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265B1 -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 Google Patents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265B1
KR101928265B1 KR1020170103978A KR20170103978A KR101928265B1 KR 101928265 B1 KR101928265 B1 KR 101928265B1 KR 1020170103978 A KR1020170103978 A KR 1020170103978A KR 20170103978 A KR20170103978 A KR 20170103978A KR 101928265 B1 KR101928265 B1 KR 101928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ees
width
feeder
speci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재
Original Assignee
오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재 filed Critical 오승재
Priority to KR102017010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7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사양기의 내부로 벌들이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왕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사양기의 내부에서 벌이 폐사될 경우에도 간편하게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양 측면의 상단에 벌통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는 각각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전,후면의 상단 외측에 각각의 고정턱이 형성되어 사양액이 넣어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공간에는 양 측면에 상기 본체의 개방된 폭을 덮을 수 있도록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전,후단에 상기 고정턱에서 탈착 가능한 각각의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각각의 덮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편 사이에 벌들이 왕래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본체 내의 사양액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측 방향으로 점점 좁은 폭을 가지면서 벌들이 통과되지 못하는 폭을 가지는 빗살 형태의 포켓이 형성되어 탈착되는 복수 개의 통로부재;를 포함하는 한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헛집 짖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벌들의 사양액 섭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벌들이 사양액으로 빠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혹여 벌들이 폐사되더라도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Description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Specification machine for beekeeping with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벌들에 의해 헛집을 짖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양기의 내부로 벌들이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왕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사양기의 내부에서 벌이 폐사될 경우에도 간편하게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이다.
양봉시 사용되는 사양기는 밀원이 부족하거나, 월동사양시 꿀벌의 먹이를 위해 벌통 내부에 사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벌통 내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밀원이 풍부한 유밀기에는 꿀벌들이 채집한 꿀의 일부가 꿀벌의 식량으로 소비되고, 남은 꿀은 가을과 겨울의 무밀기에 식량으로 사용된다.
이렇게, 꿀벌은 꽃에서 꿀을 채집하여 저장하고, 무밀기에 식량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통상 양봉업자는 꿀벌이 사용하고 남은 여밀 만을 채밀하지 않고 전체를 채밀하게 되므로 무밀기에 꿀벌의 아사를 방지하기 위해 사양액을 공급하여 사양하고 있다.
이러한 사양액은 꿀, 설탕, 물엿 등의 용액으로서, 일정한 그릇 형태의 사양기에 담겨 벌통 내부로 주입하게 된다.
통상적인 사양기는 전체적인 형상이 소비와 비슷한 형태로 양단이 벌통의 상단에 걸려지고, 상부가 개방되며 폭이 좁은 통 형태로 형성되고, 전후면 내측 면이 매끄럽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벌들이 사양액을 취식하기 위해 사양기 내로 들어간 벌이 매끄러운 내측면 때문에 올라오지 못하여 사양액 내에서 빠져 죽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벌들의 습성상 일정한 공간이 마련될 경우, 헛집을 짖은 후 일부의 꿀을 저장하게 되는 데, 종래 사양기의 개방 측에 벌들에 의해 헛집을 짖게 되므로, 즉 전,후면의 내 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헛집을 짖게 되어 벌들의 왕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헛집을 제거하기 위한 번거로운 작업도 병행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초래하였다.
