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316A - 꽃꽂이 병 - Google Patents

꽃꽂이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316A
KR20150083316A KR1020140002924A KR20140002924A KR20150083316A KR 20150083316 A KR20150083316 A KR 20150083316A KR 1020140002924 A KR1020140002924 A KR 1020140002924A KR 20140002924 A KR20140002924 A KR 20140002924A KR 20150083316 A KR20150083316 A KR 20150083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ottle
harmony
flower arrangement
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140002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3316A/ko
Publication of KR20150083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6Flower v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꽃꽂이 병은 뚜껑에 형성된 구멍에 다수의 오목홈을 형성하여서 생화나 조화의 줄기가 오목홈에 지지되게 하여서 생화나 조화가 아름답게 배열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함은 물론 화분 본체에 구비된 방향제에서 향기가 발산되어 생화나 조화에서 아름다운 향기가 지속적으로 발산되는 것으로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꽃꽂이 병{VASE FOR FLOWER ARRANGEMENT}
본 발명은 꽃꽂이 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화 또는 조화를 담는 병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에 다수의 홈을 갖춘 구멍을 제공하여 생화 또는 조화의 줄기가 다수의 홈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꽃꽂이 병에 담긴 생화 또는 조화의 배열 상태가 흩어지지 않고 지속되게 하여 꽃꽂이 병에 담긴 생화 또는 조화의 아름다움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한 꽃꽂이 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꽂이 병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이 상부를 통해서 생화 또는 조화를 넣어 꽃꽂이 병에 배열하여 생화 또는 조화가 아름답게 보이게 한다.
그러나 꽃꽂이 병의 개방된 상부는 생화 또는 조화를 지지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생화 또는 조화가 아름답게 배열된 후 외부의 부주의한 힘에 의해 쉽게 흩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종래 화분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63047호의 "분리식 화분"이 2004년 09월 23일자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에 공개되어 있다.
상기 분리식 화분은 화분본체, 이 화분본체를 덮는 뚜껑, 화분본체에 결합되는 손잡이, 화분본체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분본체를 덮는 뚜껑은 중앙에 외측돌출부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측돌출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식 화분은 배양토를 화분본체에 넣고 씨앗을 기르고자 한 것이나 배양토를 넣지 않고 생화나 조화를 넣으면 뚜껑의 구멍에 생화나 조화의 줄기가 지지되게 된다.
그러나 이 뚜껑의 구멍에는 생화나 조화의 줄기를 지지할 수 있는 별다른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생화나 조화가 아름답게 돋보이도록 배열되어 있어도 외부의 부주의한 힘이 작용하면 쉽게 그 배열형태가 흩어지는 단점이 있다.
KR 20-0363047 Y1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생화나 조화가 아름답게 보이게 배열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꽃꽂이 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생화나 조화가 배열되고 생화나 조화 자체의 향이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방향제 수납구가 구비된 꽃꽂이 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꽃꽂이 병은 꽃꽂이 병의 본체를 덮는 뚜껑을 형성하되, 뚜껑의 구멍에 생화나 조화의 줄기를 지지할 수 있는 다수의 오목홈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꽃꽂이 병의 본체 내에 방향제 수납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꽃꽂이 병은 아름답게 보이도록 배열된 생화나 조화의 줄기가 다수의 오목홈에 지지되어 있어서 아름답게 배열된 생화나 조화의 초기 상태가 쉽게 흩어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생화나 조화의 본래 향과 동일한 방향제로부터 지속적으로 향이 발산되게 함으로써 생화나 조화의 향기가 지속적으로 발산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꽃꽂이 병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꽃꽂이 병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꽃꽂이 병을 구성하는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2의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뚜껑이 분리되는 것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꽃꽂이 병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꽃꽂이 병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꽃꽂이 병을 구성하는 뚜껑에 형성된 구멍이 뚜껑과 동일 평면상으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뚜껑의 둘레 하측에 형성된 단턱부가 한 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뚜껑에 단턱부가 한 개인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꽃꽂이 병에 생화를 키우고 뚜껑이 분리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생화나 조화를 꽃아서 보관할 수 있는 꽃꽂이 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꽃꽂이 병은 상부에 개구부(1)가 형성된 병 본체(10)와, 이 본체(10)의 개구를 덮는 뚜껑(20)로 구성된다. 