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181A -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 Google Patents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181A
KR20120003181A KR1020100063895A KR20100063895A KR20120003181A KR 20120003181 A KR20120003181 A KR 20120003181A KR 1020100063895 A KR1020100063895 A KR 1020100063895A KR 20100063895 A KR20100063895 A KR 20100063895A KR 20120003181 A KR20120003181 A KR 20120003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al
bee
diaphragm
specification liqui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538B1 (ko
Inventor
임준혁
Original Assignee
임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준혁 filed Critical 임준혁
Priority to KR1020100063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538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하나 이상의 비틀림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통 구조로서 하단의 외측면에는 사양액배출관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의 일측 외측면에 벌통에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구가 부설되어 있는 외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개구된 상부로 삽입되어 끼워져 비틀림 결합되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측면의 중간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상광하협의 2단 통 구조로서 상기 비틀림 결합홈에 대응되도록 외측면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틀림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부설되어 있고 내측면 하부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면에 사양액배출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부재로 구성되는 수동식 공급부와; 일측면에 사양액공급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사양부 본체와, 상기 사양부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격벽이 격자를 형성하고 있고 하단 일정부분은 상기 본체 내부 바닥면과 유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사양용 격판, 및 상기 사양부 본체의 외측벽 상단에 결합하는 지지대가 하단 테두리 부분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사양부 뚜껑으로 구성되는 사양부; 및 상기 수동식 공급부의 사양액배출관과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사양부 본체의 사양액공급관과 타측이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는 벌통 외부에 위치하는 수동식 공급부와 벌통 내부에 위치하는 사양부로 분리하고 상기 수동식 공급부와 사양부를 연결부재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사양부를 임의의 일정 크기로 제작하여 벌통 내부의 벌집 하단에 부설할 수 있으며 벌통 내부의 사양부는 단순 저장장치로 구성되어 고장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수동식 공급부는 벌통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사양부로 공급되는 사양액의 양을 사육자가 임의로 수동으로 조절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역시 고장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점검이나 수리 등 관리가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SEPARATE MANUAL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본 발명은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적으로 벌을 사육하는 데 사용되는 벌통으로 벌의 먹이인 사양액을 공급하는 벌사양기를 벌통 외부에 위치하는 수동식 공급부와 벌통 내부에 위치하는 사양부로 분리하고 상기 수동식 공급부와 사양부를 연결부재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사양부를 임의의 일정 크기로 제작하여 벌통 내부의 벌집 하단에 부설할 수 있으며 벌통 내부의 사양부는 단순 저장장치로 구성되어 고장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수동식 공급부는 벌통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사양부로 공급되는 사양액의 양을 사육자가 임의로 수동으로 조절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역시 고장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점검이나 수리 등 관리가 효율적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을 인공적으로 사육함에 있어서 겨울철이나 여름의 장마기간 등 벌들이 자연적으로 꿀을 채집할 수 없는 무밀기나 혹은 유밀기라도 기타의 이유로 채밀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벌의 생육과 꿀의 효율적인 생산을 위하여 인위적으로 벌통에 사양액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벌의 사육이 소규모로 이루어진 과거에는 사육자가 일일이 벌통마다 사양액을 공급해주어야 했고 일정량의 사양액을 항상 유지하기 위하여 수시로 벌통을 점검해주어야 했고, 종래 들어 사육 규모가 대규모로 확장되면서 이와 같이 일일이 관리하기에는 매우 번거롭고 비효율적인 작업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계적인 사양장치가 제안되었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사양장치는 사양액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공급량을 조절하는 부구 등과 같은 공급량조절장치를 이용한 것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사양장치는 