상기와 같이 양봉시 사용되는 사양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975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양봉용 사양기를 합성수지로 제작시 최대한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성형된 후에도 변형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 벌들의 왕래가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062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벌이 출입을 자유롭게 하여 사양액을 채취하면서, 내부에서 벌집을 지을 수 없도록 하고, 사양액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양봉용 사양기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0740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사양기 내에서 벌들이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양기 내의 사양액 내에서 빠져 죽거나 사양기 내부에서 오래 머무르지 않도록 하는양봉용 사양기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206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4'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면서,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 및 이동이 편리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양봉용 사양기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97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06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0740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2062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2 및 4는 내측면에 벌들이 사양기 내부로 원활하게 왕래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돌출된 돌수가 마련되기는 하였으나, 사양기 내로 들어가 폐사된 벌들을 처리하기 곤란한, 즉 사양액 전체를 버리거나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일일이 폐사된 벌을 제거하기에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3은 사양기의 내부로 사다리체를 내장하는 것으로, 이는 수많은 벌들이 왕래하는 과정에서 사다리체의 제한된 공간에 의해 오히려 벌들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사다리체를 제외한 부분으로 왕래하는 벌들은 사양액으로 빠지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헛집을 짖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양기의 내부로 벌들이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왕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사양기의 내부에서 벌이 폐사될 경우에도 간편하게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통로부재로 벌들이 분산되어 왕래하도록 함과 아울러 변형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사양기 내로 삽입된 통로부재의 밑단으로 사양액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상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양 측면의 상단에 벌통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는 각각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전,후면의 상단 외측에 각각의 고정턱이 형성되어 사양액이 넣어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공간에는 양 측면에 상기 본체의 개방된 폭을 덮을 수 있도록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전,후단에 상기 고정턱에서 탈착 가능한 각각의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각각의 덮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편 사이에 벌들이 왕래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본체 내의 사양액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측 방향으로 점점 좁은 폭을 가지면서 벌들은 통과되지 못하는 폭을 가지는 빗살 형태의 포켓이 형성되어 탈착되는 복수 개의 통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포켓은 벌들이 통과되지 못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세로대, 상기 세로대에 외측면을 감싸면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로 테, 및 상기 세로대의 밑단에 본체의 바닥면에 맞닿는 베이스가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는 가로대를 포함하여 벌이 통과되지 못하면서 사양액이 유입될 수 있게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포켓의 통로에는 그 통로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면서 변형을 방지하도록 탈착되는 분할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 부재는 통로의 좌우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격판 본체, 상기 격판 본체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 격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격판 본체에는 장방형 형태의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분할 부재의 격판 본체와 보조 격판의 각 단부는 각 세로대 사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탈착된다.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각 포켓의 밑면이 맞닿는 측으로 사양액이 포집될 수 있도록 각각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헛집 짖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양기의 내부로 벌들이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왕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사양기의 내부에서 벌이 폐사될 경우에도 간편하게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헛집 짖는 것을 예방함과 아울러 혹여 헛집을 짖더라도 분리시켜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벌들의 사양액 섭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벌들이 사양액으로 빠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혹여 벌들이 폐사되더라도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통로부재로 벌들이 분산되어 왕래하도록 함과 아울러 변형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벌들이 균일하게 사양액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사양기 내로 삽입된 통로부재의 밑단으로 사양액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양기 내의 사양액이 잔존 없이 벌들에 의해 모두 섭취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양봉시 사용되는 사양기(1)는 밀원이 부족하거나, 월동사양시 꿀벌의 먹이를 위해 벌통 내부에 꿀, 설탕, 물엿 등의 용액인 사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벌통 내에 설치되는 양봉용 자재이다.
본 발명은 헛집 짖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양기의 내부로 벌들이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왕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사양기의 내부에서 벌이 폐사될 경우에도 간편하게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양기(1)는 상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양 측면의 상단에 벌통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는 각각의 걸림턱(12)이 형성되며, 전,후면의 상단 외측면에 각각의 고정턱(14)이 형성되어 사양액이 넣어지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벌통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소비와 같은 형태로, 그 소비 사이에 개재되어 사양액을 섭취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합성수지에 의해 공지된 방식에 이해 성형된다.
고정턱(14)은 본체(10)의 전,후면의 상단에서 소정 두께를 갖도록 돌출된 형태로, 후술하는 걸림고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공간에는 양 측면에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폭을 덮을 수 있도록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전,후단에 상기 고정턱(14)에서 탈착 가능한 각각의 걸림고리(22A)가 형성되는 각각의 덮개편(22)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편(22) 사이에 벌들이 왕래하는 통로(23)가 형성되어 본체(10) 내의 사양액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측 방향으로 점점 좁은 폭을 가지면서, 즉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로 벌들이 통과되지 못하는 폭을 가지는 빗살 형태의 포켓(25)이 형성되어 탈착되는 복수 개의 통로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통로부재 또한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된다.
