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298B1 - 파티션용 화분 - Google Patents

파티션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298B1
KR100945298B1 KR1020070057233A KR20070057233A KR100945298B1 KR 100945298 B1 KR100945298 B1 KR 100945298B1 KR 1020070057233 A KR1020070057233 A KR 1020070057233A KR 20070057233 A KR20070057233 A KR 20070057233A KR 100945298 B1 KR100945298 B1 KR 100945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ot
potted plant
mounting mean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4585A (ko
Inventor
임기철
Original Assignee
임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기철 filed Critical 임기철
Priority to KR1020070057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298B1/ko
Publication of KR20070094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티션이 설치된 사무실 내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파티션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파티션용 화분은 화초 또는 산식물을 심을 수 있는 화분과 상기 화분과 결합 되는 화분받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화분받침의 밑면에는 파티션의 상부면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수단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파티션용 화분을 사무실 내의 파티션의 상부면에 거치함으로써 사무실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공기정화를 시키는 등의 쾌적한 업무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거치수단에 형성된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더욱 확실하게 본 발명의 파티션용 화분을 파티션의 상부면에 안정감 있게 거치, 고정할 수 있으며, 거치수단의 형태를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하여 다양한 구조의 레이아웃의 파티션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파티션, 화분, 화분받침, 거치수단, 고정부재

Description

파티션용 화분 {The flowerpot for parti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과 화분받침의 결합을 걸림돌기식으로 하는 파티션용 화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과 화분받침의 결합을 암, 수 나사식으로 하는 파티션용 화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과 화분받침의 결합을 끼움식으로 하는 파티션용 화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과 화분받침을 일체형으로 하는 파티션용 화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과 화분받침을 일체형으로 하되 화분부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설치되는 걸림판으로 구성된 파티션용 화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6a, 도 6b, 도 6c,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화분의 여러가지 실시예의 저면도.
도 7a, 도 7b,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화분의 거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 ~10e : 화분 12, 22 : 결합용걸림돌기부
13 : 결합용수나사 20a ~ 20c : 화분받침
23 : 결합용암나사 24 : 공간부
25 : 수분증발공 26 : 걸림턱
27 : 걸림판 28 : 수분배수공
29 : 결합용끼움부 30 : 거치수단
33 : 요홈 34 : 고정구
35 : 고정구구멍 36 : 두께조절판
37 : 걸림홈 38 : 걸림고리
39 : 고정구관통구멍 40 : 고정부재(34, 36)
100 : 파티션용 화분
본 발명은 파티션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실의 레이아웃에 따라 다양한 설치 구조를 갖는 파티션의 상부면에 거치하여 사무실 내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근무환경을 정서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도록 화분을 파티션의 상부면에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화분과 화분받침의 밑면에 고정 부재를 포함한 거치수단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된 파티션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에는 다양한 분야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다수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고, 업무별로 혹은 책상마다 파티션으로 일정구역을 구획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무실 내의 업무 분위기는 자칫 경직되기 쉽고 이러한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해 사무실 한편에 화초나 산식물을 심은 여러 개의 화분을 두어 경직된 사무 분위기를 부드럽게 바꾸고, 사무실 내의 근무환경을 개선 시키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화분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을 따로 마련한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닐 뿐더러, 개개인의 취향도 각기 다르므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다른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실용신안 제20-0249905호 공보에는 기존의 화분 사용에 따른 공간을 전혀 침해하지 않고, 사무실 내의 파티션 위에 화분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판형의 받침수단과 상기 받침수단의 저면에는 파티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파티션용 화분받침과 상기 받침수단의 저면에 수평유지용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화분받침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두께가 45mm~80mm 까지의 다양한 파티션의 두께에 모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 없으며, 화분받침을 파티션에 설치한 후 고정수단에 있는 체결공에 별도의 나사못을 이용하여 파티션에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나중에 화분받침을 철거하거나 위치를 옮길 때에는 파티션에 나사못 자국이 남으며, 나사못을 체결할 드라이버 같은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다. 