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322B1 - 벌통 - Google Patents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322B1
KR102338322B1 KR1020200042237A KR20200042237A KR102338322B1 KR 102338322 B1 KR102338322 B1 KR 102338322B1 KR 1020200042237 A KR1020200042237 A KR 1020200042237A KR 20200042237 A KR20200042237 A KR 20200042237A KR 102338322 B1 KR102338322 B1 KR 102338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d
hole
liquid
beeh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809A (ko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우 filed Critical 정진우
Publication of KR20210076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관통공(201), (202)이 형성된 본체(200) 내부 바닥 전, 후방에 배출구(203), (203')를 형성하여 이물질 제거시 개방과 폐쇄를 동시에 병행하도록 형성하고, 이물질 제거시에나, 그늘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개방하도록 슬라이드 홈(216a)에 환기망(216b)이 형성된 개폐판(216)을 삽입장착하여 본체(200) 내부의 불필요한 이물질을 제거할 때 개방되게 함과 아울러 배출구(203), (203')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본체(200) 바닥에 제거기(211)를 장착하고, 상기 본체(200)에 형성된 돌출구(204)의 숫체결부(260)를 계상통(230)의 암체결부(270)에 결합함에 따라 계상통(230)을 연장 고정하여 뚜껑(100)을 덮어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200) 양 중앙 하측의 고리(224')로 인해 본 발명의 벌통(1)을 지면판(400)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뚜껑(100) 내부에 여왕벌을 감금할 수 있는 분봉망(101)을 망고정구(101')로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분봉으로 인한 벌들의 외부탈출을 막을 수 있도록 형성하고, 지면에 말뚝(221)을 꽂아 고정된 지면판(400)에 고리(224')로 고정된 벌통(1)이 강풍에 위치이동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본체(200)와 계상통(230)을 덮는 뚜껑(100)의 통풍구(110)에 통기구(114)를 장착하여 벌통(1)의 본체(200) 및 계상통(230) 내부의 온도, 습도를 온습도기(150)를 통해 확인 한 다음, 본체(200) 및 계상통(230) 내부의 환기를 환기망(216b)과 통기구(114)의 조절구(116)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수단(300)에는 이착륙판(306)에 형성된 관통공(302a)의 턱(306') 상단부에 선택패널(312)이 장착된 벌출입부(310)를 나사(50) 결합하여 선택패널(312)을 구성하는 조절판(312b)의 일측 상하에 U자형출입구(312a)와 O자형출입구(312a')를 형성하여 벌들의 출입을 임의로 통제 및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이착륙판(306) 하측에는 좌, 우 양측에 각각 전, 후선택공(319), (319')을 형성하여 전면수단(300)을 형성하는 관통공(303), (303')에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를 슬라이드 삽입장착하고, 상기 벌사양부(350)에는 물과 사양액이 공급되는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에 연질막(358a')이 형성된 부력(358을 장착한 물통(353), 액통(354)을 형성하여 물통로(355a'), 액통로(356a')를 통해 젖어들도록 물심지(355a), 액심지(356a)가 삽입된 물유입통(353'), 액유입통(354')을 형성하여 벌들이 소비하는 물과 사양액의 소비량에 따라 일정량이 공급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 발명의 벌통(1)을 장, 단거리의 이동시 선택패널(312)의 조절판(312b)으로 벌출입부(310)의 관통공(301)을 봉쇄하거나, 출입구인 관통공(301)을 일정 길이 제한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벌통{bee hive box}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물과 사양액(제조된 설탕물이나 물을 희석한 꿀물)을 공급받으며 제조된 화분떡(애벌레 및 벌들의 먹이)을 벌사양부를 동해 공급하거나, 꽃가루 채집을 할 수 있는 화분함을 이착륙판의 하측 관통공에 벌사양부와 나란히 슬라이드 삽입 장착하고, 본체 내부에 빗물 유입이 되지 못하도록 이착륙판에 형성된 관통공 위의 턱 상단에 벌출입부를 장착한 전면수단을 본체에 장착하여 좌우에 암체결부와 전후 상단에 잠금부를 장착하여 전후 상측에 본체 저면과 일부분 장부 맞춤 형상이 이루어지도록 요철 형태를 형성한 뚜껑을 본체나 계상통에 덮어 결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본체 하부의 개폐판에 형성된 환기망과 통기구의 조절구를 장착하여 벌통 내부의 공기 순환을 임의 조절함과 더불어 분봉을 원할 시에 여왕벌을 뚜껑에 내부에 감금하는 분봉망을 장착하여 원거리 분봉을 제지할 수 있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통의 본체 전방에 정착되는 전면수단의 이착륙판 상측에는 벌출입부를 장착하고 이착륙판 양 하측 관통공에는 화분함과 벌사양부를 삽입하여 형성한 전면수단을 본체 전면에 장착함으로 인해 양봉가가 다량의 벌통을 적은 인력으로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다량의 벌통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층층이 다층으로 쌓아 지면에 지면판을 말뚝으로 고정하여 판결합부에 형성된 고리로 고정하여 바람에 의한 지면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벌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통은 벌 출입구를 형성한 사각형의 함을 노상에 진열하여 봄에서 가을까지 채밀을 유도하다가 일정 시점에 이르러 벌통에서 꿀을 채취한 다음, 일정기간 벌의 강군(강력한 무리)을 위해 벌들의 식량용으로 화분떡과 설탕물이나 꿀물 및 물을 인위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일정량의 화분떡과 설탕물 공급을 할 때 일일이 본체의 뚜껑을 열고 연기를 품어 벌들을 진정시켜가면서 공급하는 수고를 하고 나서, 또다시 일정 기간이 되면 각각의 뚜껑을 열고 벌통 내부에 화분떡과 설탕물그릇 및 물그릇을 제거하고 본격적으로 채밀에 돌입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벌통은 뚜껑을 열 필요 없이 후선택공에서 화분함을 분리하여 그간 공급해 왔던 화분떡을 제거해주고 전선택공에 잠금부의 잠금봉을 고정하여 화분떡을 담은 화분함을 본체내부에서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형성하고, 벌사양부에 장착된 잠금봉을 이용하여 전선택공에서 후선택공으로 이동고정함에 따라 본체 내부에 공급되던 물과 사양액에 젖은 심지가 본체 내부에서 개방 또는 폐쇄되게 하여 선택패널과 개폐패널을 선택 및 슬라이드 삽입장착함에 따라 뚜껑을 열 필요 없이 꽃가루와 꿀 채집을 분리채집 하거나 병행채집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벌통의 뚜껑을 열고 사양액이나 화분떡을 보충하는 과정에서 적으로 인식하여 공격하는 벌들의 진정을 위해 연기를 품어 질식하게 하는 등의 스트레스를 주거나, 다량의 물이나 사양액을 용기에 부어줌에 따라 벌들이 빠져 죽는 폐단과, 뚜껑을 여닫는 과정에서 벌들이 압사하는 등의 문제점과, 벌통 뚜껑을 일일이 여닫으며 연기를 품어주면서 벌 사양액 및 화분떡의 공급 여부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벌들이 스트레스받는 불편함을 차치하고라도 양봉가는 장시간의 노동력을 제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본체에 전면수단을 창안하여 장착함으로 인해 이를 개선하였다.
또한, 멀리 날아가거나 높은 나뭇가지에 분봉하려는 벌들의 습성으로 인해 양봉가는 분봉하는 벌들을 벌통에 담기 위해 시간과 인력을 낭비하는 괴로움을 겪어왔으나, 본 발명의 뚜껑에 온습도기와 분봉망을 장착하여 여왕벌을 감금함에 따라 간단히 벌들을 분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이를 개선 하였다.
그리고 강풍에 의해 뚜껑이 벗겨지고 벌통이 넘어지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 등을 덮은 위에 각각의 벌통마다 중량의 돌 등을 얹어주어 뚜껑이 바람에 벗겨지는 피해를 막으려는 인력 낭비의 불편과, 우천시 습기를 품은 부직포 등으로 인해 병충해의 발병요건을 제공하는 폐단 등이 상존해 왔으며, 또 벌통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채밀에 종사해야 할 벌들이 분봉해 나가 버리거나, 날개로 온도를 내느라 채밀에 부진하게 되었으나, 본 발명의 벌통은 뚜껑에 온도, 습도를 확인할 수 있는 온습도기와 통기구 및 본체의 배출구에 장착된 환기망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벌통 내부온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이를 개선한 것이다.
또한, 방치하듯 지면에 벌통을 그냥 놓아두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으로 음습한 공기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에 비닐을 펴서 깐 다음, 블럭 등을 놓고 그 위에 벌통을 올려놓는 것이 상례로 하는 불편함이 상존해 왔으나, 본 발명은 다수의 통공을 형성한 지면판을 지면에 깔고 다수의 말뚝으로 고정한 후 지면판 위에 본 발명의 벌통을 올려놓고 판결합부를 형성하는 고리로 고정함에 따라 강풍에도 벌통의 위치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물론, 지면의 열기 및 음습한 공기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온습도기를 확인하여 분봉열을 감지함과 동시에 환기망과 통기구를 조절하여 벌통 하측 그늘의 시원한 공기가 본체 저면의 배출구를 통해 유입되어 인위적으로 분봉을 지연시키거나 분봉열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를 개선하였다.
