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694Y1 - 양봉용 사양기 - Google Patents

양봉용 사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694Y1
KR200487694Y1 KR2020160006688U KR20160006688U KR200487694Y1 KR 200487694 Y1 KR200487694 Y1 KR 200487694Y1 KR 2020160006688 U KR2020160006688 U KR 2020160006688U KR 20160006688 U KR20160006688 U KR 20160006688U KR 200487694 Y1 KR200487694 Y1 KR 200487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liquid
supply unit
supply
specificatio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552U (ko
Inventor
기웅도
Original Assignee
기웅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웅도 filed Critical 기웅도
Priority to KR2020160006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694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5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6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내부에 벌통 외부에 설치된 자동사양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사양액이 내부에 채워지는 양에 따라 자동으로 사양액 공급을 조절할 수 있는 수위조절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본체는 좌우 양측으로 상호 대칭된 구조와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식수와 사양액을 따로 저장할 수 있는 식수 공급부와 사양액 공급부가 각각 구분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식수 공급부와 사양액 공급부의 각 내부 일측에는 벌통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식수와 사양액이 그 내부에 채워지는 수위량에 따라 식수 또는 사양액의 공급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수위조절수단이 구비된 식수 유입부와 사양액 유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식수 유입부와 사양액 유입부 일측에는 식수 유입부 및 사양액 유입부와 소통 가능한 메인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식수와 사양액이 유입, 저장되는 식수 급이부 및 사양액 급이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식수 공급부와 사양액 공급부가 접하는 본체의 중앙부에는 벌통 외부에서 식수와 사양액을 공급하는 보조공급호스가 삽입 설치될 수 있는 호스 설치공간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양봉용 사양기{Bee-breeding apparatus}
본 고안은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봉을 하는 벌통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혹서기 또는 월동시 꿀벌의 식수와 사양액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식수 및 사양액 공급부가 좌우 양측으로 동시에 구비되는 트윈 구조로 구성되고, 각각의 식수 및 사양액 공급부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식수와 사양액이 설정된 기준량만큼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수위조절수단이 더 구비되어 꿀벌의 사양관리가 더욱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에서 계절이나 기후에 따라 밀원이 없거나 외부 기온이 낮아 꿀벌들이 자체적으로 먹이를 조달할 수 없는 경우 인위적으로 꿀벌들의 먹이(물과 설탕물)를 공급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벌통 내부 또는 입구 측에 물이 채워진 급수통이나 설탕물로 이루어진 사양액이 채워진 사양기를 구비하여 꿀벌들의 먹이로 제공하고 있다.
특히, 겨울철과 같은 동절기에는 외부 기온이 낮아 외부 활동이 어려운 꿀벌들이 벌통 내부에서 월동을 하는 동안 사양액을 먹을 수 있도록 벌통 내부에 사양기를 배치하여 일정 주기별로 사양액을 보충해주는 사양관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꿀벌들이 자체적으로 먹이를 확보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꿀벌의 먹이를 인위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용되는 것이 사양기이다.
이러한 사양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태에 있어서 좌우 길이가 상하 높이에 비해 긴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전후 폭이 좁은 형태를 이루면서 상단을 제외한 전후좌우 및 하단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단 좌우측에는 거치부가 마련되어 벌통 내부 상단에 걸쳐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사양기는 그 내부에 사양액을 채워 벌통 내부에 설치해놓음으로써 외부에서 채밀이 어려운 시기에 꿀벌들이 먹이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벌통 내부에 설치된 사양기에 채워진 사양액이 소진될 경우, 양봉업자는 수시로 벌통의 덮개를 열고 벌통 내부에 설치된 사양기에 사양액을 보충해주거나 벌통 내부에서 사양기를 꺼낸 후에 사양액을 충진한 후 다시 벌통 내부에 설치하는 작업을 수시로 수행해야 꿀벌들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보낼 수 있다.
