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194Y1 - 이중 화분 - Google Patents

이중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194Y1
KR200470194Y1 KR2020110009299U KR20110009299U KR200470194Y1 KR 200470194 Y1 KR200470194 Y1 KR 200470194Y1 KR 2020110009299 U KR2020110009299 U KR 2020110009299U KR 20110009299 U KR20110009299 U KR 20110009299U KR 200470194 Y1 KR200470194 Y1 KR 200470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tainer
container
outer container
doub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540U (ko
Inventor
박동진
Original Assignee
박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진 filed Critical 박동진
Priority to KR2020110009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19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5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5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1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화분을 개시한다. 상기 이중 화분은 일정부피의 내부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담기는 흙의 상면 높이 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의 측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통공(11a)이 형성되고 상부 테두리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플랜지부(11b)를 가지며, 외벽에 적어도 두 개의 받침돌기(11c)를 갖는 내부용기(11); 및 상기 내부용기(11)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내부용기(11)의 유통공(11a)이 형성된 위치보다 높게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상부 테두리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플랜지부(12a)를 가지며, 상기 내부용기(11)의 저부가 내부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떠 있도록 내벽에 상기 내부용기(11)의 받침돌기들(11c)을 각각 지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대응 받침돌기(12b)를 갖는 외부용기(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연, 부레옥잠, 벼 등과 같은 수생 식물을 심어 키울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하며, 운반하기도 편리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미리 외부용기 내에서 비료 등과 같은 영양제의 농도를 희석시켜 내부용기의 유통공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내부용기 내의 수생 식물의 뿌리로 스며들게 하여 수생 식물의 원활한 발육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이중 화분{DUAL FLOWERPOT}
본 고안은 이중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수용하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 내에 일정높이로 수용되고 흙과 수생 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용기로 구성되는 이중 화분을 제공하여, 물갈이 및 설치가 용이하고 운반하기 편리하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를 상호 연통시켜 비료 등과 같은 영양제를 수생 식물에 간접 투입할 수 있는 이중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이 심겨진 화분이 인간 정서의 발달, 정신 건강의 함양, 주위 환경 등을 미화시키는데 매우 유익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화분은 식물이 심어진 화분 용기를 받침 접시에 얹은 상태로 아파트 또는 주택의 베란다, 거실, 방, 또는 오피스 빌딩 등의 실내 또는 실외 공간에 놓여져 주위 분위기를 고양시키거나 주변 환경을 아름답게 꾸미는데 이용된다. 그에 따라 사람들은 멀리 가지 않고도 일상의 주위에서 식물들을 가꾸면서 정서적으로 풍요로움을 느끼거나 수목이나 초화류 등의 식물에서 내뿜는 자연 아로마 공기를 마실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이중 화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화분을 보여주는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화분(1)은 바닥부분에 다수개의 배수공(2a)이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으며, 수목이나 화초 등을 심기 위해 내부에 흙이 담기는 내부용기(2)와, 상기 내부용기(2) 보다 크고 상기 내부용기(2)를 수용하며, 물이 담기는 외부용기(3)와, 상기 내부용기(2)와 상기 외부용기(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용기(2)의 배수공(2a)과 대응하는 다수개의 배수공(4a)을 갖는 바닥 받침대(4)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이중 화분(1)은 크게 3개의 부품들(내부용기, 외부용기 및 바닥 받침대)로 이루어져 있어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이러한 복잡성은 사용 또는 설치를 불편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의 이중 화분(1)은 상기 내부용기(2)와 상기 외부용기(3) 간의 횡방향 간격이 크기 때문에 운반시 조금이라도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내부용기(2)와 상기 외부용기(3) 간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안전사고 등의 발생 우려가 매우 높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의 