또한, 통상적으로 양봉가는 꿀을 채집하고 나서 물이나 사양액를 공급하여준 다음, 소모된 화분떡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일일이 각각의 벌통 본체를 덮은 뚜껑을 열고 확인할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은 체밀 장소에서 다수의 벌통을 층층이 쌓아 설치하여도 일일이 뚜껑을 열어 확인할 필요 없이 벌출입부 및 화분함(투명)과 벌사양부(투명)를 장착한 전면수단을 본체 전면에 결합함에 따라 외부에서 실시간 확인하기 쉬운 것은 물론, 단순하게 전, 후선택공을 통해 화분함을 슬라이드 개폐하여 화분떡을 공급하거나, 별도로 채집한 꽃가루 채집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고, 잠금부를 장착한 벌사양부 또한, 전, 후선택공을 통해 본체 내부에서 화분떡과 물심지 및 액심지가 잠금부의 작동하에 개방과 폐쇄를 간편히 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으며, 또한, 선택패널의 작동에 따라 꽃가루와 꿀을 동시에 채집하거나, 분리체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층층이 쌓인 벌통이라도 꿀을 뜨기 이전까지는 일일이 뚜껑을 여닫는 노동력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더 많은 벌통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체 내부에 불필요하게 지은 소비 하단부의 숫벌집이나 뿌린 약에 의해 죽은 응애 및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제거기를 장착하였을 뿐만 아니라 벌통과 계상통 내부의 환풍을 본체 전, 후방의 배출구를 통해 할 수 있도록 하는 환풍망과, 뚜껑의 통기구를 통해 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이착륙판의 턱 상단에 채밀을 위해 드나드는 벌출입부와, 일정시기에 벌통 본체에서 꿀을 수거한 후 물과 사양액 및 화분떡을 공급하여 벌들이 생존 가능하도록 하는 벌사양부 및 화분함을 이착륙판 하측 관통공에 각각 삽입장착하여 외부로부터 물과 사양액이 공급되는 호스와 연결된 본 발명의 공급관을 통해 공급하도록 하는 벌사양부를 형성한 전면수단을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그리고 통상의 벌통은 양봉가가 채밀을 위해 일정한 간격을 띄워 벌통을 한통씩 나란히 지면에 배치하고 부직포를 덮은 후 중량의 돌을 얹어 바람에 뚜껑이 벗겨저 파손되지 않도록 관리하다가 일정 시기가 되어 설탕물이나 화분떡을 넣어주는 작업을 위해 일일이 중량물과 부직포를 벗기고, 일일이 벌통의 뚜껑을 열어 설탕물이나 화분떡의 소모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불편이 상존해 왔다.
또한, 벌들의 특성상 벌 자신들의 식량용으로 봄에서 가을까지 꿀을 채집하지만, 때가 되면 양봉가가 이를 모두 회수하기 때문에 양봉가는 벌들이 먹을 식량을 인위적으로 공급해 주어야 강군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일일이 벌통의 뚜껑을 열고 화분떡과 물 및 사양액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한창 채밀할 시기에 벌통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분봉열로 인해 분봉하는 폐단과, 벌통 내부의 온도 조절이 어려워 겨울의 강추위에 벌들이 얼어 죽는 일들이 상존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온도 습도를 확인할 수 있는 온습도기를 시야가 확보되도록 뚜껑의 전면에 장착하여 온도습도를 확인하여 본체의 환기망과 뚜껑의 통기구로 본 발명의 벌통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거기로 하여금 본체 내부의 이물질제거는 물론, 장시간의 노동을 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면수단을 본체에 장착함에 따라 노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으며, 체결수단(250)을 형성하는 숫체결부와 암체결부 및 판결합부의 고리를 이용하여 지면판에 고정할 수 있음으로 인해 강풍에도 벌통이 날아가거나 뚜껑이 벗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채밀장소로 본 발명의 벌통을 장단거리 이동시 선택패널을 형성하는 조절판으로 하여금 벌들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턱 위에 장착된 벌출입부 상단의 지붕판으로 인한 빗물 유입 방지와 햇빛 가림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쾌적한 환경에서 벌을 사육하면서 채밀할 수 있도록 하는 벌통을 창안한 것이다.
국내 실용신안 제 20-1999-0010948호 국내 실용신안 제 20-2000-0023471호 국내 실용신안 제 20-2004-0011955호 국내 실용신안 제 20-2014-0007828호 국내 실용신안 제 20-2016-0006688호 국내 특허출원 제 10-2004-0011955호 국내 특허출원 제 10-2008-0126468호 국내 특허출원 제 10-2015-0100381호 국내 특허출원 제 10-2016-0017333호 국내 특허출원 제 10-2017-0012529호 국내 특허출원 제 10-2018-0088549호 국내 실용신안 제 20-2018-0001552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과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벌통은 본체에 전면수단을 장착함에 따라 물과 사양액을 자동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관통공 좌, 우에 전, 후선택공을 형성한 전면수단에 장착된 화분함과 벌사양부를 본체 내부로의 개방과 폐쇄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뚜껑의 상 중앙에 본체 하측의 장부맞춤홈과 결합되도록 장부맞춤돌기를 형성하여 좌우중앙에 암체결부를 장착한 본체 및 계상통을 결합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뚜껑 내부의 턱에 망고정구를 형성하여 분봉망을 장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뚜껑의 전후방에 본체를 형성하는 지지대 단부의 고정구에 삽입고정되도록 잠금부를 장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통풍구를 형성한 뚜껑에 조절구를 장착한 통기구를 장착하여 본체 및 계상통 내부의 환기를 조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에 결합하는 뚜껑의 전방에는 온도, 습도가 표시되는 온습도기를 장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에 결합하는 뚜껑의 전, 후방에는 상단에는 잠금부를 장착하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고정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의 돌출구와 계상통의 상돌출턱에는 숫체결부를 장착하고, 뚜껑의 하측과 계상통의 하돌출턱에는 암체결부를 장착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의 중앙 하측에 판결합부를 장착하여 고리로 하여금 지면판에 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 좌우에는 판결합부를 형성하는 고리의 돌기가 고정되는 락을 형성하여 고리의 돌기가 삽입고정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의 고리가 고정되는 지면판에는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다수의 말뚝에 의해 지면에 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 저면 전, 후방에는 홈에 삽입된 개폐판의 환기망에 의해 그늘의 시원한 공기가 본체 내부로 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 바닥에 제거기를 장착하여 전후방에 형성된 배출구로 이물질을 슬라이드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와 나사 결합된 전면수단의 이착륙판 턱 내부에 화분함과 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꽃가루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면수단의 이착륙판 하측 관통공에 화분함과 벌사양부를 장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면수단의 턱 상단에는 벌출입부를 장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벌출입부 상단에는 지붕판을 장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벌출입부의 홈에는 손잡이에 돌기가 형성된 선택패널을 슬라이드 삽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선택패널을 형성하는 조절판 일측 상하에 U자형 출입부와 O자형출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시된 본 발명의 벌통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벌통(1)의 구성은 본체(200)의 전방에 나사(50) 결합하는 전면수단(300)과,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계상통(230)과,
상기 본체(200) 및 계상통(230)의 상부를 덮는 뚜껑(100)과,
상기 본체(200) 하측 중앙에 장착된 판결합부(280)를 형성하는 고리판(224)의 고리(224')가 고정되는 지면판(400)과,
상기 본체(200)의 돌출구(204)에 장착된 숫체결부(260)의 체결구(223a)는 본체(200) 상단에 안착되는 격왕판(233)을 경계로 계상통(230)의 하돌출턱(213')에 장착된 암체결부(270)의 결합홈(111a)에 고정하고,
상기 본체(200)의 돌출구(204)에 장착된 숫체결부(260)의 체결구(223a)와 계상통(230)의 상돌출턱(213)에 장착된 숫체결부(260)의 체결구(223a)는 뚜껑(100)에 장착된 암체결부(270)의 결합홈(111a)에 결합하여 구성하되,
상기 본체(200)에는 관통공(201), (202)이 형성된 전면에 관통공(201)과 전면수단(300)의 관통공(301)을 통해 벌들이 출입하도록 밀착되게 나사(50)결합하고,
상기 본체(200) 바닥 전, 후방에는 배출구(203), (203')를 형성하여 제거기(211)로 하여금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 내부바닥에 장착한 제거기(211)의 막음판(213')과 커트기(214)로 하여금 전, 후방 배출구(203), (203')를 슬라이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와 계상통(230)의 상단부에는 소비(207a)를 걸도록 걸침대(207')가 삽입되는 걸침홈(207)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의 돌출구(204) 좌우에는 숫체결부(260)를 장착하고,