그러나, 양봉을 업으로 수행하는 경우 수백통 이상의 벌통을 일일이 사양액 보충을 위해 벌통의 덮개를 열고 사양액을 보충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동절기와 같이 외부 기온이 낮은 상태일 경우 벌통 내부에 형성된 봉구가 풀려 많은 꿀벌들이 동사(凍死)하는 경우가 발생되곤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사양액 공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벌통 내부에 구비된 사양기에 덮개를 열지 않고 자동으로 사양액을 공급해줄 수 있는 자동사양장치가 개발되어 이용됨으로써 많은 벌통을 갖고 있는 양봉업자들의 꿀벌 사양관리가 더욱 편리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양기는 도 1에 도시된 수동식 사양기 또는 자동사양기(도시안됨)와 같이 단순히 사양액(설탕을 녹인 물)만을 공급해주는 단일 형태(single type)로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양봉에서는 수동식 사양기 또는 자동식 사양기를 사용하더라도 사양액만을 공급해 주는 것만이 사양관리의 목표가 되었기 때문에 월동을 하는 경우에도 벌통 내부에 사양액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꿀벌들이 월동을 하는 동안의 봉구 형성과 산란 및 부화 등 지속적인 활동과 성장, 개체증식을 하는데 있어서 많은 체력이 소모되기에 사양액의 공급도 중요하지만 수분, 즉 깨끗한 물을 제공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요인인데 종래의 경우 꿀벌의 식수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어 월동기간 동안 꿀벌의 개체수 증가와 건강관리에 대한 취약점이 있었다.
또한, 수동식 사양기는 작업자가 직접 사양을 해야하는 불편이 있고, 수동식 사양기와 자동식 사양기를 동시에 설치하는 경우, 벌통 내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꿀벌들의 봉구 형성 및 개체수 증가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되고, 이중 사양기 설치로 인해 작업과정이 불편하고 많은 노동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동절기에 꿀벌의 월동을 위해서 벌통 내부에 가온(加溫)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지는데, 인위적으로 열을 발생하여 벌통 내부의 온도를 유지할 경우 벌통 내부가 건조해지고 수분이 부족하기 쉽게 되어 벌통 내부의 수분관리가 월동을 나는 동안 꿀벌의 건강관리와 개체수 증가에 따른 강군을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본 고안자는 다년간의 실험과 양봉업을 수행하면서 획득한 경험을 바탕으로 본 고안을 안출하게 되었다.
- 공개실용신안 제2000-0007880호(공개일: 2000.05.06, 고안의 명칭: 양봉용 사양기의 사양액 개폐장치) - 등록실용신안 제20-0317686호(등록일:2003.06.12, 고안의 명칭: 양봉용 자동 사양기) - 특허공개 제10-2014-0116634호(공개일: 2014.10.06, 발명의 명칭: 양봉용 사양기) - 특허등록 제10-1348832호(등록일: 2013.12.31, 발명의 명칭: 꿀벌 사양기)
본 고안은 종래의 사양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월동시 가온장치가 구비되는 벌통의 내부에서 적절한 수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꿀벌의 식수공급이 원활하도록 하여 꿀벌의 생육증진과 개체수 증가를 통한 강군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양봉용 사양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양기에 공급되는 사양액의 점성으로 인해 사양액 자동 공급장치의 고장발생 위험을 줄여 식수 또는 사양액의 누수로 인한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인 사양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양봉용 사양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수동식 사양기에 자동식 사양기를 이중으로 설치하는 불편을 없애 자동사양기의 설치 편리성 향상과 자재의 소요비용을 줄이고, 월동 준비에 소요되는 작업자의 노동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양봉용 사양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는 벌통의 내부에 직접 거치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본체와, 자동사양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사양액 및 식수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쪽에 각각 분리되어 저장되도록 본체의 내측 양쪽으로 구비되는 식수공급부 및 사양액공급부와, 자동사양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식수 및 사양액의 공급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식수공급부와 사양액공급부에 각각 구비되는 수위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식수공급부 및 사양액공급부 각각은 관통구가 형성된 메인격벽에 의해 좌우 구분된 일측으로 상기 수위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자동사양공급장치로부터 식수 및 사양액이 각각 유입되는 식수유입부와 사양액유입부가 구비되고, 타측으로 상기 식수유입부와 사양액유입부로 유입된 식수와 사양액이 메인격벽의 관통구를 통해 유입 저장되는 식수급이부 및 사양액급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수공급부와 사양액공급부를 양분하는 본체의 중앙부에는 식수공급부와 사양액공급부 사이를 일정거리 이격시키면서 상기 식수유입부와 사양액유입부로 식수와 사양액을 각각 공급하는 보조공급호스가 삽입 설치될 수 있는 호스설치공간부가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식수유입부와 사양액유입부의 내측에 채워지는 식수 또는 사양액의 양에 따라 부양되면서 식수 또는 사양액의 유입을 차단하는 플로팅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플로팅부재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내부에 물보다 비중이 작은 부양보조체가 충진되어 플로팅부재의 파손이나 틈새가 발생된 경우에도 