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217A -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 Google Patents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217A
KR20200141217A KR1020190067918A KR20190067918A KR20200141217A KR 20200141217 A KR20200141217 A KR 20200141217A KR 1020190067918 A KR1020190067918 A KR 1020190067918A KR 20190067918 A KR20190067918 A KR 20190067918A KR 20200141217 A KR20200141217 A KR 20200141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liquid
wasp
tan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914B1 (ko
Inventor
소은숙
박재숙
박지형
Original Assignee
소은숙
박지형
박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은숙, 박지형, 박재숙 filed Critical 소은숙
Priority to KR1020190067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914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사양 조 상부에 말벌 트랩을 장착하고, 사양 조 안을 들어온 말벌이 말벌 트랩 상부에 장착한 용기에 들어가게 하여 포획하므로, 말벌로 인한 피해를 줄이면서도 안전하고 양봉할 수 있다. 특히, 외부에서 자동으로 사양액을 공급하는 사양 조에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 움직이는 사양 판을 갖춤으로써, 벌들이 이 사양 판 위에서 사양액을 마실 수 있게 하여 벌들이 사양액에 빠지거나 사양 조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사양액을 마실 수 있다. 또한, 사양 판이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를 받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사양액을 충전할 때처럼 사양액 수면이 안정하지 않을 때도 사양 판이 안정적으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여 벌들이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양액을 마실 수 있다.

Description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AUTOMATIC BEE FEEDER FOR BEE KEEPING WITH WASP TRAP}
본 발명은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양 조 위에 말벌 트랩을 설치하고, 사양 조와 말벌 트랩 사이로 침입한 말벌이 말벌 트랩 밖으로 빠져나가려면 말벌 트랩 위에 설치한 용기 안에 포획하게 하여 말벌을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사양 판이 사양액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언제든지 벌들을 사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양할 때 벌들이 사양액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사양기는 벌의 먹이인 사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기구로, 특히 겨울철에 먹이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때 충분한 먹이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사양기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20-0487626호
양봉용 자동사양기에 관한 것으로, 양봉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소초광의 크기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벌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 벽에 원호 형상의 출입용 슬릿이 형성되는 외부몸체; 상기 외부몸체 내에 마련되되 저면 상에 상기 외부몸체와 연통하는 연통 홀이 형성되는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위조절용 부자를 이용하여 상기 벌의 먹이가 되는 사양수를 상기 내부몸체 또는 상기 내부몸체를 포함한 외부몸체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사양수 공급부; 및 상기 벌이 드나들며 헛벌집을 짓지 못하도록 상기 외부몸체에 삽입되는 헛집 방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봉용 자동사양기는, 소초광 크기의 외부몸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부몸체가 마련되고 계절 변화 또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내부몸체 내에만 또는 내부몸체를 포함한 외부몸체 내에 사양수 공급 여부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어 사양수의 공급량의 조절을 통한 비용 절감과 유지보수 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실용 제20-0487694호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내부에 벌통 외부에 설치된 자동사양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사양액이 내부에 채워지는 양에 따라 자동으로 사양액 공급을 조절할 수 있는 수위조절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본체는 좌우 양측으로 상호 대칭된 구조와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식수와 사양액을 따로 저장할 수 있는 식수 공급부와 사양액 공급부가 각각 구분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식수 공급부와 사양액 공급부의 각 내부 일측에는 벌통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식수와 사양액이 그 내부에 채워지는 수위량에 따라 식수 또는 사양액의 공급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수위조절수단이 구비된 식수 유입부와 사양액 유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식수 유입부와 사양액 유입부 일측에는 식수 유입부 및 사양액 유입부와 소통 가능한 메인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식수와 사양액이 유입, 저장되는 식수 급이부 및 사양액 급이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식수 공급부와 사양액 공급부가 접하는 본체의 중앙부에는 벌통 외부에서 식수와 사양액을 공급하는 보조공급호스가 삽입 설치될 수 있는 호스 설치공간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928265호
사양기의 내부로 벌들이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왕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사양기의 내부에서 벌이 폐사될 경우에도 간편하게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양 측면의 상단에 벌통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는 각각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전,후면의 상단 외측에 각각의 고정턱이 형성되어 사양액이 넣어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공간에는 양 측면에 상기 본체의 개방된 폭을 덮을 수 있도록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전,후단에 상기 고정턱에서 탈착 가능한 각 걸림 고리가 형성되는 각각의 덮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편 사이에 벌들이 왕래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본체 내의 사양액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측 방향으로 점점 좁은 폭을 가지면서 벌들이 통과되지 못하는 폭을 가지는 빗살 형태의 포켓이 형성되어 탈착되는 복수 개의 통로 부재;를 포함하는 한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헛집 짖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벌들의 사양액 섭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벌들이 사양액으로 빠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혹여 벌들이 폐사되더라도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하지만, 기존 사양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사양기가 벌통 밖에 설치하면, 때에 따라 사양기를 이용하던 벌들이 때에 따라 말벌의 공격을 받을 수 있다.