상기 본체(200)의 하측 좌우 중앙부에 판결합부(280)를 형성하여 고리판(224)의 고리(224')를 지면판(400)에 회전 고정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의 지지대(200a) 하단부에 장착된 고정구(206)의 연장고정홈(206a')에는 뚜껑(100)에 장착된 잠금부(330)의 잠금봉(332')이 삽입고정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를 지지하는 지지대(200a) 저면에 장착된 고정구(206)의 고정홈(206a)에는 지면에 다수의 통공(60)을 통해 지면판(400)을 고정시킨 말뚝(221)의 헤드(221')가 삽입고정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의 중앙 하측 좌우에 판결합부(280)를 형성하는 고리판(224)에 돌기(224a)를 형성한 고리(224')를 장착하고,
상기 본체(200)를 지지하도록 고리(224')를 회전하여 다수의 통공(60)을 통해 지면에 말뚝(221)으로 고정된 지면판(400)을 결합고정하고,
상기 본체(200)의 바닥 하측 전, 후방 배출구(203), (203')에는 환기망(216b)을 형성한 개폐판(216)이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홈(216a)을 형성하여 좌우에 제거기(211)가 슬라이드 되도록 슬라이드장홈(200')을 형성하고,
상가 본체(200)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공(55)에는 전면수단(300)의 통공(60)을 통해 다수의 나사(50)로 결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전면수단(300)에 다수의 관통공(301), (302a), (303). (303')을 형성하여 이착륙판(306)의 턱(306') 내부에 꽃가루가 통과하는 관통공(302a)을 형성하고,
상기 이착륙판(306) 하측의 관통공(303), (303') 좌, 우에는 전, 후선택공(319), (319')을 형성하여 잠금부(330)가 장착된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를 삽입장착하고,
상기 이착륙판(306)에 형성된 관통공(302a) 상측의 턱(306') 위에는 벌출입부(310)를 장착하고,
상기 벌출입부(310)에 슬라이드 홈(311a)을 형성한 틀(311) 상단부에는 지붕판(315)을 경사(203a')지게 형성하고,
상기 틀(311)의 홈(311a)에는 조절판(312b) 일측 상하에 U자형출입구(312a)와 O자형출입구(312a')를 형성한 선택패널(312)을 슬라이드 삽입하고,
상기 틀(311)의 하측 좌우에는 슬라이드 홈(311a')을 형성하여 돌기(317a)가 형성된 개폐패널(317)로 하여금 관통공(302a)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틀(311)의 좌우에는 다수의 통공(60)을 형성하여 전면수단(300)에 다수 형성된 나사공(55)에 나사(50) 결합하고,
상기 관통공(302a)이 형성된 이착륙판(306) 하측의 관통공(303')에 슬라이드 삽입장착된 벌사양부(350)의 물통(353), 액통(354)에는 일측에 부력(358)을 장착한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을 고리대(359)의 걸고리(359')에 걸어 타측을 물통(353), 액통(354)에 천공된 통공(353a), (354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물과 사양액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물통(353), 액통(354)의 후방에 형성된 물유입통(353'), 액유입통(354')에는 물심지(355a), 액심지(356a)를 삽입하여 물통로(355a'), 액통로(356a')를 통해 흡입된 벌사양부(350)의 잠금부(330)로 하여금 전, 후선택공(319), (319')에 선택하여 삽입함에 따라 본체(200) 내부에서 물심지(355a), 액심지(356a)가 폐쇄와 개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물통(353), 액통(354)에는 부력(358)의 상단부에 턱(358a)을 형성한 상단대(358')로 인해 이탈되지 않도록 링(357)이 장착된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을 결합한 벌사양부(350)를 형성하고,
상기 벌사양부(350)와, 화분함(320) 및 벌출입부(310)를 장착한 전면수단(300)을 다수의 통공(60)을 통해 나사(50)로 본체(200)에 결합하여 뚜껑(100)을 덮도록 형성하고,
상기 뚜껑(100)의 상측에 장부맞춤돌기(108)를 형성하여 본체(200)에 형성된 장부맞춤홈(208)으로 인해 장부맞춤 할 수 있도록 요철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뚜껑(100)의 좌우에는 결합홈(111a)이 형성된 암체결부(270)을 장착하고,
상기 뚜껑(100)에 형성된 암체결부(270)의 결합홈(111a)에 체결구(223a)를 결합할 수 있도록 계상통(230)의 상돌출턱(231')에는 숫체결부(260)를 장착하고,
상기 뚜껑(100)과 결합된 계상통(230)의 하돌출턱(231')에는 결합홈(111a)을 형성한 암체결부(270)를 장착하고,
상기 뚜껑(100)의 전면에는 온도, 습도가 표시되는 온습도기(150)를 장착하고,
상기 뚜껑(100)의 내부에 형성된 내측의 턱(106)에는 망고정구(101')에 나사(50)를 결합하여 분봉망(101)을 고정하고,
상기 뚜껑(100)에 다수 형성된 통풍구(110)에는 통기구(114')에 손잡이(116')가 형성된 조절구(116)를 가이드대(115), (115')에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통기구(114)를 장착한 뚜껑(100)의 암체결부(270)에는 본체(200)의 돌출구(204)에 형성된 숫체결부(260)가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의 전면에 전면수단(300)을 장착하여 돌출구(204)와 상돌출턱(231)에는 숫체결부(260)를 장착하고, 뚜껑(100)과 하돌출턱(231')에는 암체결부(270)를 장착하여 본체(200)의 고리(224')로 하여금 지면판(400)에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숫체결부(260)는 중앙부에 홈(221')을 형성하여 요철(凸凹) 형상을 한 중간구(221)의 좌우 고정홈(221a)에는 관통공(222')을 형성한 상하구(222)의 좌우 요철구(222a)를 상하에 삽입고정하여 중간구(221)의 홈(221')과 상하구(222)의 관통공(222')에 나사공(55)이 형성된 손잡이 봉(223)을 삽입하여 체결구(222a)의 통공(50)을 통해 나사(50) 고정하면 손잡이 봉(223)의 회전에 따라 체결구(222a)가 암체결부(270)의 결합홈(111a)에 고정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222a)와 손잡이 봉(223)에는 각각 지지구(222a'), (223a')를 형성하여 손잡이 봉(223)의 상측 나사공(55)에 나사(50) 결합해 줌에 따라 손잡이 봉(223)을 회전하여 암체결부(270)의 결합홈(111a)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200)를 지지하는 전후방 지지대(200a)의 저면에 장착된 고정구(206)의 연장고정홈(206a')에는 뚜껑(100) 상단부 전후방에 장착된 잠금부(330)의 잠금봉(332')이 장착되고, 중앙부 고정홈(206a)에는 지면판(400)을 지지하는 말뚝(221)의 헤드(221')가 삽입되어 고리(224')가 회전고정되어 다수의 벌통(1)을 연장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벌통은 본체 전방에 전면수단을 장착하여 벌출입부를 형성하는 틀의 홈에 선택패널을 선택하여 삽입함에 따라 꿀과 화분을 분리채취 및 병행이 가능하며, 시야가 확보된 재질의 화분함 및 벌사양부로 인해 벌통 전면에서 실시간 벌들의 동태 확인이 가능하며, 제거기를 이용하여 소비 하단부의 불필요하게 짓는 벌집 및 응애 등의 해충 사체 제거와, 벌동의 내부온도 및 습도가 표시되는 온습도기를 실시간 확인하여 필요에 따라 개폐판의 환기망과 통기구를 작동하여 벌통의 내부 환기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분봉열로 인한 여왕벌의 분봉 유도를 본 발명의 뚜껑에 장착된 분봉망을 이용하여 여왕벌을 감금함에 따라 간단히 분봉시킬 수 있으며, 판결합부의 고리로 지면판에 걸어 고정한 후 체결수단으로 하여금 본체와 계상통 및 뚜껑을 고정할 수 있어 바람에 벌통이 넘어지거나 뚜껑이 벗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체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된 벌사양부로 인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사양액이 심지를 젖게 함에 따라 물이나 사양액에 의해 벌들이 빠져 죽거나 연기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는 폐단이 없음은 물론, 각종 병원균의 온상인 부직포 등을 벌통 상측에 덮고 돌을 올리는 등의 불편한 노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노동력이 현저히 감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바닥에 제거기를 장착하여 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소비 하단부에 불필요하게 짓는 벌집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바닥 전, 후방에 천공된 배출구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벌들의 주 업무인 채밀 활동에 집중할 수 있어 더 많은 꿀과 꽃가루를 채집할 수 있음은 물론, 통기구 및 환기구의 작동을 통해 인해 본체 내부의 온도 조절 및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벌통과 계상통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상통과 뚜껑 및 벌통의 본체와 지면판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와 지면판을 저 측면에서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 바닥 전 후방의 배출구와 소비 및 본체와 계상통 사이에 격완판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와 제거기 및 개폐판을 일부 절개 및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에 결합하는 주요부분을 분해 및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분을 확대 및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수단의 주요부분을 확대 및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수단을 형성하는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벌출입부의 전후방과 주요부분을 분리 확대한 사시상태와, 개폐폐널의 단면도 이다.
도 10의 (A)는 벌 출입이 통제되도록 선택패널의 조절판으로 막은 상태의 전방을 나타낸 사시 도이다.
