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755A -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 - Google Patents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57755A KR20210157755A KR1020200075951A KR20200075951A KR20210157755A KR 20210157755 A KR20210157755 A KR 20210157755A KR 1020200075951 A KR1020200075951 A KR 1020200075951A KR 20200075951 A KR20200075951 A KR 20200075951A KR 20210157755 A KR20210157755 A KR 202101577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vertical wall
- plant cultivation
- medium
- s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9—Light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植生盆) 조합(組合)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은, 식생분 조합물이 설치되는 수직벽체를 다각 혹은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식생분 조합물의 용기의 설치 면적을 극대화하는 3차원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조명을 골고루 받게 하여 식물을 보다 경제적으로 재배할 수 있게 하였고, 또 식생분 조합물의 생육 배지를 기존의 토양(土壤)을 대신하여 보온, 보습, 통기 및 배수성이 우수한 고분자 식생배지로 형성하여 식물재배를 시간 및 인력 낭비 없이 누구라도 쉽고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식생분 조합물들의 상호 간의 관수(管水) 기능으로 식생용 급수의 반복 사용을 가능하게 한 것을 제공한다.
개시된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은, 식생분 조합물이 설치되는 수직벽체를 다각 혹은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식생분 조합물의 용기의 설치 면적을 극대화하는 3차원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조명을 골고루 받게 하여 식물을 보다 경제적으로 재배할 수 있게 하였고, 또 식생분 조합물의 생육 배지를 기존의 토양(土壤)을 대신하여 보온, 보습, 통기 및 배수성이 우수한 고분자 식생배지로 형성하여 식물재배를 시간 및 인력 낭비 없이 누구라도 쉽고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식생분 조합물들의 상호 간의 관수(管水) 기능으로 식생용 급수의 반복 사용을 가능하게 한 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植生盆 組合)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식생(植生)용기를 설치하기 위한 수직벽체를 다각 혹은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식생용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식생용기의 생육(生育)배지를 토양(土壤)을 대신하여 보온, 보습, 통기 및 배수성이 우수한 고분자 식생배지로 형성하여 식물(농작물)재배를 실내외 어디에서든지 쉽게 재배할 수 있게 한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에 관한 것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먹거리 즉, 식량인데 산업화와 도시화의 진행으로 인한 전 세계적인 지구 온난화로 막대한 농작물 피해를 입게 되면서 식량 부족의 우려가 커지면서 식량을 무기화하는 국가들이 많아지고 있음이 현 실정이며, 따라서 각국은 식량 자급자족의 필요성을 더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급속한 현대화에 따른 도시화의 진행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는 막대한 농작물 피해를 입게 하여 식량 부족을 더 가중시키고 있다.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이상 기후에 따른 병해충이 발생이 증가했고, 국내 만을 보더라도 주요농작물의 북한계선도 북상하고 있음이 통계청의 '기후변화에 따른 농작물 주산지 이동현황'의 발표에서도 잘 뒷받침되고 있다.
현재와 같이 온실가스 배출이 계속될 경우 대략 2090년대에는 사과, 복숭아와 같은 온대성 기후 작물들은 일부 지역 외에는, 재배할 수 없게 된다는 학설도 있다. 이와 같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농업(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대두되고 있는 것이 '수직농장'이다.
'수직농장'은 온실, 건축물과 같은 인공 구조물 내에서 빛, 공기 열, 양분 등의 생육환경을 인공적으로 제어하여 각종 농작물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농장을 말 하는데, 이러한 수직 농장은 생육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이점에 의하여 날씨와 계절 변화 등 자연환경과 무관하게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IT 기술인 컴퓨터와 또는 모바일 기기 등의 접목으로 건물의 창문 개폐나 영양분 공급 등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농작물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유지해줄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기존 수직농장은 오직 수직으로 입설(立設)한 수직 벽만을 따라 농작물 용기를 설치하여 식물(농작물)을 생육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간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특히 기존 수직농장에서의 식물 재배는 토양을 생육에 필요한 배지로 하여 재배하기 때문에 식물 재배용기에 충전되는 토양의 교체나 유지 관리에 많은 작업 인력 및 시간을 소요되게 하여 식물 재배의 생산성 및 경제성을 약화시키는 주 요인이 되게 하고 있다.
한편, 공간 활용을 위하여 수직으로 설치하는 조경용 화분들이 하기 특허문헌들에도 공표되어 있다.