원활한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로팅부재는 사다리꼴 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구성되되, 메인격벽을 향하는 일측 상하방향의 테두리부가 아래측으로 내려가면서 좌우 폭이 줄어드는 경사부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식수 또는 사양액의 충진시 부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는 하나의 본체에 식수와 사양액을 동시에 공급하여 꿀벌들의 급이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꿀벌의 사양관리가 편리함은 물론 건강한 꿀벌의 사양을 통해 개체수 증가 및 강군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월동기에 벌통의 덮개를 열지 않고 꿀벌에게 필요한 식수와 사양액의 급이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꿀벌의 사양관리에 필요한 인력을 감소하고, 꿀벌의 동사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식수유입부와 사양액유입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수위조절수단의 플로팅부재는 그 내부에 부양보조체가 추가로 구비되어 플로팅부재의 파손이나 균열로 식수 또는 사양액이 유입되어 부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식수 및 사양액 유입구의 밀폐를 위해 상하 승강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수 및 사양액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벌통 내부에 사양기를 직접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수동식 사양기 내부에 자동식 사양기를 집어넣어 이중으로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자의 노동력 절감 및 자재의 소요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양기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양기의 횡측 수직절단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주요부 발췌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에서 메인격벽의 발췌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에서 메인격벽에 고정되는 수위조절수단의 고정지지체 발췌도,
도 7은 수위조절수단의 플로팅부재의 발췌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에서 수위조절수단의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횡측 수직절단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가 설치된 벌통에 식수 및 사양액을 공급하는 자동사양액공급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100)의 본체(10) 외관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사양기 본체(10)의 내부 구성을 알아보기 쉽도록 본체(10)의 횡 방향에 대한 수직절단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100)의 본체(10)는 좌우 길이방향이 상하 높이보다 길이가 긴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전후방향의 두께는 꿀벌들이 내부로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폭과, 그 내부에 식수 또는 사양액을 일정량 채워 보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본체(10)의 상단 좌우 양쪽에는 본체(10)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거치부(11,12)가 형성되어 벌통 내부에 본체(10)가 수직으로 걸쳐져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즉, 상기 본체(10)는 상부로 식수와 사양액의 섭취를 위해 꿀벌들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면 일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전후, 좌우 및 측면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 좌우 양측으로 식수와 사양액을 분리 저장될 수 있도록 식수공급부(30)와 사양액공급부(40)가 그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일체로 구성된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중심부에서 좌우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상기 식수공급부(30)와 사양액공급부(40)의 각 내측에는 식수와 사양액이 각각 유입되는 식수유입부(32)와 사양액유입부(42)가 소정의 공간부로 형성되고, 상기 식수유입부(32)와 사양액유입부(42)의 상단에는 차단판(15)이 결합되어 그 내부로 꿀벌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식수유입부(32)와 사양액유입부(42)의 외측방향으로는 상기 식수유입부(32) 및 사양액유입부(42)보다 다소 큰 공간을 갖는 상기 식수급이부(34)와 사양액급이부(44)가 각각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수급이부(34)와 사양액급이부(44)의 내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식수급이부(34)와 사양액급이부(44)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높이를 갖는 이동안내부재(5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식수유입부(32)와 사양액유입부(42)의 내측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식수 및 사양액의 공급량을 내부의 수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수위조절수단(20)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식수유입부(32)와 식수급이부(34)의 사이 및 사양액유입부(42)와 사양액급이부(44)의 사이에는 얇은 판재형으로 이루어진 메인격벽(16)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격벽(16)에는 좌우로 식수 또는 