공급량조절장치와 사양액 저장장치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벌들이 사양액을 채집하기 위해 사양액 저장장치로 날아왔다가 사양액에 빠져 죽거나 상기 공급량조절장치의 작동을 방해하는 등으로 인하여 고장이 잦았고, 상기 공급량조절장치의 고장으로 사양액이 저장장치를 넘쳐흘러 낭비가 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공급량조절장치와 사양액 저장장치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사양장치는 그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벌통 내부의 상단에 설치되거나 벌통 내부의 벌집 일부를 떼어내고 그 자리에 설치하도록 할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종래의 사양장치는 로열 젤리 등 고부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거의 매일 벌의 내검을 실시하여야만 하는 현대 벌 사육농가의 현실상 내검시 일일이 크기가 큰 일체형 사양장치를 들어내었다가 다시 설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벌통 내부에 사양장치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 사양장치가 잘 작동하는지 관찰하는 것이 어려웠고, 상기 공급량조절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자주 고장이 발생하였고 이와 같이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사양장치 전체를 벌통에서 들어내어 수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사양장치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비용의 낭비도 초래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사양장치는 공급량조절장치에서 공급되어 저장장치에 저장되는 사양액의 수위가 고정되어 있어서 주위 환경이나 벌의 사육시기, 벌의 생장상황 등 여러 상황에 따라 적절한 사양액의 공급량이 변화함에도 이에 대응하지 못하고 언제나 똑같은 양의 사양액을 공급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장치적인 문제점 이외에도 사양장치가 벌통 내부의 상단에 위치함으로 인하여 먹이를 위로 저장하는 벌들의 습성상 벌집 하단 아래층에 위치하는 여왕벌이 사양액의 공급과 채집을 인식하지 못하여 산란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벌사양기를 수동식 공급부와 사양부 및 연결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벌통 외부에는 수동식 공급부를, 벌통 내부에는 사양기를 각각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어 수리시나 교체 시에도 각 장치를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여러 장치로 구성되는 복잡한 공급량조절장치를 구성이 간단한 수동식 공급부로 대체함으로써 고장의 발생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점검이나 관리 등이 매우 용이하며 비용이 매우 저렴한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동식 공급부를 통하여 사양액 공급량을 임의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여 사양부에 저장되는 사양액의 수위를 변화가능하게 함으로써 주위 환경 등 여러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크기가 대형인 일체형 벌사양기를 소형의 분리형 벌사양기로 대체하여 벌통 내부의 하단에 사양부를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벌들의 채밀을 활발하게 하고 여왕벌의 인식으로 산란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하나 이상의 비틀림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통 구조로서 하단의 외측면에는 사양액배출관이 형성되어 있고 벌통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단의 일측 외측면에 부착구가 부설되어 있는 외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개구된 상부로 삽입되어 끼워져 비틀림 결합되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측면의 중간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상광하협의 2단 통 구조로서 상기 비틀림 결합홈에 대응되도록 외측면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틀림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부설되어 있고 내측면 하부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면에 사양액배출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부재로 구성되는 수동식 공급부와; 일측면에 사양액공급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사양부 본체와, 상기 사양부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격벽이 격자를 형성하고 있고 하단 일정부분은 상기 사양부 본체 내부 바닥면과 유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사양용 격판, 및 상기 사양부 본체의 외측벽 상단에 결합하는 일정 높이의 지지대가 하단 테두리 부분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사양부 뚜껑으로 구성되는 사양부; 및 상기 수동식 공급부의 사양액배출관과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사양부 본체의 사양액공급관과 타측이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비틀림 결합돌기는 상기 내측부재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다각형 박판 형태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비틀림 결합홈은 상기 외측부재의 측면 최상단에서부터 하향으로 수직홈이 형성된 후 다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 절곡되어 수평홈이 형성되어 상기 비틀림 결합돌기를 상기 비틀림 결합홈에 수직으로 삽입한 후 수평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내측부재를 상기 외측부재에 간편하면서도 단단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수동식 공급부의 내측부재 최상단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각형 