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878A - 벌꿀용 광식 사양기 - Google Patents

벌꿀용 광식 사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878A
KR20130049878A KR1020110114903A KR20110114903A KR20130049878A KR 20130049878 A KR20130049878 A KR 20130049878A KR 1020110114903 A KR1020110114903 A KR 1020110114903A KR 20110114903 A KR20110114903 A KR 20110114903A KR 20130049878 A KR20130049878 A KR 20130049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s
space
water
be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4949B1 (ko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KR1020110114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9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9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B)들이 무밀기에도 꿀을 채밀할 수 있도록 설탕물과 수분을 인공적으로 공급하는 사양기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벌통(1)의 내부에 소초광(2)과 이격된 상태로 삽입 장착되도록 안착대(11)와 이격대(12)를 구비하는 박스형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수용공간(21)을 구비하고, 벌들이 출입되도록 장방향의 출입구(22)를 구비하는 수용부(20); 및 상기 수용부(20)의 수용공간(21)을 이분할시키면서 변형을 방지하는 고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조시 발생하는 공수를 효율적으로 단축시켜 가격경쟁력을 도모하고, 사용시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한 변형을 사전에 방지함과 함께 설탕물과 수분을 동시에 공급시켜 이동성의 향상은 물론, 날개짓을 최소화시켜 전반적인 벌들의 생명력을 연장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벌꿀용 광식 사양기{Bee-br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벌들이 무밀기에도 꿀을 채밀할 수 있도록 설탕물과 수분을 인공적으로 공급하는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합성수지재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조시 발생하는 공수를 효율적으로 단축시켜 가격경쟁력을 도모하고, 사용시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한 변형을 사전에 방지함과 함께 설탕물과 수분을 동시에 공급시켜 이동성의 향상은 물론, 날개짓을 최소화시켜 전반적인 벌들의 생명력을 연장시켜주는 벌꿀용 광식 사양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양봉에 사용되는 사양기는 월동기, 장마철, 개화기 등과 같은 무밀기에 벌들이 충분한 량의 꿀을 자연적으로 채밀할 수 없을 경우에나 유밀기에도 채밀량이 현저히 부족할 경우에 설탕물등과 같은 사양액을 공급하여 부족한 채밀량을 충당시킬 수 있도록 벌통 내에 삽입시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사양기는 재질이 목재로 이루어진 판을 결합시켜 형성하였는데, 각각의 판이 결합되는 틈 사이로 사양액이 누출되기에 촛농 등과 같은 코팅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별도로 수행하여 사용해 왔다. 이는 원재료가 목재이기 때문에 제작원가가 상당히 소요됨은 물론 결합과정과 코팅과정 등에 의한 제조가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생산성 또한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근래에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으로 일체화시켜 제조한 사양기를 제공하여 왔다. 이는 사출성형으로 인한 제조시간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은 물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한 장점을 있지만, 장기간 사용시에는 수축으로 인한 크랙이나 뒤틀림 및 벌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기존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사양기의 장점을 그대로 지니면서 변형 등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급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9756호의 "양봉용 사양기"에 의하면 벌통에 삽입되어 사양액이 충진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그 양단으로 재치턱이 형성된 충진몸체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양봉용 사양기에 있어서, 상기 충진몸체(110)는 전,후,좌,우로의 상측 폭(W)(W1)은 넓고 하측 폭(w)(w1)은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및 상기 충진몸체(110)의 개방된 상단에는 전면과 후면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밑면 양측으로 끼움홈(42)이 형성된 클립(40)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구성은 별도의 끼움홈이 형성된 클립을 통하여 사양액을 충진하더라도 상단부위가 벌어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상단 국소 부위만을 클립으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사양액의 충진에 의한 변형 이외에도 온도차에 의한 전반적인 수축 또는 이완과 같은 전반적인 변형에는 아직까지도 미흡한 단점이 있다.