특허문헌 1(특허 제10-1247700호)의 조경용 화분은 '조경용 화분 자체가 기본구조가 되어 별도의 지지장치나 구조물 없이 견고한 꽃탑이나 꽃벽 등 조경물이 설치되고, 원형 꽃탑, 직선형 및 곡선형의 꽃벽 등 상황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조경물이 설치되도록 하며, 관수와 배수가 용이한 조경용 화분을 제공한다'는 것이고,
특허문헌 2(특허 제10-2081449호)의 화분은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부가 구비된 직립 프레임과 경사진 바스켓부를 구비한 입형화분 프레임을 제공한다'는 것이며,
특허문헌 3(특허 제10-1593941호)의 화분은 '벽걸이식으로 여러 개의 화분을 연속하여 걸어 설치 가능하고 이러한 구조의 화분에 관수시 상부에서 하부로 관수가 이루어지는 구조의 화분 조립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 식생분 조합물이 설치되는 수직벽체를 다각형 혹은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식생용기의 설치 면적을 극대화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조명을 골고루 받게 하여 식물을 보다 경제적으로 재배할 수 있게 하였고, 또 식생용기의 생육 배지를 기존의 토양(土壤)을 대신하여 보온, 보습, 통기 및 배수성이 우수한 고분자 식생배지로 형성하여 식물재배를 시간 및 인력 낭비 없이 누구라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각형 혹은 원통형상의 수직벽체를 따라 상하로 일렬로 설치되는 식생용기들 상호 간의 관수(管水)부 형성으로 생육에 급수되는 물의 반복 사용과 급수를 편리하게 한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물재배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물재배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는, 소정 높이와 직경을 이루는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는 빈(空) 다각형 혹은 원통형 통체를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혹은 이 통체들을 동심원으로 다수개 설치하여, 내외측 주벽부로 식물을 생육할 수 있는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통형상 수직벽체; 상기 통형상 수직 벽체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의 내부 중앙에 입설하여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에 설치된 상기 식생용기들을 향해 생육에 필요한 조명을 부여하는 조명 장치 ;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생육에 필요한 조명을 받을 수 있게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의 내측 혹은 외측을 따라서 탈착되게 설치되어 식물을 식생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생육에 급수되는 물의 반복 사용을 위한 수관부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식생 분(pots, 盆) ; 상기 식생분의 내부에 밀집되게 수용되어 식물을 상기 식생분으로부터 이탈됨이 없도록 고정지지하며 식물에 대하여 생육에 필요한 보온, 보습, 통기 및 배수 특성을 부여하는 배지를 조성하는 고분자 식생배지를 포함한다.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는 통기성을 위해 메쉬 형의 망(網) 형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에는 사람의 입출을 위한 출입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장치는, 전원부가 설치되는 받침부를 갖는 수직 프레임과 이 수직 프레임의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식생분에 식재된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자연광에 유사한 자외선 및 적외선을 부여하는 발광소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식생분은, 상기 고분자 섬유의 수용과 아울러 상기 고분자 섬유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홈을 제공하는 식생분 본체; 상기 식생분 본체를 삽탈(揷脫)할 수 있는 수납홈을 형성하되 상기 수납홈은 상기 수납홈을 형성하는 후측벽판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을 이루는 전방벽부의 하부에는 배수공을 설치하여, 상기 식생분 본체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배수공을 통하여 직 하방에 배치되는 식생분을 향하여 낙수(落水)되게 하는 수관부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식생 외분(外盆); 상기 후측벽판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외분을 상기 통형 상 수직벽체에 탈착되게 걸수 있게 하는 고정공을 포함한다.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의 바닥부 측으로는 최하부에 위치한 상기 식생분으로 부터 낙수되는 물을 받아서 다시 최상부에 위치한 식생분으로 공급하기 위한 낙수 저장통과 낙수 순환펌프로 이루어진 낙수 순환용 급수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식생분은, 고분자 섬유와 아울러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홈을 제공하는 식생외분; 상기 용기 본체를 삽탈(揷脫)할 수 있는 수납홈을 형성하되 상기 수납홈은 피 고정부에 탈착되게 결합되는 후측벽판으로부터 전방벽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전방벽부에는 배수공이 설치된 받침용기; 상기 후측벽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측벽부를 피 고정부에 탈착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어 고정 끈 혹은 고리 등으로 걸기 위한 고정공이거나 혹은 박리지로 보호지로 접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생용기를 설치하는 수직농장을 통형상 수직벽체로 형성하여 식생분 조합물(組合物)의 설치 면적을 극대화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효과 부여와 아울러 생육에 필요한 조명을 골고루 받게 하여 식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또 식생분 조합물의 생육 배지를 기존의 토양(土壤)을 대신하여 보온, 보습, 통기 및 배수성이 우수한 고분자 식생배지로 형성하여 어디에서든지 식물재배를 시간 및 인력 낭비 없이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형상 수직체를 따라 상하 일렬로 설치되는 식생분 조합물을 상호 간의 관수(管水)부 형성으로 생육에 급수되는 물의 반복 사용과 급수의 편리한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의 외관 일 예를 일부 생략하고 개략적으로 표시한 사시 도이고,