도 10의 (B)는 선택패널에 형성된 O자형출입구를 벌들이 출입하도록 한 상태의 후방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0의 (C)는 U자형출입구를 벌들이 출입하도록 한 상태의 전방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벌출입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U자형출입구로 벌들이 출입하도록 선택패널이 틀의 홈에 삽입된 전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벌 출입부에 다량의 벌들이 다량으로 본체의 관통공을 출입할 수 있도록 선택패널의 조절판을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1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벌 출입구를 선택패널의 조절판으로 막아 벌들의 출입을 하지 못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1의 (D)는 본 발명에 따른 벌출입부의 홈에 O자형출입구를 삽입하여 벌들이 비집고 출입하면서 꽃가루 채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벌사양부와 잠금부를 분해 및 일부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 본체 저면 홈에 장착된 제거기와 개폐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전, 후방에 형성된 배출구의 하측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개폐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판을 일정길이 인출하여 환기망이 본체 전방바닥의 배출구에 위치되도록 함에 따라 그늘의 공기가 벌통 내부로 환기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판으로 본체 바닥의 전방 배출구를 폐쇄하여 배출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차단되도록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4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판을 일정길이 인출하여 후방 배출구에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4의 (D)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배출구에 그늘의 공기가 벌통 내부로 환기되도록 개폐판을 일정길이 인출하여 후방 배출구에 환기망이 위치하도록 장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거기와 전면수단에 장착된 화분함 및 벌사양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바닥 전, 후방 배출구를 제거기의 막음판과 커트기에 의해 폐쇄하고, 전면수단에 장착된 화분함과 벌사양부가 본체 내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5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바닥 후방의 배출구에서 전방의 배출구로 이동한 상태의 커트기와, 전면수단에 장착된 화분함과 벌사양부가 본체 내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5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수단을 형성하는 벌사양부에 장착된 물심지와 액심지가 본체 내부에서 개방되게 한 상태와, 전방 배출구를 막음판에 의해 폐쇄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5의 (D)는 본 발명에 따른 제거기의 커트기를 일정길이 전방으로 인출하여 후방 배출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수단에 삽입장착된 벌사양부의 물심지와 액심지의 작용과, 체결수단을 형성하는 숫체결부 및 암체결부와 판결합부 및 고정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수단에 삽입장착된 화분함 과 벌사양부 및 체결수단과 고정구를 확대 및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수단의 벌사양부에 장착된 잠금부의 잠금봉을 전선택공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6의 (B) 본 발명에 따른 전면수단의 벌사양부에 장착된 잠금부의 잠금봉을 후선택공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벌통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통공(60)을 형성한 지면판(400)을 지면에 깔아 다수의 말뚝(221)으로 고정하고, 전면에 전면수단(300)이 장착된 본체(200)의 지지대(200a) 저면 고정홈(206)에 말뚝(221)의 헤드를 삽입한 다음, 본체(200) 좌우 중앙에 형성된 고리판(224)의 고리(224')를 본체(200)의 락(224a')에서 이출하여 지면판(400)에 회전고정하고, 좌우에 암체결부(270)를 형성한 뚜껑(100)을 본체(200)에 덮어 본체(200) 돌출턱(204)에 형성된 숫체결부(260)의 체결구(223a)가 뚜껑(100)에 형성된 암체결부(270)의 결합홈(111a)에 고정되도록 손잡이 봉(223)을 회전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본체(200) 저면의 장부맞춤홈(208)이 뚜껑(100)의 장부맞춤돌기(108)에 결합되도록 본체(200)를 얹어 뚜껑(100) 전, 후방에 장착된 잠금부(330)의 잠금봉(332')을 지지대(200a) 저면에 형성된 고정구(206)의 연장고정홈(206a')에 손잡이(332)를 이용하여 삽입고정한 다음, 본체(200)의 상단에 격왕판(233)을 경계로 계상통(230)을 올리고 분봉망(101)이 내장된 뚜껑(100)을 덮은 다음, 본체(200)와 계상통(230) 좌우에 형성된 숫체결부(260)의 체결구(223a)로 하여금 계상통(230)과 뚜껑(100)의 암체결부(270)에 체결구(223a)가 형성된 손잡이 봉(223)으로 회전 고정하는 벌통(1)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벌통(1)은 벌들이 출입하는 관통공(201), (301)과 전면수단(300)이 삽입장착되는 관통공(202)을 형성한 본체(200) 내부의 바닥 전, 후방에는 배출구(203), (203')를 형성하여 본체(200) 내부에 기생하는 응애 등의 해충 사체 및 불필요하게 짓는 소비(207a) 하단부의 숫벌집이나 이물질을 제거기(211)로 하여금 수시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200)의 전, 후방 하측에는 환기망(216b)이 형성된 개폐판(216)이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홈(216a')을 형성하여 전, 후방 배출구(203), (203')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본체(200) 내부의 하측 좌우에는 제거기(211)가 슬라이드 장착되도록 슬라이드장홈(200')을 형성하여 제거기(211)로 본체 내부 바닥을 청소할 때 슬라이드장홈(200')을 따라 제거기(211)를 이동할 때 동시에 전 후방배출구(203), (203')가 개폐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본체(200)에 소비(207a)를 장착하여 벌들을 강군(강한무리)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일정시기부터 양봉가는 인위적으로 만든 설탕물과 화분떡 및 물을 본체(200) 내부로 공급해주면 이로 인해 이삼일 내에 일벌들은 방을 청소하여 여왕벌의 산란을 유도하게 되는데 이때, 충분한 사양액과 화분떡 및 물을 공급해 주므로 인해 애벌레를 기를 여건이 마련됨에 따라 여왕벌은 청소된 소비(207a)의 빈방에 알을 낳아 유충을 키우는 강군생성의 활동에 돌입하게 된다.
일정시기에 이르러 벌들은 외부온도 변화에 따라 본체(200) 내외부를 오가며 육아활동을 하거나, 장 단거리 밀원지를 염탐하게 되고, 따라서 외부에서 응애 등의 해충을 묻혀 들어오는 과오를 저지르거나, 출입문을 통해 해충이 벌통(1)의 본체(200) 내부로 들어오는 폐단을 맞이하게 되어 확산 속도가 빠른 해충으로 인해 본체(200) 내부에서 키우는 벌 유충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히게 되는 우를 범함에 따라 양봉가는 응애 등의 해충을 퇴치하기 위해 분무기로 해충방제약을 분사하지만 경우에 따라 약을 설맞은 응애가 죽지 않고 벌통(1) 본체(200) 바닥에 머물다가 회복되어 벌통(1)을 망치는 경우가 허다 하였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벌통(1) 전, 후방에 배출구(203), (203')를 형성한 본체(1)의 바닥에 제거기(211)를 장착하여 양봉가가 해충 약을 뿌려 해충이 바닥에 떨어질 때나, 소비 하단부에 필요없이 짓고 있는 벌집을 제거기(211)를 이용하여 본체(200) 전, 후방으로 밀고 당기는 동작에 따라 수시로 배출구(203), (203')를 통해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거기(211)의 구성은 막음판(213') 양측을 ㄷ자형으로 수직 되게 세워진 지지판(213) 양단부에 다수의 통공(60)을 형성하고, 전, 후면에 커트날(214a)을 C자형으로 형성한 커트기(214)에 나사공(55)을 형성하여 지지판(213)의 통공(60)을 통해 나사(50) 고정하는 것으로, 본체(200)의 슬라이드장홈(200')을 따라 밖으로 당기기 쉽도록 제거기(211) 전방 단부에 손잡이(213a)를 형성한다.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제거기(211)는 커트기(214)의 몸체와 막음판(213')이 본체(200) 전, 후방의 배출구(203), (203')를 폐쇄하였다가 이물질 제거를 시행할 때 전, 후방의 막음판(213')과 커트기(214)가 동시에 배출구(203), (203')를 개방하였다가 폐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거기(211)의 막음판(213')은 전방 배출구(203)를 막고, 커트기(214)는 후방 배출구(203')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제거기(211)의 손잡이(213a)를 잡고 본체(200)의 슬라이드장홈(200')을 따라 전방으로 당겨줌에 따라 C자형 커트날(214a)에 의해 소비 하단부의 불필요한 벌집 제거와 동시에 배출구(203), (203')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거기(211)를 형성하는 커트기(214)에는 앞뒤가 C자형의 커트날(214a)을 형성하고 있어 손잡이(213a)를 잡아당김에 따라 막음판(213')이 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본체(200) 내의 전, 후방 배출구(203), (203')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이때, 전, 후방의 홈(216a')에서 개폐판(216)을 슬라이드 개방하여 제거기(211)의 손잡이(213a)를 잡고 전후방으로 당겼다 밀어주는 동작을 수회 반복하여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본체(200) 내부바닥에서 제거기(211)를 전, 후방으로 당겼다가 밀어주는 동작에 따라 제거기(211) 단부의 상, 하단 커트날(214a)에 의해 소비(207a) 하단부의 불필요하게 짓는 벌집을 깎아 전, 후방에 형성된 배출구(203), (203')로 이동 배출시킴과 동시에 본체(200) 바닥의 죽었거나 덜 죽은 해충 및 찌꺼기들을 본체(200) 외부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4의 원형 점선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 후방 배출구(203), (203')는 개폐판(216)이 홈(216a')에서 전후 슬라이드 되어 본체(200)의 배출구(203), (203')를 밀폐시키거나, 개방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200) 저면에는 단부에 환기망(216b)이 형성된 개폐판(216)의 손잡이(216a')를 이용하여 삽입하거나, 인출하도록 슬라이드 홈(216a)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방의 배출구(203) 또한, 후방의 배출구(203')의 구조와 같은 것으로 단지 후방의 배출구(20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트기(214)가 본체(200) 후방의 배출구(203')를 개폐판(216)과 이중으로 막을 수 있는 반면 전방의 배출구(203)는 막음판(213')과 개폐판(216)으로 이중 밀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전, 후방의 배출구(203), (203')를 개방하려면 우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 후방의 개폐판(216)으로 배출구(203), (203')를 개방한 다음, 제거기(211)를 전후방으로 당겼다가 밀어주는 동작에 따라 본체(200) 내부의 제거기(211)를 형성하는 막음판(213')과 커트기(214)에 의해 배출구(203), (203')가 개방됨과 동시에 C자형 커트기(214)의 상측은 소비(207a) 하단부의 불필요한 벌집을 자르고, 커트기(214)의 하측은 잘라진 벌집과 이물질을 동시에 이동시켜 배출구(203), (203')를 통해 본체(200) 밖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일들을 시기에 맞춰 행해주므로 인해 일벌들은 불필요한 집을 짓는 일이나 응애 등의 해충을 잡아 본체(200) 밖으로 내다버리는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게 되므로 주 업무인 채밀 활동에 주력할 수 있게 되어 더 많은 꿀과 화분을 모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200) 내의 상단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침대(207')가 삽입되는 걸침홈(207)을 형성하여 다수의 소비(207a)를 걸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에 형성된 돌출구(204)의 중앙부 좌우에는 숫체결부(220)를 형성하여 뚜껑(100)의 양 중앙에 형성된 임체결부(270)의 체결공(111a)에 손잡이 봉(223)을 회전결합하여 뚜껑(100)이 바람에 벗겨지지 않도록 형성한다.