더욱이, 클립은 벌이 이동하는 통로에 장착되기에 벌이 이동하는 공간을 방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벌의 활발한 활동을 억제함은 물론이고 벌이 사양액을 채밀한 상태에서 이동 중, 클립에 의해 사양액으로 빠져 익사하게 되는 등의 폐단이 따른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9756호 "양봉용 사양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성수지재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조시 발생하는 공수를 효율적으로 단축시켜 가격경쟁력을 도모하고, 사용시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한 변형을 사전에 방지함과 함께 설탕물과 수분을 동시에 공급시켜 이동성의 향상은 물론, 날개짓을 최소화시켜 전반적인 벌들의 생명력을 연장시켜주는 벌꿀용 광식 사양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 만마리의 벌들이 숙식이 용이하면서 어린 벌들을 안전하게 키울 수 있고 계절에 관계없이 이동거리를 단축시켜 벌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벌들이 무밀기에도 꿀을 채밀할 수 있도록 설탕물과 수분을 인공적으로 공급하는 사양기에 있어서: 벌통의 내부에 소초광과 이격된 상태로 삽입 장착되도록 안착대와 이격대를 구비하는 박스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벌들이 출입되도록 장방향의 출입구를 구비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수용공간을 이분할시키면서 변형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수용부의 수용공간은 벌의 날개짓을 최소한 억제하면서 이동을 용이하도록 격자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고정수단은 수용부의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 상에 삽입되는 고정대를 구비하여 수용공간을 이분할시켜 설탕물과 수분을 동시에 수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고정수단은 수용부상에 고정대의 결합으로 인해 수축과 이완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식 사양기는 합성수지재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조시 발생하는 공수를 효율적으로 단축시켜 가격경쟁력을 도모하고, 사용시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한 변형을 사전에 방지함과 함께 설탕물과 수분을 동시에 공급시켜 이동성의 향상은 물론, 날개짓을 최소화시켜 전반적인 벌들의 생명력을 연장시켜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양기의 적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양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양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양기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양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사양기를 통해 벌이 채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벌(B)들이 무밀기에도 꿀을 채밀할 수 있도록 설탕물과 수분을 인공적으로 공급하는 사양기에 관련되며, 본체(10)와 수용부(20) 및 고정수단(30)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벌꿀용 광식 사양기에 관 한다. 여기서 사양기는 도 1처럼 무밀기에 자연적으로 꿀을 채밀하지 못하거나 유밀기에도 부족한 채밀량을 충당할 수 있도록 인공적으로 벌(B)들이 설탕물과 수분을 공급하도록 벌통(1)의 내부에 구비하는 소초광(2) 사이에 삽입된다. 소초광(2)은 매선기로 소초를 부착시킨 것으로서, 여기서 벌(B)이 집을 짓는 것이다. 이러한 사양기는 전체적으로 합성수지재만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한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별도의 금속재를 인서트 하거나 비금속재를 다이캐스팅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라면 제조시 발생하는 비용과 생산성 및 품질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자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의 본체(10)는 벌통(1)의 내부에 소초광(2)과 이격된 상태로 삽입 장착되도록 안착대(11)와 이격대(12)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비교적 슬림한 면적을 지닌 사각의 박스형으로, 도 2처럼 본체(10)의 양단과 일면에 안착대(11)와 이격대(12)를 각각 일체로 구비하는데, 안착대(11)는 벌통(1)의 내부에 삽입 장착됨을 유도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상측 양단으로 연장되게 돌출된다. 즉, 안착대(11)는 벌통(1) 내부의 외곽테두리 상에 형성된 거치대(도면미도시) 상에 맞물려 삽입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이격대(12)는 벌통(1)의 내부에 구비한 소초광(2)과 이격된 상태로 장착됨을 유도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일면으로 연장되게 돌출된다. 즉, 이격대(12)는 소초광(2)의 일면의 일부와 맞물리게 되어 본체(10)와 소초광(2) 사이에 벌(B)들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준다. 여기서 안착대(11)와 이격대(12)는 본체(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의 결합을 통해 구비할 수 있으나 전술한 것처럼 생산성을 고려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수용공간(21)을 구비하고, 벌(B)들이 출입되도록 장방향의 출입구(22)를 구비한다. 