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431Y1 -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431Y1
KR200470431Y1 KR2020130003484U KR20130003484U KR200470431Y1 KR 200470431 Y1 KR200470431 Y1 KR 200470431Y1 KR 2020130003484 U KR2020130003484 U KR 2020130003484U KR 20130003484 U KR20130003484 U KR 20130003484U KR 200470431 Y1 KR200470431 Y1 KR 200470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e
container lid
flower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오
Original Assignee
장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오 filed Critical 장현오
Priority to KR2020130003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4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4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상면에 깔때기 모양을 형성하는 하방경사홈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생화줄기 또는 로드를 통공에 꽂거나 빼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용기뚜껑이 개시된다. 상기 용기뚜껑은 생화의 생화줄기 또는 로드를 꽂을 수 있도록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중심부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통공을 구비하는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벽부를 포함하는 용기뚜껑으로서, 상기 상판부가, 상기 통공에 상기 생화줄기 또는 로드를 쉽게 꽂을 수 있도록 바깥쪽에서 상기 통공 쪽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져 깔때기 형상을 형성하는 하방경사홈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Lid for a receptacle and receptacle for keeping a flower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용기뚜껑 및 생화꽂이용 용기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생화 재배지에서 수확된 꽃이 유통되는 동안 시들지 않도록 계속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용기뚜껑과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생화를 꽂아서 포장하여 판매 또는 보관 하는 데 사용되는 종래의 생화꽂이용 용기에 생화가 꽂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생화꽂이용 용기(10)는 생화(20)의 생화줄기(22)를 감싸주며 상단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물저장통(12)과 물저장통(12)의 개구에 결합되고 생화줄기(22)를 꽂을 수 있는 통공(16)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15)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생화꽂이용 용기(10)의 뚜껑(15)은 생화의 유통과정 중에 물이 새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그 중앙부에 형성되는 통공(16)의 크기를 가급적 작게 만들어야 하는 데, 통공(16)의 크기를 작게 할수록 생화(20)의 생화줄기(22)를 통공(16)에 꽂는 작업의 능률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작업능률을 높이기 위해 통공(16)을 크게 만드는 경우 유통과정 중에 물이 쉽게 빠져나갈 우려가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생화꽂이용 용기(10)의 물저장통(12)은 통상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데, 표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뚜껑(15)이 쉽게 벗겨질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저장통(12)의 하단이 뭉툭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물저장통을 장착하기 위한 홈에 꽂을 때 작업 능률이 떨어진다. 작업해야할 꽃의 수량이 적은 경우에는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작업해야할 꽃의 수량이 수백송이 이상 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된다.
또한, 대부분의 생화(20)의 생화줄기(22)는 그 굵기가 일정하지 않고 마디가 있으며 마디 부분은 옆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생화(20)의 생화줄기(22)가 통공(16)에서 쉽게 빠지지 않고, 마디의 돌출된 부분이 통공(16)의 가장자리에 걸린 상태에서 생화줄기(22)를 위로 당김에 따라 뚜껑(15)이 벗겨지는 일도 생긴다.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183113호 "꽃 포장 케이스"의 등록실용신안공보
본 고안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생화꽂이용 용기(10)의 뚜껑(15)은 그의 상판부가 평판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통공(16)이 측방으로 확장되기 어려운 점이 있음을 알아차렸다.