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100)의 체결공(111a)에는 본체(200)의 돌출구(204)에 형성된 숫체결부(260)의 체결구(223a)를 회전고정하면 본체(200)와 결합된 뚜껑(100)이 바람에 의해 날아가거나 벗겨지지 않을 뿐만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벌통(1)을 층층이 쌓아 보관할 때 뚜껑(100) 전후방에 장착된 잠금부(330)를 이용하여 본체(200)의 지지대(200a)에 형성된 고정구(206)의 연장고정홈(206a)에 잠금봉(332')을 삽입고정함에 따라 본 발명의 벌통(1)과 벌통(1)을 쌓아 일체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수의 통공(60)을 형성한 지면판(400)을 다수의 말뚝(221)으로 지면에 고정한 다음, 본체(200) 좌우 중앙 하측 판결합부(280)를 형성하는 고리판(224)에 고리(224')를 지면판(400)에 회전 고정하면 본 발명의 벌통(1)은 바람에 의해 이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벌통(1)을 층층이 쌓기 위하여는 우선 지면판(400)을 지면에 깔고 다수의 말뚝(221)으로 고정한 지면판(400) 위에 본 발명의 벌통(1) 본체(200)를 올려놓게 되면 다수의 말뚝(221)에 형성된 헤드(221')가 지지대(200a)의 고정홈(206a)에 삽입됨에 따라 본체(200)의 락(224a')에 돌기(224a)가 삽입고정되어 있는 고리(224')의 돌기(224a)를 인출하여 지면판(400)에 회전고정하여 지면이동이 제약되도록 한 다음, 상기 본체(200)의 돌출턱(204)에 형성된 숫체결부(260)의 체결구(223a)를 손잡이 봉(223)으로 회전하여 본체(200) 상단을 덮는 뚜껑(100)에 형성된 암체결부(270)의 결합홈(111a)에 체결구(223a)가 고정되게 하면 강풍에도 본 발명의 본체(200)는 지면 이동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뚜껑(100) 역시 벗겨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체(200)와 뚜껑(100)이 결합된 본 발명의 벌통(1)을 층층이 쌓기 위해 본체(200)를 뚜껑(100) 위에 올리게 되면 뚜껑(100)의 장부맞춤돌기(108)와 본체(200) 저면의 장부맞춤홈(208)이 장부맞춤 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때 뚜껑(100) 전, 후방에 장착된 잠금부(330)의 잠금봉(332')을 지지대(200a)의 연장고정홈(206a')에 삽입고정한 다음, 본체(200) 상단에 뚜껑(100)을 덮거나 계상통(230)을 얹어 좌우의 숫체결부(260)와 암체결부(270)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벌통(1)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본체(200)나 계상통(230)을 층층이 쌓아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격적인 채밀을 하기 위하여는 본체(200) 상단에 여왕벌을 격리시키는 격왕판(233)을 위치한 다음, 내부가 관통되고 상단부에 걸침홈(207)을 형성한 계상통(230)의 걸침대(207')에 다수의 소비(207a)를 걸고 계상통(230)을 본체(200) 상단에 결합하여 계상통(230) 하측 돌출턱(231')에 형성된 암체결부(270)의 결합홈(111a)에 본체(200) 돌출구(204)에 형성된 숫체결부(260)의 체결구(223a)를 고정한 후, 계상통(230) 상단부에 뚜껑(100)을 덮어 상돌출턱(231) 좌우 양 중앙에 형성된 숫체결부(260)의 체결구(223a)를 뚜껑(100)에 형성된 암체결부(270)의 결합홈(111a)에 고정하면 격왕판(233)의 좁은 틈으로 인해 일벌들은 출입 가능하나 여왕벌은 일벌들보다 몸집이 크므로 계상통(230)으로 들어갈 수 없게 되어 계상통(230) 내부의 소비에는 일벌들이 꿀만 채울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일군을 이루는 본 발명의 벌통(1)에 벌들의 수가 많은 강군의 세력을 가진 벌들이란 것을 양봉가가 인지하면 벌통(1) 내부가 분봉 수준의 온도로 상승되지 못하도록 환기망(216b)과 통기구(114)로 조절하도록 한 다음, 그러한 벌통(1) 만을 선별하여 계상통(230) 위에 두, 세개의 계상통(230)을 더 얹어 체결수단(250)으로 연장고정함에 따라 분봉을 막음과 동시에 꿀을 더 많이 생산함과 아울러 자재비용을 대폭절감 할 수 있게 된다.
즉, 분봉이 되는 이유는 벌들의 개체수가 많아지면 벌통 내부의 온도를 일벌들이 일정온도이상으로 상승시킴에 따라 기존의 여왕벌은 새 여왕벌을 길러내 분가를 하게 되지만 환기망(216b)과 통기구(114)로 벌통(1) 내부온도를 조절하여 분봉열 온도 미만이 되게 인위적으로 유지시키도록 함에 따라 개체수가 많아도 분봉하지 않게 되므로 본체(200) 상단에 더 많은 계상통(230)을 올려 더 많은 꿀을 얻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00) 내부에는 넓은 공간을 이루도록 다단계의 턱(106)을 형성하여 내측 전후방의 턱(106)에 분봉망(101)이 고정되도록 망고정구(101')로 고정하여 분봉열에 의해 분봉하려는 여왕벌을 뚜껑(100)의 분봉망(101) 내에 가두어 놓으면 따르는 벌들이 뚜껑(100) 공간의 분봉망(101) 내외부로 몰려 달라붙게 되는데 이때, 따르는 벌들이 붙어있는 뚜껑(100)을 다른 빈 본체(200)로 이동하여 일정시간 덮어 놓아 일정시간 경과후 분봉망(101)에 갇힌 여왕벌을 풀어 줌에 따라 따르는 벌들이 새살림을 차릴 수 있도록 형성한다.
즉, 통상적으로 분봉은 멀리 높은 나뭇가지 등에 일벌이 먼저 자리를 잡으매 따라 여왕벌이 기존의 집을 새로 태어난 여왕벌에게 물려주고 따르는 선발대 일벌들이 자리잡고 있는 곳으로 날아가 합세한 다음, 안전한 장소를 물색하여 더 멀리 날아가 안착하려고 하는 것이 습성인바 이러게 되면 벌들을 잃게 되는 폐단이 발생하거나, 발견한다 해도 장시간의 노동력 끝에 여왕벌을 포함한 따르는 벌들을 벌통(200)에 쓸어 담아야 하는 긴 노동이 소모되어 왔으나, 본 발명의 벌통(1)은 뚜껑(100)의 분봉망(101)에 여왕벌을 가두어 둠에 따라 안전하게 벌통의 수를 늘릴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벌통(1) 관리자의 노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면수단(300)이 본체(200)에 결합함에 따라 전면수단(300)의 관통공(301)이 본체(200)의 관통공(201)에 밀착되게 하여 벌들의 출입로로 이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전면수단(300)의 관통공(302a)은 화분함(320)으로 꽃가루가 떨어지도록 이착륙판(306)에 형성된 턱(306')의 내부에 형성하고, 전면수단(300)의 일측 관통공(303)에는 화분함(320)이 삽입장착되고, 타측 관통공(303')에는 벌사양부(350)를 삽입장착하여 본 발명의 전면수단(300)을 구성한다.
상기 전면수단(300)에 벌들이 내려앉는 이착륙판(306)에는 턱(306') 상단에 벌출입부(310)를 장착하여 벌들이 드나들도록 형성하고, 상기 턱(306') 내부에는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들이 채집해 오는 꽃가루를 도 1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틀(311)의 홈(311a)에 O자형출입구(321a') 장착시 꽃가루를 화분함(320)에 떨어뜨릴 수 있도록 관통공(302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턱(306') 상단부에 장착되는 벌출입부(310)에는 다수의 통공(60)을 형성하여 통공(60)을 통해 전면수단(300)에 나사(50) 결합함에 따라 지붕판(315)과 더불어 본체(200) 내부로 스며드는 빗물유입을 방지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전면수단(300)을 형성하는 이착륙판(306) 하측의 관통공(303), (303')에는 좌, 우에는 전, 후선택공(319), (319')을 형성하여 전면에 잠금부(330)를 장착한 화분함(320)과, 잠금부(330)를 장착한 벌사양부(350)가 관통공(303), (303')에 삽입되어 잠금봉(332')으로 하여금 전, 후선택공(319), (319')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전면수단(300)의 관통공(303), (303')은 화분떡과 물 및 사양액을 본체(200) 내부에서 벌들이 먹을 수 있도록 잠금부(330)의 잠금봉(332')을 도 8의 (A)와, 도 15의 (C)와,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에 외부로부터 화분떡과 물 및 사양액이 공급된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를 전선택공(319)에서 후선택공(319')에 이동 고정함에 따라 본체(200) 내부로 개방된 물심지(355a), 액심지(356a)에서 벌들이 먹을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의 전면에 장착된 잠금부(330)의 손잡이(332)를 작동하여 잠금봉(332')을 후선택공(319')에 고정함에 따라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는 본체(200) 내부에서 화분떡이 삽입된 화분함(320)과 물통로(355a'), 액통로(356a')를 통해 젖어든 물심지(355a), 액심지(356a)가 개방되도록 함에 따라 도 8의 (A)와, 도 15의 (C)와,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들이 화분함(320)에서는 화분떡을, 벌사양부(350)의 물심지(355a)에서는 물을, 벌사양부(350)의 액심지(356a)에서는 사양액을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이착륙판(306) 하측에 형성된 관통공(303), (303') 좌, 우의 전, 후선택공(319), (319')은 화분함(320) 전면의 잠금부(330)와, 벌사양부(350)의 잠금부(330)에 형성된 손잡이(332)를 작동하여 잠금봉(332')으로 하여금 전, 후선택공(319), (319')에 선택삽입함에 따라 본체(200) 내부에서 개방되게 하거나, 도 8의 (B)와, 도 15의 (D)와,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의 위치를 이동하도록 하는 잠금부(330)의 구성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에 나사공(55)이 형성된 판(33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손잡이(332) 내측 단부의 돌기(332a)에 코일스프링(333)의 양단부를 삽입장착하여 잠금봉(332')을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 전면에 각각 위치한 다음,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에 형성된 통공(60)을 통해 나사(50) 결합하여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 전면 양측에 가이드(331')를 접합함에 따라 좌우 양측 손잡이(332)를 손으로 오므려주는 동작에 따라 코일스프링(333)의 탄성에 의해 압축했다가 복원되는 잠금부(330)를 형성한다.