도 2는 도 1을 위에서 보아 표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로 식물이 식재된 사용 상태를 표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분 조합물의 외관 일 예를 표시한 분리 사시 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식생 내분(內盆)에 수용되어 식물의 재배를 위한 배지로 제공되는 고분자 식생배지를 식생 내분과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위에서 보아 표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로 식물이 식재된 사용 상태를 표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분 조합물의 외관 일 예를 표시한 분리 사시 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식생 내분(內盆)에 수용되어 식물의 재배를 위한 배지로 제공되는 고분자 식생배지를 식생 내분과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 예나 이 실시 예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 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이하의 발명 내용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방”“상” 등의 방향 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하” 등의 방향 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우측" "우" 등의 방향 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좌측", "좌"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정면" "전방" 등의 방향 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후면", "후방" 등의 방향 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 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 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의 외관 일 예를 일부 생략하고 개략적으로 표시한 사시 도이고, 도 2는 도 1을 위에서 보아 표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선 방향을 따른 식물이 식재된 사용 상태를 표시한 종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100)는, 소정 높이와 직경을 이루면서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는 빈(空) 원통체로 이루어져 실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통형상 수직 벽체(110)를 구비하여 기존의 수직 평면만을 제공하는 수직농장에 비하여 식물 재배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하였다. 필요에 따라서는 실외에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는 도 1에 일 예로 표시한 바와 같이, 단독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높이와 직경의 변형에 따라서 얼마든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직경을 달리하게 구성한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의 다수 개를 소정 간격을 두고 동심원을 이루며 배치하는 경우, 상기 통형상 수직 벽체(110)의 내측 혹은 외측 주벽부 혹은 내외측 주벽부 모두에 식물을 생육할 수 있는 설치부로 제공되게 하여 공간활용도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는,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의 내외부로 통풍이 잘되게 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식생분(植生盆)조합물(組合物)(200)을 수직으로 입설되는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의 주벽부를 따라 상하로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열을 맞추어서 설치하기 위한 걸이공(112) 제공을 위해 메쉬(Mesh) 형상의 망(網) 형체로 구성할 수 있으며, 메쉬 형태는 상기 걸이공(112)을 제공한다고 하면, 도 1 표시와 같은 사각 형상이 아닌 원형 혹은 삼각형 혹은 다각형 등 얼마 든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에는 식물 재배 업자의 자유로운 출입을 위하여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의 소정 위치에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의 전 높이를 절단하는 형태로 형성한 출입부(11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출입부(116)의 절단부 형태나 넓이는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임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통형상 벽체(110)는 금속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운반, 보관 및 설치에 따른 편리성을 위한 경량화 달성을 위해 플라스틱으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상기 출입부(116)는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자체의 탄성력으로 자유롭게 개방하거나 혹은 폐쇄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를 원통형으로 구성한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중공형상의 구조를 갖는다고 하면 상기 실시 예의 원통형 이외에 삼각형, 사각형, 혹은 오각형 등의 다각형 혹은 타원형 등의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에는,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의 내부 중앙에 입설하여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에 탈착되게 설치되는 후술하는 식생분 조합물(200)을 향해 생육에 필요한 빛을 골고루 조사(照射)하는 조명 장치(1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명장치(120)는 전원부(미도시)가 설치되는 받침부(122)를 갖는 수직 프레임(124)과 이 수직 프레임(124)의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식재용기(200)에 식재된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자연광에 상응하는 자외선 및 적외선을 사방으로 조사하는 발광소자(126)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발광소자(126)는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조명장치(120)는 식물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파장의 빛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자연광과 유사한 스펙트럼을 갖는 다수개의 발광소자들을 조합하여 식물 생육에 적극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게 하였다.