사양액의 소통이 가능하되 식수급이부(34) 또는 사양액급이부(44)로 진입한 꿀벌이 식수유입부(32)나 사양액유입부(42)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관통구가 복수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성된 상기 식수유입부(32)와 사양액유입부(42) 사이에는 호스 설치공간부(17)가 형성되어 벌통 외부로 설치되는 식수 및 사양액 메인공급호스에서 분기된 식수 및 사양액 보조공급호스가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4에는 상술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안내부재(50) 및 수위조절수단(20)의 결합된 상태가 발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식수급이부(34)와 사양액급이부(44)의 내측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이동안내부재(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판재형으로 이루어져 식수급이부(34)와 사양액급이부(44)의 중심부에 수직 설치되거나 사면으로 설치되고, 그 전체면에는 상하 방향의 높이보다 좌우 방향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된 관통공(52)이 일정간격으로 균일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안내부재(50)는 식수와 사양액이 각각 일정 높이로 채워지는 식수급이부(34)와 사양액급이부(44)의 내측에 설치되어 식수와 사양액의 섭취를 위해 식수급이부(34)와 사양액급이부(44)의 상방향으로 출입하는 꿀벌들의 안내가이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식수나 사양액에 빠진 꿀벌들이 이동안내부재를 타고 빠져나와 익사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안내부재(50)의 전·후면에는 전후방을 향해 일정 길이 돌출되는 고정턱(54)이 복수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이동안내부재(50)가 식수급이부(34)와 사양액급이부(44) 내측에 설치될 때 식수급이부(34)와 사양액급이부(44)의 전후 내벽에 그 선단부가 밀착되어 설치된 이동안내부재(50)의 움직임을 제어하면서 꿀벌의 출입공간을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식수급이부(34)와 식수유입부(32) 사이의 경계 및 사양액유입부(42)와 사양액급이부(44) 사이의 경계 역할을 하도록 이동안내부재(50)의 직각방향으로 메인격벽(16)이 수직 설치되고, 상기 메인격벽(16)의 상단부에 수위조절수단(20)이 고정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위조절수단(20)은 식수유입부(32)와 사양액유입부(42) 내측에 설치되어 식수유입부(32) 및 사양액유입부(42) 내측에 채워지는 식수 또는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 부상되면서 식수 또는 사양액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차단하는 플로팅부재(27)와, 상기 플로팅부재(27)를 수직상태로 반듯하게 고정시키면서 플로팅부재(27)의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격벽(16)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지지체(22)와, 상기 식수유입부(32) 및 사양액유입부(42)의 상단부를 밀폐하는 차단판(15)을 관통하여 본체(10)의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식수 및 사양액 보조공급호스와 연결되는 연결콕(28)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는 상기 메인격벽(16)을 발췌 도시하고 있고, 도 6에는 상기 메인격벽(16)에 고정되는 수위조절수단(20)의 고정지지체(22)를 발췌도시하고 있다.
상기 메인격벽(16)의 구조에 대해서 좀 더 상술하면, 상기 메인격벽(1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두께가 얇은 판재형으로 이루어져 본체(10)의 내측 전·후면에 형성된 리브에 끼워져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식수유입부(32)와 식수급이부(34) 사이 및 사양액유입부(42)와 사양액급이부(44) 사이에서 공급된 식수와 사양액의 좌우 소통은 가능하면서 꿀벌의 출입은 방지할 수 있는 크기의 관통구(16a)가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격벽(16)의 전·후단 중간부 이하로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그 전후 폭이 줄어들면서 본체(10)의 내벽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광하협(上廣下狹) 구조의 테이퍼부(16d)가 형성되며, 수위조절수단(20)이 설치되는 방향의 일 측면에는 플로팅부재가 메인격벽(16)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 돌출된 밀착방지돌기(16b)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인격벽(16)의 상단 중심부에는 일정한 폭으로 절개된 내주면에 오목형 끼움부(16c)가 일정 깊이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수위조절수단의 고정지지체가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에는 상기 메인격벽(16)의 끼움부(16c)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지지체(22)의 구성이 발췌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지지체(22)는 상기 메인격벽(16)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부(16c)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는 고정단(23)과, 상기 고정단(23)에서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식수 유입부(32) 및 사양액 유입부(42)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되는 수평지지단(24)이 일정길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단(24)의 일측에는 식수 또는 사양액이 유입되도록 상하로 유입구(25)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단(24)의 전·후면에는 