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173Y1 - 양봉용 사양기 - Google Patents

양봉용 사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173Y1
KR200433173Y1 KR2020060027179U KR20060027179U KR200433173Y1 KR 200433173 Y1 KR200433173 Y1 KR 200433173Y1 KR 2020060027179 U KR2020060027179 U KR 2020060027179U KR 20060027179 U KR20060027179 U KR 20060027179U KR 200433173 Y1 KR200433173 Y1 KR 200433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s
beehive
beekeeping
liquid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용
Original Assignee
박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용 filed Critical 박재용
Priority to KR2020060027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1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1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벌통 내에 설치되어 사양액을 공급하는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양기는 벌통 내의 상부에 구성되고 중앙부에 구성된 사양액 저장소의 양측부에 상기 사양액 저장소로부터 사양액이 주입되는 사양실과, 상기 사양실의 일측 외측부에 벌들의 상태를 점거하기 위하여 벌들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하부가 그물형태로 형성된 다목적실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봉용 사양기{Bee-breeding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양실을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차단막을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칸막이와 사양액의 기울기에 관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현장에서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벌통 2. 사양기 3. 사양액 저장소
4. 사양실 5. 통로 6. 칸막이
7. 차단막 8. 유입공 9. 다목적실
10. 덮개 11. 망 12. 사양액
13. 날개
본 고안은 벌통 내에 설치되어 사양액을 공급하는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 보 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양기는 벌통 내의 상부에 구성되고 중앙부에 구성된 사양액 저장소의 양측부에 상기 사양액 저장소로부터 사양액이 주입되는 사양실과, 상기 사양실의 일측 외측부에 벌들의 상태를 점거하기 위하여 벌들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하부가 그물형태로 형성된 다목적실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에 사용되는 사양기는 월동기, 장마철 등과 같은 무밀기에 벌들이 충분한 양의 꿀을 자연적으로 채밀할 수 없을 때나 유밀기에도 저밀량이 부족할 때, 설탕물 등과 같은 사양액을 공급하여 부족한 식량을 충당시킬 수 있도록 벌통 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벌통 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종래 대부분의 사양기는 벌통의 내부에 식량이 저밀되도록 삽입되는 다수의 소초광사이에 그 소초광과 같은 형태의 길이방향으로 사양액이 충액되는 충진몸체와 그 충진몸체와 그 충진몸체의 양단에 내부로 삽입되어 재치되는 재치턱이 형성되도록 제작되어 상기 소초광과 소초광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에 따라 벌들이 소초광과 소초광사이에 설치된 사양기를 왕래하면서 그에 충진된 사양액을 섭취하여 부족하였던 꿀의 채밀량을 충당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사양기에 있어서는 그 사양기가 설치되는 위치가 소초광과 소초광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벌통 내의 사양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의 소초광 내의 벌들의 왕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즉 왕래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소초광이 간섭되는 역할을 하여 그 사양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소초광에는 원활한 채밀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대량의 양봉을 하는 곳에서는 대량의 사양액이 충액되어 있는 한 곳의 저장소에서 밸브나 호스의 연결에 인해 각각의 벌통에 구비되어 있는 사양액 저장소로 공급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서는 대량의 사양액이 저장되어 있는 원저장소에서 각각의 벌통에 구비되어 있는 사양액 저장소로 공급되는 호스나 밸브에서 누수의 문제점이 발견되면 양봉중인 모든 벌통 내의 사양기에 사양액을 충진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양봉용 사양기는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개개의 각 벌통 내에 사양액 저장소를 설치하여 각 벌통안의 사정에 따라 공급하는 사양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벌통안의 벌의 수나 벌의 세력을 체크하기 위하여 다목적실을 설치하여 간편하기 벌의 상태등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벌통 내에 설치되어 사양액을 공급하는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양기는 벌통 내의 상부에 구성되고 중앙부에 구성된 사양액 저장소의 양측부에 상기 사양액 저장소로부터 