예컨대 식물의 성장에 필요 한 파장의 빛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6개의 발광소자(자외선, 청색, 녹색, 황색, 적색, 적외선)들을 혼합하여 빛을 조명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조명장치(120)는 식물의 생장발육에 효과적인 파장 대역을 갖춘 식물재배용 전용 엘이디조합패키지를 이용하여, 식물 재배에 필요한 성장 및 억제를 위해 발광 소자를 파장별 개별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조명장치(120)로부터 생육에 필요한 조명을 받을 수 있게 하고자,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의 내측 혹은 외측에는 식생분 조합물(200)을 탈착되게 설치할 수 있다. 이 식생분 조합물(200)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6을 같이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분 조합물의 외관 일 예를 표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식생내분(內盆)에 밀집 상태로 수용되는 고분자 식생배지를 식생내분과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도 4참조), 상기 식생분 조합물(200)은 생육을 위한 배지를 조성하는 고분자 식생배지(140)를 수용하면서 고분자 식생배지(140)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고정 지지되는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홈(212)을 제공하는 식생내분(210)과, 상기 식생내분(210)을 삽탈(揷脫)할 수 있는 수납홈(222)을 형성하되 상기 수납홈(222)은 상기 수납홈(222)을 형성하는 후측벽부(226)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222)을 이루는 전방벽부(225)의 하부에는 배수공(228)을 설치하여, 상기 식생내분(210)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배수공(228)을 통하여 직 하방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다른 식생분 조합물(200)을 향하여 낙수(落水)되게 하는 수관부(20)(도 3참조)를 형성하는 식생외분(外盆)(220)을 포함하고, 상기 후측벽부(226)에는 고정공(224)이 설치되어 상기 식생외분(220)을 고리(223) 등을 이용하여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로부터 분리됨이 없이 견실하게 걸 수 있게 하였다.
도 5의 표시와 같이 상기 배수공(228)은 필요에 따라서 마개(227)를 사용하여 막을 수도 있으며, 또 상기 후측벽부(226)에는 상기 고정공(224)을 대신하여 박리지(242)로 보호되는 고 강력의 접착면(240)을 설치하여 피 고정 면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접착면(240)은 수명이 다되면 다른 접착면을 설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생분 조합물(200)에서 상기 식생내분(210)을 수납하는 수납홈(222)을 통형상 수직벽체(110)로부터 외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게 한 구성은, 상기 수납홈(222)에 식재되는 식물(10)에 대하여 생육에 필요한 조명이 골고루 조사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고, 또한 통형상 수직벽체(110)의 최 상방에 위치한 식생분 조합물(200)에 식재된 식물(10)에 대하여 생육에 필요한 물을 급수시 통형상 수직벽체(110)를 따라서 상하부로 대향 상태로 일렬로 배치된 각 식생분 조합물(200)에 급수되면서 연속하여 하방으로 낙수되는 수관부(20)(도 2참조)의 형성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도면(도 5 및 도 6)표시와 같이, 상기 식생분 조합물(200)에는, 식생분 조합물(200)의 내부에 밀집되게 수용되어 식물을 생육할 수 있게 하는 배지를 제공하면서 식물을 상기 식생분 조합물(200)로부터 이탈됨이 없도록 고정지지하는 고분자 식생배지(1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분자 식생배지(140)는 매트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식생분 조합물(200)의 식생 내분(210)의 식재홈(212)에 넣을 시에는 일정길이로 절단 후 상기 식생내분(210)의 식재홈(212)에 상응하는 원통 형태를 이루게 말아서 식재홈(212)의 내부로 강제로 밀어 넣는 형태로 삽입할 수 있는데, 생육하기 위한 식물 모종은 상기 고분자 식생배지(140)로 말아서 상기 식재홈(212)내부로 고정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식생배지(140)는 기존의 토양을 대신하여 생육에 필요한 보온, 보습, 통기 및 배수 특성을 부여하는 배지 환경을 조성하여, 토양에 의한 식물(10)의 재배시보다 보온, 보습, 통기 및 배수 특성에 의하여 더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게 한다. .