또한 받침수단의 저면에 수평유지용 돌출부를 구비하고는 있지만, 화분과 화분받침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 포함되지 않은 단순히 화분을 얹어 놓는 화분받침의 역할밖에 할 수 없기에 화분받침에 얹어 놓은 화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없으며 가벼운 외부의 충격에도 화분받침에 얹어놓은 화분이 떨어져 파손될 수 있는 등의 불안정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파티션의 상부면에 화분을 설치함으로서 사무실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화초 또는 산식물을 심어 공기정화, 환경미화 등의 사무환경을 개선하여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티션용 화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화분은 화분받침의 밑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마주보는 판형으로 형성된 거치수단에 나사형 고정구를 이용한 고정부재가 형성 구비되어 있어, 파티션의 상부면에 파티션용 화분을 거치한 후에 화분받침의 거치수단에 구비된 고정부재의 나사형 고정구를 동전을 이용하거나 드라이버로 조임으로서 파티션과 파티션용 화분이 더욱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향후 파티션용 화분을 철거하거나 위치를 변경할 때에도 파티션에 나사못 구멍 같은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또한, 거치수단의 안쪽면에 두께조절판을 부착하고 고정구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다양한 두께를 갖는 모든 파티션과 파티션의 상부 구조가 유리로 된 파티션에도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화분과 화분받침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여, 비교적 큰 외부의 충격에도 화분과 화분받침의 결합이 이탈되지 않으며, 또한 고정부재가 부가 형성된 거치수단이 화분받침의 밑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화분받침의 특징으로 인하여 파티션의 상부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거치 고정할 수 있는 매우 안정성이 뛰어난 파티션용 화분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초 또는 산식물을 심을 수 있는 화분과, 상기 화분과 결합되는 화분받침과, 상기 화분받침의 밑면에 형성되어 파티션의 상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거치수단은 마주보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파티션의 상부에 끼워서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거치수단은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구멍에 설치되는 외부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윗면에는 요홈을 형성한 원형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수단은 내측 벽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설치되는 걸림고리와, 고정구 관통구멍을 형성한 두께조절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수단은 ┃ 자형, ╋ 자형, ┳ 자형, ┓ 자형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화분과 상기 화분받침의 결합부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분의 결합부 밑단의 외부와 상기 화분받침의 결합부 상부 벽면에는 결합용 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과 상기 화분받침의 결합부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분의 결합부의 외부에는 결합용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받침의 결합부의 상부 벽면에는 결합용암나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화분은 상기 화분받침의 결합용끼움부에 끼워서 결합되며, 상기 화분받침의 결합용끼움부의 내부면을 상기 결합용끼움부에 끼워지는 화분의 외부 형상과 같은 모양으로 길게 형성하며, 상기 결합용끼움부 내측 하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받침의 결합부의 공간부 벽면에 수분증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화분의 밑면에 상기 거치수단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일체형으로 형성된 파티션용 화분의 내측 하부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에는 수분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판이 설치되며, 걸림턱의 하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 벽면에는 수분증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화분(100)의 제1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파티션용 화분(100)의 화분(10a)과 화분받침(20a)의 결합을 걸림식으로 하는 결합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분(10a)과 상기 화분받침(20a)의 결합을 걸림식으로 하는 파티션용 화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파티션용 화분(10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화분(10a),화분받침(20a), 거치수단(30), 고정부재(40)로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화분(10a)의 하단에 형성된 원형으로 형성된 결합부 외부에는 결합용걸림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분(10a)을 화분받침(20a)에 삽입 후 살짝 돌려주게 되면, 상기 화분받침(20)의 원형의 결합부 상부 벽면에 형성된 결합용걸림돌기부(22)와 상기 화분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용걸림돌기부(12)가 서로 맞물려져, 상기 화분(10a)과 화분받침(20a)은 견고하게 결합 고정 되어 외부의 다양한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결합용걸림돌기부(12, 22)는 원활하게 맞물려지도록 서로 맞물려지는 쪽의 높이를 약간 낮게 형성하도록 하며, 하부에는 공간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화분의 제2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파티션용 화분(100)의 화분(10b)과 화분받침(20b)의 결합을 나사식으로 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분(10b)과 상기 화분받침(20b)의 결합을 나사식으로 하는 파티션용 화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파티션용 화분(10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화분(10b), 화분받침(20b), 거치수단(30), 고정부재(40)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화분(10b)의 하단에 형성된 원형의 결합부 외부에는 결합용수나사(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분받침(20b)의 결합부 내측의 상부 벽면에는 결합용암나사(23)가 형성되어 있기에, 상기 화분(10b)을 상기 화분받침(20b)에 설치하여 회전시켜 주면 상기 화분(10b)의 결합부 외부에 형성된 결합용수나사(13)와 상기 화분받침(20b)의 결합부 