수용부(20)는 벌(B)들이 채밀할 수 있도록 설탕물과 수분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처럼 상측으로 개구된 수용공간(21)과 출입구(22)를 각각 구비하는데, 수용공간(21)은 벌(B)들이 채밀할 수 있도록 설탕물과 수분을 수용하는 것으로, 본체(10)의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다. 즉, 수용공간(21)은 벌(B)들이 설탕물과 수분을 충분히 채밀할 수 있는 부피를 지닌다. 또, 개구된 상측은 설탕물과 수분을 충진하도록 유도함과 함께 벌(B)이 설탕물과 수분을 채밀하기 위한 출입됨을 유도한다. 여기서 수용공간(21)의 상측으론, 설탕물과 수분을 자동으로 충진시키는 보충장치가 더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출입구(22)는 벌(B)들이 수용공간(21)으로 출입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상측으로 장방향의 요홈이 형성된다. 즉, 벌통(1)의 덮개로 인해 벌(B)들이 수용공간(21)으로 출입하기 위한 공간이 차단되기에 본체(10)의 상측으로 장방향의 출입구(22)를 형성함에 따라 벌(B)들이 출입과 함께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출입구(22)는 장방향의 홈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30)은 상기 수용부(20)의 수용공간(21)을 이분할시키면서 변형을 방지한다. 고정수단(30)은 도 2내지 도 4처럼 수용부(20)의 내부 중앙으로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연속 형성되는 것으로, 수용공간(21)을 각각 A공간(A)과 B공간(B)으로 이분할시키면서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한 변형을 방지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고정수단(30)은 수용부(20)의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31)과, 상기 고정홈(31)상에 삽입되는 고정대(35)를 구비하여 수용공간(21)을 이분할시켜 설탕물과 수분을 동시에 수용시킨다. 고정수단(30)은 수용부(20)의 수용공간(21)을 설탕물을 수용하는 A공간(A)과 수분을 수용하는 B공간(B)으로 이분할 시키는 것으로, 수용부(20)의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31)과 고정대(35)를 구비한다. 고정홈(31)은 도 2처럼 수용공간(21)의 내부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대(35)는 도 3처럼 고정홈(31)에 맞물려 삽입되도록 세로방향의 바형으로 개별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홈(31)으로 고정대(35)가 삽입되면, 고정대(25)가 칸막이 역할을 수행하여 수용공간(21)이 A공간(A)과 B공간(B)으로 분할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처럼 분할된 A공간(A)과 B공간(B)에 설탕물과 수분을 수용공간(21)상에 동시에 수용하게 되면 벌(B)들이 수분을 채밀하기 위해 외부로 이동하지 않아도 되기에 채밀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즉, 통상의 사양기는 설탕물만을 수용하는 하나의 공간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벌(B)들이 수분을 채밀하기 위해서 외부로 이동해야 됨에 따라 채밀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특히, 외부로 이동하게 되면 계절에 의한 온도의 영향을 받아 동사로 죽거나 천적에 의해 죽게 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또, 수용공간(21)을 이분할시키면 벌(B)들의 이동공간을 협소시킴에 따라 이동성을 향상시켜 익사를 방지할 수가 있다. 즉, 벌(B)들은 수용공간(21)에서 설탕물이나 수분을 채밀하기 위해 서로가 사다리역할을 하며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동공간이 커지게 되면 상대적으로 그 역할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이동 중 설탕물이나 수분으로 떨어져 익사하게 되어 죽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고정수단(30)은 수용부(20)상에 고정대(31)의 결합으로 인해 수축과 이완에 의한 변형을 방지한다. 고정수단(30)은 고정홈(31)과 고정대(35)를 통하여 수용부(20)의 수용공간(21)을 A공간(A)과 B공간(B)으로 이분할 시켜 벌(B)의 채밀성과 생명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수축과 이완에 의한 전반적인 변형을 방지한다.
도 2 내지 도 4처럼 수용부(20)의 수용공간(21)은 상측으로 벌(B)의 채밀과 함께 설탕물과 수분을 충진하기 위해 개구된 상태이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에 수축이나 이완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홈(31)으로 고정대(35)를 삽입하게 되면 수축과 이완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즉, 도 2의 확대도를 살펴보면 고정홈(31)은 일측으로 갈수록 넓게 경사진 테이퍼형태를 지니고 있고, 고정대(35)는 이와 맞물리는 형태로 지니고 있어, 마치 일체로 보강리브를 형성된 것과 같이 전반적인 내구성이 향상하게 된다. 한편, 고정홈(31)과 고정대(35)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별도의 삽입작업 없이도 사용이 가능한 이점은 있지만 청소가 용이하지 않기에 고정홈(31)과 고정대(35)를 개별적으로 분리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고정수단(30)은 전술한 것처럼, 벌(B)의 채밀성과 생명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수축과 이완에 의한 전반적인 변형을 방지하는 등의 일석이조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수용부(20)의 수용공간(21)을 벌(B)의 날개짓을 최소한 억제하면서 이동을 용이하도록 격자판(25)을 더 구비한다. 수용부(20)는 벌(B)들이 채밀할 수 있도록 설탕물과 수분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 5 및 도 6처럼 수용공간(21)에 벌(B)의 날개짓을 최소한 억제시키는 격자판(25)을 구비한다.
