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587Y1 - 조립형 화분 - Google Patents

조립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587Y1
KR200174587Y1 KR2019990022370U KR19990022370U KR200174587Y1 KR 200174587 Y1 KR200174587 Y1 KR 200174587Y1 KR 2019990022370 U KR2019990022370 U KR 2019990022370U KR 19990022370 U KR19990022370 U KR 19990022370U KR 200174587 Y1 KR200174587 Y1 KR 200174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main body
pot
plant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중
Original Assignee
권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중 filed Critical 권혁중
Priority to KR2019990022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5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분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다가 일부분이 깨지면 버려야 하고, 또 화분이 싫증이 나거나 키우고자 하는 식물의 외관과 조화를 이루지 않는다 하더라도 많은 비용을 드려 새로운 화분으로 교체하지 않는다면 그 냥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또한 일체형으로 되어 생산상의 한계로 인하여 모양을 내거나 기능을 부여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화분(10)을 상부테(21)와 본체 및 바닥(15)에 물빠짐구멍(16)을 갖는 하부몸체로 나누고, 하부몸체(31)와 상부테를 본체(1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조립형 화분을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조립형 화분은 상,중,하부몸체로 분리되어있어 부분 파손시 부분교체가 가능하고 또 다양한 구조와 디자인을 가질 수 있으며, 소비자의 안목과 취향에 따라 화분의 각부분을 모양, 기능, 칼라, 소재 등을 선택하여 교체함으로써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본체(11)나 하부몸체(31)를 하광상협 형태로 형성하여 화분의 안정감을 줄 수도 있다. 또한 초보자라도 뿌리를 손상시키지 않고 손쉽게 분갈이를 할 수 있고, 하부가 화분받침의 기능을 하여 별도의 화분받침이 필요 없는 화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형 화분{A sectional flowerpot}
본 고안은 조립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분을 상,중,하부몸체로 분리하여 부분 파손시 부분교체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다양한 구조와 디자인 및 기능을 갖도록 하여 소비자의 기호 또는 안목에 따라 화분의 각부분을 교체하여 분위기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 조립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화분은 좁은 공간이나 실내에서 꽃이나, 난 및 관상수를 키울 수 있는 용기로서, 식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적절한 모양 및 크기를 갖는 화분을 선택한다.
이러한 종래의 화분은 상단 둘레로 플랜지를 갖고 바닥에는 물빠짐구멍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질은 토기나 사기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분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 일부분이 깨지거나 손상되면 화분 전체를 교환해야하고, 또 화분이 싫증나거나 키우고자 하는 식물의 외관과 조화를 이루는 화분을 갖고자 할 때는 새로운 화분을 구입해야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화분을 상,중,하부몸체로 나누어 조립에 의해 하나의 화분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부분파손 및 손상 때에는 부분교체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 화분이 싫증나거나 식물과 조화를 이루는 화분을 필요로할 때에는 그에 맞는 디자인과 기능을 갖는 일부몸체만 구입하여 교환하도록 하여 화분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 조립형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화분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화분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화분의 상부테 다른 결합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화분의 상부테 또다른 결합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상부테의 결합부 일실시예도,
도 6a,6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화분의 분리형 상부테 구조도,
도 7a,7b,7c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화분의 상부테 구조도,
도 8a,8b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몸체 구조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망이 구비된 화분의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화분 11 - 본체 12 - 걸림턱
13 - 걸림홈 14 - 구멍 21 - 상부테
22 - 플랜지 23 - 돌기 24 - 스냅피트
25 - 볼록부 26 - 절결홈 27 - 후크
28 - 고리 31 - 하부몸체 41 - 상부테
