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316B1 -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 - Google Patents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316B1
KR101532316B1 KR1020130008509A KR20130008509A KR101532316B1 KR 101532316 B1 KR101532316 B1 KR 101532316B1 KR 1020130008509 A KR1020130008509 A KR 1020130008509A KR 20130008509 A KR20130008509 A KR 20130008509A KR 101532316 B1 KR101532316 B1 KR 101532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ehive
guide
beve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213A (ko
Inventor
이재평
윤필자
Original Assignee
윤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필자 filed Critical 윤필자
Priority to KR1020130008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31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벌 안내판은,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안내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유로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벌통은, 전면에 탈착홈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비; 상기 탈착홈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에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벌통 조립체는, 제 1 벌통; 상기 제 1 벌통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2 벌통; 및 상기 제 1 벌통 및 제 2 벌통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벌통에 사육되는 꿀벌들을 상기 제 2 벌통으로 안내하는 제 1 벌 안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벌 안내판은,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관통되는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부터 타 방향으로 갈수록 적어도 일부분의 직경이 감소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소비에 붙어있는 벌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채밀 시간을 단축시키고,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시간동안 더 많은 양의 꿀을 채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벌 분리장치들에 비하여 소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설치 공간 면에서 유리하고, 별도의 동력원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벌통의 벌 출입홈에 벌 안내판을 결합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벌통을 교체하는 데에 필요한 교체 비용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채밀하지 않는 경우, 상기 벌 안내판의 탈착홈 위치에, 덮집 방지판, 격왕판, 화분채취기 등을 탈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외부 벌들의 공격으로 인해 꿀벌들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A bee-guide plate, a bee-hive and a bee-hive assembly}
본 발명은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양봉산업은 벌꿀과 밀랍을 생산하기 위해 꿀벌을 키우는 산업으로서, 꿀벌을 이용하여 자연에 존재하는 꽃에서 꿀과 화분을 수집하여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특성 때문에, 유익한 밀원인 꽃을 찾아 산간오지 등으로 이동하면서 양봉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양봉산업의 이동성과 산간오지 등에서 이루어지는 지역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그 기계화가 더디게 진행되며, 주로 양봉 전문가인 기술인력의 노동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양봉 전문인력의 경우 그 한계가 있어 노동력 부족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품앗이로 노동력을 보완하고 있다.
종래에는 벌꿀을 수확하는 채밀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소비에 붙은 벌을 사람이 봉솔을 이용하여 일일이 떨어낸 후, 채밀기 등을 이용하여 원심력에 의해 소방에서 꿀을 분리시키곤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람의 노동력에 의해 소비에 붙은 벌을 일일이 떨어내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처럼 벌꿀을 수확하는 시기에 노동력 부족이 발생할 경우에는 적절한 수확시기를 놓치게 되어 소득의 감소를 초래하거나 양봉산물의 품질저하를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채밀 작업을 위하여 벌통에서 소비를 꺼내는 과정에서, 도봉(외부의 벌들이 꿀을 훔치기 위해 공격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봉이 발생되면, 벌통의 꿀벌들이 방어하는 과정에서, 꿀벌들의 손실이 발생되어, 향후 꿀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록특허 제 10-1211561호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벌을 떨어낼 수 있는 봉솔을 구비한 자동 봉솔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의 경우, 상기 봉솔의 구동을 위하여 전기를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 지역이 제한될 수 있고, 벌을 분리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이 커지고, 상기 장치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비용으로 소비에 붙은 벌을 쉽게 떨어낼 수 있는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벌 안내판은,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안내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유로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벌통은, 전면에 탈착홈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비; 상기 탈착홈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에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벌통 조립체는, 제 1 벌통; 상기 제 1 벌통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2 벌통; 및 상기 제 1 벌통 및 제 2 벌통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벌통에 사육되는 꿀벌들을 상기 제 2 벌통으로 안내하는 제 1 벌 안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벌 안내판은,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관통되는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부터 타 방향으로 갈수록 적어도 일부분의 직경이 감소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소비에 붙어있는 벌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채밀 시간을 단축시키고,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시간동안 더 많은 양의 꿀을 채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벌 분리장치들에 비하여 소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설치 공간 면에서 유리하고, 별도의 동력원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벌통의 벌 출입홈에 벌 안내판을 결합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벌통을 교체하는 데에 필요한 교체 비용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채밀하지 