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948B1 - 이중구조 화분 - Google Patents
이중구조 화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6948B1 KR101996948B1 KR1020170167920A KR20170167920A KR101996948B1 KR 101996948 B1 KR101996948 B1 KR 101996948B1 KR 1020170167920 A KR1020170167920 A KR 1020170167920A KR 20170167920 A KR20170167920 A KR 20170167920A KR 101996948 B1 KR101996948 B1 KR 1019969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er container
- container
- inner container
- liquid
- accommodation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중구조로 형성된 화분은 내부에 액체가 담기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용기 및 상기 수용공간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내부용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중구조를 가지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써, 서로 연통되어 물이 공유되며, 식물이 안착되는 둘레를 따라 공기가 유동됨으로 수분 흡수 및 공기 유동에 용이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이 심겨진 화분이 인간 정서의 발달, 정신 건강의 함양, 주위 환경 등을 미화시키는데 매우 유익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화분은 식물이 심어진 화분 용기를 받침 접시에 얹은 상태로 아파트또는 주택의 베란다, 거실, 방, 또는 오피스 빌딩 등의 실내 또는 실외 공간에 놓여져 주위 분위기를 고양시키거나 주변 환경을 아름답게 꾸미는데 이용된다. 그에 따라 사람들은 멀리 가지 않고도 일상의 주위에서 식물들을 가꾸면서 정서적으로 풍요로움을 느끼거나 수목이나 초화류 등의 식물에서 내뿜는 자연 아로마 공기를 마실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화분은 구조적으로 둘레가 밀폐되어 있어서 공기의 출입이 원활하지 않아 산소 발생 이나 가습효과를 내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분에 구멍을 뚫게 되면 식물에 수분을 제공하기 어렵게 되어 화분 본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이중구조로 형성된 화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액체의 출입이 원활하여 수용된 식물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식물에서 제공되는 좋은 공기와 가습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구조로 형성된 화분은 내부에 액체가 담기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용기 및 상기 수용공간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내부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 둘레와 이격되고 상부로 소정 돌출되어 상측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주입된 액체가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액체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용기는, 내측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서 안착되는 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는, 하면에서 복수개가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용기 또는 상기 내부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구조 화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식물에 수분이 일정하게 공급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외부용기에서 수용된 물에 의해 가습효과를 높여주고, 동시에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함으로 주변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져서 심미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화분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화분에서 내부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화분에서 내부용기에 식물이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화분에서 조명이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화분에서 내부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화분에서 내부용기에 식물이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화분에서 조명이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화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화분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화분에서 내부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화분에서 내부용기(200)에 식물이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화분에서 조명이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외부용기(100) 및 내부용기(200)로 구성된다.
외부용기(100)는 액체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물이 수용되는 양을 상기 볼록한 형상만큼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용기(100)는 하부에 거치대(300)가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용기(100)를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대(300)는 세개로 형성되고 외측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다. 이를 통해 외부용기(100)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거치대(300)는 외부용기(100)의 하면에서 링형태로 돌출된 형태일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기 수용공간에는 내부용기(200)가 형성된다.
내부용기(200)는 외부용기(100)보다 소정 길게 형성되며, 상단이 외부용기(100)의 상단보다 상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내부용기(200)는 상단 둘레에 관통홀(22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관통홀(220)은 내부용기(200)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내부용기(200) 내부의 저장공간과 외부를 연통시켜 공기가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내부용기(200)는 하단 둘레의 일부에 액체연통홀(240)이 형성된다.
액체연통홀(240)은 수용공간과 저장공간을 연통한다.
이를 통해 수용공간에 주입된 액체는 액체연통홀(240)을 통해 저장공간으로 이동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용기(100)의 개구된 상단의 높이를 l1이라고 할 때, 내부용기(200)의 최상단은 l3이다.
그리고 내부용기(200)의 둘레에 형성된 관통홀(220)의 위치는 상기 l1과 l3사이에 배치된다.
이처럼 관통홀(220)의 위치가 외부용기(100)의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형성된 이유는, 외부용기(100)의 수용공간이 가득 차도록 액체가 주입되어도 관통홀(220)을 통해 액체의 출입을 방지 하기 위함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대상물이 내부용기(200)에 안착되어 있다.
내부용기(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돌기(120)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120)는 내부용기(2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서로 동일한 이격간격으로 다수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부용기(200)의 상하방향을 따라 외부용기(100)의 상단과 관통홀(220) 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돌기(120)는 상부에서 안착되는 대상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대상물의 하면 전체를 지지하기 보단 일부를 거치하게 된다.