전후방향으로 회동지지부(26)가 일정 길이 돌출되어 후술하는 플로팅부재의 회동고정구가 끼움 결합되어 플로팅부재의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단(24)에 형성된 유입구(25)는 그 상부에서 결합되는 연결콕(28)의 결합이 편리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에는 수위조절수단(20)의 플로팅부재(27)의 내부 투시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로팅부재(27)는 내부가 빈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되, 중공형 내부에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부양보조체(27d)가 충진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로팅부재(27)의 저면이 본체(10)의 바닥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격벽(16)을 향하는 상하방향의 일측 테두리부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플로팅부재(27)의 수직중심축을 향하도록 일정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27e)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27e)의 반대측 테두리부는 본체(10)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상태가 유지되는 수직부(27f)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플로팅부재(27)의 양측변에 형성된 수직부(27f)와 경사부(27e)는 하부에서부터 채워지는 식수 또는 사양액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경사부(27e)가 메인격벽(16)에서 멀어지면서 플로팅부재(27)의 부양을 유도하여 그 상면에 형성된 유입구차단부(27b)가 유입구를 차단하도록 하고, 반대로 식수 또는 사양액의 수위가 낮아질 경우 경사부(27e)가 메인격벽(16)쪽으로 근접하면서 유입구 저면에서 유입구 차단부(27b)가 이격되면서 개방된 유입구를 통해 식수 또는 사양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플로팅부재의 좌우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27f)가 형성된 상단측에는 플로팅부재(27)를 상기고정지지체(22)의 회동지지부(26)에 고정되어 플로팅부재의 좌우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회동고정구(27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동고정구(27a)의 전방측 상면에는 상기 고정지지체(22)의 수평지지단(24)에 형성된 유입구(25)의 저면에 밀착되어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유입구차단부(27b)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차단부(27b)에는 유입구의 차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밀폐용패킹(27c)이 더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로팅부재(27)는 식수유입부(32) 및 사양액유입부(42)의 내부 공간 및 높이에 따라 그 크기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플로팅부재(27)가 식수 또는 사양액 유입부 내측에 설치되어 동작되는 상태가 도 8의 (a), (b)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식수유입부(32)와 사양액유입부(42)에 동시에 설치되는 플로팅부재(27)는 그 기능과 동작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이하에서는 식수 또는 사양액을 구분하지 않고 플로팅부재(27)의 동작상태 위주로 설명한다.
즉, 상기 플로팅부재(27)는 상기 식수유입부(32) 및 사양액유입부(42)의 내측에서 고정지지체(2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지지체(22)는 식수유입부(32)와 식수급이부(34) 사이 및 사양액유입부(42)와 사양액급이부(44)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격벽(16)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고정지지체(22)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에는 식수유입부(32) 및 사양액유입부(42) 상부를 밀폐하는 차단판(15)을 관통하여 본체 상단으로 돌출되는 연결콕(28)이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식수 또는 사양액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8의 (a)는 식수유입부(32)의 내부에 식수가 규정량 이하로 채워진 경우, 상기 플로팅부재(27)는 부력의 작용이 미미하여 상단 회동고정구(27a)를 기준으로 경사부(27e)가 메인격벽(16)측으로 기울어지면서 플로팅부재(27)의 상면에 구비된 유입구차단부(27b)가 고정지지체(22)의 유입구(25) 저면에서 이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벌통의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식수 자동공급장치측에서 식수유입부(32) 내측으로 식수 공급이 이루어게 되고, 일정량의 식수 또는 사양액이 공급되어 식수유입부(32) 또는 사양액유입부(42)의 내부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도 8의 (b)와 같이 식수 또는 사양액에 잠겨있는 플로팅부재(27)가 부력에 의해 회동고정구(27a)를 기준으로 그 반대측이 상승하면서 플로팅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유입구차단부(27b)가 유입구(25)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유입구(25)를 차단하게 되어 식수 또는 사양액의 공급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양기는 식수유입부(32) 및 사양액유입부(42)의 내측에 구비된 수위조절수단(20)에 의해 자동으로 식수 또는 사양액이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식수유입부(32) 및 사양액유입부(42)로 유입된 식수 또는 사양액은 메인격벽(16)의 관통구를 통해 식수급이부 및 사양액급이부로 이동되면서 식수유입부와 식수급이부 및 사양액유입부와 사양액급이부 양쪽이 동시에 채워지게 된다.