이중 화분(1)은 상기 외부용기(3) 내의 물이 바닥 받침대(4)와 상기 내부용기(2)의 각 배수공(4a,2a)을 통해 상기 내부용기(2) 내로 매우 부분적으로 흡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목, 화초 등과 같은 육생 식물에만 적합하여 연, 부레옥잠, 벼 등과 같은 수생 식물을 심어 키울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의 이중 화분(1)은 상기 내부용기(2)의 바닥과 상기 외부용기(3)의 바닥이 매우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내부용기(2)와 상기 외부용기(3)가 상기 내부용기(2)와 상기 바닥 받침대(4)의 다수개의 배수공(2a,4a)을 통해 연통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이중 화분(1)은 상기 외부용기(3) 내에 비료 등과 같은 영양제를 투입할 경우 높은 농도의 영양제 수용액이 직접적으로 상기 내부용기(2) 내의 하부로 스며들어 수목, 화초 등의 뿌리가 썩는 현상이 일어나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하며, 운반하기 편리하고 연, 부레옥잠, 벼 등과 같은 수생 식물을 심어 키울 수 있는 이중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이중 화분에 비료 등과 같은 영양제가 투입되는 경우 의도하지 않게 영양제의 높은 농도의 수용액이 직접적으로 수생 식물의 뿌리로 스며들어 수생 식물의 발육을 저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중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정부피의 내부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담기는 흙의 상면 높이 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의 측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통공이 형성되고 상부 테두리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플랜지부를 가지며, 외벽에 적어도 두 개의 받침돌기를 갖는 내부용기; 및
상기 내부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내부용기의 유통공이 형성된 위치보다 높게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상부 테두리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내부용기의 저부가 내부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떠 있도록 내벽에 상기 내부용기의 받침돌기들을 각각 지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대응 받침돌기를 갖는 외부용기;를 포함하는 이중 화분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위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용기는 몸체의 측벽이 몸체의 중심인 세로 방향 중앙축선을 기준으로 그 세로 방향 중앙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불록한 단지(pot)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용기의 받침돌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대응 받침돌기는 각각 단면의 형태가 삼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용기의 플랜지부와 상기 외부용기의 플랜지부 사이는 손가락 굵기 보다 큰 틈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용기는 3개의 받침돌기를 포함하고 이들은 상기 내부용기의 외벽을 따라 등각도로 배치되며,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내부용기의 받침돌기들에 각각 대응하도록 3개의 대응 받침돌기를 포함하고 이들은 상기 외부용기의 내벽을 따라 등각도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 내에 수용되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의 외벽에 형성되는 받침돌기 및 이에 대응되는 외부용기의 내벽에 형성되는 대응 받침돌기를 구비하는 이중 화분을 제공하여, 연, 부레옥잠, 벼 등과 같은 수생 식물을 심어 키울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하며, 운반하기도 편리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다 상기 내부용기의 측벽에 형성되는 유통공을 제공하여, 미리 외부용기 내에서 비료 등과 같은 영양제의 농도를 희석시켜 상기 유통공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내부용기 내의 수생 식물의 뿌리로 스며들게 하여 수생 식물의 원활한 발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용기의 플랜지부와 내부용기의 플랜지부 간에 손가락 굵기 이상의 틈새를 형성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상기 외부용기로부터 상기 내부용기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화분을 보여주는 개략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화분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화분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화분에 수생 식물이 심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용 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화분의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화분(10)은 내부용기(11) 및 외부용기(12)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용기(11)는 일정부피의 내부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담기는 흙의 상면 높이 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의 측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통공(1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11)는 상부 테두리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플랜지부(11b)를 가지며, 외벽에 적어도 두 개의 받침돌기(11c)를 갖는다.