판 형태의 손잡이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수동식 공급부의 내측부재가 완전히 외측부재 속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측부재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부착구는 일측단이 상기 외측부재의 하단 일측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타 측단의 몸체에는 상하로 나사결합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막대 형태의 박판이 상기 외측부재의 하단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벌통의 바닥면에 부착하여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수동식 공급조절부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수동식 공급부의 내측부재에 사양액 공급통을 직접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동식 공급부의 내측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홈에 대응하는 나선돌기가 주둥이에 형성되어 있는 사양액 공급통이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양부는, 상기 사양부 본체의 내부 세로 양측면에 격판 고정홈이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판 고정홈에 양 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단면에서 하단으로 다수개의 격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양부 본체의 바닥면과 하단면 사이에 빈 공간을 가지며 유격되도록 하단면 양 끝단에 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가로 격판과, 상기 가로 격판의 격판 결합홈과 수직으로 결합하는 격판 결합홈이 하단면에서 상단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양부 본체의 바닥면과 하단면 사이에 빈 공간을 가지며 유격되도록 하단면 양 끝단에 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세로 격판이 격자를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되어 상기 사양용 격판이 구성되도록 하여 수리시나 청소 시에 상기 사양용 격판을 각각 분리하여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는 벌통 내부에 벌사양기 전체가 설치되지 않고 벌통 외부에는 수동식 공급부가, 벌통 내부에는 사양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됨으로써 내검시 일일이 벌사양기 전체를 들어낼 필요가 없으며 벌통 내부에 설치되는 사양부는 단순한 구성으로 벌이 빠져 죽거나 하여도 고장이 나지 않으며 설혹 수동식 공급부나 사양부 중 어느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전체를 점검할 필요 없이 문제가 발생한 부분만 수리하거나 교체하면 되므로 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는 각종 장치로 구성되는 복잡한 공급량조절장치를 대신하여 구성이 매우 간단한 수동식 공급부를 장착하여 고장 등의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사양액 공급통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실생활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PET병을 재활용하여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라는 다른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는 벌통 내부에 위치하는 사양부에 저장되는 사양액의 수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벌통 외부에 위치하는 수동식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사양액 공급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벌의 사육환경이나 사육시기, 벌의 생장상황 등 여러 상황에 따라 알맞은 사양액을 공급할 수 있어 최대한 효율적으로 벌을 사육하고 꿀을 채집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는 수동식 공급부와 사양부를 분리함으로써 벌통 내부에 설치되는 사양부를 임의의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고 특수한 형태의 뚜껑을 장착함으로써 사양부를 벌통 내부의 하단에 설치하고 사양부 상단에 벌집을 위치시킬 수 있어 벌들이 사양액을 채집하여 상단의 벌집으로 이동하기 용이하여 채밀이 활발해지고 벌집 하단에 위치하는 여왕벌이 사양액의 존재와 벌들의 채밀활동을 잘 인식하여 산란에 큰 도움이 되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일 실시예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수동식 공급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수동식 공급부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수동식 공급부의 내측부재와 외측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사양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제2 실시예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사양액 공급조절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사양액 공급조절부의 분리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일 실시예의 결합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수동식 공급부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수동식 공급부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수동식 공급부의 내측부재와 외측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사양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는 벌통 외부에 설치된 수동식 공급부(100)와, 벌통 내부에 설치된 사양부(200)와, 상기 수동식 공급부(100)와 사양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수동식 공급부(100)에 결합하는 사양액 공급통(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동식 