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480U - 양봉용 사양기 - Google Patents

양봉용 사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480U
KR20160001480U KR2020140007828U KR20140007828U KR20160001480U KR 20160001480 U KR20160001480 U KR 20160001480U KR 2020140007828 U KR2020140007828 U KR 2020140007828U KR 20140007828 U KR20140007828 U KR 20140007828U KR 20160001480 U KR20160001480 U KR 201600014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ling plate
filling body
machine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595Y1 (ko
Inventor
정용호
Original Assignee
정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호 filed Critical 정용호
Priority to KR2020140007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59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4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5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양봉용 사양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양봉용 사양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사양액이 충액될 수 있도록 폭이 좁은 형성하는 테두리틀과, 상기 테두리틀보다 긴 폭으로 상기 테두리틀과 연결된 밀폐판과, 상기 테두리틀 및 상기 밀폐판의 하단부를 커버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진 충진몸체와, 상기 테두리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벌통 내부에 삽입 재치되도록 하는 재치턱을 구비한 양봉용 사양기에 있어서, 상기 충진몸체와 상기 재치턱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폐판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벌 착지부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봉용 사양기{BEE-BREEDING DEVICE}
본 고안은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벌꿀의 채밀량이 증대되고 사양기의 구조가 개선된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에 사용되는 사양기는 월동기, 장마철, 개화기 등과 같은 무밀기에 벌들이 충분한 량의 꿀을 자연적으로 채밀할 수 없을 때나, 유밀기에도 채밀량이 부족할 때에, 설탕물 등과 같은 사양액을 공급하여 부족한 채밀량을 충당시킬 수 있도록 벌통 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벌통(1) 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종래 대부분의 사양기(100)는, 벌통(1)의 내부에 꿀이 채밀되도록 삽입되는 다수의 소초광(2) 사이에 소초광(2)과 유사한 형태인 길이 방향으로 사양액이 충액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테두리틀(112)의 양측면에 밀폐판(114)이 고정되는 충진몸체(110)와, 상기 테두리틀(112)의 상측 틀로부터 연장되어 벌통(1) 내부로 삽입되어 재치되는 재치턱(116)이 형성되도록 제작되어 소초광(2)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벌들이 소초광(2) 사이에 설치된 사양기(100)를 왕래하면서 충진몸체(110) 내에 충진된 사양액을 섭취하여 부족하였던 꿀의 채밀량을 충당하였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사양기(100)는 그 전체를 구성하는 재질이 목재로 제작된다.
즉, 상기 테두리틀(112)과 밀폐판(114)이 목재로 제작되어 그 표면으로 충진되는 사양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촛농 등과 같은 코팅층을 형성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이는 재질이 목재로서 제작원가가 많이 소요됨은 물론 서로 고정단계와 코팅작업 등에 의한 제작이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생산성 또한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한 종래 목재로 제작되는 목재 사양기(100)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일정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부에 충진된 사양액이 테두리틀(112)과 밀폐판(114) 사이에 생긴 틈으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시켜 제작된 양봉용 사양기가 사용되고 있는 바, 이는 목재로 제작되는 사양기에 비해 제작이 간편하면서 높은 생산성은 물론 대량생산으로서 제작원가가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사양기는, 그 특성상 충진몸체(110)의 상부가 개방되어 직사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성형 후에도 넓은 면적을 갖는 전면과 후면(밀폐판)에 뒤틀림 등으로 인한 변형이 쉽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면과 후면을 다수의 지지대를 등을 형성하여 지지시킴으로서, 재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제작 상에 많은 번거로운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봉용 사양기를 합성수지재로 제작시 최대한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성형된 후에도 변형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충진몸체는 전후, 좌우로의 상측 폭은 넓고, 하측 폭은 좁게 형성한 '양봉용 사양기'가 고안된 바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안의 양봉용 사양기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69756호(2004. 11. 29.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양봉용 사양기의 경우에는, 벌이 합성수지재의 소재 자체를 싫어하기 때문에 합성수지재의 사양기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꺼린다.