상기 외부용기(12)는 상기 내부용기(11)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내부용기(11)의 유통공(11a)이 형성된 위치보다 높게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상부 테두리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플랜지부(12a)를 갖는다. 상기 외부용기(12)는 상기 내부용기(11)의 저부가 내부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떠 있도록 내벽에 상기 내부용기(11)의 받침돌기들(11c)을 각각 지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대응 받침돌기(12b)를 갖는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이중 화분(10)은 상기 내부용기(11)의 외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받침돌기(11c)와 상기 외부용기(12)의 내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대응 받침돌기(12b)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용기(11)를 상기 외부용기(12) 내에 끼워 넣을 때 상기 내부용기(11)의 받침돌기(11c)를 상기 외부용기(12)의 받침돌기(12b)에 걸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내부용기(11)가 상기 외부용기(12) 내에 상기 외부용기(12)의 저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11)의 일정높이의 측벽에 상기 내부용기(11)의 내부에 담기는 흙의 상면 높이 보다 높게 적어도 하나의 유통공(1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부용기(11) 내의 흙의 상부로 채워지는 물과 상기 외부용기(12) 내에 채워지는 물이 대류현상을 통해 상호 교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이중 화분(10)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연, 부레옥잠, 벼 등과 같은 수생 식물을 심어 키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중 화분(10)의 외부용기(12) 내에 비료 등과 같은 영양제를 투입하는 경우 영양제의 높은 농도의 수용액이 시간에 따라 희석되어 상기 외부용기(12)로부터 상기 내부용기(11)의 유통공(11a)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내부용기(11) 내의 수생 식물의 뿌리로 스며들어 수생 식물의 발육을 적절히 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화분은 위와 같은 기본구성에 아래와 같은 실시예들로 더 구체화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삭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용기는 몸체의 측벽이 몸체의 중심인 세로 방향 중앙축선을 기준으로 그 세로 방향 중앙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불록한 단지(pot)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불룩한 단지 형태의 외부용기 구조는 동일높이의 용기에 비해 더 많은 양의 물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11)의 받침돌기(11c)와 상기 외부용기(12)의 대응 받침돌기(12b)는 각각 단면의 형태가 삼각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삼각형 형태의 받침돌기 구조가 직선형태의 돌기구조에 비해 돌기와 대응벽 간의 지지영역을 더 크게 차지하여 지지강도를 증대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11)의 플랜지부(11b)와 상기 외부용기(12)의 플랜지부(12a) 사이는 손가락 굵기 보다 큰 틈새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플랜지부 간의 틈새 형성 구조는 상기 외부용기(12)로부터 상기 내부용기(11)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11)는 3개의 받침돌기(11c)를 포함하고 이들은 상기 내부용기(11)의 외벽을 따라 등각도(120°간격)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12)는 상기 내부용기(11)의 받침돌기들(11c)에 각각 대응하도록 3개의 대응 받침돌기(12b)를 포함하고 이들은 상기 외부용기(12)의 내벽을 따라 등각도(120°간격)로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등간격의 돌기 배치구조가 상기 내부용기(11)를 상기 외부용기(12) 내에서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화분의 바람직한 사용 및 그 작용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삭제
먼저, 상호 분리되어 있는 이중 화분의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를 준비시킨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 화분(10)의 내부용기(11) 안에 수생 식물(30)을 위치시킨 후 상기 수생 식물의 뿌리를 덮도록 일정량의 흙을 상기 내부용기(11) 안에 채운다. 이때, 상기 내부용기(11) 안에 채워지는 흙은 상기 내부용기(11)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유통공(11a) 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한다.
그런 다음,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용기(12) 안에 일정량의 물을 채운 상태에서, 상기 내부용기(11)의 적어도 두 개의 받침돌기(11c)와 상기 외부용기(12)의 적어도 두 개의 대응 받침돌기(12b)가 서로 맞닿도록 상기 내부용기(11)를 상기 외부용기(12) 내에 위치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운반시, 상기 이중 화분(10)의 외부용기(12)의 플랜지부(12a)를 잡고 상기 이중 화분(10)을 들어올리면 상기 내부용기(11)의 받침돌기(11c)가 상기 외부용기(12)의 대응 받침돌기(12b)에 걸려 있어 상기 내부용기(11)도 함께 자연스럽게 들어 올려지게 된다.