않는 경우, 상기 벌 안내판의 탈착홈 위치에, 덮집 방지판, 격왕판, 화분채취기 등을 탈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외부 벌들의 공격으로 인해 꿀벌들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통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벌통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벌 안내판의 부분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벌통 조립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벌 안내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벌 안내판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II-II'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벌 안내판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통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통 조립체(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벌통(100)(200)(300)과, 상기 벌통의 상단에 구비되는 덮개부(110)와, 상기 벌통의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부(120)와, 상기 벌통에 장착되는 벌 안내판(150)(250)(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통 조립체(10)는, 다수 개의 벌통(100)(200)(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벌통(100)(200)(300)은 각각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며 서로 적층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하 상기 다수 개의 벌통(100)(200)(300)은 서로 적층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다만, 아래의 설명은 상기 벌통 조립체(10)가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형태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벌통(100)(200)(300)은, 상기 벌통 조립체(10)의 가장 상측에 구비되는 제 1 벌통(100)과, 상기 벌통 조립체(10)의 가장 하측에 구비되는 제 3 벌통(300)과, 상기 제 1 벌통(100) 및 제 3 벌통(300)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벌통(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벌통 조립체(10)는, 3개의 벌통이 적층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도면과 달리, 상기 제 2 벌통(200)은 다수 개일 수 있다.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제 1 벌통(10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제 1 벌통(100)의 상측 개구부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제 3 벌통(30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제 3 벌통(30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꿀벌들이 상기 제 3 벌통(300)에 입출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벌통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벌 안내판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1 벌통(100)은,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부(101)와, 꿀벌들의 생육 및 번식을 위한 소비(130)와, 상기 본체부(101)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벌 안내판(15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1)는, 상하방향으로 중공을 가지는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본체부(101)의 형상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체부(101)는, 원 기둥 형상이거나, 다른 다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은 수용공간(102)으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102)에는 상기 소비(13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1)의 전면에는 탈착홈(10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홈(104)은 상기 본체부(10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홈(104)은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의 전체 높이 및 너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탈착홈(104)은 상기 본체부(101)의 일측 하단이 절개된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탈착홈(104)은 상기 본체부(101)의 전면에 형성되는 구멍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탈착홈(104)은,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이 탈착될 수 있는 구멍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탈착홈(104)의 기능이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탈착홈(104)에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벌통(100) 내부에 사육되는 꿀벌들은 상기 탈착홈(104)을 통하여 출입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탈착홈(104)은 '벌 출입홈'이라고 할 수도 있다. 반대로 말하면, 상기 벌 출입홈에,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이 탈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101)는, 상기 본체부(101)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거치부(103)와, 상기 본체부(10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가이드부(105)와, 상기 본체부(101)의 일측 구비되는 이탈 방지부재(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03)는, 상기 소비(130)를 지지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거치부(103)는 상기 소비(130)가 상기 제 1 벌통(100)의 하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거치부(103)에 의해 상기 소비(130)는 상기 수용공간(10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03)는, 상기 본체부(101)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05)는, 상기 탈착홈(104)에 탈착되는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을 가이드 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05)는, 상기 본체부(101)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05)는, 상기 탈착홈(104)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가이드부(105)의 높이는 상기 탈착홈(104)의 상단보다 낮고, 상기 탈착홈(104)의 하단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05)는 상기 본체부(101)의 길이방향에 따라 돌출되는 리브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가이드부(105)의 형상이 리브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05)는 롤러로 제공되거나, 슬롯으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이탈 방지부재(106)는,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이 상기 탈착홈(10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탈 방지부재(106)는,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이 상기 제 1 벌통(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도 1 참조).