이에 따라, 목재용 사양기에 비해 꿀의 채밀량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즉, 플라스틱 소재는 따뜻한 느낌을 주지 못하고, 사양기 내벽면이 미끄러워 사양기 내에 벌이 착지하기 싫어하거나, 착지가 어려워, 결국 벌꿀의 채밀량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목재와 플라스틱 소재의 장점을 살린 양봉용 사양기를 제작하여, 벌꿀의 채밀량이 증대되도록 한 양봉용 사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양봉용 사양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사양액이 충액될 수 있도록 폭이 좁은 형성하는 테두리틀과, 상기 테두리틀보다 긴 폭으로 상기 테두리틀과 연결된 밀폐판과, 상기 테두리틀 및 상기 밀폐판의 하단부를 커버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진 충진몸체와, 상기 테두리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벌통 내부에 삽입 재치되도록 하는 재치턱을 구비한 양봉용 사양기에 있어서, 상기 충진몸체와 상기 재치턱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폐판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벌 착지부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양기의 구성 중 충진몸체와 재치턱은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상기 충진몸체의 밀폐판 중 일면에 목재로 된 벌 착지부를 형성하여, 벌이 안정적으로 착지할 수 있게 하여, 목재 사양기와 같은 벌꿀 채밀량을 증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양기의 충진몸체에 틈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사양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양기 상단부의 벌 입출구를 넓힘으로써, 벌의 입출이 용이하고, 사양기의 구조를 보강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사출성형되는 사양기의 불량(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봉용 사양기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저면도.
도 7은 도 6에서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6에서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200)는, 벌 및 사양액이 입출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벌 입출구(200a)가 형성되고, 상기 벌 입출구(200a)를 통해 사양액이 충액될 수 있도록 폭이 좁은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테두리틀(202)과, 이 테두리틀(202)과 연결 고정되되 테두리틀(202)보다 긴 폭으로 전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밀폐판(201,204)과, 상기 테두리틀(202)과 밀폐판(201,204)의 하단부를 커버하는 바닥부(205)로 이루어진 충진몸체(210)와, 상기 테두리틀(202)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소초광(2, 도 1 참조)과 함께 벌통 내부에 삽입 재치되도록 구비된 재치턱(2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충진몸체(210)와 재치턱(203)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판(201,204)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벌 착지부(204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벌 착지부(204a)는, 충진몸체(210)와 재치턱(203)이 1차 성형된 사출성형품의 사양기(200)에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제조된다.
즉, 먼저 상기 벌 착지부(204a)를 제외한 충진몸체(210)와 재치턱(203)을 플라스틱 사출성형하고, 성형된 플라스틱 소재의 사출성형품에 목재로 된 별도의 상기 벌 착지부(204a)를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사출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200)를 제조한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6에서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6에서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300)는,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벌 입출구(300a), 테두리틀(302), 밀폐판(301,304) 및 바닥부(305)로 이루어진 충진몸체(310)와, 그리고 재치턱(303)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300)에도, 목재로 이루어지되,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사출에 의해 제조된 벌 착지부(304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벌 착지부(304a)와 대향되는 밀폐판(301)에는, 이 밀폐판(301)의 상단부가 전면으로 돌출된 돌출부(301a)가 형성되어, 벌이 입출하는 상기 충진몸체(310)의 벌 입출구(300a)의 입구가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01a)는 밀폐판(301)의 중앙에서 좌우 측면으로 가면서, 또한, 밀폐판(301)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서서히 돌출량이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01a)는 라운드(R)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200)는, 1차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상기 재치턱(203)과 충진몸체(210)가 형성된 사양기(200)를 성형한다.
이때, 상기 충진몸체(210)의 밀폐판(201,204) 중 일면은 나중에 상기 벌 착지부(204a)가 형성되기 때문에 빈 공간이다.
이어서, 1차 플라스틱 사출성형한 사츨성형품에 미리 만들어 둔 목재로 된 벌 착지부(204a)를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사출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그러면, 도 2 및 도 3과 같은 양봉용 사양기(200)가 제조된다.
따라서, 벌통(1, 도 1참조) 내의 사양기(200)에 벌이 들어가면, 목재로 된 상기 벌 착지부(204a)에 착지하여, 충진몸체(210) 내의 사양액을 먹는다.
즉, 상기 충진몸체(210) 중 넓은 면적으로 된 밀폐판(201,204) 중 일면이 목재로 된 벌 착지부(204a)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벌이 충진몸체(210)로 자연스럽게 벌 착지부(204a)에 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벌꿀의 채밀량을 기존의 목재 사양기(200) 정도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벌 착지부(204a) 이외의 사양기(200)는 플라스틱(또는 합성수지재)으로 형성되어 있고, 벌 착지부(204a)의 경우에도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사출로 형성되기 때문에 기존 목재로 된 것과 같은 밀폐판(201,204)과 테두리틀(202)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사양액이 외부로 누출될 염려가 없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300)의 경우에는, 상기 벌 착지부(304a)와 대향되는 밀폐판(301)에 돌출부(301a)가 형성되기 때문에 벌 입출구(300a)가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벌 입출구(300a)가 기존에 비해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벌의 입출이 매우 용이하다.