이 경우 생화줄기(22)나 생화줄기 같은 로드(이하, "생화줄기(22) 등"으로도 칭함)를 통공(16)에 꽂거나 빼는 데 힘이 더욱 많이 들어가고 생화줄기(22) 등의 굵기에 따라 통공(16)의 크기를 조정하여 만들어야 하는 단점이 생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뚜껑에 형성된 통공에 생화의 줄기 또는 줄기 형태의 로드(rod)를 쉽게 꽂을 수 있는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꽃혀 있는 생화의 줄기 또는 로드를 통공에서 쉽게 뽑을 수 있는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뚜껑이 종래의 것에 비해 쉽게 벗겨지지 않는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이 담기는 용기체를 장착홈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생화꽂이용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은 생화의 생화줄기 또는 로드를 꽂을 수 있도록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중심부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통공을 구비하는 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벽부를 포함하는 용기뚜껑으로서, 상기 상판부가, 상기 통공에 상기 생화줄기 또는 로드를 쉽게 꽂을 수 있도록 바깥쪽에서 상기 통공 쪽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져 깔때기 형상을 형성하는 하방경사홈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공에 꽂혀 있는 상기 생화줄기 또는 로드를 위로 뽑을 때 상기 하방경사홈부가 상기 생화줄기 또는 로드와의 접촉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된 깔때기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탄력성이 있는 고무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부는 상기 하방경사홈부와 상기 하방경사홈부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상기 벽부에 수평으로 연결하여 상기 하방경사홈부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수평연결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벽부의 상단 내주면에는 용기체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측방돌출 테두리에 걸려 상기 용기뚜껑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따른 생화꽂이용 용기는 상단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체; 및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용기체의 하단은 상기 용기체를 장착하기 위한 홈에 쉽게 꽂을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체는 상단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측방돌출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용기뚜껑은 상기 벽부의 내주면 상단부에 상기 측방돌출 테두리에 걸려 상기 용기뚜껑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는 용기뚜껑의 상면에 깔때기 모양을 형성하는 하방경사홈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생화줄기 또는 로드를 통공에 꽂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는 생화줄기 또는 로드를 통공에서 뺄 때에는 탄성력이 있는 하방경사홈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생화줄기 또는 로드는 통공에서 쉽게 빠진다.
경우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는 수평연결부가 하방경사홈부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하방경사홈부의 상하방향 유동성이 증가되고 쉽게 상하로 뒤집어질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에 형성된 통공은 깔때기 모양을 형성하는 하방경사홈부의 끝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것에 비해 쉽게 확장될 수 있어 생화줄기 등을 통공에 꽂거나 통공에 꽂혀 있는 생화줄기 등을 뽑기가 수월하고, 생화줄기 등의 굵기에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호환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에 형성된 통공은 깔때기 모양을 형성하는 하방경사홈부의 끝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발효과로 인해 물이 외부로 누출되기 어렵고, 어렵게 외부로 누출된 물도 하방경사홈부의 경사면을 타고 내려가서 용기체 내부로 다시 유입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생화꽂이용 용기는 용기체 상단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측방돌출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뚜껑 벽부의 상단 내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뚜껑이 상방으로 힘을 받더라도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에 생화꽂이용 용기는 용기체의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체를 장착홈에 장착하기가 종래의 것에 비해 수월하다.
도 1은 생화를 꽂아서 포장하여 판매 또는 보관 하는 데 시용되는 종래의 생화꽂이용 용기에 생화가 꽂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생화꽂이용 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생화꽂이용 용기에 생화를 꽂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도 5의 생태에서 생화를 뽑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생화꽂이용 용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생화꽂이용 용기에 생화를 꽂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생화꽂이용 용기(100)는 용기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용기체(110)는 바람직하게 원통형 형상을 하고 있고, 상단에 개구(112)가 형성되어 있어 생화에 필요한 물을 담을 수 있다. 이 용기체(110)는 바람직하게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생화꽂이용 용기(100)를 복수의 장착홈들이 형성된 장착박스 내의 장착홈이나 포장재 등에 쉽게 꽂아서 포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용기체(110)의 상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측방돌출 테두리(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뒤에서 설명되는 용기뚜껑(120) 벽부(126)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홈(127)에 결합되어 용기뚜껑(120)이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생화꽂이용 용기(100)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용기뚜껑(120)은 용기체(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개구(112)를 막아서 용기체(110) 내부에 담겨진 물(W)이 용기체(1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생화줄기(22) 등을 지지하여 생화(20)가 안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용기뚜껑(120)은 생화(20)의 생화줄기(22) 등을 꽂을 수 있는 통공(122)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부(121)와 상판부(121)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용기체(110)의 상단의 벽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벽부(126)로 이루어져 있다.
벽부(126)는 용기체(110)의 단면모양에 맞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 용기체(110)의 상단 외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벽부(126)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서는 측방돌출 테두리(114)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127)이 형성되어 있다.