일 예로, 상기 이탈 방지부재(106)의 일측은,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부(101)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재(106)는 상기 고정부재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핀 또는 나사 등일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재(106)의 타측은, 회전 각도에 따라서, 상기 탈착홈(104)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전 각도에 따라서, 상기 이탈 방지부재(106)의 일부는, 상기 탈착홈(104)의 일부를 막을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재(106)가 상기 탈착홈(104)에 위치되지 않는 상태(도 2 참조)에서,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는 상기 탈착홈(104)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이 상기 탈착홈(104)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재(106)를 상기 탈착홈(104)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 경우, 상기 이탈 방지부재(106)는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의 전면에 위치되므로,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이 전면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소비(130)는 소비 걸이부(132)와, 소비판(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비 걸이부(132)는 상기 소비판(134)에 고정되며, 상기 소비판(134)을 상기 본체부(101)의 수용공간(102)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 소비 걸이부(132)는 상기 수용공간(102)의 길이 또는 너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비 걸이부(132)의 양측은 상기 거치부(103)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소비 걸이부(132)는 사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소비 걸이부(132)의 형상이 사각기둥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비판(134)은 상기 수용공간(102)에 위치되어 꿀벌들이 벌집을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소비판(134)의 일측에는 상기 소비 걸이부(13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은, 상기 제 1 벌통(100) 및 제 2 벌통(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벌통(100)의 내부에 있는 꿀벌들을 상기 제 2 벌통(200)으로 안내한다.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은, 상기 제 1 벌통(100)의 하측 개구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의 크기 및 형상은 상기 제 1 벌통(100)의 하측 개구부의 크기 및 형상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은, 판형의 플레이트(151)와, 상기 플레이트(151)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56)와,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부(157)와,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의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51)는 상기 제 1 벌통(100) 및 제 2 벌통(2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51)는 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벌통(100)(200)(3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51)의 재질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나,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51)를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151)에 안착하는 꿀벌은 중력을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져 후술할 안내 유로(152)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51)에는 상기 플레이트(151)에는 다수 개의 안내 유로(152)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 유로(152)는, 상기 제 1 벌통(100) 내부에 있는 꿀벌들을 상기 제 2 벌통(200)으로 안내하는 구멍이다. 상기 안내 유로(152)의 단면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일 예로, 상기 안내 유로(152)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만곡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안내 유로(152)의 형상에 의하면, 상기 제 2 벌통(200) 내부에 있는 꿀벌들이 상기 제 2 벌통(200)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유로(152)는, 도 3을 기준으로 상측에 구비되는 제 1 홀(152a)과, 하측에 구비되는 제 2 홀(152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홀(152a)의 직경은, 상기 제 2 홀(152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홀(152a)의 직경은 상기 제 1 홀(152a) 주변에 존재하는 꿀벌들이 쉽게 유입될 수 있을만큼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홀(152a)의 직경이 지나치게 큰 경우, 다수의 꿀벌들이 한꺼번에 유입되어 상기 안내 유로(15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서로 엉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꽁무늬를 하방으로 하여 유입되는 꿀벌의 경우, 상측으로 비행하려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다수의 꿀벌들이 뒤따라 유입되는 경우, 서로 엉킨 채로 상기 안내 유로(152)를 제대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제 1 홀(152a)의 직경은 8mm 이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홀(152b)의 직경은, 한 마리의 꿀벌이 유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홀(152b)의 직경은, 한 마리의 꿀벌의 몸통 둘레와 동일하거나 약간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홀(152b)의 직경이 4.4mm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벌통(100)에 있는 꿀벌이 상기 안내 유로(152)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벌통(200)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홀(152b)의 직경이 4.9mm 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벌통(200)에 있는 꿀벌이 상기 안내 유로(152)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벌통(100)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벌통(100)에 있는 꿀벌들을 상기 제 2 벌통(200)으로 안내하고, 상기 제 2 벌통(200)에 있는 꿀벌들이 상기 제 1 벌통(100)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홀(152b)의 직경은, 4.4mm 이상이고 4.9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2 벌통(200) 내부에 있는 꿀벌들은 상기 안내 유로(152)를 통과하기 위해 상기 안내 유로(152) 내측의 일 지점에 다리를 딛고 통과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제 2 홀(152b)의 직경에 의하면, 꿀벌들이 상기 안내 유로(152)에 다리를 지지한 채로 통과하기가 어렵게 된다.