(2) 말벌은 사양기 주변에 있는 벌들을 모두 죽일 수 있어 양봉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한 마리의 말벌이 수많은 꿀벌을 없앨 수 있어 그 피해가 크다.
(3) 한편, 사양액이 줄어들면 벌들이 그만큼 낮아진 사양액 수위까지 내려가서 사양액을 먹어야 하므로, 사양액에 벌들이 빠져 죽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4) 또한, 오랫동안 사양기를 그대로 방치하면 이처럼 빠져 죽은 벌들이 계속 늘어나면서 사양액 표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거나, 노출되더라도 조금 밖에 노출되지 않아 많은 벌이 사양액을 마실 수 없어 사양 효과가 줄어든다.
(5) 그리고 사양기에 채운 사양액은 빠진 벌로 인해 사양액이 썩거나 부패하여 더는 사양액으로 사용할 수 없을 수 있다.
(6) 이처럼 사양액이 상하거나 빠진 벌이 많아지면 사양액 내부를 청소하고 죽은 벌을 제거해야 하는 등 유지보수가 힘들어진다.
(7) 또한, 짧은 시간에 많은 수의 벌이 사양액에 빠져 죽음에 따라 사양기 청소 주기가 짧아지게 된다.
(8) 한편, 벌통 내부에 장착하는 사양기는 하나의 벌통에는 충분한 사양액을 공급할 수 있으나, 여러 개의 벌통으로 양봉할 때는 각 벌통에 사양기를 장착해야 하므로,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그리고 사양기를 장착하는 비용이 더 많이 늘어난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87626호 (등록일 : 2018.10.05) 한국등록실용 제20-0487694호 (등록일 : 2018.10.16) 한국등록특허 제10-1928265호 (등록일 : 2018.12.06)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사양 조 상부에 말벌 트랩을 장착하고, 사양 조 안을 들어온 말벌이 말벌 트랩 상부에 장착한 용기에 들어가게 하여 포획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말벌로 인한 피해를 줄이면서도 안전하고 양봉할 수 있게 한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외부에서 자동으로 사양액을 공급하는 사양 조에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 움직이는 사양 판을 갖춤으로써, 벌들이 이 사양 판 위에서 사양액을 마실 수 있게 하여 벌들이 사양액에 빠지거나 사양 조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사양액을 마실 수 있게 한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양 판이 사양액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의 안내를 받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사양액을 충전할 때처럼 사양액 수면이 안정하지 않을 때도 사양 판이 안정적으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여 벌들이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양액을 마실 수 있게 한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는, 외부에서 자동으로 사양액을 공급받는 자동 사양기에서, 밀폐되게 형성하여 외부에서 사양액을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하고, 내부에는 사양액의 높이에 따라 사양액 공급을 선택적으로 막아주는 부구(110)를 갖춘 공급 조(100); 한쪽 면이 개방되고 상기 공급 조(100)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 조(100)에 연결한 공급 구멍(210)을 통해 사양액을 공급받아 중력으로 사양액 수위가 같아지게 조절되게 하고, 한쪽에는 사양액을 배출할 수 있게 배출 밸브(220)를 갖춘 사양 조(200); 상기 사양 조(200) 내부에서 설치하여 사양액의 높이에 따라 부유하고, 한쪽 면에는 전체 면에 걸쳐 미리 정한 크기로 여러 개의 관통 구멍(310)을 관통 형성한 사양 판(300); 상기 사양 조(200) 안에 설치하여 상기 사양 판(300)이 사양액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400); 및 말벌용 트랩(500);을 포함하되;, 상기 말벌용 트랩(500)은, 꿀벌은 통과하고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양 조(200)의 상부 가장자리에 걸쳐지게 설치하는 그물망(510); 상기 그물망(510)의 한쪽에 말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관통 구멍(521)을 갖추고, 상기 그물망(510) 밖에서 용기(V)를 세울 수 있게 상기 그물망(510)에 돌출 형성한 장착 부분(520); 및 용기(V)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중앙에 상기 장착 부분(520)을 강제로 관통하게 끼울 수 있게 장착 구멍(531)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그물망(510) 안에 들어온 말벌이 용기(V) 안으로 들어가게 유도하는 유도 마개(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사양 판(300)은, 코르크 또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으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양 판(300)은, 상기 사양 조(200)의 내부 평면 형상과 같은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400)에는, 상기 사양 판(300)이 상기 사양 조(200)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게 스토퍼(41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용기(V)는, 담금주용 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사양 조 위에 말벌 트랩을 올려놓고 말벌을 포획하므로, 말벌로부터 꿀벌을 보호할 수 있어 양봉 효과를 높일 수 있다.