상판부(121)에 형성되어 생화(20)의 생화줄기(22) 등을 꽂을 수 있도록 해주는 통공(122)은 상판부(121)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중심부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통공(122)은 상판부(121)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21)는 바깥쪽에서 통공(122) 쪽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져 깔때기 모양을 형성하는 하방경사홈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하방경사홈부(123)는 통공(122)에 생화(20)의 생화줄기(22) 등을 보다 쉽게 꽂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생화줄기(22) 등을 통공(122)에 꽂을 때 하방경사홈부(123)의 경사면은 생화줄기(22)의 하단을 통공(122) 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판부(121)는 바람직하게 탄력성이 있는 고무로 만들어져 있다. 이에 따라 생화줄기(22) 등이 통공(122)보다 조금 굵더라도 통공(122)에 생화줄기(22)를 쉽게 꽂을 수 있다. 또한, 고무로 된 상판부(121)의 탄력성에 의해 통공(122)의 크기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굵기가 일정하지 않고 측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많이 있는 생화줄기(22) 등도 쉽게 통공(122)에 꽂거나 통공(122)으로부터 뽑을 수 있다.
또한, 하방경사홈부(123)의 하단에 통공(122)을 형성함으로써 용기체(110) 내부의 물이 위로 튀더라도 상판부(121) 저면에 접촉된 물은 대부분 다시 하방경사홈부(123)의 저면의 경사면을 타고 아래로 떨어진다. 통공(122)을 통해 어렵게 외부로 배출된 물도 대부분은 하방경사홈부(123) 상면의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려 통공(122)을 통과하여 용기체(110) 내부로 다시 유입된다.
뿐만 아니라, 생산되는 생화(20)의 생화줄기(22) 등의 굵기보다 통공(122)을 조금 작게 만드는 경우, 통공(122)의 내주면이 생화줄기(22) 등의 외주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용기체(110) 내부의 물이 통공(122)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판부(121)와 벽부(126) 모두가 탄력성이 있는 고무로 되어 있는 것이 좋다. 즉 용기뚜껑(120)은 상판부(121)와 벽부(126)를 포함하는 전체를 고무로 일체로 만든 것이 좋다. 상판부(121)가 탄력성이 있는 고무로 만들어지는 경우, 통공(122)에 꽂혀 있는 생화줄기(22)를 위로 뽑을 때 하방경사홈부(123)가 생화줄기(22)와의 접촉에 의해 상방으로 끌려 올라가서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 경우 생화줄기(22)가 통공(122)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잘 뽑힐 수 있다. 벽부(126)가 탄력성이 있는 고무로 만들어지는 경우, 벽부(126)가 탄력성을 가지고 용기체(110)의 벽면에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용기체(110)와 벽부(126) 사이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판부(121)는 중앙부에 통공(122)이 형성된 하방경사홈부(123)만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하방경사홈부(123)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수평연결부(124)를 설치하여 하방경사홈부(123)를 벽부(126)에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하방경사홈부(123)를 벽부(126)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수평연결부(124)가 있으면 초기상태에서도 상판부(121)가 상하로 약간의 탄력성을 가질 수 있고, 하방경사홈부(123)가 상하로 뒤집어지는 것에 도움이 된다.
도 6은 본 도 5의 생태에서 생화를 뽑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의 상태에서 생화줄기(22) 등을 잡고 위로 당기면 생화줄기(22) 등은 위로 들어올려지고, 생화줄기(22) 등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판부(121)의 하방경사홈부(123)는 생화줄기(22) 등과 함께 위로 딸려 올라가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으로 볼록한 깔때기 모양을 형성하여 생화줄기(22) 등이 통공(122)에서 무리 없이 빠질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수평연결부(124)는 위로 탄성변형되면서 하방경사홈부(123)가 위로 쉽게 뒤집어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생화줄기(22) 외주면의 돌출부위가 통공(122)의 가장자리에 걸리더라도 경사면이 안내를 하기 때문에 생화(20)가 쉽게 뽑힌다.