내측의 상부벽면에 형성된 결합용암나사(23)가 서로 맞물려져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어 외부의 다양한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하부에는 공간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화분의 제3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파티션용 화분(100)의 화분(10c)과 화분받침(20c)의 결합을 끼움식으로 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분(10c)과 상기 화분받침(20c)의 결합을 끼움식 하는 파티션용 화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파티션용 화분(100)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화분(10c), 화분받침(20c), 거치수단(30), 고정부재(40)로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화분받침(20c)의 결합용끼움부(29)의 내부면을 상기 화분(10c)이 상기 화분받침(20c)의 결합용끼움부(29)에 끼워지는 높이까지의 외부형상과 같은 모양으로 길게 형성하며, 내측의 하부에는 상기 화분(10c)이 얹혀지는 걸림턱(26)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화분(10c)의 외부 둘레에도 상기 화분 받침의 결합용끼움부(29)의 끝에 걸리도록 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26)의 하부에는 공간부(24)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4)의 벽면에는 수분증발공(25)을 형성하여, 이에 상기 화분(10c)을 상기 화분받침(20c)의 결합용끼움부(29)에 끼워서 결합, 고정하는 구조로서 외부의 다양한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화분의 제4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파티션용 화분(100)의 화분(10d)과 거치수단(30)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분(10d)과 상기 거치수단(30)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파티션용 화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파티션용 화분(100)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화분(10d), 거치수단(30), 고정부재(40)로 구성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화분(10d)의 밑면에는 수분배수공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거치수단(30)만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화분(10d)에 흙 대신 물을 담을 수 있으며, 화초나 산식물이 아닌 절화류를 위한 파티션용 꽃병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화분의 제5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파티션용 화분(100)의 화분(10e)과 고정수단(30)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화분(10e)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26)에 설치되는, 수분배수공(28)이 형성된 걸림판(27)으로 구성된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분(10e)과 고정수단(30)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내부에 걸림턱(26)과 걸림판(27), 수분증발공(25)이 부가 형성된 파티션용 화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파티션용 화분(100)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화분(10e), 걸림턱(26), 걸림판(27), 거치수단(30), 고정부재(40)로 구성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화분(10e)의 밑면에 상기 고정수단(30)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화분(10e)의 내측 하부에는 걸림턱(26)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26)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24)의 벽면에는 공간부(24)에 고인 물이 자연적으로 증발되도록 수분증발공(25)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26)에 설치되는 수분 배수공(28)이 형성된 걸림판(27)을 별도로 형성하여 구비하여, 상기 걸림턱(26)에 설치된 상기 걸림판(27)의 상부에 흙을 채운 후에 화초나 산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화분의 제6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파티션용 화분(100)의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일반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수단(30), 고정부재(40), 공간부(24)와 두께조절판(36)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파티션용 화분(100)은 도 1 내지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거치수단(30), 고정부재(40), 공간부(24), 두께조절판(36)으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용 화분(100)의 화분(10a, 10b, 10c)과 화분받침(20a, 20b, 20c)이 결합시 하부에는 공간부(24)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공간부(24)에는 상기 화분(10a, 10b, 10c)의 밑면에 형성된 도시외 수분배수공을 통하여 아래로 흘러내린 물이 넘치지 않고 고이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분받침(20a, 20b, 20c)의 상기 공간부(24)의 벽면에는 상기 공간부(24)에 고인 물이 자연적으로 증발할 수 있도록 수분증발공(25)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분받침(20a, 20b, 20c) 또는 일체형화분(10d, 10e)의 밑면에는 상기 파티션용 화분(100)을 파티션 상부면에 거치시키기 위한 상기 거치수단(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거치수단(30)은 도 1 내지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주보는 세로로 길게 형성된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파티션용 화분(100)이 거치되는 통상적인 파티션 규격의 두께의 간격으로 사이를 두고 형성되어 파티션의 상부면에 끼워서 거치 되도록 구성되며, 도 6a, 6b, 6c,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자형, ╋ 자형,┳ 자형, ┓자형의 다양한 레이아웃 구조를 갖는 파티션에 거치될 수 있도록 ┃자형, ╋ 자형, ┳ 자형, ┓자형으로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일반적인 사무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파티션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45mm, 60mm, 80mm 까지 다양한 두께를 가지고 있는 바, 이에 대응하는 상기 거치수단(30) 사이의 간격도 각각 45mm, 60mm, 