공급부(10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외측부재(110)와, 상기 외측부재(110)의 개구된 상부에 삽입되어 비틀림 결합하는 역시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내측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부재(110)에는 외측부재(110)의 외측면 하단부에 사양액배출관(111)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양액배출관(111)을 사이에 두고 사양액배출관(111)이 형성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길이가 긴 판 형상의 부착구(113)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부착구(113)는 상기 외측부재(110)를 벌통에 고정하였을 때 상기 사양액배출관(111)과 벌통의 일측면이 상호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사양액배출관(111)이 돌출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하며, 또한 상기 부착구(113)의 끝단에는 나사결합통공(114)이 상하를 관통하며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부착구(113) 상단면을 상기 벌통의 하단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나사결합통공(114)을 통하여 나사를 상기 벌통의 하단면에 조여서 고정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부착구(113)의 형상과 형성된 위치, 개수와 고정방법 등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1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되, 상기 내측부재(120)의 외측면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부재(120)의 상단부 외경은 상기 외측부재(110)의 내경과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측부재(120)의 하단부 외경은 상기 외측부재(110)의 내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부재(120)의 중간부분이 내측으로 절곡을 이루며 2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측부재(120)를 상기 외측부재(110)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내측부재(120)의 상단부는 상기 외측부재(110)에 꼭 맞게 삽입되며 상기 내측부재(120)의 하단부는 상기 내측부재(120)의 외측면과 상기 외측부재(110)의 내측면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120)의 하단부 내측면에는 상기 사양액 공급통(400)과 결합할 수 있도록 나선홈(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부재(120)의 하단부 바닥면에서 상단으로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는 사양액배출통공(121)이 상기 내측부재(120)의 내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외측부재(110)의 개구된 상단의 원통 둘레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홈과 수평홈이 자 형상을 이루고 있는 비틀림 결합홈(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부재(120)의 외측면 상단부의 일정 높이에는 상기 비틀림 결합홈(112)의 위치와 개수에 대응되도록 사각형 판 형태의 비틀림 결합돌기(1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측부재(120)의 비틀림 결합돌기(123)가 상기 외측부재(110)의 비틀림 결합홈(112)에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비틀림 결합홈(112)의 수직홈의 폭은 상기 비틀림 결합돌기(123)의 폭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비틀림 결합돌기(123)가 상기 비틀림 결합홈(112)에 수직으로 삽입된 후 상기 비틀림 결합홈(112)의 수평홈에 비틀림 결합되도록 상기 비틀림 결합돌기(123)의 두께보다 다소 큰 두께와 상기 비틀림 결합돌기(123)의 폭보다 다소 길이가 크게 수평홈을 형성하여 상기 내측부재(120)와 외측부재(110)가 단단히 비틀림 결합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비틀림 결합돌기(123)가 형성된 높이는 상기 내측부재와 외측부재가 비틀림 결합했을 때 상기 외측부재(110)의 내측 바닥면과 상기 내측부재(120)의 외측 바닥면이 완전히 밀착하지 않고 두 바닥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높이를 결정하여 그 공간을 통해 사양액이 원활히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부재(110)의 개구된 상단의 원통 둘레는 상기 비틀림 결합홈(112)이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자형으로 밖으로 꺾여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부재(120)의 개구된 상단의 원통 둘레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형 박판 형태의 손잡이(12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측부재(120)가 상기 외측부재(11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외측부재(110)의 상단면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내측부재(120)의 손잡이(124)를 손으로 집어서 결착하거나 분리할 때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수동식 공급부(100)의 내측부재(120)에는 상기 사양액 공급통(400)이 결합되는데, 상기 사양액 공급통(400)은 주둥이가 상기 내측부재(120)의 나선홈(122)과 나사결합을 할 수 있도록 주둥이에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사양액 공급통(400)을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실생활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음료수 저장용 PET병을 사용한 후 재활용하여 사양액 공급통(400)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ET병은 제조 시부터 주둥이에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측부재(120)의 나선홈(122)과 결합할 수 있으므로 아주 좋은 사양액 공급통(400) 역할을 한다.