상기 고정부(156)는 상기 플레이트(151)의 일측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156)는 상기 플레이트(151)의 테두리를 감싸는 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156)는 상기 플레이트(151)의 형상에 따라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56)의 전면부는 상기 탈착홈(104)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56)의 전면부는 상기 탈착홈(104)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고정부(156)의 전면부는 '차단부'라고 할 수 도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부(157)는, 상기 제 1 가이드부(105)와 함께 상기 탈착홈(105)에 탈착되는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을 가이드 한다. 상기 제 2 가이드부(157)는,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의 외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이 상기 제 1 벌통(100)에 장착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가이드부(157)는 상기 탈착홈(104)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가이드부(157)의 높이는 상기 탈착홈(104)의 상단보다 낮고, 상기 탈착홈(104)의 하단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부(157)는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의 길이방향에 따라 함몰되는 홈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2 가이드부(157)의 형상이 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가이드부(157)는 롤러로 제공되거나, 돌출되는 리브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부(156)가 상기 플레이트(151)의 테두리를 감싸는 틀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 2 가이드부(157)는 상기 고정부(156)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159)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을 상기 제 1 벌통(100)에 용이하게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손잡이이다. 상기 핸들부(159)는, 일 예로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의 전면에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은 상기 고정부(156)의 전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홈일 수도 있다.
한편, 훈연기(연기를 피우는 기구)를 이용하여 벌통 위에서 훈연하여 벌들이 더 빨리 아래로 유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벌통(200)은 상기 제 1 벌통(1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벌통(200)에 탈부착 가능한 제 2 벌 안내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벌 안내판(250)은 상기 제 2 벌통(200)의 내부에 있는 꿀벌들을 상기 제 3 벌통(300)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벌 안내판(150)(250)(350)은 각각의 기능상 서로 이격된다. 상기 제 2 벌 안내판(2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3 벌통(300)은 상기 제 1 벌통(1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3 벌통(300)에 탈부착 가능한 제 3 벌 안내판(3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벌 안내판(350)은 상기 제 3 벌통(300)의 내부에 있는 꿀벌들을 상기 제 3 벌 안내판(350) 내부로 포집할 수 있다.
상기 제 3 벌 안내판(350)은, 상방이 개구되는 상자형태의 제 3 고정부(356)와, 상기 제 3 고정부(356)의 상방을 차단하는 판형의 제 3 플레이트(3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플레이트(351)는 상기 플레이트(151)과 마찬가지의 안내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3 고정부(356)는 일 예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3 고정부(356)는 상면으로부터 함몰되는 벌 포집공간(3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벌통(300)에 사육되는 꿀벌들은, 상기 안내 유로를 통하여 상기 벌 포집공간(358)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벌 포집공간(358)으로 유입된 꿀벌들은, 상기 안내 유로의 형상에 따라서, 다시 상기 제 3 벌통(300)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벌통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 구성요소에 있어서, 특별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내용을 차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벌통 조립체(10)는, 제 1 벌통(100)과, 제 2 벌통(200)과, 제 3 벌통(300)과, 덮개부(110)와,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벌통(100)은, 본체부(101)와, 소비(130)와, 제 1 탈착 프레임(140)과, 제 1 벌 안내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1)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본체부(101)의 형상이 직육면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체부(101)는 수용공간(102)과, 거치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탈착 프레임(140)은, 상기 본체부(10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탈착 프레임(140)은, 상기 제 1 벌통(100) 및 제 2 벌통(200)을 이격시키고, 상기 제 1 벌통(100) 및 제 2 벌통(200)의 사이에 개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탈착 프레임(140)은, 상기 본체부(101)의 하측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탈착 프레임(140)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되어,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은, 상기 제 1 탈착 프레임(140)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탈착 프레임(140)의 개구되는 부분은 탈착홈(144)으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채밀 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탈착홈(144)에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 대신, 덮집 방지판, 격왕판, 화분채취기 등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 1 탈착 프레임(140)은, 상기 제 1 탈착 