42 - 요홈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테와 물빠짐구멍이 형성된 바닥판을 갖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을 상부테와 본체 및 바닥에 물빠짐구멍을 갖는 하부몸체로 나누고,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를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화분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화분의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0)이 상부테(21)와 본체(11) 및 하부몸체(31)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들은 조립에 의해 하나의 화분(10)을 이루게된다. 상부테(21)는 상단이 외부로 커얼링된 플랜지(22)를 갖는 것이 일반적인 구조이며, 본체(11)와 결합시 하중이 가해져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상부테(21)와 본체(11)와의 사이에는 별도의 결합수단을 가지며, 하부몸체(31)는 본체(11)의 하부에 나사결합이나 상부테(21)와 본체(11)가 갖는 결합수단을 결합된다. 이때 하부몸체(31)의 바닥(15)에는 물빠짐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에서와 같이 본체(11)가 상광하협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에는 상부테(21)의 내경을 본체(11)의 상부외경과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본체(11)의 하부에서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되면 상부테(21)는 본체(11)의 상부에 억지끼움되게 되고 또 힘을 가하여도 상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특히 본체(11)의 상단에 단턱(18a)을 갖고, 상부테(21)의 내경하단에 그와 대응되는 단턱(18b)을 형성하면 상부테(21)가 절대 본체(11)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때 본체(11)의 외부에 걸림턱(12)을 형성하여 두면 상부테(21)가 걸림턱(12)을 지나쳐 억지끼움된 후 하단이 걸림턱(12)에 걸려 큰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하부로도 빠지지 않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화분의 상부테 다른 결합구조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테(21)의 하부 외측면 둘레에 돌기(23)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본체(11)의 상부 내주면에는 걸림홈(13)이 형성되어 결합시 돌기(23)가 걸림홈(13)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부테(21)가 본체(11)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걸림홈(13)은 수직으로 형성된 홈의 하단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부테(21)의 돌기(23)가 수직 홈을 통해 삽입된 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수평한 홈내에 위치하게 됨으로 상,하부로는 절대 분리되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화분의 상부테 또다른 결합구조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테(21)의 하부에 볼록부(25)를 하단에 갖는 봉을 수직으로 절결하여 그 절결홈(26)의 간격내에서 수축탄성력을 갖는 스냅피트(24)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본체(11)의 상부에는 스냅피트(24)의 볼록부(25)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구멍(14)을 형성하여 결합시 스냅피트(24)를 구멍(14)에 끼워 조립하도록 한 것 이다.
이와 같이 스냅피트(24)를 구멍(14)에 끼우게되면 스냅피트(24)의 볼록부(25) 하단부가 구멍(14)을 통과할 때에는 절결홈(26)으로 수축하여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구멍(14)을 통과할 수 있게되고 또 통과한 후에는 다시 자체탄성력에 의해 벌어지게 되므로 큰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상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 상부테(21)를 분리할 때에는 스냅피트(24)의 하단을 강제로 오므려 승강시키면 쉽게 분리가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상부테의 결합부 일실시예도로서, 상부테(21)의 측면 둘레에 컵형으로 절결홈을 형성하여 상향된 탄성편(24a)을 형성하고, 이 탄성편(24a)의 단부 외측면에 걸림돌기(26a)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와 대응되는 본체(11)의 상단 내측에는 걸림돌기(26a)가 대응 삽입되는 걸림홈(14a)을 형성하였다.
본체(11)의 상부에 상부테(21)를 조립할 때 걸림돌기(26a)가 본체(11)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편(24a)이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삽입되고 본체(11)의 걸림홈(14a)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자체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걸림돌기(26a)가 걸림홈(14a)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부로 들어올려도 본체(11)와 상부테(21)는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분리시킬 때에는 걸림돌기(26a)를 눌러 걸림홈(14a)으로부터 이탈 시킨다음 상부테(21a)를 들어올리면 쉽게 분리된다.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화분의 상부테 또다른 구조도로서, 상부테가 본체(11)의 상부에서 탈착되는 구조일 때에는 화분(10)에 심어진 식물이 클 때 화분으로부터 분리시키기가 쉽지 않다. 왜냐하면 상부테(21)는 링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화분(10)의 본체(11)로부터는 쉽게 이탈시킬 수는 있지만 화분(10)에 심어진 식물의 부피가 클 경우에는 식물에 걸려 빠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테(21)를 양분시켜 결합구를 통해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결합구는 일측 몸체(21a)의 일측단에 후크(27a)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고리(27b)를 형성하며, 이와 대응되는 타측몸체(21b)에는 그와 반대로 후크(27a)와 고리(27b)를 형성하여 각 몸체(21a)(21b)의 후크(27a)를 고리(27b)에 조립하여 결합한 후 상부테(21)를 몸체(21)에 결합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부테(21)가 양분되어 탈착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상부테(21)를 교환할 때에는 상부테(21)를 본체(11)로부터 분리시킨 후 각 몸체(21a)(21b)의 후크(27a)를 고리(27b)로부터 이탈시켜 양쪽으로 분리되도록 하면 쉽게 분리시킬 수가 있다. 또 이러한 상부테를 결합시킬 때에는 분리시킬 때와 반대로 각 몸체(21a)(21b)의 후크(27a)를 고리(77b)에 결합시킨 후 본체(11)의 삽입시켜 결합하면 견고하게 조립이 된다.
또한 양분된 상부테 조립구조를 6b에서와 같이 일측 몸체(21a)의 일측단에는 하향된 삽입부(28a)를 형성하고, 대응되는 다른 몸체(21b)의 단부에는 삽입부(28a)가 끼워지는 삽입구멍(28b)을 형성하여 삽입부(28a)를 삽입구멍(28b)에 끼워 하나의 상부테(21)를 이루도록 한다.