상기 사양부(200)는 상단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사양부 본체(210)와, 상기 사양부 본체(210)에 삽입되는 사양용 격판(220)과, 상기 사양부 본체(210)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사양부 뚜껑(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양부 본체(210)는 유입된 사양액이 저장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상의 통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사양액이 사양부 본체(2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사양액공급관(2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양부 본체(210) 내부에는 격자 모양을 이루고 있는 사양용 격판(22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사양용 격판(220)의 하단면과 상기 사양부 본체(210)의 바닥면이 밀착되게 형성하여서는 안 되고 상기 사양용 격판(220)의 하단면과 상기 사양부 본체(210)의 바닥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도록 유격시켜 형성하여야 한다. 이는 상기 사양부 본체(210)로 유입된 사양액이 상기 사양용 격판(220)에 의해 가로막혀 흐르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양액이 상기 사양부 본체(210) 내부에 골고루 연통되어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사양용 격판(220)은 상기 사양부 본체(210)에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양부 본체(21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가로 격판(221)과 세로 격판(222)으로 별도로 나누어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사양부 본체(210)의 내부 세로 양측면에는 다수의 격판고정홈(212)을 형성하되 좌우 위치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중간 높이까지 형성된 격판 결합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양부 본체(210)의 바닥면과 일정 간격을 가지고 유격되도록 하단 양 끝단에 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가로 격판(221)과, 상기 가로 격판(221)의 격판 결합홈과 수직으로 결합하도록 하단에서 상단으로 중간 높이까지 형성된 격판 결합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양부 본체(210)의 바닥면과 일정 간격을 가지고 유격되도록 하단면 양 끝단에 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세로격판으로 나누어 구성하여, 먼저 다수개의 상기 가로 격판(221)을 상기 사양부 본체(210)의 격판고정홈(212)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 다수개의 상기 세로 격판(222)을 상기 가로 격판(221) 상단의 격판 결합홈과 상기 세로 격판(222) 하단의 격판 결합홈이 수직으로 서로 결합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사양용 격판(220)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사양용 격판(220)이 상기 사양부 본체(210)에서 분리되고 또한 상기 가로 격판(221)과 세로 격판(222)으로 분리되도록 구성하면 상기 사양부(200)를 정비한다든지 수리를 한다든지 하는 경우 작업이 용이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 사양부 본체(210)의 개방된 상단에는 사양부 뚜껑(230)을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사양부 뚜껑(230)은 상기 사양부 본체(210)의 개방된 상단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판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사양부 뚜껑(230)이 상기 사양부 본체(210)를 완전히 덮어버리는 경우 벌들이 사양액을 채집하기 위하여 출입을 할 수 없으므로 상기 사양부 뚜껑(230)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 상기 사양부 본체(210)의 외측벽과 결합할 수 있도록 자 형태의 발이 달린 지지대(231)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사양부 본체(210)와 사양부 뚜껑(230)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사양부 뚜껑(230)은 벌통 상단에서 떨어지는 오염물질로부터 사양액을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사양부 뚜껑(230) 상단에 벌집을 올려놓을 수 있어 상기 사양부(200)가 벌통 내부의 하단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작용을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벌통의 외부의 일측에 상기 수동식 공급부(100)의 외측부재(110)를 고정하여 설치하고 벌통의 내부에 상기 사양용 격벽이 설치된 상기 사양부 본체(210)를 위치시킨다. 그 후 상기 수동식 공급부(100)의 외측부재(110)의 사양액배출관(111)과 상기 사양부 본체(210)의 사양액공급관(211)을 상기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연통시킨다. 그 후 상기 사양부 본체(210)의 상단에 상기 사양부 뚜껑(230)을 결합하고 상기 사양부 뚜껑(230) 상단에 벌집을 위치시켜 벌통 내부를 정리한다.