사양액이 주입되는 사양실과, 상기 사양실의 일측 외측부에 벌들의 상태를 점거하기 위하여 벌들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하부가 그물형태로 형성된 다목적실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사양실과 차단막과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차단막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벌들이 군집하여 사는 벌통(1) 내부에서 상부측의 중앙부는 사양액 저장소(3)가 구성되어 있고, 사양액 저장소(3)의 양측부에는 상기 사양액 저장소(3)로부터 사양액(12)이 주입되는 사양실(4)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양실(4)의 어느 일측의 외측부에 벌들의 상태를 점거하기 위한 벌들의 왕래가 가능한 다목적실(9)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본 고안의 중요한 구성요건이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양실을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로서 물론 도 1의 내용과 연계하여 차단막(7)과 사양실(4)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하여 차단막(4)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양실(4)은 벌들이 군집되어 있는 벌통(1)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통한 통로(5)가 구성되어 있으며, 통로(5)를 통해 왕래가능한 벌들은 상기 사양실(4)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구성되어 있고 상부측은 벌들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칸막이(6)를 통과하여 상기 사양액 저장소(3)로부터 유입된 사양액(12)이 충진되어 있는 공간으로 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벌들의 상태나 벌의 세력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직접 벌들이 군집되어 있는 공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벌통(1)의 상부 뚜껑을 열고 벌들을 점검하여야 하였으나, 도 2에서처럼 사양실(4)의 어느 일측 하부가 그물형태의 살을 가지도록 구성된 다목적실(9)을 두어 하부의 벌들의 왕래가 자유롭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다목적실(9)은 꽃가루나 구제약품 등을 놓을 수 있도록 개폐가 간단한 슬라이드식의 덮개(10)를 상부측에 두어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였다.
덮개(10)를 열지 않고도 벌의 세력이나 상태 등을 점검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10)는 투명한 재질로서도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양실(4)이나 사양액 저장소(3)로부터 만일의 경우 도봉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망(11)을 제작하여 사양기(2)전체를 덮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망(11)을 사용하였지만, 상기 망(11) 대신 플라스틱판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차단막을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차단막(7)은 상기 사양실(4) 상부를 커버 할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사양액(12)이 충진되어 있는 공간과 벌들의 왕래가 가능한 공간이 분할되도록 'ㄱ'자 형상을 지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ㄱ'자 형 차단막(7)의 측면부에는 사양액 저장소(3)에서 사양액(12)의 유입은 가능하나 벌들은 왕래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를 가진 관통홀 형태의 유입 공(8)이 다수개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막(7)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볼트 조임으로 인해 사양기(2) 몸체와 결합과 분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와 같이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의 화살표방향으로 차단막(7)을 삽입하여 사양기(2)에 결합하고 화살표 반대방향으로는 분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칸막이와 사양액의 기울기에 관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벌통(1)을 설치하다 보면 지형의 영향을 받아서 설치된 벌통이 수평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따라서, 벌통(1)이 기울여져 설치되어 있으면 본 고안의 구성에서 사양실(4)에 있는 사양액(12)이 한쪽으로 기울여진 곳의 모서리 부분으로 집중적으로 모이면 상부측이 개방되어 있는 칸막이(6)를 넘쳐 통로(5)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칸막이(6)는 상기 칸막이(6)의 중앙부에서 양측부로 갈수록 기울기가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는 날개(13)로서 벌통(1)과 사양기 사이의 틈 발생을 막기 위한 것으로서, 소초광의 수가 많아지면 사양기의 면적이 벌통(1)의 크기보다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은 보통 9~11개 사이의 소초광이 형성된 벌통에 적합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현장에서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양봉현장에서 벌통(1)이 놓여 있고 상기 벌통(1)의 내부에는 벌들이 군집하여 살 수 있는 공간이 하부에 구성되어 있으며 도 5에서처럼 벌들에게 먹일 수 있는 사양액(12)이 저장되어 있는 사양기(2)가 상부측에 구성된다.
