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496Y1 - 묘종용 화분 - Google Patents
묘종용 화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5496Y1 KR200225496Y1 KR2019990004158U KR19990004158U KR200225496Y1 KR 200225496 Y1 KR200225496 Y1 KR 200225496Y1 KR 2019990004158 U KR2019990004158 U KR 2019990004158U KR 19990004158 U KR19990004158 U KR 19990004158U KR 200225496 Y1 KR200225496 Y1 KR 2002254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dge
- pots
- seedling
- jaw
- wall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종래 비닐재질만의 단순구조가 갖는 묘종용 화분과 일반화분의 운반면적을 개선한 거의 수직에 가까운 벽부구조로서 받침턱과 흙의 량을 조절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고, 사각투수공 및 2단 투수공의 바닥을 제공하며, 화초의 이름을 걸기위한 수단이 제공된 묘종용 화분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본 고안 화분은 테두리(110)가 턱이진 상연부를 형성하고,이 테두리(110)에 걸이공(112)이 소정위치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며, 바닥(120)은 사각의 투수공(122)들이 다수 형성되어 미세배수를 기하고, 투수공(126)이 형성된 턱부(124)를 2단으로 형성하며, 그 원통형의 벽부가 벽부(130)를 형성하며, 벽부(130)에는 받침턱(132)이 수직방향으로 소정높이 형성되어 적재된 화분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표시눈금(134)이 벽부(130) 내측에 수평적으로 일주 형성된 묘종용 화분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묘종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묘종용 화분으로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이 형성된 수지재의 화분이 알려져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같은 묘종용 화분은 그 바닥이 차단되어 있어 수분의 배수를 위하여 만들어지지 않았던 구멍을 일일이 뚫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구조적으로 비닐재질의 소형구조이므로 묘종이 조금 크거나 하는 경우 담기가 불편 하였으며, 테두리에 파지부가 없어 이동시 파지가 불편하였으며, 융점이 낮고 연질이어서 제조공정중 약간의 부주의로 녹아버려 못쓰게 되는 단점도 있으며, 일반 화초를 담기에는 불가능하여 분갈이가 필수적이다.
특히 일반 화분의 경우 그 원통형 벽부의 경사각이 커서 적재이동시 그 차지면적이 넓어져 많은 수량의 화분의 적재 이동에 불편함을 초래하였고, 사용중에는 흙을 채움에 있어 그 적당한 높이를 알 수 없어 어림짐작으로 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으며,물의 공급시 그 배수를 위하여 바닥상층부에 모래 혹은 진흙등의 적당량을 일일이 조절하여 흙을 채워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 묘종용 화분의 결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묘종용 화분으로서 배수력이 좋아지고,묘종의 이름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 며,적재이동시 차지면적을 줄여 적재량을 늘리며, 연질수지재의 묘종화분이 갖는 운반및 제조공정상의 문제점을 개선하며, 적재시 깊이 쌓이더라도 적재화분의 분리가 용이하며, 미세한 수분의 배수시에 표면장력에 의하여 배수공이 차단되지 않는 묘종용 화분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적재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표찰을 걸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화분 본체...........................................110:테두리
112:걸이공..............................................120:바닥
122:제1투수공...........................................124:턱부
126:제 2투수공..........................................130:벽부
132:받침턱..............................................134:표시눈금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묘종용 화분에 있어서, 원통형 벽부와; 상기 벽부 내측 바닥에서 소정길이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받침턱과; 상기 벽부 내측의 소정높이에 일주 형성되어 흙의 충진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눈금과; 상기 원통형 벽부의 파지부 소정위치에 형성된 표찰용 걸이공과; 상기 화분의 바닥에 소정크기로 형성된 4각 투수공; 및 상기 바닥의 연부를 따라 돌출되어 벽부 내측의 수분이 배수되도록 형성된 턱부를 포함하는 묘종용 화분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의 바닥을 달리 실시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바닥으로 막히며, 측벽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일반화분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화분 본체(100)는 테두리(110)가 턱이진 파지부를 형성한다. 이 테두리(110)에는 걸이공(112)이 소정위치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바닥(120)은 사각의 투수공(122)들이 다수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그 바닥에 2단으로 턱이지면서 투수공(126)이 형성된 턱부(124)를 형성한다. 상기한 투수공(122)(126)의 크기등은 화분의 총면적을 고려하여 그 크기를 설계한다.
상기 화분에는 본체를 이루기 위한 원통형의 벽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벽부(130)는 수직에 가까운 벽면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3°-4.5°의 각을 형성함이 좋다. 이 벽부(130)의 내주면에는 바닥(120)과 접하는 부분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받침턱(132)을 형성하며, 상부로는 표시눈금(1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표시눈금(134)은 내주면을 일주하는 링형 돌출라인으로 단계별 형성한다. 이 눈금은 전체를 일주하지 않는 소정의 눈금으로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첨부 도면중 도 3a는 본 고안의 적재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표찰을 걸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바와같이 본 고안은 표시눈금(134)이 벽부(130) 내측에 수평적으로 단계별로 일주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본 고안 화분의 묘종화초의 흙의 량을 조절하기에 용이하다. 이것은 화분내에 채워져야할 흙의 량과 화초의 종류를 고려하여 그 높이를 단계별로 형성한다. 또한 그 눈금에 단계별 숫자등의 표시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종래와 달리 그 원통형의 벽부가 3°-4.5°의 각을 형성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이 벽부(130)는 그 경사각을 줄일수록 적재량을 늘릴 수 있으며, 적재시 평면적을 줄일 수 있다. 정삼각방향으로 혹은 정사각방향으로 수개 형성된 받침턱(132)은 도 3a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적재시 화분의 분리를 돕는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 묘종용 화분은 화초의 대량 재배후 분갈이 등에 용이하여 종래 연질수지재의 묘종용 화분이 갖는 단점을 개선한다.