그리고 상기 사양액 공급통(400)에 사양액을 일정량 채운 후 상기 수동식 공급부(100)의 내측부재(120)를 상기 사양액 공급통(400)의 주둥이에 나선 결합하여 사양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한다. 이와 같이 사양액 공급통(400)이 결합된 상기 내측부재(120)를 상기 벌통의 외부에 고정 설치된 외측부재(110)에 결착시키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부재(120)의 비틀림 결합돌기(123)를 상기 외측부재(110)의 비틀림 결합홈(112)에 수직으로 삽입한 후 비틀림 결합홈(112)을 따라 수평으로 끝까지 회전시켜 상기 사양액 공급통(400)이 결합된 상기 내측부재(120)가 이탈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한다. 이와 같이 모든 장치를 다 설치한 후 상기 수동식 공급부(100)를 한 손으로 잡고 지지하며 한 손으로는 상기 사양액 공급통(400)을 회전시켜 상기 수동식 공급부(100)의 내측부재(120)와 상기 사양액 공급통(400)의 결합이 어느 정도 풀어지도록 하면 상기 내측부재(120)의 사양액배출통공(121)을 통해 상기 외측부재(110)로 사양액이 유출되게 되고 상기 외측부재(110)의 사양액배출관(111)과 상기 연결부재(300)를 통해 상기 사양부 본체(210)의 사양액공급관(211)으로 사양액이 공급되어 상기 사양부 본체(210)에 사양액이 저장되게 된다. 상기 사양부(200)에 공급되는 사양액의 양은 상기 내측부재(120)와 상기 사양액 공급통(400)의 결합정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상기 내측부재(120)와 상기 사양액 공급통(400)이 많이 풀어지면 노출되는 상기 내측부재(120)의 사양액배출통공(121)이 넓어져서 많은 양의 사양액이 공급되게 되고, 반대로 단단하게 결합할수록 사양액배출통공(121)이 좁아져서 사양액 공급량이 줄어들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제2 실시예의 결합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사양액 공급조절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사양액 공급조절부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의 제2 실시예는 벌통 외부에 설치된 수동식 공급부(100)와, 벌통 내부에 설치된 사양부(200)와, 벌통 내부에 설치된 사양액 공급조절부(500)와, 상기 수동식 공급부(100)와 사양액 공급조절부(5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사양부(200)와 사양액 공급조절부(5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수동식 공급부(100)에 결합하는 사양액 공급통(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양액 공급조절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과 역할이므로 상기 사양액 공급조절부(50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사양액 공급조절부(5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공급조절부 하우징(510)과, 상기 공급조절부 하우징에 결합하여 상하로 회동 이동할 수 있는 부구(520)와, 상기 공급조절부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공급조절부 뚜껑(5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조절부 하우징(510)은 상부가 개구된 사각형 통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사양액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하우징 본체(511)와, 사양액을 외부에서 공급받아 상기 하우징 본체(511)로 유출하는 사양액유입부(513)와, 상기 사양액유입부(513)로 사양액을 공급하는 사양액유입관(515)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511)의 일측면 하단에는 외부로 사양액을 유출하는 파이프 형태의 사양액유출관(5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면 상단에는 상기 사양액유입부(513)가 연통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양액유입부(513)의 양 측면 상단에는 회동결합통공(514)이 상호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양액유입부(513)의 바닥면에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자 파이프 형태의 상기 사양액유입관(515)의 일측단이 돌출되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511)의 바닥면은 상기 사양액유출관(512)이 형성된 일측으로 내리막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사양액유입부(513)를 통해 공급된 사양액이 경사를 타고 상기 사양액유출관(512)으로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흘러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부구(520)는 상기 공급조절부 하우징(5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조절부 하우징(5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상기 하우징 본체(511)에 내장되는 부구 본체(521)와, 상기 사양액유입부(513)에 내장되는 회동결합부(522)와, 상기 사양액유입관(515)의 일측단을 개폐하는 유입관 덮개(524)로 구성된다. 