따라서, 하부에 있는 벌들이 통로를 통해 사양액(12)이 있는 상부로 이동하여 사양액(12)을 섭취하여 하부공간에 채밀할 수 있도록 하여 벌들의 유실 없이 채밀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면에서 편의상 망(11)은 제외하여 도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양봉용 사양기는 각각의 벌통 내의 사정에따라 사양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다목적실을 두어 벌통 내의 벌의 수나 벌의 세력등을 간편하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다목적실을 통해 꽃가루 등이나 소독등의 구제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사양중이나 벌의 점검시에도 벌들의 유실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벌통 내에 설치되어 사양액을 공급하는 사양기에 있어서,
    상기 사양기(2)는 벌통(1) 내의 상부에 구성되고 중앙부에 구성된 사양액 저장소(3)의 양측부에 상기 사양액 저장소(3)로부터 사양액(12)이 주입되는 사양실(4)과, 상기 사양실(4)의 일측 외측부는 벌들의 상태를 점거하기 위하여 벌들의 왕래가 가능한 다목적실(9)이 구성된 것이 특징인 양봉용 사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양실(4)은 벌통 내의 하부로부터 벌들이 자유롭게 왕래가 가능한 통로(5)와, 상기 사양액 저장소(3)로부터 유입된 사양액(12)이 하부로 넘치지 않으며 벌들은 왕래가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칸막이(6)와, 상기 사양실(4)의 통로(5)와 칸막이(6)을 모두 커버할 정도의 'ㄱ'자형 차단막(7)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양봉용 사양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실(9)은 하부가 벌들의 왕래가 가능하여 벌들의 건강상태의 체크가 가능하도록 그물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꽃가루 등을 놓기 편리하도록 슬라이드식의 덮개(1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양봉용 사양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ㄱ'자형의 차단막(7)은 측면부가 사양액 저장소(3)로부터 사양액(12)은 유입이 가능하나 벌들은 출입이 되지 못할 정도의 다수개의 유입공(8)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양봉용 사양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6)는 벌통(1)이 기울여져 설치되어 있을 경우 사양액(12)이 칸막이(6)의 상부를 통해 통로(5)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부에서 양측면부로 갈수록 기울기가 상승하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인 양봉용 사양기.
KR2020060027179U 2006-09-30 2006-09-30 양봉용 사양기 KR200433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179U KR200433173Y1 (ko) 2006-09-30 2006-09-30 양봉용 사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179U KR200433173Y1 (ko) 2006-09-30 2006-09-30 양봉용 사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173Y1 true KR200433173Y1 (ko) 2006-12-11

Family

ID=4178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179U KR200433173Y1 (ko) 2006-09-30 2006-09-30 양봉용 사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1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462B1 (ko) 2008-12-02 2011-04-06 금 석 오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KR101027461B1 (ko) * 2008-04-29 2011-04-06 금 석 오 화분통을 구비한 양봉용 사양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461B1 (ko) * 2008-04-29 2011-04-06 금 석 오 화분통을 구비한 양봉용 사양기
KR101027462B1 (ko) 2008-12-02 2011-04-06 금 석 오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694Y1 (ko) 양봉용 사양기
ES2464765T3 (es) Dispositivo diseminador montado en colmena
KR101845239B1 (ko) 말벌 포획장치
KR101667628B1 (ko) 꿀벌 먹이통
KR101723346B1 (ko) 말벌 수집 장치
PT1848267E (pt) Tampa de colmeia
PT2693871T (pt) Aparelho para tratamento de plantas
US9854789B2 (en) Bee feeders and bee feeding systems for bee colonies
KR101348832B1 (ko) 꿀벌 사양기
KR101090622B1 (ko) 양봉용 사양기
KR200433173Y1 (ko) 양봉용 사양기
KR20180104365A (ko)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KR200486718Y1 (ko) 벌통용 소문
KR100946590B1 (ko) 양봉용 사양기
KR102554257B1 (ko) 먹이공급이 편리한 벌통용 먹이공급판
EP0014170A2 (fr) Plateau d&#39;élevage et de nourrissement d&#39;abeilles commandé de l&#39;extérieur pour apiculture intensive
KR102266914B1 (ko)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KR102378433B1 (ko) 양봉장치
KR200486339Y1 (ko) 벌통용 급수기
KR101027462B1 (ko)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KR200369756Y1 (ko) 양봉용 사양기
KR20090114109A (ko) 화분통을 구비한 양봉용 사양기
RU2395200C1 (ru) Клеточка для пчелиной матки
KR20200141216A (ko) 양봉용 자동 사양기
KR200186570Y1 (ko) 꿀벌먹이통 겸용 채유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