도 7a,7b,7c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화분의 상부테 구조도로서, 이러한 구 조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가 있다.
도 7a에서와 같이 상부테(41)의 상면에 소정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요홈부(42)를 형성하여 이에 물을 저수하여 실내의 습도조절과, 심어진 식물에 적당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요홈부(42)를 좀더 깊고 넓게 형성하여 이에 물고기를 키울 수도 있다.
또한 도 7b에서와 같이 상부테(51)의 플랜지(52)를 하향 경사각을 갖는 넓은 평면구조로 형성하여 이에 표시부(53)를 형성하므로써 화분을 선물할 때 이 표시부(53)에 글말을 적어 넣을 수 있다.
또한 도 7c에서와 같이 상부테(61)의 플랜지(62)를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넓게 형성하고 이에 조립구멍(63)을 다수개 형성하여 이에 소형화분(64a)이나 소형어항(64b) 등을 안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큰 화분(10)의 둘레로 소형화분(64a)을 함께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별한 미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하부몸체도 도 8a,8b에서와 같이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8a와 같이 하부몸체(71)의 하부 전면을 개구시키고 그 개구부(72) 양측에 슬라이딩홈(73)을 전후로 형성하며, 양측에 슬라이딩홈(73)에 대응 삽입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75)를 갖는 물받이(74)를 구비하여 하부몸체(71)의 개구부(72)에 탈착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화분 외에 별도의 물받이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또 별도의 화분받침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체(11)의 하부 둘레에 돌기(76)를 형성하고, 하부몸체(71)의 내측면 둘레에 돌기(77)가 끼워지는 돌기홈(78)을 형성하여 본체(11)를 하부몸체(71)에 끼울 때 돌기(77)가 돌기홈(78)에 억지끼움되도록 하여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b와 같이 하부몸체(81)의 상단둘레에 플랜지(82)를 형성한 후 이 플랜지(82)에 조립구멍(83)을 다수개 형성하여 이에 소형화분(64a)을 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플랜지(82)는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꽃형상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화분(10)에 심어진 식물과 그 주변으로 안착된 소형화분(64a)들의 식물들을 잘 조화시켜 색다른 미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분리되어 있는 상부테와 본체를 일체로 형성할 수가 있고, 하부몸체와 본체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또 도 9에서와 같이 화분(20)의 상부테(21) 내측에 단턱(92)을 형성하여 이에 덮개(93)를 안착시켜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장기외출시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고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부테와 하부몸체를 본체로부터 각각 탈착가능하게 구성하므로써 상부테, 하부몸체 또는 본체중 어느 하나가 파손 또는 손상되었을 때에는 그 손상된 부분만 분리시켜 교환하면 될 뿐만 아니라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외형에 알맞는 화분을 원할 때에도 상부테, 본체 또는 하부몸체 중 어느 하나 를 교환하므로써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도 식물의 외형과 조화를 이루는 화분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화분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또 화분의 본체나 하부를 상협하광형태로 형성하여 뿌리가 잘 퍼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화분의 안정감을 주고 하부몸체가 화분받침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여 별도의 화분받침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부몸체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흙갈이 또는 분갈이를 할 때 하부몸체를 분리한 후 노출된 화분내의 저부를 밀어 올리면서 본체를 하강시키게 되면 흙과 식물이 화분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므로 흙갈이 또는 분갈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Claims (16)

  1. 상부테와 물빠짐구멍(16)이 형성된 바닥(15)을 갖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10)을 상부테(21)와 본체(11) 및 바닥(15)에 물빠짐구멍(16)을 갖는 하부몸체(31)로 나누고, 하부몸체(31)와 상부테(21)를 본체(1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를 상광하협된 통형상으로 구성하고, 상부테(21a)의 내경을 본체(11)의 상부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본체(11)의 하부에서 상부로 밀어 올려 본체(11)의 상부에 억지끼움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테(21)의 하부 외측면 둘레에 돌기(23)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본체(11)의 상부 내주면에는 수직으로 형성된 홈의 하단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홈(13)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테(21)의 돌기(23)가 상기 걸림홈(13)에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테(21)의 하부에 볼록부(25)를 하단에 갖는 봉을 소정간격으로 상하 절결한 