프레임(14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가이드부(145)와, 상기 제 1 탈착 프레임(140)의 일측에 구비되는 이탈 방지부재(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45)는,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의 제 2 가이드부(157)에 대응되어,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45)는, 상기 제 1 탈착 프레임(140)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45)는 상기 제 1 탈착 프레임(140)의 길이방향에 따라 돌출되는 리브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가이드부(105)의 형상이 리브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05)는 롤러로 제공되거나, 슬롯으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이탈 방지부재(146)는,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이 상기 탈착홈(14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탈 방지부재(146)는,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이 상기 제 1 탈착 프레임(140) 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탈착 프레임(140)과, 제 1 벌 안내판(150)을 통칭하여 ‘벌 안내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 예에 따른 벌통 본체부(101)는 종래의 벌통 본체부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벌 안내수단은 종래의 벌통 본체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벌 안내수단은 종래의 벌통 조립체를 분리하여 다수의 벌통 본체부 사이에 개입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벌통(200)은, 상기 제 1 벌통(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벌통(200)은, 상기 제 1 벌통(1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벌통(2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탈착 프레임(240)과, 상기 제 2 탈착 프레임(240)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제 2 벌 안내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3 벌통(300)은, 상기 제 2 벌통(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벌통(300)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제 3 벌통(300)은 종래의 벌통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0)는, 상기 제 3 벌통(3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0)는, 상면과 전면이 개구되는 지지부 본체부(161)와, 상기 지지부 본체부(161)의 저면부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안착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본체부(161)의 상단 테두리 부분은 상기 제 3 벌통(3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본체부(161)의 내부는 벌 출입공간(162)으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벌 출입공간(162)은, 상기 제 3 벌통(300)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3 벌통(300)에서 사육되는 꿀벌들은 상기 벌 출입공간(162)을 거쳐, 상기 지지부 본체부(161)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나가거나, 들어올 수 있다.
상기 안착부(162)의 상측에는 안착 공간(16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 공간(164)에는, 덮집 방지판, 격왕판, 화분채취기 등이 안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벌 안내판의 사시도이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 구성요소에 있어서, 특별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내용을 차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벌 안내판(150)은, 플레이트(151)와, 안내 유로(152)와, 고정부(156)와, 제 2 가이드부(157)와, 핸들부(159)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 시간당, 상기 플레이트(151)를 통하여 유입되는 꿀벌들의 숫자를 늘리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151)에 형성되는 안내 유로(152)의 갯수를 늘릴 필요가 있다.
상기 안내 유로(152)가 도 6과 같이 다수 개의 열 또는 행로 배치될 수 있다. 그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는 복수 개의 안내 유로(152)들을 '제 1 열'이라고 하고, 상기 제 1 열에 인접한 열을 이루는 다른 하나의 안내 유로(152)들을 '제 2 열'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을 이루는 각각의 안내 유로는, 상기 제 2 열을 이루는 각각의 안내 유로들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열의 간격을 좁힐 수 있으므로, 동일한 플레이트(151)에 대하여 더 많은 숫자의 안내 유로(152)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벌 안내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II-II'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 구성요소에 있어서, 특별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내용을 차용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벌 안내판(150)은, 플레이트(151)와, 고정부(156)와, 제 2 가이드부(157)와, 핸들부(15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51)는, 상기 플레이트(151)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안내 유로(152)와, 상기 플레이트(15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안내벽(153)과, 상기 플레이트(15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안내봉(1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벽(153) 및 안내봉(154)을 통칭하여, '안내 돌기'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유로(152)는, 제 1 실시 예 내지 제 3 실시 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돌기(153)(154)는, 상기 안내 유로(152)의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안내 돌기(153)(154)는, 인접한 복수 개의 안내 유로(152) 사이의 공간에 구비된다.
상기 안내 돌기(153)(154)는, 상기 각각의 안내 유로(152)의 외측을 둘러싸는 벽 형태로 형성되는 안내벽(153)이거나, 상기 각각의 안내 유로(152)의 사이 공간으로부터 원기둥 형태로 돌출되는 안내봉(154)일 수 있다.