즉, 상기 잠금부(330)는 판(331) 양측에 나사공(55)을 형성한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의 외측 통공(60)으로 판(331)을 위치한 다음,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 내측에서 각각의 통공(60)을 통해 나사(50)로 판(331)의 나사공(55)에 결합하여 일체화됨에 따라 손잡이(332)를 오므려주면 손잡이(332) 양측으로 연장된 잠금봉(332')은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의 전면 양측에 장착된 가이드(331')에 의해 평행으로 유도되어 잠금봉(332')이 슬라이드 되어 원하는 전, 후선택공(319), (319')을 선택하여 삽입고정하도록 하면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를 본체(200) 내부로 개방되게 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벌출입부(310)를 형성하는 ㄷ자형의 틀(311) 상단에는 햇빛과 빗물을 가릴 수 있는 지붕판(315)을 형성하여 한여름의 태양빛을 가려줌과 아울러 바람을 동반한 빗물이 턱(306')과 더불어 본체(200)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틀(311)에는 슬라이드 되도록 홈(311a)을 형성하여 조절판(312b) 일측에 U자형출입구(312a)와 O자형출입구(312a')를 형성한 선택패널(312)을 삽입하여 다량의 벌들이 들고 날 수 있게 선택패널(312)의 조절판(312b)을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하거나, 사육하는 벌들을 해치는 몸집이 큰 장수말벌들 등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하여는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육하는 벌들만이 출입가능하도록 U자형출입구(312a)를 장착하여 사육하는 벌들이 U자형출입구(312a)를 통해 본체(200) 내부로 꿀과 꽃가루를 가지고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하고, O자형출입구(312a')를 장착할 때는 꿀과 꽃가루를 채집한 벌들이 비집고 들어가게 하여 양다리에 채집한 꽃가루를 떨어뜨려 상술한 관통공(302a)을 통해 화분함(320)에 모을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O자형출입구(312a')를 통해 꿀벌들이 본체(200) 내부를 출입하도록 할 때에는 우선 이착륙판(306)의 턱(306') 상단에 장착된 벌출입부(310)의 틀(311) 하단부의 개폐패널(317)의 손잡이(317')를 잡고 전방으로 당겨 관통공(302a)이 화분함(320)에 개방되게 한 다음, 화분함(320)에 장착된 잠금부(330)의 잠금봉(332')을 전선택공(319)에 삽입고정하면 꿀과 꽃가루를 채집한 벌들이 O자형출입구(312a')를 비집고 본체(200) 내부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양다리의 꽃가루가 떨어져 관통공(302a)을 경유하여 화분함(320)에 모을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필요에 따라 틀(311)의 홈(311a)에 삽입된 선택패널(312)은 슬라이드 장착으로 인해 원하는 U자형출입구(312a)나, O자형출입구(312a')로 교체 삽입함에 따라 꽃가루와 꿀을 분리채집할 수 있거나, 병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개폐패널(317)은 벌출입부(310)를 구성하는 틀(311) 하측 좌우에 슬라이드 홈(311a')을 형성하여 좌우에 돌기(317a)가 형성된 개폐패널(317)로 하여금 이착륙판(306)의 턱(306') 내에 형성된 관통공(302a)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작용은 O자형출입구(312a')를 벌들이 통과하도록 틀(311)의 홈(311a)에 삽입하고, 개폐패널(317)의 손잡이(317')를 잡고 전방으로 당겨 놓으면 관통공(302a)이 개방되어 화분함(320)에 꽃가루를 분리 채집할 수 있지만, 개폐패널(317)을 후방으로 전진하여 관통공(302a)을 폐쇄하고, U자형출입구(312a)로 전환하거나 조절판(312')을 벌들의 출입구 상측으로 장착해주면 물과 사양액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면수단(300)을 형성하는 이착륙판(306) 하측의 관통공(303')에 장착하는 벌사양부(310)의 통공(353a), (354a)에는 외부로부터 물과 사양액을 공급받는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을 삽입하여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장착하고, 상기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의 타측에는 상단대(358')에 상단턱(358a)을 형성한 부력(358)을 삽입장착하여 부력(358)이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을 이탈하지 않도록 링(357)을 고정하여 삽입한다.
이렇게 형성된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을 고리대(359)에 다수형성된 걸고리(359')에 결합하여 물통(353), 액통(354) 상단에 형성된 다수의 홈(350a)에 걸어 고정한 후 외부로부터 물과 사양액을 공급해 주면 물통로(355a'), 액통로(356a')를 형성한 물유입통(343'), 액유입통(354')에 물심지(355a), 액심지(356a)를 삽입함에 따라 부력(358)의 작용하에 일정량의 물과 사양액 공급으로 인해 물심지(355a), 액심지(356a)는 젖은 상태가 유지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물이나 사양액을 공급하는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에 링(357)을 장착하여 일측이 개방되어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에 의해 물과 사양액이 공급되도록 형성한 상단대(358')의 상측 단부에 턱(358a)을 형성하여 상단대(358')에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 일측 단부를 삽입한 즉시 링(357)을 끼워줌에 따라 물통(353), 액통(354) 내부에서 부력(358)의 승, 하강 작용으로 인해 이동되더라도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은 상단대(358')에서 이탈하지 않고, 상단대(358') 저면에 장착된 연질막(358a')에 의해 물이나 사양액의 과량을 초래하는 일없이 물심지(355a), 액심지(356a)에서 소비되는 소비량에 따라 타측의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을 통해 공급되는 물과 사양액이 자동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물이나 사양액이 물심지(355a), 액심지(356a)에서 소비되는 양에 따라 부력(358)이 승, 하강하며 상단대(358')에 장착된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의 단부를 연질막(358a')으로 하여금 열어 주거나 막히게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상시 물심지(355a), 액심지(356a)가 젖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벌사양부(350)는 전방에 장착된 잠금부(330)의 손잡이(332)를 이용하여 후선택공(319')으로 슬라이드 이동고정함에 따라 물심지(355a), 액심지(356a)가 본체(200) 내부에서 개방되므로 인해 북새통을 이루는 벌들이 물이나 사양액에 빠져 해를 당하지 않고 안전하게 빨아 먹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를 이착륙판(306) 하측의 관통공(303), (303')에 장착하여 이착륙판(306)의 턱(306') 상단부에 벌출입부(310)를 장착한 전면수단(300)을 본체(200) 전면에 나사(50) 결합하여 뚜껑(100)을 덮어 고정하는 벌통(1)을 형성한다.
그리고 뚜껑(100)의 전면 중앙부에는 온봉(150a), 습봉(150a')을 형성한 온습도기(150)를 뚜껑(100)의 내부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 뚜껑(100)이 덮인 본체(200) 내부의 온도, 습도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술한 온습도기(150)의 온봉(150a), 습봉(150a')이 뚜껑(100)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벌통(1)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뚜껑(100) 전면에 장착된 온습도기(150)를 통해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므로 양봉가는 온도, 습도에 따라 개폐판(216)에 형성된 환기망(216b)과 뚜껑(100)의 통풍구(110)에 장착된 조절구(116)를 적절히 작동하여 벌통() 내부의 온도,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뚜껑(100)에 형성된 다수의 통풍구(110) 저면을 경사(110")지게 형성하여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한 뚜껑(100)의 통풍구(110)에는 본 발명의 벌통(1) 내부의 환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구(116)를 장착한 통기구(114)를 삽입고정하여, 무더운 날씨에는 통기구(114)에 장착된 조절구(116)를 활짝 열어 벌출입부(310)와 본체(200) 저면의 홈(216a)에 슬라이드 삽입된 도 4의 원형 점선과 도 14의 (A),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216) 단부의 환기망(216b)을 통해 본체(200) 내부로 유입되는 그늘진 공기의 환기로 인해 본체(200)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겨울철 추운 날씨에는 선택패널(312)의 조절판(312b)과, 통기구(114)의 조절구(116)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벌통(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을 일정간격 막아 줌과 아울러 본체(200) 바닥의 제거기(211)와 본체(200) 저면의 양측 개폐판(216)으로 배출구(203), (203')를 막아 폐쇄함에 따라 벌들이 추운 겨울에 얼어 죽는 일이 없도록 형성한다.