특히, 상기 돌출부(301a)가 라운드(R)(또는 구)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양기(300) 구조가 보강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사출성형시 면적에 비해 두께가 얇은 경우 생기는 뒤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사출성형성도 양호해져 생산성이 향상되고, 사양기(300)의 품질도 증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사양기
200a. 벌 입출구
201,204. 밀폐판
202. 테두리틀
203. 재치턱
204a. 벌 착지부
205. 바닥부
210. 충진몸체
301a. 돌출부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고 사양액이 충액될 수 있도록 폭이 좁은 형성하는 테두리틀과, 상기 테두리틀보다 긴 폭으로 상기 테두리틀과 연결된 밀폐판과, 상기 테두리틀 및 상기 밀폐판의 하단부를 커버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진 충진몸체와, 상기 테두리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벌통 내부에 삽입 재치되도록 하는 재치턱을 구비한 양봉용 사양기에 있어서,
    상기 충진몸체와 상기 재치턱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폐판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벌 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 착지부는 이중사출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몸체의 벌 입출구가 넓게 형성되도록 상기 벌 착지부와 대향된 상기 밀폐판의 상단부가 전면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의 중앙에서 좌우 측면으로 가면서, 그리고, 상기 밀폐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서서히 상기 돌출부의 돌출량이 줄어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KR2020140007828U 2014-10-28 2014-10-28 양봉용 사양기 KR200483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28U KR200483595Y1 (ko) 2014-10-28 2014-10-28 양봉용 사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28U KR200483595Y1 (ko) 2014-10-28 2014-10-28 양봉용 사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80U true KR20160001480U (ko) 2016-05-10
KR200483595Y1 KR200483595Y1 (ko) 2017-06-01

Family

ID=56023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828U KR200483595Y1 (ko) 2014-10-28 2014-10-28 양봉용 사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5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3827A (zh) * 2018-01-16 2018-08-03 贵港市厚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取蜂蜜原浆防走蜂的蜂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593U (ko) * 1998-03-27 1998-06-05 장봉환 벌집용 먹이통
KR200369756Y1 (ko) * 2004-09-25 2004-12-09 (주)야생양봉원 양봉용 사양기
KR20130049878A (ko) * 2011-11-07 2013-05-15 김성철 벌꿀용 광식 사양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593U (ko) * 1998-03-27 1998-06-05 장봉환 벌집용 먹이통
KR200369756Y1 (ko) * 2004-09-25 2004-12-09 (주)야생양봉원 양봉용 사양기
KR20130049878A (ko) * 2011-11-07 2013-05-15 김성철 벌꿀용 광식 사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3827A (zh) * 2018-01-16 2018-08-03 贵港市厚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取蜂蜜原浆防走蜂的蜂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595Y1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96460A (zh) 具有编织外观和透气特征的模制鞋
KR101231548B1 (ko) 이중 미드솔을 일체로 성형하는 금형
KR200483595Y1 (ko) 양봉용 사양기
US9669572B2 (en) Method for molding a decorative zipper pull and mold for a zipper pull
KR101394949B1 (ko) 벌꿀용 광식 사양기
JP2009220830A (ja) 立体模様付きチューブ容器とそ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成形金型
US2591328A (en) Honeycomb
US2750632A (en) Method of making surface reproduction fixtures
TWM515462U (zh) 溼紙塑成型模具組件
KR200369756Y1 (ko) 양봉용 사양기
KR102098390B1 (ko) 자동 사양 및 급수기가 장착된 벌통
KR100992200B1 (ko) 욕실용 슬리퍼 제조방법
CN101143040A (zh) 多色鞋底发泡制造方法
US10948231B2 (en) Moisture permeable device,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004301U (ja) 鑑賞魚水槽用産卵箱
CN104401267B (zh) 后柱上装饰板及其模具和注塑方法
KR101409198B1 (ko) 보석류를 이용한 투명 합성수지 장식판의 제조방법
KR100837613B1 (ko) 도자기 마개
GB11335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ectacle sidebars and sidebars obtained thereby
US2920702A (en) Pulp molding
KR200464858Y1 (ko) 카메라의 홀더
EP2664434B1 (en) Injection moulding method for forming a bottle crate, bottle crate and corresponding apparatus for obtaining such bottle crate
JP2001121583A (ja) ゴム製品用複数個取り金型
KR101769680B1 (ko) 멀티 토출구를 가진 진공주형 장치
KR200311904Y1 (ko) 합성수지 파티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