상기 안내벽(153)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은 유도 공간(155)으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공간(155)으로 유입된 꿀벌들은, 상기 안내벽(153)에 의해 상기 안내 유로(152)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공간(155)은, 상기 안내 유로(152)의 배치 형상에 따라, 일 예로 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안내 유로(152)가 제 2 실시 예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유도 공간(153)은, 육각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안내봉(154)은, 상기 안내벽(153)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안내 돌기(153)(154)가 위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과 달리 상기 안내 돌기(153)(154)에서 상기 안내벽(153)은 생략되고, 상기 안내봉(154)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51)에 접근하는 꿀벌들은 상기 안내 돌기(153)(154)에 부딪치거나, 상기 안내 돌기(153)(154)를 회피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안내 유로(152)로 더욱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꿀벌들의 분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51)는, 상기 플레이트(15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대(151a)(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유로(152)는 상기 구획대(151a)(151b)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대(151a)(151b)의 폭은 인접한 두 개의 안내 유로(152)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구획대(151a)(151b)는 제 1 구획대(151a) 및 상기 제 1 구획대(151a)와 교차되는 제 2 구획대(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구획대(151a) 및 제 2 구획대(151b)는 서로 직교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획대(151a)는 상기 플레이트(151)의 너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획대(151b)는 상기 플레이트(15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51)는 다수의 구멍을 포함하기 때문에, 강도가 약해질 위험이 있다. 상기 구획대(151a)(151b)는 상기 플레이트(151)를 지지하여 상기 플레이트(15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구획대(151a)(151b)는 ‘지지대’라고 할 수도 있다.
도 7과 달리 상기 플레이트(151)에는 상기 플레이트(151)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151)의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제 1 벌통(100)의 사시도이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 구성요소에 있어서, 특별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내용을 차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제 1 벌통(100)은, 본체부(101)와, 제 1 벌 안내판(150)과, 차단부(156)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1)의 전면에는,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이 탈착 가능한 탈착홈(1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탈착홈(104)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10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벌 안내판(150)은, 플레이트(151)와, 상기 플레이트(151)에 형성되는 안내 유로(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51)는 상기 가이드 홈(105)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유로(15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차단부(156)는, 상기 탈착홈(104)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탈착홈(104)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156)에는 상기 플레이트(151)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고정홈(158)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실시 예 내지 제 5 실시 예에서, 상기 안내 유로(152)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적어도 일부분의 직경이 감소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 경우 상측 벌통에서 사육되는 꿀벌들이 하측 벌통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상기 안내 유로(152)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적어도 일부분의 직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꿀벌들의 안내 방향도 그 반대가 될 것이다. 즉, 상기 안내 유로(152)는, 상기 플레이트(151)를 관통하며, 관통되는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부터 타 방향으로 갈수록 적어도 일부분의 직경이 감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안내 유로(152)의 적어도 일부분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소비에 붙어있는 벌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채밀 시간을 단축시키고,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시간동안 더 많은 양의 꿀을 채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벌 분리장치들에 비하여 소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설치 공간 면에서 유리하고, 별도의 동력원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벌통의 벌 출입홈에 벌 안내판을 결합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벌통을 교체하는 데에 필요한 교체 비용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채밀하지 않는 경우, 상기 벌 안내판의 탈착홈 위치에, 덮집 방지판, 격왕판, 화분채취기 등을 탈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외부 벌들의 공격으로 인해 꿀벌들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비;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전면에 탈착홈이 형성되는 탈착 프레임;
    상기 탈착홈을 통하여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안내 유로;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안내 유로의 외측을 둘러싸는 벽 형태로 형성되는 안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로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 1 홀;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홀의 직경은, 상기 제 2 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홀의 직경은, 4.4mm 이상이고 4.9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로의 단면은,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만곡되는 벌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홈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벌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벽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봉;을 더 포함하는 벌통.
  7. 전면에 탈착홈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비;
    상기 탈착홈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에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안내 유로;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안내 유로의 외측을 둘러싸는 벽 형태로 형성되는 안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8. 제 1 벌통;
    상기 제 1 벌통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2 벌통; 및
    상기 제 1 벌통 및 제 2 벌통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벌통에 사육되는 꿀벌들을 상기 제 2 벌통으로 안내하는 제 1 벌 안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벌 안내판은,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관통되는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부터 타 방향으로 갈수록 적어도 일부분의 직경이 감소되는 복수개의 안내 유로;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안내 유로의 외측을 둘러싸는 벽 형태로 형성되는 안내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벌통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3 벌통; 및
    상기 제 2 벌통 및 제 3 벌통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벌통에 사육되는 꿀벌들을 상기 제 3 벌통으로 안내하는 제 2 벌 안내판;을 더 포함하는 벌통 조립체.