(2) 특히, 말벌이 자연스럽게 말벌 트랩 안으로 들어왔다가 용기 안에 포집하게 되므로, 별도의 구성 없이도 쉽게 포집할 수 있다. 게다가, 이처럼 용기에 포집한 말벌은 용기에서 유도 마개를 분리한 다음 밀폐용 마개로 바꿔서 닫음에 따라 쉽게 제거하거나 포획한 말벌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3) 말벌이 사양 조와 그물망 사이를 통해 사양 조 안으로 들어오게 구성하므로, 그물망을 사양 조 위에 올려놓으면 쉽게 말벌을 포획할 수 있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사양액 수위와 함께 사양 판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고, 이 사양 판 위에서 벌이 사양액을 마실 수 있게 구성하므로, 벌이 사양액에 빠지지 않고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양액을 마실 수 있다.
(5) 특히, 사양 판은 가이드 안내를 통해 사양액이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므로, 벌이 사양 판 위에 한쪽으로 쏠리거나 수위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사양 판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6) 한편, 사양 판은 코르크나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으로 제작하므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이 나거나 파손되더라도 쉽게 교체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7) 또한, 상기 사양 판은 사양액을 충전하는 사양 조의 내부 평면 크기에 맞게 제작하여 사용하므로, 사양 판과 사양 조 사이로 벌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벌이 사양액을 마실 수 있다.
(8) 사양기의 사용 목적에 따라 많은 벌이 한 번에 사양액을 마실 수 있게 제작하거나, 벌통 안에 삽입하여 사용하게 하는 등 원하는 형태의 크기로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의 전체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을 사양 조 위에 올려놓는 상태를 보여주려고 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을 사양 조 위에 올려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에서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부분에 용기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에서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마개와 이 유도 마개를 장착한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측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에서 사양액을 사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는,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공급 조(100), 사양 조(200), 사양 판(300), 적어도 2개의 가이드(400), 그리고 말벌 트랩(5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말벌 트랩(500)은 사양 조(200)와 그물망(510) 사이로 들어온 말벌이 이 그물망(510) 위에 설치한 용기(V)에 포획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사양기 주변에서 벌이 말벌에게 받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때 그물망(510) 안으로 들어왔다가 용기(V)에 포획한 말벌은 용기(V)에 담겨 술 등 다른 용도로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사양 판(300)은 가이드(400)의 안내를 받아 사양액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사양 판(300)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미리 방지하여 안심하고 벌들이 사양액을 마실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양 판(300)은 사양 조(200) 내부의 평면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하므로, 사양 조(200)와 사양 판(300) 사이로 벌들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공급 조
공급 조(1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7]과 같이, 밀폐된 용기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공급 조(100)에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7]과 같이, 상부에 외부에서 펌프와 같은 액추에이터로 공급하는 사양액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구(120)를 갖춘다.