상기 부구 본체(521)는 상기 하우징 본체(511)와 마찬가지로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사각형 통 형태를 이루고 있고, 상기 회동결합부(522)는 상기 사양액유입부(513)의 개구된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넓은 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양 측면에 상기 회동결합통공(514)에 결합되는 회동결합돌기(5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결합부(522)의 하단면에는 상기 유입관 덮개(5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유입관 덮개(524)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팩킹으로 구성하여 상기 사양액유입관(515)을 단단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양액 공급조절부(500)는 상기 수동식 공급부(100)의 외측부재(110)의 사양액배출관(111)과 상기 사양액 공급조절부(500)의 사양액유입관(515)이 연결부재(300)로 연결되며, 상기 사양부 본체(210)의 사양액공급관(211)과 상기 사양액 공급조절부(500)의 사양액유출관(512)이 연결부재(300)로 연결되어 하나의 사양액 공급 시스템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사양액 공급조절부(500)를 더 구성함으로써 상기 사양액 공급통(400)이 결합된 상기 수동식 공급부(100)에서 사양액이 충분히 공급되어 일정 수위가 되면 상기 사양액 공급조절부(500)의 부구(520)가 상승하여 상기 유입관 덮개(524)가 상기 사양액유입관(515)을 폐쇄하여 더 이상 사양액이 상기 사양액 공급조절부(500)를 통하여 상기 사양부(200)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사양부(200)의 사양액이 소모되어 수위가 하락하면 상기 사양액 공급조절부(500)의 부구(520)도 하강하여 상기 유입관 덮개(524)가 상기 사양액유입관(515)을 개방하여 사양액이 상기 사양액 공급조절부(500)를 통하여 상기 사양부(200)로 공급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수동식 공급부 110 - 외측부재
111 - 사양액배출관 112 - 비틀림 결합홈
113 - 부착구 114 - 나사결합통공
120 - 내측부재 121 - 사양액배출통공
122 - 나선홈 123 - 비틀림 결합돌기
124 - 손잡이 200 - 사양부
210 - 사양부 본체 211 - 사양액공급관
212 - 격판고정홈 220 - 사양용 격판
221 - 가로 격판 222 - 세로 격판
230 - 사양부 뚜껑 231 - 지지대
300 - 연결부재 400 - 사양액 공급통
500 - 사양액 공급조절부 510 - 공급조절부 하우징
511 - 하우징 본체 512 - 사양액유출관
513 - 사양액유입부 514 - 회동결합통공
515 - 사양액유입관 520 - 부구
521 - 부구 본체 522 - 회동결합부
523 - 회동결합돌기 524 - 유입관 덮개
530 - 공급조절부 뚜껑
A - 벌통 B - 벌집

Claims (6)

  1.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하나 이상의 비틀림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통 구조로서 하단의 외측면에는 사양액배출관이 형성되어 있고 벌통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단의 일측 외측면에 부착구가 부설되어 있는 외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개구된 상부로 삽입되어 끼워져 비틀림 결합되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측면의 중간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상광하협의 2단 통 구조로서 상기 비틀림 결합홈에 대응되도록 외측면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틀림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부설되어 있고 내측면 하부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면에 사양액배출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부재로 구성되는 수동식 공급부;
    일측면에 사양액공급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사양부 본체와, 상기 사양부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격벽이 격자를 형성하고 있고 하단 일정부분은 상기 본체 내부 바닥면과 유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사양용 격판, 및 상기 사양부 본체의 외측벽 상단에 결합하는 지지대가 하단 테두리 부분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사양부 뚜껑으로 구성되는 사양부; 및
    상기 수동식 공급부의 사양액배출관과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사양부 본체의 사양액공급관과 타측이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결합돌기는 상기 내측부재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다각형 박판 형태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비틀림 결합홈은 상기 외측부재의 측면 최상단에서부터 하향으로 수직홈이 형성된 후 다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 절곡되어 수평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 공급부의 내측부재 최상단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각형 판 형태의 손잡이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는 일측단이 상기 외측부재의 하단 일측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타 측단의 몸체에는 상하로 나사결합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막대 형태의 박판이 상기 외측부재의 하단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쌍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 공급부의 내측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홈에 대응하는 나선돌기가 주둥이에 형성되어 있는 사양액 공급통을 더 포함하며 구성되어 상기 수동식 공급부의 내측부재에 상기 사양액 공급통을 직접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양부는,