한편, 도 9에는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그 특징부는 식수유입부(32)와 식수급이부(34) 사이 및 사양액유입부(42)와 사양액급이부(44)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격벽(16)의 일측으로 메인격벽(16)과 동일한 형태의 보조격벽(16e)이 추가로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보조격벽(16e)에는 식수와 사양액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격벽(16)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조격벽(16e)은 식수급이부(34) 또는 사양액급이부(44)의 내측으로 들어와 식수 또는 사양액을 섭취하는 꿀벌들이 메인격벽(16)측에 밀랍을 붙여 수위조절수단(20)의 동작을 저해하거나 기능을 약하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식수유입부 및 사양액유입부 내측으로 침범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도록 이중 격벽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도 10에는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사양기(100)가 벌통(200)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식수 및 사양액 메인공급호스(60,70)에 보조공급호스(65,75)가 각각 연결되어 식수 및 사양액이 공급되는 사용상태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각 벌통(200) 내부 일측에 본 고안에 따른 사양기(100)가 삽입 설치되고, 각 사양기(100)의 호스 설치공간부를 통해 일정 길이의 식수 및 사양액 보조공급호스(6575)가 동시에 삽입 설치된 후에, 각각의 보조공급호스(65,75)의 일단이 연결콕에 연결되고, 보조공급호스(65,75)의 타단은 식수 및 사양액이 저장된 저장탱크에 연결된 식수 및 사양액 메인공급호스(60,7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분기밸브(80)에 각각 연결되어 식수와 사양액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식수 및 사양액의 메인공급호스(60,7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분기밸브(80)는 각각 2개의 출구를 갖도록 구성되어 하나의 분기밸브(80)에서 인접하는 2개의 벌통으로 식수 또는 사양액이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양액의 자동공급장치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9의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수 및 사양액의 메인공급호스(60,70)의 분기부(62,72)에 연결 설치되는 분기밸브(80)는
Figure 112016112025440-utm00001
형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공급라인에서 두 개의 분기라인을 제공함으로써 인접 설치된 두 개의 벌통에 식수 또는 사양액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매 벌통마다 메인공급호스에 분기부(62,72)를 구성할 필요 없이 두 개의 벌통 간격으로 분기부 및 분기밸브를 설치하여 자동사양장치의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10 : 본체 11,12 : 거치부
15 : 차단판 16 : 메인격벽
16a : 관통구 16b : 밀착방지돌기
16c : 끼움부 16d : 테이퍼부
16e : 보조격벽 17 : 호스 설치공간부
20 : 수위조절수단 22 :고정지지체
23 : 고정단 24 : 수평지지단
25 : 유입구 26 : 회동지지부
27 : 플로팅부재 27a : 회동고정구
27b : 유입구 차단부 27c : 밀폐용 패킹
27d : 부양보조체 27e: 경사부
27f : 수직부 28 : 연결콕
30 : 식수급이부 32 : 식수유입부
34 : 식수급이부 40 : 사양액급이부
42 : 사양액유입부 44 : 사양액급이부
50 : 이동안내부재 52 : 관통공
54 : 고정턱 60,70 : 메인공급호스
62,72 : 분기부 65,75 : 보조공급호스
80 : 분기밸브
100 : 사양기 200 : 벌통

Claims (7)

  1. 벌통의 내부에 직접 거치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자동사양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사양액 및 식수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쪽에 각각 분리되어 저장되도록 본체의 내측 양쪽으로 구비되는 식수공급부(30) 및 사양액공급부(40)와, 자동사양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식수 및 사양액의 공급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식수공급부(30)와 사양액공급부(40)에 수위조절수단(20)이 각각 구비되는 양봉용 사양기에 있어서,
    상기 식수공급부(30) 및 사양액공급부(40) 각각은 관통구(16a)가 형성된 메인격벽(16)에 의해 좌우 구분된 일측으로 상기 수위조절수단(20)이 구비되어 상기 자동사양공급장치로부터 식수 및 사양액이 각각 유입되는 식수유입부(32)와 사양액유입부(42)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격벽(16)의 타측으로 상기 식수유입부(32)와 사양액유입부(42)로 유입된 식수와 사양액이 메인격벽(16)의 관통구(16a)를 통해 유입 저장되는 식수급이부(34) 및 사양액급이부(44)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수공급부(30)와 사양액공급부(40)를 양분하는 본체(10)의 중앙부에는 식수공급부(30)와 사양액공급부(40) 사이를 일정거리 이격시키면서 상기 식수유입부(32)와 사양액유입부(42)로 식수와 사양액을 각각 공급하는 보조공급호스(65,75)가 삽입 설치될 수 있는 호스설치공간부(17)가 마련되며,