또한, 상기 공급 조(100)에는, [도 2]·[도 3] 및 [도 7]과 같이, 부구(110)를 갖춘다. 부구(110)는 상기 공급 조(100)에 사양액이 충전됨에 따라 그 수위에 맞춰서 상하로 움직이는 일종의 뜨개이다. 이러한 부구(110)는 연결구(120)를 통해 외부에서 사양액이 충분히 공급하여 공급 조(100)를 채우면, 이 부구(110)가 위로 상승하면서 부구(110)를 막아 더는 사양액이 공급 조(100)에 공급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공급 조(100)의 사양액 수위가 낮아지면, 부구(110)도 함께 그 위치가 낮아짐에 따라 연결구(120)를 개방하여 사양액이 공급 조(100)에 채워지게 한다.
나. 사양 조
사양 조(2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공급 조(100)에 연결하여 일체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사양 조(200)에는, [도 2] 및 [도 7]과 같이, 공급 구멍(210)을 관통 형성한다. 이때, 공급 구멍(210)은 상술한 공급 조(100)에 채운 사양액이 사양 조(200)로 흘러갈 수 있게 안내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 구멍(210)은, [도 2] 및 [도 7]과 같이, 상기 공급 조(100)와 사양 조(200)의 내부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하게 관통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급 조(100)에 사양액을 충전하면, 사양액이 중력을 받아 사양 조(200)로 흘러가게 되는데, 이때 항상 공급 조(100)와 사양 조(200)가 같은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사양 조(200)에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7]과 같이, 배출 밸브(220)를 갖춘다. 배출 밸브(220)는 사양 조(200)에 남아 있는 사양액의 배출이나 청소 후에 물 등을 사양 조(200) 밖으로 배출할 때 사용하는 밸브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사양 조(2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7]과 같이, 한 면, 바람직하게는 윗면을 개방하게 형성한다. 이는 이러한 사양 조(200)에 채운 사양액 위에 후술할 사양 판(300)을 띄워놓고 벌들이 사양액을 마실 수 있게 사양액을 노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사양 조(200)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7]과 같이, 가장자리에 플랜지(13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플랜지(130)는 사양 조(200)의 가장자리를 꺾어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한 플랜지(130)를 사양 조(200)의 가장자리에 용접이나 볼트 체결 등의 방법으로 체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플랜지(130)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유입 구멍(131)을 관통 형성할 수도 있다. 유입 구멍(131)은 상기 사양 조(200) 외부에서 상기 플랜지(130) 위에 올려놓는 후술할 그물망(510) 안으로 말벌이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게 한다. 이때, 말벌은 유입 구멍(131)이 아닌 플랜지(130)와 그물망(510) 사이로 들어가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사양 조(2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공급 조(100)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급 조(100)는 외부에서 사양액을 공급받는 보조 탱크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사양액이 강하게 유입하더라도 완충 작용을 하여 사양 조(200)에는 안정적으로 사양액을 공급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 사양 판
사양 판(300)은, [도 2]·[도 3]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사양 조(200) 안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특히, 상기 사양 판(300)은 사양 조(200)에 충전한 사양액 위에 놓이게 하여 사양액의 수위가 낮아지거나 높아짐에 따라 그 수위에 맞춰서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판이다.