절결홈(26)의 간격내에서 수축탄성력을 갖는 스냅피트(24)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본체(11)의 상부에는 스냅피트(24)의 볼록부(25)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구멍(14)을 형성하여 결합시 단순히 스냅피트(24)를 구멍(14)에 끼워 조립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테(21)를 두 개의 몸체(21a)(21b)로 양분하고 이들이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테(21)의 일측 몸체(21a) 일단에 후크(27a)를 형성하고 타측단에는 고리(27b)를 형성하며, 타측몸체(21b)에는 그와 대응되도록 후크(27)와 고리(28)를 형성하여 양측 몸체(21a)(21b)의 각 후크(27a)를 고리(27b)에 끼워 결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테(21)의 일측 몸체(21a) 일단에 하향 삽입부(28a)를 형성하고 타측단에는 삽입구멍(28b)을 형성하며, 타측몸체(21b)에는 그와 대응되도록 삽입부(28a)와 삽입구멍(28b)을 형성하여 양측 몸체(21a)(21b)의 각 삽입부(28a)를 삽입구멍(28b)에 끼워 결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테(41)의 상면에 소정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요홈부(4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테(51)의 플랜지(52)를 하향 경사각을 갖는 넓은 평면구조로 형성하고 이에 표시부(5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테(61)의 플랜지(62)에 조립구멍(63)을 다수개 형성하여 이에 소형화분(64a)이나 소형어항(64b)을 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71)의 하부 전면을 개구시키고 그 개구부(72) 양측에 슬라이딩홈(73)을 전후로 형성하며, 양측에 슬라이딩홈(73)에 대응 삽입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75)를 갖는 물받이(74)를 구비하여 하부몸체(71)의 개구부(72)에 탈착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81)의 상단둘레에 플랜지(82)를 형성한 후 이 플랜지(82)에 조립구멍(83)을 다수개 형성하여 이에 소형화분(64a)이나 소형어항(64b) 등을 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와 하부몸체를 상협하광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와 분리된 하부몸체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와 분리된 상부테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10)의 상부 내측에 단턱(92)을 형성하여 이에 덮개(93) 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화분.
KR2019990022370U 1999-10-18 1999-10-18 조립형 화분 KR200174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370U KR200174587Y1 (ko) 1999-10-18 1999-10-18 조립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370U KR200174587Y1 (ko) 1999-10-18 1999-10-18 조립형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587Y1 true KR200174587Y1 (ko) 2000-03-15

Family

ID=1959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370U KR200174587Y1 (ko) 1999-10-18 1999-10-18 조립형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58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298B1 (ko) * 2007-06-12 2010-03-08 임기철 파티션용 화분
KR101310101B1 (ko) * 2010-10-25 2013-09-24 권춘자 대형화분의 제조방법
KR101986216B1 (ko) * 2018-10-22 2019-06-05 이창은 조립식 화분장치
KR102298322B1 (ko) * 2021-03-31 2021-09-03 이선경 파티션 설치용 화분 거치대
KR102580535B1 (ko) * 2023-05-24 2023-09-19 황우성 플라스틱 화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298B1 (ko) * 2007-06-12 2010-03-08 임기철 파티션용 화분
KR101310101B1 (ko) * 2010-10-25 2013-09-24 권춘자 대형화분의 제조방법
KR101986216B1 (ko) * 2018-10-22 2019-06-05 이창은 조립식 화분장치
KR102298322B1 (ko) * 2021-03-31 2021-09-03 이선경 파티션 설치용 화분 거치대
KR102580535B1 (ko) * 2023-05-24 2023-09-19 황우성 플라스틱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4587Y1 (ko) 조립형 화분
KR200444397Y1 (ko) 통기성이 우수한 난 재배용 화분
US20020134017A1 (en) Post planter
KR20150083316A (ko) 꽃꽂이 병
KR200186528Y1 (ko) 회전가능한 다단화분
KR20120074429A (ko) 식물재배용기
KR200389810Y1 (ko) 반원통형 투명 화분
KR200416035Y1 (ko) 관상용 식물재배 화분
KR101228037B1 (ko) 조립식 화분 커버
TWI819983B (zh) 組合式植栽單元及植栽座
KR102106693B1 (ko) 화분
KR200182370Y1 (ko) 다방향 식재가 가능한 장식용 화분
JP2003134937A (ja) 植木鉢ケース
JP5368363B2 (ja) 植栽容器
CN211745585U (zh) 一种自吸水花盆
KR200220768Y1 (ko) 점적식 거리미화용 화분
KR950006873Y1 (ko) 화 분
JP3076746U (ja) 園芸用トレー
KR200288314Y1 (ko) 수분을 겸하는 꽃병이 구비된 화분
KR200146903Y1 (ko) 미니화분세트
KR950005161Y1 (ko) 화분 장식편
KR200356749Y1 (ko) 실내화단구현을 위한 블록체
JPH06209838A (ja) 植木鉢カバー
KR200193580Y1 (ko) 화분 카바 세트
KR200363010Y1 (ko) 관상용 식물 재배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