을 구비하고, 상부에 삽설되어 양봉판(13)의 안착이 가능하게끔 요홈(14)을 갖는 지지대(15)를 구비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안착되어 내부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방지하는 상부커버(20);
    상기 몸체(10)의 출입문(12) 상에 벌(1)의 안전한 출입과 함께 벌(1)의 출입을 제한하고, 해충의 출입을 방지하는 출입수단(30); 및
    상기 몸체(10)와 상부커버(20) 상에 내외부로의 공기유입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통풍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부에 다수개로 적층되어 넓은 내부공간(11)을 확보하여 많은 수의 양봉판(13)을 장착 가능하게끔 상하부가 관통 형성된 보조몸체(1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출입문(12)에 근접하여 벌(1)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수용하고, 수용된 물이 여러 갈래로 퍼져 많은 수의 벌(1)들이 수분을 섭취할 수 있게끔 분리판(17a)을 갖는 물통(1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출입문(12)에 근접 안착되어 벌(1)의 유입 시 벌(1)에 묻은 꽃가루(2)와 이물질(3)이 분리되게끔 분리공(18a)이 형성된 통로부(18)와, 통로부(18)의 하부에 분리되어 낙하된 꽃가루(2)와 이물질(3)을 수용하게끔 수용부(1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수단(30)은 몸체(10)의 출입문(12) 상에 삽설 고정되어 벌(1)의 안전한 안착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안착판(31)과, 유입된 벌(1)의 외부 이탈과 함께 해충의 출입을 방지하게끔 걸이구(32)에 삽설하여 측면으로 슬라이드 식으로 개폐되는 막음판(3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KR1020170030985A 2017-03-13 2017-03-13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KR20180104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985A KR20180104365A (ko) 2017-03-13 2017-03-13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985A KR20180104365A (ko) 2017-03-13 2017-03-13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365A true KR20180104365A (ko) 2018-09-21

Family

ID=6372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985A KR20180104365A (ko) 2017-03-13 2017-03-13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43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4854A (zh) * 2019-04-27 2019-07-05 张子民 内胆式活框蜂箱
KR200491251Y1 (ko) * 2018-10-10 2020-03-09 (주)한국이포 통풍성이 향상된 양봉용 벌통
KR200491503Y1 (ko) * 2018-10-10 2020-04-17 (주)한국이포 출입구의 개폐량 조절이 용이한 양봉용 벌통
US11297805B2 (en) * 2019-05-02 2022-04-12 Andrew Bramante Miticidal beehive entrancewa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51Y1 (ko) * 2018-10-10 2020-03-09 (주)한국이포 통풍성이 향상된 양봉용 벌통
KR200491503Y1 (ko) * 2018-10-10 2020-04-17 (주)한국이포 출입구의 개폐량 조절이 용이한 양봉용 벌통
CN109964854A (zh) * 2019-04-27 2019-07-05 张子民 内胆式活框蜂箱
US11297805B2 (en) * 2019-05-02 2022-04-12 Andrew Bramante Miticidal beehive entrancew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4365A (ko)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US8814630B2 (en) PVC beehive
US9357752B2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plants
KR101667628B1 (ko) 꿀벌 먹이통
US9854789B2 (en) Bee feeders and bee feeding systems for bee colonies
US7410406B2 (en) Virgin queen bee rearing and introduction system
KR101348832B1 (ko) 꿀벌 사양기
US20190320623A1 (en) Cage to transport queen honeybees and her attendants
KR101820068B1 (ko) 탈착식 꿀벌 교미벌통
KR101729130B1 (ko) 벌레 교미 산란 장치
US20180014514A1 (en) Bee-All Inner Cover Feeder
KR200486718Y1 (ko) 벌통용 소문
KR100944662B1 (ko) 뒤영벌의 사육 및 방사용 통
KR20190000407U (ko) 벌꿀의 채집이 용이한 계상형 벌통
US6830499B1 (en) Beehive feeder
KR102554257B1 (ko) 먹이공급이 편리한 벌통용 먹이공급판
KR101141538B1 (ko)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WO2019199179A1 (en) A device for dispensing a substance
KR101027462B1 (ko)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KR20190052512A (ko) 여왕벌용 소초광
KR100928620B1 (ko) 꿀벌 사양기
KR200433173Y1 (ko) 양봉용 사양기
AU2009238296A1 (en) Pest trap for beehive
KR200383074Y1 (ko) 양봉용 화분 채취기
CN113271769A (zh) 直接从蜂箱中采集蜂蜜的高效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