특히, 상기 사양 판(300)은 그 위에 벌들이 앉아서 사양액을 마실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 2]·[도 3] 및 [도 7]과 같이, 사양액을 쉽게 마실 수 있도록 한쪽 면 전체에 걸쳐 미리 정한 크기로 관통 구멍(310)을 관통 형성한다. 이 관통 구멍(310)은 사양 조(200)에 채운 사양액이 사양 판(300) 위로 스며 올라오게 하거나, 벌들이 이 관통 구멍(310)을 통해 사양액을 마실 수 있게 하기 위한 구멍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사양 판(300)은, [도 2]·[도 3] 및 [도 7]과 같이, 사양액 수면에 올려놓았을 때 가라앉지 않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양 판(300)은 어느 정도 사양액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사양 판(300)의 재질로는, 예시적으로, 코르크나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사양 판(300)은,[도 2]·[도 3]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사양 조(200) 내부의 평면 형상과 같은 형상과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양 조(200) 안에서 사양 판(300)이 상하로 움직일 때 사양 판(300)과 사양 조(200)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함으로써, 벌들이 사양액을 마시러 날아오거나 사양액을 마시다가 이 틈새로 빠지는 것을 없앨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라. 가이드
가이드(400)는, [도 2]·[도 3]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사양 조(200) 안에 설치하여 사양 판(300)이 사양액 수위에 따라 움직일 때 이 사양 판(300)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400)는 이처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양 판(300)의 각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사양 판(300)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4개의 가이드(400)를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400)에는, [도 2] 및 [도 7]과 같이, 하부에 스토퍼(410)를 갖춘다. 스토퍼(410)는 사양 판(300)이 가이드(400) 하부까지 이동했을 때 사양 조(200) 바닥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는, 사양 판(300)이 사양 조(200) 바닥에 닿으면 사양 판(300)이 공급 구멍(210)을 막아 공급 조(100)에서 사양 조(200)로 사양액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마. 말벌 트랩
말벌 트랩(500)은,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상술한 사양 조(200) 위에 설치하고, 사양 조(200)와 그물망(510) 사이로 이 그물망(510) 안에 들어온 말벌을 용기(V)에 포획하여 쉽게 처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말벌 트랩(500)은,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그물망(510), 장착 부분(520), 그리고 유도 마개(530)를 포함한다.
1. 그물망
그물망(51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사양 조(200)의 가장자리, 바람직하게는 플랜지(130) 위에 걸쳐지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그물망(510)은 벌꿀은 통과할 수 있으나,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망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그물망(510)은 망 형태로 제작하여 사양 조(200) 위에 씌울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사양 조(200) 위로 어느 정도 공간을 차지하게 구성함으로써, 그물망(510) 안에서 꿀벌과 말벌들이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피라미드 형태로 제작한 예를 보여준다.
이처럼 이루어진 그물망(51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그 가장자리가 상술한 플랜지(130)에 걸쳐지게 구성하여, 이들 그물망(510)과 플랜지(130) 사이로 말벌이 기어서 그물망(510) 안으로 들어올 수 있게 한다. 이는, 주변에 말벌들이 여러 마리가 있더라도 한 마리씩 그물망 안으로 들어오게 하여 꿀벌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그물망(510)은, [도 4]와 같이, 플랜지(130)에 형성한 유입 구멍(131)과 대응하는 위치에 따른 유입 구멍(511)을 관통 형성하여 말벌이 그물망(510) 안으로 기어 들어갈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2. 장착 부분
장착 부분(520)은,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그물망(510)에 용기(V)를 세워서 끼울 수 있게 구성한다. 즉, 상기 장착 부분(520)에는 용기(V)를 세워서 조립하여 사용하고, 이때 이 용기(V)는 그물망(510) 안으로 침입한 말벌을 포획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장착 부분(520)은,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용기(V)를 세워서 조립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든지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V)에는 후술할 유도 마개(530)를 장착하여 이 유도 마개(530)를 이용하여 장착 부분(520)에 끼워지게 구성함으로써, 용기(V)를 쉽게 장착 부분(520)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장착 부분(520)에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521)을 형성한다. 관통 구멍(521)은 그물망(510) 안으로 들어온 말벌이 그물망(510) 밖으로 나갈 수 있게 하는 구멍으로, 이 관통 구멍(521)을 통과한 말벌은 용기(V) 안에 포획되게 된다.