또한, 지면에서 올라오는 후텁지근한 고온 다습한 공기가 환기망(216b)을 통해 유입되지 않고 그늘의 시원한 공기가 벌통(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200) 저면에 지면판(400)을 깔고 본체(200)를 고리판(224)의 고리(224')로 고정해줌에 따라 본 발명의 벌통(1)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본체(200)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수단(300)은 견고한 재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하여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체(200) 바닥에 장착되는 제거기(211)는 녹슬지 않는 강한 철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는 시야가 확보되도록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상통(230) 위에 계상통(230)을 다수 얹고자 할 때에는 본체(200) 상단부의 계상통(230)에 형성된 하돌출턱(231')의 암체결부(270)에 본체(200) 돌출구(204)의 숫체결부(260)를 고정한 다음, 계상통(230) 상돌출턱(231')의 숫체결부(260)를 올려진 계상통(230)의 하돌출턱(231')에 반복하여 결합하게 되면 하나의 본체(200)에 다수개의 계상통(230)을 층층이 쌓아 뚜껑(100)을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층층이 쌓아 숫체결부(260)와 암체결부(270)로 결합된 본 발명의 벌통(1)을 본체(200) 하측의 고리(224')를 이용하여 지면에 말뚝(221)으로 고정된 지면판(400)에 고정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강풍에 의한 벌통(1)은 지면 이동의 피해를 입지 않음은 물론, 뚜껑(100)이 벗겨지는 폐단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면에서 상승하는 다습한 공기를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선택패널(312)을 슬라이드 하여 출입구를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개방하거나, 도 11의 (A),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U, O자형출입구(312a), (312a')를 통해 벌들이 출입할 수 있음은 물론, 장, 단거리로 본 발명의 벌통(1)을 이동할 때는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판(312b)으로 출입구를 완전 봉쇄하여 벌들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벌출입부(311)의 ㄷ자형 틀(311)에 홈(311a)을 형성하여 개폐패널(312)을 변경장착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돌기(312b')를 형성한 손잡이(312')로 틀(311)에 형성된 락(310a')에 돌기(312b')를 삽입 고정하면 이동수단 등의 흔들림에서도 락(310a')에 고정된 돌기(312b')로 인해 조절판(312b)이 분리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조절판(312b)은 벌출입부(310)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벌들을 잃어버리지 않고 목적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추운 겨울에는 온습도기(150)를 확인해 가며 뚜껑(100)의 통풍구(110)에 장착된 통기구(114)의 조절구(116)와 선택폐널(312)의 조절판(312b) 및 개폐판(216)의 환기망(216b)으로 본 발명의 벌통(1) 본체(200) 내부의 환기를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을 뿐만 아니라, 선택폐널(312)의 조절판(312b)으로 벌출입부(310)의 벌 출입로를 일부 막아주어 동절기 피해를 최소화 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에 상술한 출입로라 하는 것은 소량의 벌 출입을 유도할 때는 조절판(312b)을 이용하여 벌출입부(310) 일부를 막아줄 수 있는 것으로, 선택패널(312)의 이용용도를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그리고 이착륙판(306) 하측 관통공(303), (303')에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를 삽입장착한 전면수단(300)의 좌우에 각각 전, 후장착공(319, 31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잠금부(330)를 작동하여 잠금봉(332')의 위치를 전선택공(319)에 고정하여 화분함(320)에 꽃가루를 모으도록 할 수 있고, 후선택공(319')에 고정하면 화분떡과 물 및 사양액을 본체(200) 내부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양봉가가 꿀과 꽃가루를 분리하여 채집하기 위하여는 우선 벌출입부(310)의 슬라이드 홈(311a)에 장착된 선택패널(312)을 홈(311a)에서 분리하여 O자형출입구(312a')를 관통공(201), (301)으로 향하도록 틀(311)의 홈(311a)에 삽입하여 벌들이 O자형출입구(312a')를 비집고 드나들 수 있도록 유도한 후에 틀(311)의 하단부 슬라이드 홈(311a')에 장착된 개폐패널(317)을 전방으로 당겨 이착륙판(306)의 관통공(303a)을 개방해준 다음, 벌사양부(350)와 화분함(320)에 장착된 잠금부(330)의 손잡이(332)를 손으로 오므려 전방의 전선택공(319)에 잠금봉(332')을 고정해 줌에 따라 이룰 수 있는 것이며, 후선택공(319')으로 잠금봉(332')을 삽입고정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200) 내부가 도 8의 (A)와, 도 15의 (C)와,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되어 물과 사양액 및 화분떡을 먹을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한 (B)와, 도 15의 (B)와, 도 16의 (A)와 같이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가 본체(200) 내부를 폐쇄함으로 인해 꿀과 꽃가루를 분리채집이 불가능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에 상술한 물과 사양액은 양봉가가 외부에 물통과 설탕물을 배합한 대형의 사양액통에 일측 호스를 장착하여 벌사양부(350) 외측으로 노출된 본 발명의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에 타측 호스를 연결함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밝힌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요약하면, 좌우에 슬라이드장홈(200')을 형성하여 다수의 관통공(201), (202)이 형성된 본체(200) 내부 바닥 전, 후방에 배출구(203), (203')를 형성하여 이물질 제거시 제거기(211)로 하여금 개방과 폐쇄를 동시에 병행하도록 형성하고, 이물질 제거시에나, 온습도기(150) 확인 후 시원한 그늘의 공기를 본 발명의 벌통(1)에 공급하기 위해 개방하도록 홈(216a)에 환기망(216b)이 형성된 개폐판(216)을 삽입장착하여 본체(200) 내부의 불필요한 이물질을 제거할 때 개방함과 동시에 배출구(203), (203')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본체(200) 바닥에 제거기(211)를 장착하고, 상기 본체(200)의 돌출구(204)에 숫체결부(260)를 형성하여 계상통(230) 하돌출턱(231')의 암체결부(270)에 연장고정함에 따라 하나의 본체(200) 상단에 다수의 계상통(230)을 얹어 체결수단(250)으로 결합하여 뚜껑(100)을 덮어 돌출구(204)와 상, 하돌출턱(231), (231')에 장착된 숫체결부(260)와 암체결부(270)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200)의 락(224a')에 돌기(224a)를 삽입한 고리판(224)의 고리(224')를 지면에 다수의 말뚝(221)을 박아 고정된 지면판(400)에 락(224a')에서 돌기(224a)가 인출된 고리(224')를 고정해 주므로 인해 강풍에도 벌통(1)이 위치변동 되거나 뚜껑(100)이 벗겨지지 않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와 계상통(230)을 덮는 뚜껑(100)의 통풍구(110)에 조절구(116)가 형성된 통기구(114)를 장착하여 본체(200) 저면의 환기망(216b)과 더불어 벌통(1)의 본체(200)와 계상통(230) 내부의 환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함은 물론, 뚜껑(100) 내부에 여왕벌을 감금할 수 있는 분봉망(101)을 망고정구(101')로 고정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수단(300)에는 이착륙판(306)에 형성된 관통공(302a) 상단의 턱(306')에 선택패널(312)을 홈(331a)에 장착한 벌출입부(310)를 결합하여 선택패널(312)을 구성하는 조절판(312b) 일측 상하에 U자형출입구(312a)와 O자형출입구(312a')를 형성하여 벌들의 출입을 임의로 통제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전면수단(300)을 형성하는 이착륙판(306) 하측 관통공(303), (303')에는 좌, 우 양측에 각각 전, 후선택공(319), (319')을 형성하여 관통공(303), (303')에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를 삽입장착하고, 상기 벌사양부(350)에는 물과 사양액이 공급되는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에 연질막(358a')이 형성된 부력(358)을 장착한 물통(353), 액통(354)을 형성하여 물통로(355a'), 액통로(356a')를 통해 젖어들도록 물심지(355a), 액심지(356a)가 삽입된 물유입통(353'), 액유입통(354')을 형성하여 벌들이 소비하는 물과 사양액 소비량에 따라 일정량이 공급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 발명의 벌통(1)을 장, 단거리의 밀원지로 이동시 선택패널(312)의 조절판(312b)에 의해 벌출입부(310)의 관통공(301)을 도 10의 (A)와,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쇄하거나 출입구인 관통공(301)을 일정 길이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뚜껑 101. 분봉망
111a. 결합홈 114. 통기구
116. 조절구 150. 온습도기
150a. 온봉 150a'. 습봉
200. 본체 201, 202. 관통공
203, 203'. 배출구 211. 제거기
213'. 막음판 214. 커트기
216. 개폐판 250. 체결수단
260. 숫체결부 270. 암체결부
300. 전면수단 301. 302a, 303, 303'. 관통공
306'. 턱 310. 벌출입부
311. 틀 312. 선택패널
312b. 조절판 315. 지붕판
317. 개폐패널 320. 화분함
350. 벌사양부 353. 물통
354. 액통 355, 356. 공급관
358. 부력 358'. 상단대

Claims (6)

  1. 돌출구(204)의 양 중앙에 숫체결부(260)를 형성한 본체(200)의 하측 중앙부에 판결합부(280)를 장착하여 다수의 통공(60)을 통해 지면에 다수의 말뚝(221)으로 고정된 지면판(400)에 고리(224')가 고정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의 전방에는 관통공(201), (202)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 안착하는 계상통(230)의 상, 하돌출턱(231), (231')에는 체결수단(250)을 형성하는 숫체결부(260)와 암체결부(270)를 장착하고,
    상기 본체(200)의 돌출구(204)에 숫체결부(260)를 장착하여 뚜껑(100)에 형성된 암결합부(27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 좌우의 락(224a')에는 판결합부(280)를 형성하는 고리(224')의 돌기(224a)를 삽입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에 형성된 배출구(203), (203') 전후방에는 개폐판(216)이 슬라이드 장착되는 홈(216a')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의 홈(216a')에는 일측 단부의 손잡이(216a')와, 타측 단부에 환기망(216b)이 형성된 개폐판(216)이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 내부의 좌우 슬라이드장홈(200')에는 막음판(213')과 커트기(214)가 형성된 제거기(211)를 장착하여 전, 후방으로 슬라이드 함과 동시에 배출구(203), (203')를 개폐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의 지지대(200a) 저면에는 말뚝(221)의 헤드(221')가 삽입되도록 고정홈(206a)을 형성한 고정구(206)에 잠금부(330)의 잠금봉(332')이 삽입되는 연장고정홈(206a')을 형성하여 장착하고,