여기서 대상물은 도 3과 같이 식물일 수 있다.
따라서 돌기(120)는 식물의 하부를 지지하며 돌기(120)를 사이로 뿌리가 배치되어 고정되는 역할과 함께 저장공간의 액체와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식물은 하부에서 액체와 접촉되고 관통홀(220)을 통해 외부공기가 출입되면서 성장의 동력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장공간 및 수용공간에 액체가 채워짐으로 본 발명의 주변부를 가습하는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식물에서 발산되는 음이온을 통해 건강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다음 도 4에서는 캔들이 돌기(120)의 상부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내부용기(200)는 돌기(120)에 캔들이 안착되고 내부용기(200)의 둘레가 캔들의 측방향을 감싸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캔들을 안착되면 관통홀(220) 및 내부용기(200)의 개구된 상부로 불빛이 발광하게 되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액체의 가습효과와 함께 무드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외부용기
120: 돌기
200: 내부용기
220: 관통홀
240: 액체연통홀
300: 거치대
120: 돌기
200: 내부용기
220: 관통홀
240: 액체연통홀
300: 거치대
Claims (6)
- 내부에 액체가 담기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외부용기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 둘레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부로 소정 돌출되어 상측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내부용기;
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관통홀이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내부용기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관통홀은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내부용기의 둘레상이 이격배치되고,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에 대응되는 내측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식물의 줄기를 지지하고 상기 식물의 뿌리는 상기 돌기의 하부에 배치되게 하는 이중구조 화분.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주입된 액체가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액체연통홀을 포함하는 이중구조 화분.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하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출되어 상기 외부용기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이중구조 화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 또는 상기 내부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하는 이중구조 화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7920A KR101996948B1 (ko) | 2017-12-08 | 2017-12-08 | 이중구조 화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7920A KR101996948B1 (ko) | 2017-12-08 | 2017-12-08 | 이중구조 화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7986A KR20190067986A (ko) | 2019-06-18 |
KR101996948B1 true KR101996948B1 (ko) | 2019-07-08 |
Family
ID=6710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7920A KR101996948B1 (ko) | 2017-12-08 | 2017-12-08 | 이중구조 화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6948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0295Y1 (ko) * | 1986-05-06 | 1989-03-09 | 박성용 | 수경 재배용 화분 |
KR200225496Y1 (ko) * | 1999-03-16 | 2001-06-01 | 이병호 | 묘종용 화분 |
KR20060052896A (ko) * | 2006-01-26 | 2006-05-19 | 쯔토무 나고야 | 자동급수기능을 갖춘 화분 |
-
2017
- 2017-12-08 KR KR1020170167920A patent/KR101996948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7986A (ko) | 2019-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24433B2 (en) | Automated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 |
CN102599018B (zh) | 盆栽用被动式供水盆体构造 | |
US5321908A (en) | Plant culture receptacle | |
JP2010017153A (ja) | 植物栽培装置 | |
KR20120022455A (ko) |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 |
KR102182589B1 (ko) | 화분걸이 | |
JP3192278U (ja) | 植物栽培器具 | |
KR101996948B1 (ko) | 이중구조 화분 | |
KR20110114778A (ko) | 다단식 수경재배장치 | |
KR20150083316A (ko) | 꽃꽂이 병 | |
KR102330902B1 (ko) | 삼투압에 의한 자연순환식 가습 화분 | |
CN201061213Y (zh) | 花卉加湿盘 | |
KR200469973Y1 (ko) | 이중 화분 | |
CN107184025A (zh) | 一种花瓶 | |
KR200320283Y1 (ko) | 이중화분 | |
KR101380567B1 (ko) | 화분용 급수기 | |
JP5872254B2 (ja) | 室内用植栽ポール | |
CN208063951U (zh) | 一种吊灯式双培植物栽植容器 | |
JPH05316889A (ja) | 気生根蘭の室内栽培法及び該栽培法に用いる植木鉢 | |
CN100415078C (zh) | 室内设施园艺自控装置 | |
US20080236039A1 (en) | Plant growing container with internal water reservoir | |
KR200470194Y1 (ko) | 이중 화분 | |
KR20190125730A (ko) | 기능성 화분 | |
KR20110114765A (ko) | 다단식 수경재배장치 | |
JP2006158345A (ja) | 植木鉢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