3. 유도 마개
유도 마개(530)는, [도 2]·[도 5] 및 [도 6]과 같이, 용기(V)의 입구 부분에 장착하고, 용기(V)를 뒤집어서 상술한 장착 부분(520)에 끼워서 용기(V)를 세울 수 있게 지지하는 마개이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도 마개(530)는 용기(V)를 마감할 때 사용하는 마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 마개(530)에는 바닥 면에 상기 장착 부분(520)을 억지로 끼워서 쉽게 빠지지 않게 하고 때에 따라 강제로 뽑아서 용기(V)를 분리할 수 있도록 장착 구멍(531)을 관통 형성한다.
또한, 상기 유도 마개(530)는, [도 5]와 같이, 장착 구멍(531)에 장착 부분(520)을 강제로 끼워서 조립했을 때, 이 장착 부분(520)과 용기(V) 사이에 소정이 공간, 적어도 말벌이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그물망(510) 안에서 출구를 찾던 말벌이 관통 구멍(521)을 통해 용기(V) 안으로 들어가게 하여 용기(V) 안에 포획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V)는, [도 5]와 같이, 유도 마개(530)에 형성한 장착 구멍(531)에 장착 부분(520)을 강제로 끼웠을 때, 관통 구멍(521)을 통해 그물망(510)에서 빠져나간 말벌이 용기(V) 안에 포획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용기(V)는 가정 등에서 술을 담글 때 많이 사용하는 담금주통을 이용함으로써, 포획한 말벌에 바로 수를 부어서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5] 및 [도 7]과 같이, 그물망(510)을 통과할 수 없는 말벌이 사양 조(200)와 그물망(5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그물망(510) 안으로 들어오게 되고, 이렇게 들어온 말벌은 그물망(510) 안에서 맴돌다가 나갈 수 있는 구멍인 관통 구멍(521)으로 빠져나감에 따라 쉽게 용기(V)에 포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양 조가 평면 형상이 폭이 좁은 직사각형 형태의 직사각형 기둥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처럼 제작한 사양기는 하나의 벌통 내부에 주변에 하나의 사양기를 갖춰서 사양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100 : 공급 조
110 : 부구
120 : 연결구
130 : 플랜지
131 : 유입 구멍
200 : 사양 조
210 : 공급 구멍
220 : 배출 밸브
300 : 사양 판
310 : 관통 구멍
400 : 가이드
410 : 스토퍼
500 : 말벌용 트랩
510 : 그물망
520 : 장착 부분
521 : 관통 구멍
530 : 유도 마개
531 : 장착 구멍

Claims (5)

  1. 외부에서 자동으로 사양액을 공급받는 자동 사양기에서,
    밀폐되게 형성하여 외부에서 사양액을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하고, 내부에는 사양액의 높이에 따라 사양액 공급을 선택적으로 막아주는 부구(110)를 갖춘 공급 조(100); 한쪽 면이 개방되고 상기 공급 조(100)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 조(100)에 연결한 공급 구멍(210)을 통해 사양액을 공급받아 중력으로 사양액 수위가 같아지게 조절되게 하고, 한쪽에는 사양액을 배출할 수 있게 배출 밸브(220)를 갖춘 사양 조(200); 상기 사양 조(200) 내부에서 설치하여 사양액의 높이에 따라 부유하고, 한쪽 면에는 전체 면에 걸쳐 미리 정한 크기로 여러 개의 관통 구멍(310)을 관통 형성한 사양 판(300); 상기 사양 조(200) 안에 설치하여 상기 사양 판(300)이 사양액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400); 및 말벌용 트랩(500);을 포함하되,
    상기 말벌용 트랩(500)은,
    꿀벌은 통과하고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양 조(200)의 상부 가장자리에 걸쳐지게 설치하는 그물망(510);
    상기 그물망(510)의 한쪽에 말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관통 구멍(521)을 갖추고, 상기 그물망(510) 밖에서 용기(V)를 세울 수 있게 상기 그물망(510)에 돌출 형성한 장착 부분(520); 및
    용기(V)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중앙에 상기 장착 부분(520)을 강제로 관통하게 끼울 수 있게 장착 구멍(531)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그물망(510) 안에 들어온 말벌이 용기(V) 안으로 들어가게 유도하는 유도 마개(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2. 제1항에서,
    상기 사양 판(300)은,
    코르크 또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으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3. 제1항에서,
    상기 사양 판(300)은,
    상기 사양 조(200)의 내부 평면 형상과 같은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4.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400)에는,