덮개편(22)에 마련된 걸림고리(22A)는 합성수지의 특성상 자체 탄성력을 가져 상기 고정턱 상에 가압과 외력에 의해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다.
덮개편(22)의 역할은 통로(23)를 제외한 본체(10)의 개방된 부분을 차단하는 것으로, 통로를 제외한 부분을 통하여 벌들이 본체(10) 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양액이 채워진 벌들이 들어와 사양액으로 빠져 폐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체(10)의 내부에는 그 내부 공간을 구획하게 위한 전면과 후면 사이에 그 전면과 후면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격벽(10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격벽은 본체 내로 넣어지는 사양액을 양측로 분할하는 역할을 가짐은 물론 전,후면을 서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역할도 겸한다. 아울러, 상기 격벽은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포켓(25)은 벌들이 통과되지 못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세로대(25A)와, 상기 세로대(25A)에 외측면을 감싸면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통상적인 띠 형태인 복수의 가로 테(25B), 및 상기 세로대(25A)의 밑단에 본체(10)의 바닥면에 맞닿는 베이스(25C)가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25C)는 가로대(25C-1)를 포함하여 벌이 통과되지 못하면서 사양액이 유입될 수 있게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벌들이 통과되지 못하는 세로대의 폭은 통상 꿀벌은 5㎜ 내외이므로, 상기 세로대의 폭은 꿀벌이 통과하지 못하는 폭으로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포켓(25)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즉 하부 측 단면적이 상부 측의 단면적 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는 포켓(25)의 측면이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벌들이 왕래하는 과정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용이하게 왕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감안한 것이다.
특히, 포켓(25)은 세로대()25A에 의해 빗살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벌들에 의한 헛집을 짖는 것을 방지하여, 즉 포켓의 내 측면이 매끄러운 면이 아니라 빗살 형태로 세로대 사이에 벌들이 통과하지 못하는 각각의 소정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벌들이 헛집을 짖지 못하는 조건을 구비하게 된다. 혹여 헛집을 짖더라도 본체로부터 통로부재를 분리시킴에 따라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도 가진다.
통로부재(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이며, 경우에 따라 하나 또는 3개 이상으로도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함으로써, 취급 등이나 물류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은 본체의 개방된 상측을 통하여 통로부재의 포켓을 삽입하면서 덮개편의 전,후에 형성된 걸림고리를 상기 본체의 전,후면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으로 걸려지도록 고정한다.
그에 따라 덮개편에 의해 본체의 개방된 부분을 포켓의 통로를 제외한 부분을 통하여 본체 내로 들어올 수 없는 것이다.
아울러, 벌들은 포켓의 통로를 통하여 본체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사양액을 섭취하게 되는 데, 이때 포켓의 세로대는 벌이 통과하지 못하는 폭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양액이 채워진 본체의 내부로 벌이 유입될 수 없다.
또한, 상기 포켓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점점 좁은 폭을 갖도록, 즉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벌들이 통로를 왕래하는 과정에서 더욱더 용이하게 왕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리고 혹여 상기 통로를 통하여 들어온 벌들 중 간혹 폐사되더라도 상기 포켓의 세로대는 벌이 통과되지 않도록 형성됨에 따라 본체 내의 사양액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포켓 내로 폐사된 벌들은 덮개편에 마련된 걸림고리를 본체의 고정턱으로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통로부재 전체를 본체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고, 이렇게 분리된 통로부재는 뒤집어서 떨어내거나 혹은 물 등으로 세척 또는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제거함으로써, 폐사된 벌 또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통로부재에 의해 사양액이 채워진 본체 내로 벌들이 유입되지 않게 됨에 따라 종래 사용기 내로 벌들이 들어와서 폐사됨으로 인한 모든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로부재는 복수의 세로대에 의해 빗살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벌들이 헛집을 짖지 못하는 조건을 가짐은 물론 혹여 헛집을 짖더라고 분리되는 통로부재에 의해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도 가진다.