상기 병 본체(10)와 뚜껑(20)는 합성수지나 도자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병 본체(10)는 생화(FL) 또는 조화(F)가 수용되도록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1)를 병 본체(10) 내에 수납된 꽃은 통상적으로 꽃의 하부가 병 본체(10)의 하부에 위치되고 꽃의 중간부분이 개구부(11) 둘레에 걸쳐진다.
그런데 병 본체(10)에 수용된 생화 또는 조화가 옆으로 너무 누워지는 경우 산만하게 보인다. 더욱이 처음에 멋있게 배열된 생화 또는 조화는 처음 배열 상태가 흩어지는 경우 대부분 생화 또는 조화의 전체적인 미감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뚜껑(20)는 병 본체(10)의 개구부(11)를 덮고 개구부(11) 보다 작은 구멍(30)에 생화 또는 조화의 배열상태가 흩어지지 않게 수납할 수 있어서 병 본체(10)에 수납된 생화 또는 조화가 옆으로 펼쳐지는 것을 종래의 병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뚜껑(20)는 중앙부분에 생화나 조화를 넣을 수 있도록 구멍(30)이 형성되고, 이 구멍(30)의 내주연부에 다수의 오목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홈(32)은 구멍(30)을 통해서 수납된 생화나 조화의 줄기 중간부분이 오목홈(32)에 위치되어 옆으로 흩어지지 않고 유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생화나 조화의 줄기가 다수의 오목홈(32)중 한 오목홈에 위치됨과 동시에 인접한 오목홈 또는 대각방향의 오목홈에 위치되어서 구멍(30)에 넣어진 생화나 조화의 줄기가 좌ㅇ우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병 본체에 아름답게 배치된 처음 배열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는 뚜껑(20)의 오목홈(32)이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오목홈(32)의 입구부분이 오목홈(32)의 내측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오목홈(32)의 입구부분이 오목홈(32)의 내측보다 좁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뚜껑(20)는 병 본체(10)와 결합되는 하부 저면 둘레에 하측으로 단턱부(4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단턱부(40)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데, 이는 병 본체(10)의 개구부(11) 내경이 넓거나 좁은 경우에 하나의 뚜껑(20)로 밀폐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단턱부(40) 중 외측 단턱부(41)가 병 본체(10)의 개구부(11)에 결합되는 경우 내측 단턱부(41)는 병 본체(10) 내에 위치되고, 이와 달리 내측 단턱부(41)가 좁은 개구부(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는 경우 외측 단턱부(41)는 병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즉 하나의 뚜껑(20)로 상이한 개구부(11)의 병 본체(10)에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뚜껑(20)로 밀폐되는 병 본체(10)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구성되어 있으나 병 본체(10)의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병 본체(10)의 하부에는 향을 발생하도록 액체 또는 고체 상태의 방향제(5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방향제 수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조화의 경우 향이 발생되지 않고, 생화도 향기가 진하게 발산되지 않는 경우 방향제에서 생화 또는 조화의 본래 향기와 같은 종류의 향을 발산되게 함으로써 생화 또는 조화에서 아름다운 향기가 지속적으로 나오는 것으로 보이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병 본체를 덮는 뚜껑은 분리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a)은 2개 부분(20a-1, 20a-2)로 분리 구성되고, 분리된 뚜껑(20a)의 한 면(결합되는 면)에는 결합홈(20a-3)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면에는 결합돌기(20a-4)가 형성된다. 그리고 분리된 뚜껑(20a)에 형성된 구멍(30)은 생화(FL)가 쓰러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병 본체(10a-1)는 생화(FL)가 자랄 수 있도록 배양토(60)가 담기고, 이 배양토(60)에 심어진 생화(FL)에 공급되는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병 본체(10a-1)의 바닥면에 복수 개의 배수구멍(10a-1)이 형성된다.
2개 부분(20a-1, 20a-2)으로 분리된 뚜껑(20a)은 병 본체(10a-1)에 배양토(60)를 넣고 생화(FL)를 심은 다음 뚜껑(20a)을 덮을 때 생화의 줄기 등이 뚜껑(20a) 중앙의 구멍으로 모이게 하여 생화가 부주의하게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고, 물이 공급된 후 병 본체의 상방을 덮으므로 병 본체의 상방으로 수분이 쉽게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은 생화나 조화를 꽂는 화분이나 꽃병에 적용되어 처음에 아름답게 배열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꽃의 아름다움이 유지되게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1: 꽃꽂이 병
10: 병 본체
11: 개구부
12: 향수납부
20: 뚜껑
30:(뚜껑의 중앙) 구멍
32: 오목홈
40: 단턱부
41: 외측 단턱부
42: 내측 단턱부