    상기 사양 판(300)이 상기 사양 조(200)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게 스토퍼(41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용기(V)는,
    담금주용 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KR1020190067918A 2019-06-10 2019-06-10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KR102266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918A KR102266914B1 (ko) 2019-06-10 2019-06-10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918A KR102266914B1 (ko) 2019-06-10 2019-06-10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217A true KR20200141217A (ko) 2020-12-18
KR102266914B1 KR102266914B1 (ko) 2021-06-18

Family

ID=7404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918A KR102266914B1 (ko) 2019-06-10 2019-06-10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667B1 (ko) * 2023-01-13 2023-08-24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 유인액 제어가 가능한 말벌 포획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036B1 (ko) * 2011-04-04 2012-08-29 김정웅 양봉용 사양기 구조
KR20160000802U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대동금속 말벌 포획기
KR200487626Y1 (ko) 2017-02-10 2018-10-12 이경만 양봉용 자동사양기
KR200487694Y1 (ko) 2016-11-16 2018-10-23 기웅도 양봉용 사양기
KR101928265B1 (ko) 2017-08-17 2018-12-13 오승재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036B1 (ko) * 2011-04-04 2012-08-29 김정웅 양봉용 사양기 구조
KR20160000802U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대동금속 말벌 포획기
KR200487694Y1 (ko) 2016-11-16 2018-10-23 기웅도 양봉용 사양기
KR200487626Y1 (ko) 2017-02-10 2018-10-12 이경만 양봉용 자동사양기
KR101928265B1 (ko) 2017-08-17 2018-12-13 오승재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667B1 (ko) * 2023-01-13 2023-08-24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 유인액 제어가 가능한 말벌 포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914B1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2099A (en) Pet feeder
US7654225B2 (en) Recycling bird seed feeder
US6408788B1 (en) Bi-modal seed port for bird feeder
US7284499B1 (en) Combination water and food dispenser for pets
KR101667628B1 (ko) 꿀벌 먹이통
KR101738672B1 (ko) 토·양봉겸용 벌통
KR101348832B1 (ko) 꿀벌 사양기
KR20200141217A (ko)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US6116189A (en) Bird feeder
KR100946590B1 (ko) 양봉용 사양기
US3978534A (en) Bee feeder
KR20200141216A (ko) 양봉용 자동 사양기
CN108064765A (zh) 一种蜂箱及辅助设备
KR200487626Y1 (ko) 양봉용 자동사양기
KR200486339Y1 (ko) 벌통용 급수기
KR101027462B1 (ko)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EP0014170A2 (fr) Plateau d'élevage et de nourrissement d'abeilles commandé de l'extérieur pour apiculture intensive
JP2019054770A (ja) グレーチングのための容器およびグレーチング
CN104255584A (zh) 一种蜜蜂饮水和防止蜜蜂害虫的装置
KR200433173Y1 (ko) 양봉용 사양기
US5753114A (en) Device for purifying water by means of water fleas
SU1313405A1 (ru) Внутриульева надрамочна кормушка - поилка дл пчел
WO2022092998A1 (en) Sanitary water dispenser for bees
US9125382B1 (en) Bird feeder with seed reservoir
KR200383074Y1 (ko) 양봉용 화분 채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