도 5와 같이, 격자판(25)은 다단으로 연속 절곡된 경사면을 지닌 것으로, 고정수단(30)에 의해 분할된 수용공간(21)에 각각 삽입되어 벌(B)의 이동공간을 더욱 협소시켜 날개짓을 억제시킨다. 벌(B)은 평균적으로 약 한달 정도의 수명을 지니고 있지만, 일의 양의 따라 그 수명이 달라진다. 여기서 벌(B)은 일을 함에 따른 날개짓에 의해 수명이 결정된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는데, 약 60만번 정도의 날개짓을 하게 되면 그 수명을 다하여 죽음에 이르게 된다. 즉, 도 6처럼 격자판(25)을 수용공간(21)에 삽입하게 되면 벌(B)이 설탕물이나 수분을 채밀하는 과정에서 날개짓을 최소한으로 억제시켜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 또, 격자판(25)은 전술한 고정수단(30)과 같이 벌(B)들의 이동공간을 협소시킴에 따라 이동성을 향상시켜 익사방지를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조시 발생하는 공수를 효율적으로 단축시켜 가격경쟁력을 도모하고, 사용시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한 변형을 사전에 방지함과 함께 설탕물과 수분을 동시에 공급시켜 이동성의 향상은 물론, 날개짓을 최소화시켜 전반적인 벌들의 생명력을 연장시켜준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벌통 2: 소초광
10: 본체 11: 안착대
12: 이격대 20: 수용부
21: 수용공간 22: 출입구
25: 격자판 30: 고정수단
31: 고정홈 35: 고정대
B: 벌

Claims (4)

  1. 벌(B)들이 무밀기에도 꿀을 채밀할 수 있도록 설탕물과 수분을 인공적으로 공급하는 사양기에 있어서:
    벌통(1)의 내부에 소초광(2)과 이격된 상태로 삽입 장착되도록 안착대(11)와 이격대(12)를 구비하는 박스형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수용공간(21)을 구비하고, 벌(B)들이 출입되도록 장방향의 출입구(22)를 구비하는 수용부(20); 및
    상기 수용부(20)의 수용공간(21)을 이분할시키면서 변형을 방지하는 고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용 광식 사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0)의 수용공간(21)은 벌(B)의 날개짓을 최소한 억제하면서 이동을 용이하도록 격자판(2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용 광식 사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수용부(20)의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31)과, 상기 고정홈(31)상에 삽입되는 고정대(35)를 구비하여 수용공간(21)을 이분할시켜 설탕물과 수분을 동시에 수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용 광식 사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수용부(20)상에 고정대(31)의 결합으로 인해 수축과 이완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용 광식 사양기.
KR1020110114903A 2011-11-07 2011-11-07 벌꿀용 광식 사양기 KR101394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903A KR101394949B1 (ko) 2011-11-07 2011-11-07 벌꿀용 광식 사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903A KR101394949B1 (ko) 2011-11-07 2011-11-07 벌꿀용 광식 사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878A true KR20130049878A (ko) 2013-05-15
KR101394949B1 KR101394949B1 (ko) 2014-05-27

Family

ID=4866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903A KR101394949B1 (ko) 2011-11-07 2011-11-07 벌꿀용 광식 사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9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80U (ko) * 2014-10-28 2016-05-10 정용호 양봉용 사양기
CN107873572A (zh) * 2017-12-03 2018-04-06 成都诚克兄弟蜂业有限公司 敞开式蜜蜂活动巢框边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4048A (zh) * 2018-11-03 2020-05-12 宁夏北国蜜语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中蜂活框养殖装置
KR102024104B1 (ko) 2018-11-06 2019-09-23 양호진 벌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756Y1 (ko) * 2004-09-25 2004-12-09 (주)야생양봉원 양봉용 사양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80U (ko) * 2014-10-28 2016-05-10 정용호 양봉용 사양기
CN107873572A (zh) * 2017-12-03 2018-04-06 成都诚克兄弟蜂业有限公司 敞开式蜜蜂活动巢框边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949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949B1 (ko) 벌꿀용 광식 사양기
CN107072179A (zh) 养蜂用巢脾
KR101651552B1 (ko) 자돈 보호를 위한 축사시스템
CN212035459U (zh) 使用环保材料的功能性蜂箱
US20160235042A1 (en) Bee feeders and bee feeding systems for bee colonies
KR20130030527A (ko) 로얄제리 채취용 이충벌집광
KR101546258B1 (ko) 로얄제리 생산용 산란실
KR101928265B1 (ko)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KR200492616Y1 (ko) 클립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US3579676A (en) Beehive
KR101532316B1 (ko)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
US3110044A (en) Molded beehive
KR200369756Y1 (ko) 양봉용 사양기
KR101027462B1 (ko)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KR200491118Y1 (ko) 양봉의 여왕벌 사육용 왕완
KR101553405B1 (ko) 파이프형상의 저장용기에 소밀을 강제로 생산 및 저장토록 하는 벌통
KR200483595Y1 (ko) 양봉용 사양기
KR200458813Y1 (ko) 양봉용 이충소비
KR101837745B1 (ko) 소형 4군 교미상
KR102384062B1 (ko) 헛집 방지기가 구비된 양봉용 벌통
KR101553404B1 (ko) 강제로 저장용기에 소밀을 생산 및 저장토록 하는 벌통
CN210959959U (zh) 一种自带巢蜜格的巢蜜盒
KR200369755Y1 (ko) 양봉용 사양기
RU2168890C2 (ru) Ульевая рам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отового меда в формах
CN212232674U (zh) 一种蜜蜂养殖用循环组合式巢框及蜂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