  10.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안내 유로;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안내 유로의 외측을 둘러싸는 벽 형태로 형성되는 안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유로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 안내판.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벽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봉을 더 포함하는 벌 안내판.
KR1020130008509A 2013-01-25 2013-01-25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 KR101532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509A KR101532316B1 (ko) 2013-01-25 2013-01-25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509A KR101532316B1 (ko) 2013-01-25 2013-01-25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213A KR20140096213A (ko) 2014-08-05
KR101532316B1 true KR101532316B1 (ko) 2015-06-29

Family

ID=5174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509A KR101532316B1 (ko) 2013-01-25 2013-01-25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3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021Y1 (ko) 2019-09-02 2020-07-20 신원준 채밀과 내검 작업이 용이한 벌통 구조체
FR3107424A1 (fr) * 2020-02-20 2021-08-27 Stephane Michel Caisson avec compartiment amovible pour ruch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4715B (zh) * 2019-03-07 2021-06-04 翟叙源 一种环保型食材包边蜂巢及生产装盒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073Y1 (ko) * 2001-06-29 2001-10-17 금 석 오 계상식 벌통의 탈봉용 통로판
KR200287083Y1 (ko) * 2002-06-03 2002-08-27 윤지훈 계상형 벌통
KR200301907Y1 (ko) * 2002-11-01 2003-01-29 고상인 바닥서랍식 사양기가 구비된 벌통바닥받침틀
KR200346348Y1 (ko) * 2004-01-13 2004-03-31 김동순 격왕판 겸용 프로폴리스 채집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073Y1 (ko) * 2001-06-29 2001-10-17 금 석 오 계상식 벌통의 탈봉용 통로판
KR200287083Y1 (ko) * 2002-06-03 2002-08-27 윤지훈 계상형 벌통
KR200301907Y1 (ko) * 2002-11-01 2003-01-29 고상인 바닥서랍식 사양기가 구비된 벌통바닥받침틀
KR200346348Y1 (ko) * 2004-01-13 2004-03-31 김동순 격왕판 겸용 프로폴리스 채집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021Y1 (ko) 2019-09-02 2020-07-20 신원준 채밀과 내검 작업이 용이한 벌통 구조체
FR3107424A1 (fr) * 2020-02-20 2021-08-27 Stephane Michel Caisson avec compartiment amovible pour ruch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213A (ko) 201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316B1 (ko)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
WO2016089980A1 (en) Comb formation guide for placement between beehive frames
KR101966937B1 (ko) 양봉용 소비와 이를 이용한 벌통
KR101090622B1 (ko) 양봉용 사양기
KR101820068B1 (ko) 탈착식 꿀벌 교미벌통
KR100977605B1 (ko) 환기장치를 구비한 벌통
EP2999328B1 (en) Beehive
KR200464456Y1 (ko) 여왕벌 격리통
KR101266895B1 (ko) 여왕벌 격리기
KR20180104365A (ko)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KR101394949B1 (ko) 벌꿀용 광식 사양기
KR200487626Y1 (ko) 양봉용 자동사양기
KR20150107181A (ko) 양봉용 화분채분기
KR101027461B1 (ko) 화분통을 구비한 양봉용 사양기
KR102378433B1 (ko) 양봉장치
KR20190091619A (ko) 화분채취기가 내장된 벌통
KR101027462B1 (ko)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KR101174425B1 (ko) 사봉 수집 장치
KR20170030990A (ko) 하이브리드 조립 타입 벌통 구조물 및 이의 체결 방식
KR200477213Y1 (ko) 양봉 상자용 화분채취기
CN219165431U (zh) 一种防逃安全型分蜂器
KR102548373B1 (ko) 양봉용 벌통의 벌 탈리장치
KR200458813Y1 (ko) 양봉용 이충소비
US20140017976A1 (en) Bottom board for supporting a honey bee hive
EP3133915B1 (en) Bee pollen trap suitable for collecting of pollen in a comb h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