80mm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치수단(30)의 내측 벽면에 걸림홈(37)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37)에 설치되는 한쪽면에 걸림고리(38)와 중앙부에 고정구관통구멍(39)이 형성된 두께조절판(36)을 별도로 형성하여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재(40)의 고정구(34)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함께 사용하면 80mm 또는 60mm의 두께의 거치수단(30)을 갖는 화분받침(20a, 20b, 20c) 또는 일체형화분(10d, 10e)이라도, 이에 대응하여 60mm, 45mm의 두께를 갖는 파티션에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거치수단(30)의 중앙부에 원형의 고정구구멍(35)을 형성하고 그 고정구구멍(35)의 내벽에는 암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구구멍(35)에 설치되는 별도로 형성된 외부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윗면에는 일자형의 요홈(33)을 형성한 고정구(34)로 구성된 상기 고정부재(40)를 구비하여, 상기 거치수단(30)이 일체로 형성된 상기 화분받침(20a, 20b, 20c)을 파티션의 상부에 거치하고, 상기 거치수단(30)에 형성된 상기 고정구구멍(35)으로 상기 고정구(34)를 끼우고 고정구(34)의 윗면에 형성된 일자형의 요홈(33)을 드라이버나 동전 등을 이용하여 돌려 조임으로써, 파티션의 상부에 거치된 상기 화분받침(20a, 20b, 20c) 또는 일체형화분(10d, 10e)을 보다 편리하고 견고하며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거치수단(30)은 상기 고정부재(40)가 파티션에 고정될 때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적절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티션용 화분(100)을 파티션의 상부면에 거치하고, 상기 거치수단(30)에 형성된 고정부재(40)의 고정구구멍(35)에 고정구(34)를 끼우고 돌려 조임으로써 고정되며, 파티션에 고정, 설치한 후에 고정구(34)의 윗면이 상기 거치수단(30)의 표면 밖으로 돌출되지 아니할 만큼 고정구(34)의 길이를 형성하며, 미관을 고려하여 고정구구멍(35)에는 도시외의 별도로 형성된 고정구커버를 끼워 막음으로써 상기 거치수단의 외부면이 미려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화분(10a, 10b, 10c, 10d, 10e) 및 상기 화분받침(20a, 20b, 20c)은 원형 뿐만 아니라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도 제작되어 사무실의 분위기와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사용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 중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화분(100)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통상의 파티션에 거치할 수 있는 것으로 파티션 상부 직선상의 임의의 지점에 거치할 수 있는 ┃형의 거치수단(30)를 가지는 파티션용 화분(100)을 거치한 상태도 이고, 도 7b는 파티션이 ╋ 자형으로 연결된 부분 에 거치할 수 있는 ╋ 자형 거치수단(30)를 가지는 파티션용 화분(100)을 거치한 상태도 이고, 7c는 파티션이 ┳자형으로 연결된 부분에 거치할 수 있는 ┳자형 거치수단(30)을 가지는 파티션용 화분(100)을 거치한 상태도 이다. 이 외에 ┓자형 거치수단(30)를 가지는 파티션용 화분(100)은 파티션이 ┓자형으로 연결된 부분에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다양하게 거치할 수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파티션용 화분(100)의 거치는 파티션의 형태와 두께에 맞는 상기 거치수단(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기 화분받침(20a, 20b, 20c) 또는 상기 일체형화분(10d, 10e)을 파티션 상부의 적절한 위치에 끼워서 거치하고, 상기 거치수단(30)에 구비된 상기 고정부재(40)와 필요에 따라 상기 두께조절판(36)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견고하게 거치,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결합방식중의 하나의 결합 방식으로 상기 화분(10a, 10b, 10c)과 상기 화분받침(20a, 20b, 20c)을 결합시키거나, 또는 제4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 처럼 상기 화분(10d, 10e)과 상기 거치수단(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결합작업이 필요없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파티션용 화분(100)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파티션용 화분은 사무실 내의 파티션의 상부면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화분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무실 내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화분과 화분에 심어진 화초 및 산식믈이나 절화류를 선택할 수 있어 근무환경을 정서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파티션용 화분은 상기 화분과 상기 화분받침의 결합을 위한 다양한 방식의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화분의 밑면에 직접 상기 거치수단을 일체형으로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결합방식들 중의 한가지 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 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된 파티션용 화분은 다양하게 가해지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도 화분과 화분받침의 결합이 분리되지 않는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화분받침 밑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기 거치수단을 ┃자형, ╋ 자형, ┳ 자형, ┓자형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어 사무실내의 파티션 레이아웃에 의한 어떠한 부분에도 편리하고 견고하며 안정성 있게 거치 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수단에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부재에 의해 파티션의 상부에 더욱 간편하고 확실하게 거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거치수단에 안쪽면에 설치되는 별도로 형성된 두께조절판을 더 구비하여 다양한 두께를 갖는 파티션에 모두 적절하게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화초 또는 산식물을 심을 수 있는 화분과,
    상기 화분과 결합되는 화분받침과,
    상기 화분받침의 밑면에 형성되어 파티션의 상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화분은 상기 화분받침의 결합용끼움부에 끼워서 결합되며, 상기 화분받침의 결합용끼움부의 내부면을 상기 결합용끼움부에 끼워지는 화분의 외부형상과 같은 모양으로 길게 형성하며, 상기 결합용끼움부 내측 하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는 벽면에 수분증발공이 형성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화분.