한편, 도 3의 표시와 같이,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에 대한 식생분 조합물(200)의 상하 일렬 배치에 의해 형성되는 수관부(20)에 의하여 바닥측으로 낙수되는 물은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110)의 내측 바닥부에 설치되는 낙수 순환용 급수장치(150)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물을 회수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낙수 순환용 급수장치(150)는 최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식생분 조합물(200)로부터 낙수되는 물을 받아서 저장하는 낙수 저장통(152)과 상기 낙수 저장통(152)에 설치되어 다시 최상부의 식생분 조합물(200)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펌프(154)와 순환펌프(154)에 의하여 펌핑되는 물을 최상부에 위치한 식생분 조합물로 급수하게 하는 순환관(156)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수직으로 입설되는 통형상 수직벽체(110) 에 의한 식생분 조합물(200)을 설치할 수 있는 3차원의 중공형의 벽부 제공으로 인해, 종래 수직 농장의 2차원 수직벽면에 비하여 식생분 조합물(200)의 설치 면적을 극대화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이익을 부여한다.
여기에 더하여 식생분 조합물(200)의 생육 배지를 기존의 토양(土壤)을 대신하여 보온, 보습, 통기 및 배수성이 우수한 고분자 식생배지(140)로 구성함에 의해, 종래 토양에 의한 식물재배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 낭비를 대폭 적으로 절감하면서 누구라도 쉽고 편리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이익을 부여하고, 또 통형 상 수직벽체를 따라 상하로 대향하여 일렬로 설치되는 식생분 조합물 상호 간의 관수(管水) 기능으로 식생용 급수를 식물의 생육에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경제적인 효과도 부여한다.
이상 일부 실시 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어디에서 든지 간단하게 설치하여 기후 변화와 무관하게 식량의 자급자족에 필요한 식물(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유용성을 제공한다.
10 : 식물
100 : 식물 재배장치
110 : 중공형(中空形) 수직벽체
112 : 걸이공
116 : 출입부
120 : 조명 장치
122 : 받침부
124 : 수직 프레임
126 : 발광소자
140 : 고분자 식생배지
200 : 식생분 조합물
210 : 식생내분
212 : 식재홈
220 : 식생외분
222 : 수납홈
224 : 고정공
228 : 배수공
240 : 접착면
242 : 박리지
100 : 식물 재배장치
110 : 중공형(中空形) 수직벽체
112 : 걸이공
116 : 출입부
120 : 조명 장치
122 : 받침부
124 : 수직 프레임
126 : 발광소자
140 : 고분자 식생배지
200 : 식생분 조합물
210 : 식생내분
212 : 식재홈
220 : 식생외분
222 : 수납홈
224 : 고정공
228 : 배수공
240 : 접착면
242 : 박리지
Claims (8)
- 소정 높이와 직경을 이루는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는 빈(空) 다각 혹은 원형상의 통체를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혹은 이 통체를 동심원으로 다수개 설치하여, 내외측 주벽부로 식물을 생육할 수 있는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중공형(中空形) 수직벽체;
상기 중공형 수직벽체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중공형 수직벽체의 내부 중앙에 입설(立設)하여 상기 중공형 수직벽체를 향해 생육에 필요한 조명을 부여하는 조명장치 ;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생육에 필요한 조명을 받을 수 있게 상기 중공형 수직 벽체의 내측 혹은 외측을 따라 탈착되게 설치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생육에 급수되는 물의 반복 사용을 위한 수관부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식생분조합물(植生盆 組合物) ; 및
상기 식생분 조합물의 내부에 밀집되게 수용되어 생육할 수 있는 식물을 상기 식생분 조합물로부터 이탈됨이 없도록 고정지지하며 식물에 대하여 생육에 필요한 보온, 보습, 통기 및 배수 특성을 부여하는 고분자 식생배지; 를 포함하는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수직벽체는 통기성을 위해 메쉬 구조의 망(網)형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수직 벽체에는 사람의 입출을 위한 개방부 혹은 절단부가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의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전원부가 설치되는 받침부를 갖는 수직 프레임과 이 수직 프레임의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식생분 조합물에 식재된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자연광에 유사한 자외선 및 적외선을 부여하는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분 조합물은, 상기 고분자 식생배지의 수용과 아울러 상기 고분자 식생배지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홈을 제공하는 식생내분(內盆) ;
상기 식생내분을 삽탈(揷脫)할 수 있는 수납홈을 형성하되 상기 수납홈은 수납홈을 형성하는 후측벽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전방벽부의 하부에는 배수공을 설치하여, 상기 식생내분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배수공을 통하여 직 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식생내분을 향하여 낙수(落水)되게 하는 수관부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식생외분(外盆); 및