    상기 수위조절수단(20)은 플로팅부재(27)를 포함하되, 상기 플로팅부재(27)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내부에 물보다 비중이 작은 부양보조체(27d)가 충진되어 플로팅부재(27)의 파손이나 틈새가 발생된 경우에도 원활한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부재(27)는 사다리꼴 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구성되되, 메인격벽(16)을 향하는 일측 상하방향의 테두리부가 아래측으로 내려가면서 좌우 폭이 줄어드는 경사부(27e)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식수 또는 사양액의 충진시 부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60006688U 2016-11-16 2016-11-16 양봉용 사양기 KR200487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88U KR200487694Y1 (ko) 2016-11-16 2016-11-16 양봉용 사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88U KR200487694Y1 (ko) 2016-11-16 2016-11-16 양봉용 사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52U KR20180001552U (ko) 2018-05-25
KR200487694Y1 true KR200487694Y1 (ko) 2018-10-23

Family

ID=62296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688U KR200487694Y1 (ko) 2016-11-16 2016-11-16 양봉용 사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69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545A (ko) 2018-12-30 2020-07-08 조상균 벌통 가습기 겸용 자동 급이기
KR20200141216A (ko) 2019-06-10 2020-12-18 소은숙 양봉용 자동 사양기
KR20200141217A (ko) 2019-06-10 2020-12-18 소은숙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KR20210095984A (ko) 2020-01-27 2021-08-04 조상균 벌통 가습기 겸용 자동 급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390B1 (ko) 2018-10-03 2020-04-07 조상균 자동 사양 및 급수기가 장착된 벌통
KR102024104B1 (ko) * 2018-11-06 2019-09-23 양호진 벌통 시스템
KR20200114270A (ko) 2019-03-28 2020-10-07 장수경 벌통
KR102338322B1 (ko) 2019-12-16 2021-12-10 정진우 벌통
KR20230021294A (ko) 2021-08-05 2023-02-14 정진우 벌통 뚜껑
KR102390320B1 (ko) * 2021-12-09 2022-04-22 한희진 자연친화형 양봉용 목재 자동 사양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657Y1 (ko) * 2003-08-05 2003-10-30 장봉환 최신 꿀벌먹이통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880U (ko) 1998-10-08 2000-05-06 김규석 양봉용 사양기의 사양액 개폐장치
KR200254919Y1 (ko) * 2001-08-21 2001-11-27 장봉환 꿀벌 물,당액공급급먹이통,
KR200317686Y1 (ko) 2003-04-10 2003-06-25 노태원 양봉용 자동사양기
KR101348832B1 (ko) 2011-12-27 2014-01-10 양승복 꿀벌 사양기
KR20140116634A (ko) 2013-03-25 2014-10-06 오승재 양봉용 사양기
KR101667628B1 (ko) * 2016-04-22 2016-10-19 배선희 꿀벌 먹이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657Y1 (ko) * 2003-08-05 2003-10-30 장봉환 최신 꿀벌먹이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545A (ko) 2018-12-30 2020-07-08 조상균 벌통 가습기 겸용 자동 급이기
KR20200141216A (ko) 2019-06-10 2020-12-18 소은숙 양봉용 자동 사양기
KR20200141217A (ko) 2019-06-10 2020-12-18 소은숙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KR20210095984A (ko) 2020-01-27 2021-08-04 조상균 벌통 가습기 겸용 자동 급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52U (ko)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694Y1 (ko) 양봉용 사양기
KR101667628B1 (ko) 꿀벌 먹이통
KR101348832B1 (ko) 꿀벌 사양기
KR102136410B1 (ko) 벌통 가습기 겸용 자동 급이기
US4333189A (en) Automatic bee feeder
KR101117134B1 (ko) 분리형 벌 사양기
US8161907B2 (en) Livestock waterer
KR20140136550A (ko) 습식 및 건식 겸용 사료급이기
KR20180104365A (ko)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KR101280103B1 (ko) 축산용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KR100946590B1 (ko) 양봉용 사양기
KR200489815Y1 (ko) 꿀벌사양기
KR20120003181A (ko)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KR200433173Y1 (ko) 양봉용 사양기
KR102266914B1 (ko)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KR20200141216A (ko) 양봉용 자동 사양기
KR20210095984A (ko) 벌통 가습기 겸용 자동 급이기
KR100928620B1 (ko) 꿀벌 사양기
KR20210030038A (ko) 양봉용 물통 겸용 먹이통
KR102024104B1 (ko) 벌통 시스템
KR100746149B1 (ko) 히터보호수단을 갖는 가축용 물통
KR102098390B1 (ko) 자동 사양 및 급수기가 장착된 벌통
KR20240059833A (ko) 양봉용 급수기
KR102390320B1 (ko) 자연친화형 양봉용 목재 자동 사양기
KR20100062422A (ko)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