Claims (5)

  1. 병 본체(10)와, 병 본체(10)의 개구부(11)를 밀폐하는 뚜껑(20)로 구성되는 꽃꽂이 병에 있어서,
    뚜껑(20)는 중앙에 구멍(30)이 형성되고, 이 구멍(30)의 내주연에는 오목홈(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꽂이 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오목홈(32)은 뚜껑(20)의 중앙 상방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21)의 구멍(30) 또는 뚜껑(20)과 동일평면인 구멍(30) 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꽂이 병.
  3. 청구항 1에 있어서,
    뚜껑(20)는 외주연부 하측에 단턱부(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꽂이 병.
  4. 청구항 3에 있어서,
    단턱부(40)는 외측단턱부(41)와 내측 단턱부(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꽂이 병.
  5. 청구항 1에 있어서,
    뚜껑(20)은 분리된 뚜껑(20a)으로 구성되고,
    분리된 뚜껑(20a)의 일측 면에는 결합홈(20a-3)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면에는 결합돌기((20a-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꽂이 병.
KR1020140002924A 2014-01-09 2014-01-09 꽃꽂이 병 KR20150083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924A KR20150083316A (ko) 2014-01-09 2014-01-09 꽃꽂이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924A KR20150083316A (ko) 2014-01-09 2014-01-09 꽃꽂이 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316A true KR20150083316A (ko) 2015-07-17

Family

ID=5387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924A KR20150083316A (ko) 2014-01-09 2014-01-09 꽃꽂이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331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4557A (zh) * 2018-06-13 2018-12-07 佛山淼图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迷你葱蒜园
CN109089625A (zh) * 2018-09-06 2018-12-28 佛山淼图科技有限公司 自浇式家用迷你葱蒜园
CN111512950A (zh) * 2020-05-18 2020-08-11 南京凝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持久香气的凝胶基质栽培植物盆栽及其制备方法
KR20220135893A (ko) * 2021-03-31 2022-10-07 남창우 작물 보호 지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4557A (zh) * 2018-06-13 2018-12-07 佛山淼图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迷你葱蒜园
CN109089625A (zh) * 2018-09-06 2018-12-28 佛山淼图科技有限公司 自浇式家用迷你葱蒜园
CN111512950A (zh) * 2020-05-18 2020-08-11 南京凝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持久香气的凝胶基质栽培植物盆栽及其制备方法
KR20220135893A (ko) * 2021-03-31 2022-10-07 남창우 작물 보호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0021B1 (en) Adjustable water retention device for a plant pot
KR20150083316A (ko) 꽃꽂이 병
KR200412714Y1 (ko) 돌출부 및 급수구가 형성된 이중 화분
KR20100000769A (ko) 투명 화분
KR200174587Y1 (ko) 조립형 화분
KR200484187Y1 (ko) 식물생육용기
USD826770S1 (en) Flowerpot cover
US20080236039A1 (en) Plant growing container with internal water reservoir
JP2003047341A (ja) 花 器
US20190054759A1 (en) Water tray assembly with storage functions
KR20080002196U (ko)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KR200182370Y1 (ko) 다방향 식재가 가능한 장식용 화분
KR200446453Y1 (ko) 화분 외장용기
FR2680299A1 (fr) Dispositif de bac floral ou cache-pot avec une tres grande reserve d'eau, sans risques de surirrigation.
KR101996948B1 (ko) 이중구조 화분
KR20130139129A (ko) 사방에서 식물을 심을 수 있는 화분
JP3167907U (ja) 植木鉢および栽培セット
KR200448599Y1 (ko) 꽃병의 꽃꽂이 고정캡
CN207519229U (zh) 果树盆栽造景用之盆中盆结构
KR200170396Y1 (ko) 화분
JP3069514U (ja) 花植ポットの飾り台
JP3073780U (ja) 盆栽用陶磁器鉢
JP3118786U (ja) 使用済みペットボトルを再利用する
JP3124352U (ja) 上下2部分に分離でき、再結合・固定が可能な植物育成用の鉢
JP3192757U (ja) テーブルフラワー用花立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