즉, 포켓은 빗살 형태로 세로대 사이에 벌들이 통과하지 못하는 각각의 소정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벌들이 헛집을 짖지 못하는 조건을 가진다.
이로써, 본 발명의 사양기는 본체와 그 본체로부터 탈착되는 복수의 통로부재를 통해서만 사양액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벌들이 사양액으로 빠져 폐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또한, 통로부재의 포켓 역시 벌들이 통과되지 않는 조건으로 인해 벌들이 통로를 통하여 사양액을 섭취하러 왕래하는 과정에서 사양액으로 빠지는 것 자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포켓의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벌들의 왕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그리고 포켓으로 혹여 벌들이 폐사되더라도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폐사된 벌들의 제거 또한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아울러, 벌들에 의해 헛집 또한 짖지 못하도록 함에 따라 종래 헛집으로 인한 사양액 섭취에 따른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켓(25)의 통로(23)에는 그 통로(23)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면서 변형을 방지하도록 탈착되는 분할 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 부재(30)는 통로(23)의 좌우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격판 본체(32), 상기 격판 본체(32)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 격판(34)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포켓은 통로는 비교적 본체의 개방된 폭과 유사한 폭을 가지는 것이므로, 벌들의 크기에 비해 넓게 마련된다.
그에 따라 분할 부재는 벌들이 통로의 포켓 내측면 측으로 몰려서 왕래하는 것이 아니라 고르게 분산된 형태로 왕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격판 본체(32)에는 벌들이 그 격판 본체를 사이에 두고 왕래할 수 있는 장방형 형태의 복수의 장공(32A)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복수의 장공은 격판 본체를 기준하여 일측 공간으로 벌들이 집중되더라도 상기 장공을 통하여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분할 부재(30)의 격판 본체(32)와 보조 격판(34)의 각 단부는 각 세로대(25A) 사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탈착된다.
즉, 상기 분할 부재는 포켓의 통로 내로 다른 가이드 수단에 의해 탈착되는 것이 아니라 그 포켓을 구성하는 세로대 사이로 분할 부재의 격판 본체와 보조 격판의 닥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기술적 구성을 가짐으로써, 구성의 단순함과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는 상기 각 포켓(25)의 밑면이 맞닿는 측으로 사양액이 포집될 수 있도록 각각의 경사면(16)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본체의 바닥면을 평면으로 형성할 경우, 사양액 일부가 본체의 내부 구석 등으로 잔존할 수 있는 관계로, 이러한 일부의 사양액 자체가 전혀 남아 있지 않고 벌들이 섭취할 수 있도록 포켓의 밑면 측으로 포집될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이는 본체 내로 채워진 일부의 사양액 자체도 남겨지지 않고 벌들에 의해 모두 섭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가진다.