    상기 본체(200)의 중앙 저면에는 뚜껑(100)의 장부맞춤돌기(108)와 결합하도록 장부맞춤홈(208)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200)의 지지대(200a) 저면에 장착된 고정구(206)의 연장고정홈(206a')에는 뚜껑(100) 전후방에 장착된 잠금부(330)의 잠금봉(332')이 삽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의 전면수단(300)을 형성하는 이착륙판(306)에는 내부에 관통공(302a)이 형성된 턱(306')을 형성하여 벌들이 출입하는 관통공(301), 꽃가루가 떨어지는 관통공(302a), 화분함(320)이 삽입되는 관통공(303), 벌사양부(350)가 삽입되는 관통공(303')를 형성하고,
    상기 이착륙판(306)의 관통공(303), (303') 좌, 우에는 전, 후선택공(319), (319')을 형성하여 화분함(320)과 벌사양부(350) 전면에 장착된 잠금부(330)의 잠금봉(332')을 고정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이착륙판(306)이 형성된 관통공(302a) 상측의 턱(306') 위에는 벌출입부(310)를 장착하고,
    상기 벌출입부(310) 좌우에 슬라이드 홈(311a), (311a')과 락(310a')을 형성한 틀(311)의 상단부에 지붕판(315)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틀(311)의 홈(311a)에는 손잡이(312')에 돌기(312b')가 형성된 조절판(312b)의 일측 상하에 U자형출입구(312a)와 O자형출입구(312a')를 형성한 선택패널(312)을 슬라이드 삽입하고,
    상기 틀(311)의 하측 좌우의 홈(311a')에는 돌기(317a)가 형성된 개폐패널(317)을 슬라이드 삽입하여 손잡이(317')로 관통공(302a)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벌사양부(350)를 형성하는 물통(353), 액통(354)에는 부력(358)을 장착한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을 고리대(359)의 걸고리(359')에 걸어 홈(350a)에 삽입하고,
    상기 물통(353), 액통(354)의 후방에 형성된 물유입통(353'), 액유입통(354')에 물심지(355a), 액심지(356a)를 삽입하여 물통로(355a'), 액통로(356a')를 통해 젖은 물과 사양액을 형성한 벌사양부(350)를 잠금부(330)의 잠금봉(332')으로 하여금 전, 후선택공(319', (319')에 선택하여 삽입함에 따라 본체(200) 내부에서 물심지(355a), 액심지(356a)가 개방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물통(353), 액통(354)에는 이탈되지 않도록 부력(358) 상단부에 상단턱(358a)을 형성한 상단대(358')에 링(357)이 장착된 일측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의 타측을 외부에 연결할 수 있는 벌사양부(350)를 형성하고,
    상기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에 링(357)을 장착하여 물통(353), 액통(354) 내부에서 부력(358)이 물공급관(355), 액공급관(356)을 이탈하지 않고, 상기 부력(358) 상단부에 형성된 상단대(358') 내부 저면의 연질막(358a')에 의해 물이나 사양액의 과량을 초래하는 일 없이 물심지(355a), 액심지(356a)에서 소비되는 소비량에 따라 자동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00)의 전방에는 온습도기(150)를 장착하여 벌통(1) 내부온도, 습도를 실시간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뚜껑(100)의 내턱(106)에는 망고정구(101')을 장착하여 분봉망(101)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뚜껑(100)에 다수 형성된 통풍구(110)에는 조절구(116)가 가이드(115)를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된 통기구(114)를 장착하고,
    상기 뚜껑(100)의 좌우에는 체결홈(111a)이 형성된 암체결부(270)을 장착하고,
    상기 뚜껑(100)에 형성된 암체결부(270)의 결합홈(111a)에는 본체(200) 돌출구(204)의 숫체결부(260)와 계상통(230) 상돌출턱(231)에 장착된 숫체결부(260)의 체결구(223a)를 고정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뚜껑(100)의 전 후방에는 잠금부(330)를 장착하여 본체(200)의 지지대(200a)에 형성된 고정구(206)의 연장고정홈(206a')에 잠금봉(332')을 삽입하여 벌통(1)을 다층으로 쌓을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뚜껑(100)을 덮은 본체(200) 전면에 벌사양부(350)와, 화분함(320) 및 벌출입부(310)를 장착한 전면수단(300)을 결합하고,
    상기 본체(200) 양측에 장착된 판결합부(280)의 고리(224')를 지면판(4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의 돌출구(204)와 계상통(230)의 상돌출턱(231), (231')에 장착되는 숫체결부(260)에는 중간구(221)에 형성된 좌우 체결홈(221a')에 관통공(222')이 형성된 상하구(222)의 좌우 요철구(222a), (222a')를 삽입장착하여 상단부에 지지구(223a')와 너트(55)를 형성한 손잡이 봉(223)을 하측 상하구(222)의 통공(60)을 통해 중간구(221)를 거쳐 상측 상하구(222)에 삽입하여 체결구(223a)를 형성하는지지구(222a')의 통공(60)을 통해 손잡이 봉(223) 상단의 너트(55)에 나사(50) 결합하매 따라 상호간의 지지구(222a'), (223a')가 결합되도록 하는 숫체결부(260)를 형성하여 계상통(230)의 암체결부(270)에 형성된 결합홈(111a)에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330)에는 양측 가이드(331') 내에 스프링(333)이 장착된 돌기(332a)를 갖는 양측 손잡이(332)가 장착된 판(331)을 벌사양부(350)의 통공(60) 양 외측에 위치하여 각각의 통공(60)을 통해 나사(50)로 판(331)의 나사공(55)에 결합하여 일체화되게 형성하고,
    상기 벌사양부(350) 전면 좌우에는 잠금봉(332')이 슬라이드 되도록 가이드(331')를 장착하여 손잡이(332) 작동으로 하여금 스프링(333)이 탄성을 받아 복원되도록 하는 잠금부(330)를 형성하여 뚜껑(100)의 전후방과 화분함(320) 및 벌사양부(350)에 장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KR1020200042237A 2019-12-16 2020-04-07 벌통 KR102338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67431 2019-12-16
KR1020190167431 2019-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809A KR20210076809A (ko) 2021-06-24
KR102338322B1 true KR102338322B1 (ko) 2021-12-10

Family

ID=7660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237A KR102338322B1 (ko) 2019-12-16 2020-04-07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3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306B1 (ko) 2022-02-03 2022-07-19 이신석 다기능 벌통 장치
KR20230091433A (ko) 2021-12-16 2023-06-23 홍천장작마을 주식회사 갈라짐 방지형 벌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462B1 (ko) 2008-12-02 2011-04-06 금 석 오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KR101348832B1 (ko) 2011-12-27 2014-01-10 양승복 꿀벌 사양기
KR101981895B1 (ko) 2018-08-27 2019-05-23 박효진 벌집틀의 상하 이동이 편리하여 천연벌꿀 생산이 용이한 다층 벌통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994Y1 (ko) 1997-08-30 2001-12-28 신영주 차량용압축기의필드코어
KR100450083B1 (ko) 2002-07-31 2004-09-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대표-음성을 이용하여데이터-파일들을 관리하는 방법
JP5973257B2 (ja) 2012-07-03 2016-08-23 日本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粒子及びそれを含む導電性材料
KR102108322B1 (ko) 2014-02-25 202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에서의 데이터 이송 장치 및 데이터 이송 방법
KR20160017333A (ko) 2014-08-04 2016-02-16 피에스케이 주식회사 공정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처리 장치
KR200487694Y1 (ko) 2016-11-16 2018-10-23 기웅도 양봉용 사양기
KR101908835B1 (ko) 2017-01-26 2018-10-17 장봉환 다목적 벌통 출입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462B1 (ko) 2008-12-02 2011-04-06 금 석 오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KR101348832B1 (ko) 2011-12-27 2014-01-10 양승복 꿀벌 사양기
KR101981895B1 (ko) 2018-08-27 2019-05-23 박효진 벌집틀의 상하 이동이 편리하여 천연벌꿀 생산이 용이한 다층 벌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1433A (ko) 2021-12-16 2023-06-23 홍천장작마을 주식회사 갈라짐 방지형 벌통
KR102423306B1 (ko) 2022-02-03 2022-07-19 이신석 다기능 벌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809A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391B2 (en) Swiftlets farming for production of edible bird's nests
KR101738672B1 (ko) 토·양봉겸용 벌통
KR102338322B1 (ko) 벌통
CN107094715A (zh) 一种中蜂的养殖方法
Matheson et al. Practical Beekeeping in New Zealand: The Definitive Guide: Completely Revised and Updated
KR100682982B1 (ko) 뒤영벌 사육 및 화분매개용 벌통
CN206390012U (zh) 一种能有效防范蜜蜂天敌的蜜蜂养殖装置
US3200419A (en) Traffic control hive base
JP2011139676A (ja) ミツバチの巣箱
CN101112189A (zh) 防蚊蝇塑石壁虎穴装置
CN102132661A (zh) 光诱除蚊花盆
US11744232B2 (en) Beehive
US4367563A (en) Combination bee pollen trap and hive containment apparatus
CN108812556B (zh) 一种批量生产孵化金蝉幼虫用孵化捕获装置
KR100944662B1 (ko) 뒤영벌의 사육 및 방사용 통
RU240457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овли роевых пчел
CN102132695A (zh) 花坞捕蚊装置
CN107484724B (zh) 可快速除蚕砂的桑蚕养殖方法
JP2875212B2 (ja) 移動式鶏舎及び鶏の飼育法
JP2023064315A (ja) ミツバチが生活する容器、補充ミツバチ容器及びミツバチ情報管理システム
WO2004098276A2 (en) Heat system for combating mites and other improvements in a bee-hive
KR20200114270A (ko) 벌통
RU2415570C1 (ru) Искусственное роение и борьба с естественным роением пчелиных семей
CN212035461U (zh) 一种蜜蜂养殖蜂箱的调控设备
CN110916020A (zh) 一种用分离器收集中蜂的雄蜂作人工饲养胡蜂饵料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