  2. 화초 또는 산식물을 심을 수 있는 화분과,
    상기 화분과 결합되는 화분받침과,
    상기 화분받침의 밑면에 형성되어 파티션의 상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화분의 밑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화분의 내측 하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에는 수분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판이 설치되고,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는 벽면에 수분증발공이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화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70057233A 2007-06-12 2007-06-12 파티션용 화분 KR100945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233A KR100945298B1 (ko) 2007-06-12 2007-06-12 파티션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233A KR100945298B1 (ko) 2007-06-12 2007-06-12 파티션용 화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086U Division KR200419161Y1 (ko) 2006-03-16 2006-03-16 파티션용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585A KR20070094585A (ko) 2007-09-20
KR100945298B1 true KR100945298B1 (ko) 2010-03-08

Family

ID=3868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233A KR100945298B1 (ko) 2007-06-12 2007-06-12 파티션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2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76Y1 (ko) 2012-12-05 2014-10-10 하덕천 파티션 거치용 화분
FR3070821A1 (fr) * 2017-09-12 2019-03-15 Etablissements Georges David Balconniere
KR102083841B1 (ko) * 2018-09-12 2020-03-03 합자회사 거광산업 실내 장식용 화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035B1 (ko) * 2009-04-09 2012-04-09 김가우 고정식 클램프가 구비된 화분
KR101232449B1 (ko) * 2010-10-27 2013-02-12 박이근 칸막이 상부 설치용 화분거치대
KR102298322B1 (ko) * 2021-03-31 2021-09-03 이선경 파티션 설치용 화분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587Y1 (ko) * 1999-10-18 2000-03-15 권혁중 조립형 화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587Y1 (ko) * 1999-10-18 2000-03-15 권혁중 조립형 화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76Y1 (ko) 2012-12-05 2014-10-10 하덕천 파티션 거치용 화분
FR3070821A1 (fr) * 2017-09-12 2019-03-15 Etablissements Georges David Balconniere
KR102083841B1 (ko) * 2018-09-12 2020-03-03 합자회사 거광산업 실내 장식용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585A (ko)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298B1 (ko) 파티션용 화분
KR200475823Y1 (ko) 실내 조경용 화분
KR200419161Y1 (ko) 파티션용 화분
KR20070069244A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KR100846722B1 (ko) 꽃탑용 화분
KR20070119940A (ko) 화분 받침대
KR20050067111A (ko) 화분 고정형 벽걸이용 화분받침대
KR200367986Y1 (ko)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KR20120118131A (ko)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
KR200294933Y1 (ko) 화분 받침대
KR200271768Y1 (ko) 조경용 화분 걸이대
KR200474676Y1 (ko) 파티션 거치용 화분
KR20040045781A (ko)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KR200285220Y1 (ko) 파티션에 설치하는 식물 식재(植栽) 및 분식물(盆植物) 거치 용도의 무배수(無排水) 용기
WO2017216993A1 (ja) 壁面緑化ユニット
KR200295096Y1 (ko) 꽃벽 패널
KR200234688Y1 (ko) 착탈식 입체화분
KR200200911Y1 (ko) 화분
KR200309852Y1 (ko) 자동급수식 화분 및 그 화분으로 조립되는 꽃탑
JP6755054B1 (ja) 壁面緑化用器具及び壁面緑化用パネル
CN218977406U (zh) 一种立体式种植花盆
JP2869030B2 (ja) 植木鉢受
KR200428900Y1 (ko) 그루백을 이용한 가로등용 화분
KR200249905Y1 (ko) 파티션용 화분받침
KR20110000500U (ko)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