생화(20)가 생화꽂이용 용기(100)에서 이탈된 후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방경사홈부(123)는 고무의 자체 탄력에 의해 또는 약간의 외력의 작용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 하방경사홈부(123)는 아래로 탄성변형되면서 하방경사홈부(123)가 쉽게 복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나머지는 도 2 내지 5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본 고안은 용기체 내부에 물을 담은 상태로 생화를 꽂아서 생화를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를 만드는 데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생화꽂이용 용기뿐만 아니라 생화의 줄기와 같이 긴 막대형태의 로드가 달린 것을 꽂는 용기를 만드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20: 생화 22: 생화줄기
100: 생화꽂이용 용기 110: 용기체
112: 개구 114: 측방돌출 테두리
120: 용기뚜껑 121: 상판부
122: 통공 123: 하방경사홈부
124: 수평연결부 126: 벽부
127: 걸림홈

Claims (6)

  1. 생화의 생화줄기 또는 로드를 꽂을 수 있도록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중심부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통공을 구비하는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벽부를 포함하는 용기뚜껑으로서,
    상기 상판부가, 상기 통공에 상기 생화줄기 또는 로드를 쉽게 꽂을 수 있도록 바깥쪽에서 상기 통공 쪽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져 깔때기 형상을 형성하는 하방경사홈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방경사홈부는 바깥쪽에서 상기 통공 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꽂혀 있는 상기 생화줄기 또는 로드를 위로 뽑을 때 상기 하방경사홈부는 상기 상판부가 상기 생화줄기 또는 로드와의 접촉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된 깔때기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탄력성이 있는 고무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상기 하방경사홈부와 상기 하방경사홈부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상기 벽부에 수평으로 연결하여 상기 하방경사홈부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수평연결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체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측방돌출 테두리에 걸려 상기 용기뚜껑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5. 상단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체; 및
    제1항 또는 제3항의 용기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꽂이용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의 하단은 상기 용기체를 장착하기 위한 홈에 쉽게 꽂을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체는 상단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측방돌출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용기뚜껑은 상기 벽부의 내주면 상단부에 상기 측방돌출 테두리에 걸려 상기 용기뚜껑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꽂이용 용기.
KR2020130003484U 2013-05-03 2013-05-03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 KR200470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484U KR200470431Y1 (ko) 2013-05-03 2013-05-03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484U KR200470431Y1 (ko) 2013-05-03 2013-05-03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431Y1 true KR200470431Y1 (ko) 2013-12-16

Family

ID=5357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484U KR200470431Y1 (ko) 2013-05-03 2013-05-03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4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7363A (zh) * 2020-05-28 2020-08-18 许胜添 一种营养液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883Y1 (ko) * 2001-09-19 2002-01-09 함초이 위생덮개가 구비된 위생컵
JP2003047341A (ja) * 2001-08-03 2003-02-18 Keiji Sekiguchi 花 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341A (ja) * 2001-08-03 2003-02-18 Keiji Sekiguchi 花 器
KR200259883Y1 (ko) * 2001-09-19 2002-01-09 함초이 위생덮개가 구비된 위생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7363A (zh) * 2020-05-28 2020-08-18 许胜添 一种营养液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35617B (zh) 植物培养容器
US2015021613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grow ring for produce
KR101291237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101343379B1 (ko) 화분
US10080335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grow ring for produce
KR20130004813A (ko) 저수조를 구비한 육묘포트
KR200389646Y1 (ko) 수경재배용 화분
KR101224633B1 (ko) 제단(祭壇)용 꽃꽂이구
KR200470431Y1 (ko)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
KR101774647B1 (ko) 화분용 급수통
JP5788366B2 (ja) 給水式プランター装置
KR200466582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용 누름판의 쏠림 방지구조
EP0126574A1 (en) Plant waterer
KR200429798Y1 (ko) 화분 운반용 포장박스
JP3146549U (ja) プランター
US20050005513A1 (en) Floral display system
JP4646708B2 (ja) 鉢植えの自動給水器
CN209268272U (zh) 可展开引漏式定植装置
CN206341641U (zh) 一种促直生根容器
CN207269438U (zh) 一种自动加水花盆装置
KR200470339Y1 (ko) 화병 겸용 화분
CN209073030U (zh) 一种营养钵
US20080236039A1 (en) Plant growing container with internal water reservoir
KR100925207B1 (ko) 저수 기능을 구비한 화분
KR200368043Y1 (ko)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연결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