한편, 조립 전에 상기 이중 화분(10)의 상기 외부용기(12) 내에 또는 상기 내부용기(11)를 상기 외부용기(12)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부용기(12) 내에 비료 등과 같은 영양제를 투입한 후 상기 내부용기(11)를 상기 외부용기(12) 내에 위치시키면, 시간에 따라 상기 외부용기(12) 내의 영양제가 녹아 일정농도로 희석된 후 물의 대류현상으로 상기 내부용기(11)의 측벽에 형성된 유통공(11a)을 통해 상기 내부용기(11) 내의 수생 식물(30)의 뿌리로 이동되어 흡수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 이중 화분 11: 내부용기
11a: 유통공 11b,12a: 플랜지부
11c: 받침돌기 12: 외부용기
12b: 대응 받침돌기

Claims (5)

  1. 일정부피의 내부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담기는 흙의 상면 높이 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의 측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통공이 형성되고 상부 테두리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플랜지부를 가지며, 외벽에 적어도 두 개의 받침돌기를 갖는 내부용기; 및
    상기 내부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내부용기의 유통공이 형성된 위치보다 높게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상부 테두리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내부용기의 저부가 내부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떠 있도록 내벽에 상기 내부용기의 받침돌기들을 각각 지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대응 받침돌기를 갖는 외부용기;를 포함하는 이중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몸체의 측벽이 몸체의 중심인 세로 방향 중앙축선을 기준으로 그 세로 방향 중앙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불록한 단지(pot) 형태를 이루는 것인 이중 화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받침돌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대응 받침돌기는 각각 단면의 형태가 삼각형을 이루는 것인 이중 화분.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3개의 받침돌기를 포함하고 이들은 상기 내부용기의 외벽을 따라 등각도로 배치되며,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내부용기의 받침돌기들에 각각 대응하도록 3개의 대응 받침돌기를 포함하고 이들은 상기 외부용기의 내벽을 따라 등각도로 배치된 것인 이중 화분.

KR2020110009299U 2011-10-19 2011-10-19 이중 화분 KR200470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299U KR200470194Y1 (ko) 2011-10-19 2011-10-19 이중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299U KR200470194Y1 (ko) 2011-10-19 2011-10-19 이중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40U KR20130002540U (ko) 2013-04-29
KR200470194Y1 true KR200470194Y1 (ko) 2013-12-06

Family

ID=5075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299U KR200470194Y1 (ko) 2011-10-19 2011-10-19 이중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1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901B1 (ko) * 2019-10-16 2021-12-03 조영태 조립식 화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171Y1 (ko) 2002-03-11 2002-06-20 곽남현 이중화분
KR200320283Y1 (ko) 2003-04-23 2003-07-22 이병철 이중화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171Y1 (ko) 2002-03-11 2002-06-20 곽남현 이중화분
KR200320283Y1 (ko) 2003-04-23 2003-07-22 이병철 이중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40U (ko) 201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4063B2 (en) Self watering bottle planter insert
KR20130046793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200469973Y1 (ko) 이중 화분
KR200470506Y1 (ko) 구멍 없는 화분
CN108064601A (zh) 一种新型盆栽花盆
KR101037162B1 (ko) 화분장치
KR200470194Y1 (ko) 이중 화분
KR20180078992A (ko) 식물재배용 화분
KR20110114778A (ko) 다단식 수경재배장치
KR101031234B1 (ko) 화분장치
CN206118696U (zh) 一种多功能芳香叶菜栽培瓶
KR20180079237A (ko) 식물재배용 화분
CN204742116U (zh) 基质培、气雾培、水培三培结合的攀延植物栽培盆
KR101798946B1 (ko) 화분용 발효 유닛 및 상기 화분용 발효 유닛을 포함하는 발효 장수 화분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KR101685568B1 (ko) 스크린컵이 구성된 수경재배용 베드 세트
CN106719247A (zh) 生态系统鱼缸花盆
CN206284029U (zh) 水培花卉培养器
CN201667866U (zh) 自动浇水花盆
KR20210157755A (ko)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
KR20110003843U (ko) 조립식 화분
CN201097525Y (zh) 透气耐干花盆
KR20200086831A (ko) 자동 관수 화분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