    상기 사양부 본체의 내부 세로 양측면에 격판 고정홈이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판 고정홈에 양 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다수개의 격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양부 본체의 바닥면과 하단면 사이에 빈 공간을 가지며 유격되도록 하단면 양 끝단에 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가로 격판과, 상기 가로 격판의 결합홈과 수직으로 결합하는 격판 결합홈이 하단에서 상단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양부 본체의 바닥면과 하단면 사이에 빈 공간을 가지며 유격되도록 하단면 양 끝단에 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세로 격판이 격자를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되어 상기 사양용 격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KR1020100063895A 2010-07-02 2010-07-02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KR101141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895A KR101141538B1 (ko) 2010-07-02 2010-07-02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895A KR101141538B1 (ko) 2010-07-02 2010-07-02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181A true KR20120003181A (ko) 2012-01-10
KR101141538B1 KR101141538B1 (ko) 2012-05-04

Family

ID=4561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895A KR101141538B1 (ko) 2010-07-02 2010-07-02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5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5222A (zh) * 2013-08-07 2013-10-23 新疆农垦科学院 一种带糖蜜饲喂器的熊蜂i期人工饲养盒
KR101971708B1 (ko) * 2018-07-13 2019-04-25 윤준민 벌통용 꿀벌 급수기
US20220295759A1 (en) * 2021-03-17 2022-09-22 Dean Eugene Poignant Attachable Entrance Bee Feed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9822A (zh) * 2013-06-06 2013-10-02 张�诚 蜜蜂蜂箱双重防敌害箱脚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3291A (en) 1994-02-07 1995-06-13 Daugherty; Kenneth Gravity feed butterfly feeder with mesh pad feeding stations
KR100946590B1 (ko) * 2008-12-12 2010-03-09 백영근 양봉용 사양기
KR101117134B1 (ko) * 2009-12-31 2012-03-07 임준혁 분리형 벌 사양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5222A (zh) * 2013-08-07 2013-10-23 新疆农垦科学院 一种带糖蜜饲喂器的熊蜂i期人工饲养盒
KR101971708B1 (ko) * 2018-07-13 2019-04-25 윤준민 벌통용 꿀벌 급수기
US20220295759A1 (en) * 2021-03-17 2022-09-22 Dean Eugene Poignant Attachable Entrance Bee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538B1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894B2 (en) Bird feeder
KR101667628B1 (ko) 꿀벌 먹이통
US5469810A (en) Raising control apparatus for living fish and water plants
KR101141538B1 (ko)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KR101348832B1 (ko) 꿀벌 사양기
US9320265B2 (en) Bee feeders and bee feeding systems for bee colonies
KR101117134B1 (ko) 분리형 벌 사양기
JP6392472B2 (ja) 重量センサを用いる飼料量測定装置
US11234417B2 (en) Bee feeder assembly
KR100946590B1 (ko) 양봉용 사양기
KR200489815Y1 (ko) 꿀벌사양기
US4214329A (en) Molded plastic bee feeder
KR200486339Y1 (ko) 벌통용 급수기
KR102266914B1 (ko)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KR200487626Y1 (ko) 양봉용 자동사양기
KR200254919Y1 (ko) 꿀벌 물,당액공급급먹이통,
KR200433173Y1 (ko) 양봉용 사양기
KR20200141216A (ko) 양봉용 자동 사양기
RU2370027C1 (ru) Кормушка для пчел
CN211832346U (zh) 一种畜牧场用饮水装置
KR102223432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 연동형 승강보트구조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
KR20210030038A (ko) 양봉용 물통 겸용 먹이통
KR102464412B1 (ko) 2군 겸용 소문 자동 급수 사양기
KR102548095B1 (ko) 양봉용 사양장치
KR20240059833A (ko) 양봉용 급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