상기 후측벽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외분을 상기 통형상 수직벽체에 탈착되게 걸 수 있게 하는 고정공;을 포함하는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수직벽체의 바닥부 측으로는 최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식생분 조합물로부터 낙수된 물을 받아서 다시 최상부에 위치하는 식생분 조합물로 공급하기 위한 낙수 저장통과 낙수 순환펌프 및 순환관으로 이루어진 낙수 순환용 급수장치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 고분자 식생배지와 아울러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홈을 제공하는 식생내분 ;
상기 식생내분을 삽탈(揷脫)할 수 있는 수납홈을 형성하되 상기 수납홈은 피 고정부로부터 탈착되게 결합되는 후측벽부로부터 전방벽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전방벽부에는 배수공이 설치된 식생외분 ; 및
상기 후측벽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측벽부를 피 고정부에 탈착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식생분 조합.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어 고정 끈 혹은 고리 등으로 걸기 위한 고정공이거나 혹은 박리지로 보호지로 접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분 조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5951A KR20210157755A (ko) | 2020-06-22 | 2020-06-22 |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5951A KR20210157755A (ko) | 2020-06-22 | 2020-06-22 |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7755A true KR20210157755A (ko) | 2021-12-29 |
Family
ID=7917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5951A KR20210157755A (ko) | 2020-06-22 | 2020-06-22 |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5775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46474A (zh) * | 2022-05-10 | 2022-08-30 | 宁波云笈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ai系统自主调节温湿度参数的植物种植舱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7700B1 (ko) | 2012-07-16 | 2013-03-26 | 주식회사 에코스타일 | 조경용 화분 |
KR101593941B1 (ko) | 2013-10-15 | 2016-02-15 | 주식회사 가든포유 | 화분조립체 |
KR102081449B1 (ko) | 2018-05-31 | 2020-04-24 | 합자회사 거광산업 | 입형화분 프레임 |
-
2020
- 2020-06-22 KR KR1020200075951A patent/KR2021015775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7700B1 (ko) | 2012-07-16 | 2013-03-26 | 주식회사 에코스타일 | 조경용 화분 |
KR101593941B1 (ko) | 2013-10-15 | 2016-02-15 | 주식회사 가든포유 | 화분조립체 |
KR102081449B1 (ko) | 2018-05-31 | 2020-04-24 | 합자회사 거광산업 | 입형화분 프레임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46474A (zh) * | 2022-05-10 | 2022-08-30 | 宁波云笈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ai系统自主调节温湿度参数的植物种植舱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0249B1 (ko) | 식물재배시스템 | |
US20120000128A1 (en) | Modular hydroponic growing unit | |
US6389751B1 (en)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ing subirrigation | |
KR101127310B1 (ko) | 회전가능한 다단식 화분 | |
AU2013100358A4 (en) | Modular Garden Planter | |
KR20140122821A (ko) | 수경 재배장치 | |
KR101419119B1 (ko) | 수직형 녹화구조물 | |
KR101334723B1 (ko) | 식생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 |
KR101331404B1 (ko) |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 |
KR100419903B1 (ko) |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 |
KR20210157755A (ko) |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 | |
JP2013106584A (ja) | 植物栽培法及び植物栽培装置 | |
CN215736054U (zh) | 一种具有苗茎支撑功能的园艺种植用育苗箱 | |
CN214482503U (zh) | 一种用于园林绿化苗木扦插育苗苗床 | |
KR200461953Y1 (ko) | 조립식 화분 | |
JP2014045669A (ja) | 水耕栽培装置 | |
CN210157803U (zh) | 一种垂直水耕栽培设备 | |
JP6981084B2 (ja) | 壁面緑化用プランター | |
CN207911524U (zh) | 移动牡丹园栽培系统 | |
CN216163699U (zh) | 一种盆栽果树限根栽培装置 | |
CN214853149U (zh) | 一种光照培养番茄种苗的培养架 | |
KR102492425B1 (ko) | 식물 재배 시스템 | |
KR102045705B1 (ko) | 생육활성화가 가능한 이식용 식물재배관리기 | |
KR101387117B1 (ko) | 식물 재배기 | |
CN216087890U (zh) | 一种带衬网的用于林业容器苗的育苗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