1 : 사양기
10 : 본체 10A : 격벽
12 : 걸림턱 14 : 고정턱
16 : 경사면 20 : 통로 부재
22 : 덮개편 22A : 걸림고리
23 : 통로 25 : 포켓
25A : 세로대 25B : 가로 테
25C : 베이스 25C-1 : 가로대
30 : 분할 부재 32 : 격판 본체
32A : 장공 34 : 보조 격판

Claims (6)

  1. 상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양 측면의 상단에 벌통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는 각각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전,후면의 상단 외측에 각각의 고정턱이 형성되어 사양액이 넣어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공간에는 양 측면에 상기 본체의 개방된 폭을 덮을 수 있도록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전,후단에 상기 고정턱에서 탈착 가능한 각각의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각각의 덮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편 사이에 벌들이 왕래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본체 내의 사양액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측 방향으로 점점 좁은 폭을 가지면서 벌들이 통과되지 못하는 폭을 가지는 빗살 형태의 포켓이 형성되어 탈착되는 복수 개의 통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포켓은 벌들이 통과되지 못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세로대, 상기 세로대에 외측면을 감싸면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로 테, 및 상기 세로대의 밑단에 본체의 바닥면에 맞닿는 베이스가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는 가로대를 포함하여 벌이 통과되지 못하면서 사양액이 유입될 수 있게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포켓의 통로에는 그 통로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면서 변형을 방지하도록 탈착되는 분할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 부재는 통로의 좌우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격판 본체, 상기 격판 본체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 격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각 포켓의 밑면이 맞닿는 측으로 사양액이 포집될 수 있도록 각각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 본체에는 장방형 형태의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부재의 격판 본체와 보조 격판의 각 단부는 각 세로대 사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탈착되는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6. 삭제
KR1020170103978A 2017-08-17 2017-08-17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KR101928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978A KR101928265B1 (ko) 2017-08-17 2017-08-17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978A KR101928265B1 (ko) 2017-08-17 2017-08-17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265B1 true KR101928265B1 (ko) 2018-12-13

Family

ID=6467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978A KR101928265B1 (ko) 2017-08-17 2017-08-17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2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217A (ko) 2019-06-10 2020-12-18 소은숙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KR20200141216A (ko) 2019-06-10 2020-12-18 소은숙 양봉용 자동 사양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657Y1 (ko) * 2003-08-05 2003-10-30 장봉환 최신 꿀벌먹이통
KR200369756Y1 (ko) * 2004-09-25 2004-12-09 (주)야생양봉원 양봉용 사양기
US20090311942A1 (en) * 2008-05-06 2009-12-17 Stuart Allen Volby Bee feeder assembly; component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657Y1 (ko) * 2003-08-05 2003-10-30 장봉환 최신 꿀벌먹이통
KR200369756Y1 (ko) * 2004-09-25 2004-12-09 (주)야생양봉원 양봉용 사양기
US20090311942A1 (en) * 2008-05-06 2009-12-17 Stuart Allen Volby Bee feeder assembly; components; and,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217A (ko) 2019-06-10 2020-12-18 소은숙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KR20200141216A (ko) 2019-06-10 2020-12-18 소은숙 양봉용 자동 사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265B1 (ko)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US20070060021A1 (en)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comb honey
WO2016089980A1 (en) Comb formation guide for placement between beehive frames
JP3173936U (ja) 養蜂用巣枠及び養蜂用巣箱
KR101090622B1 (ko) 양봉용 사양기
KR200470440Y1 (ko) 벌 사양용 벌통
KR200492616Y1 (ko) 클립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KR20130049878A (ko) 벌꿀용 광식 사양기
KR100716520B1 (ko) 개량식 토종벌통
KR101027461B1 (ko) 화분통을 구비한 양봉용 사양기
KR200495848Y1 (ko)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JP4545908B2 (ja) ミツバチ巣脾枠装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受粉ミツバチ巣箱用小型巣脾枠の製造法
KR20140096213A (ko)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
KR200495251Y1 (ko) 소초 가이드 및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양봉용 나무 소초광
GB2493296A (en) A beehive frame
KR200439878Y1 (ko) 양봉용 이충소비
AU2017254942C1 (en) Stingless Bee Keeping Frame and Assembly
RU221875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держания пчёл
JP2015061535A (ja) 養蜂用巣枠及び養蜂用巣箱
KR102384062B1 (ko) 헛집 방지기가 구비된 양봉용 벌통
KR20230001956U (ko) 헛집 방지부가 구비된 하부벌통
US10716295B2 (en) Nestable bee swarm box
KR200458813Y1 (ko) 양봉용 이충소비
KR20170030990A (ko) 하이브리드 조립 타입 벌통 구조물 및 이의 체결 방식
TWM633957U (zh) 蜂蜜蟲蜜分離生產製具及可攜式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