즉, 종래 묘종용 화분은 테두리가 없어 묘종을 옮기거나 하는 경우 일일이 손으로 받쳐들고 작업을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본 고안은 테두리가 있어 간단히 들 수 있고, 파지부 테두리에 소정의 걸이공을 형성하여 회초표찰을 간단히 걸어둘 수 있으며, 벽체가 수직으로 이루어져 다수 적재 이동시 평면적을 늘리 수 있고, 다수 적재에 유리한 효과가 있고, 그 내측으로 받침턱이 수개 형성되어 있어 화분의 분리가 용이하여 다수 적재후 분리상의 어려움이 개선된다.
특히 눈금표시가 단계별로 형성되어 있어 화초 종류별 흙의 량을 조절함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화분의 바닥에 소정크기로 형성된 4각 투수공을 형성하여 대부분 미세하게 배출되는 수분이 원형물방울로 맺혀져 표면장력에 의하여 배수가 용이하지 않던 문제점을 사각 투수공을 적용하여 쉽게 해결하였다.
뿐만 아니라 바닥 저부에 연부를 따라 상기 투수공면에서 턱이 진 턱부를 형성하므로서 바닥이 밀착됨을 방지하여 배수효과를 도우며, 턱부에도 투수공을 별도 형성하여 벽부 내면을 타고 흐르는 수분의 배수를 용이하게 한 효과도 있다.
이와같은 투수공은 바닥을 통하여 수분을 적정량 공급함에 유리하며, 병충해방지 및 영양분의 누수가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 묘종용 화분에 있어서,통체의 경사각이 3°-4.5°의 원통형으로 내측 바닥에서 소정길이 상방으로 수직 형성된 받침턱과, 내측의 소정높이에 일주 형성되어 흙의 충진량을 표시하기 위하여 흙의 공급량별로 다단 표시눈금을 형성한 벽부;상기 원통형 벽부의 상연부를 일주하여 파지부를 형성하고, 이 파지부 소정위치에 표찰용 걸이공을 형성한 테두리; 및4각의 제 1투수공을 형성한 바닥을 포함하는 묘종용 화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연부를 따라 저면으로 돌출되면서 제 2투수공을 형성한 턱부를 더 포함하는 묘종용 화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4158U KR200225496Y1 (ko) | 1999-03-16 | 1999-03-16 | 묘종용 화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4158U KR200225496Y1 (ko) | 1999-03-16 | 1999-03-16 | 묘종용 화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8256U KR20000018256U (ko) | 2000-10-16 |
KR200225496Y1 true KR200225496Y1 (ko) | 2001-06-01 |
Family
ID=5476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4158U KR200225496Y1 (ko) | 1999-03-16 | 1999-03-16 | 묘종용 화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5496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6948B1 (ko) * | 2017-12-08 | 2019-07-08 | 김슬우 | 이중구조 화분 |
-
1999
- 1999-03-16 KR KR2019990004158U patent/KR20022549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8256U (ko) | 2000-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256855A1 (en) | Landscape device | |
CA1057056A (en) | Tray construction for growing plants | |
WO1994000041A1 (en) | Plant growing receptacle and method | |
JP2002325512A (ja) | 多段型植木鉢設置体 | |
KR200225496Y1 (ko) | 묘종용 화분 | |
US8091277B1 (en) | Plant container having an elongated member for attachment within the ground and method for use thereof | |
US3841021A (en) | Cultivation pot for seedlings and plants | |
GB2220118A (en) | A support | |
KR102231523B1 (ko) | 수경 재배 용기 | |
GB2313283A (en) | Plant cultivation device | |
JP2004024211A (ja) | 立体植木鉢 | |
JP3578676B2 (ja) | 花挿し器付花器 | |
AU701706B2 (en) | Upside down hanging plant pot | |
JP3036789U (ja) | 園芸用トレー | |
KR200496880Y1 (ko) |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 |
JP2524763Y2 (ja) | 転倒防止装置 | |
US20170188529A1 (en) | Sustained release irrigation apparatus with pivoting cap | |
JP3615278B2 (ja) | 植木鉢転倒防止受皿 | |
CA2309894A1 (en) | Hanging plant bag with integrated watering means | |
JP2004121199A (ja) | 立体植木鉢 | |
JP2000262151A (ja) | 植木鉢・プランター | |
JP2002315438A (ja) | 容器状部材および構造物 | |
JP2003333933A (ja) | 植栽器用土止め及び植栽器 | |
JPH0441818Y2 (ko) | ||
KR200420677Y1 (ko) | 국화 재배가 용이한 화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316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