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500U -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 Google Patents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500U
KR20110000500U KR2020090008917U KR20090008917U KR20110000500U KR 20110000500 U KR20110000500 U KR 20110000500U KR 2020090008917 U KR2020090008917 U KR 2020090008917U KR 20090008917 U KR20090008917 U KR 20090008917U KR 20110000500 U KR20110000500 U KR 201100005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street lamp
main
wate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성 왕
영 성 왕
Original Assignee
영 성 왕
영 성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성 왕, 영 성 왕 filed Critical 영 성 왕
Priority to KR2020090008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500U/ko
Publication of KR201100005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5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등에 화분을 복수 층으로 설치할 경우 신속하게 간편하게 식재 또는 개식하여 보다 다양한 관상용 식물을 조성하므로 도시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에 관한 것으로, 본 가로등화분은 가로등 외경면에 고정되어 소정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지지부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관상용 식물들이 식재되어 있는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 외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물에게 수분공급을 위한 저장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그 저장공간의 외경 원주면을 따라 상반부가 개방되어 있는 한 쌍의 메인화분과, 상기 메인화분에 저장된 물을 식재된 식물들에게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수분공급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물이 혼합용토에 의해 식재되어 상기 메인화분의 내부공간에 상호 인접가능하게 수용되고,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절개되어 있는 복수의 절개부를 갖는 셀화분과, 상기 셀화분을 상기 메인화분의 내부공간에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배치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담수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셀화분에게 상기 담수공간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지지대를 포함한다.
가로등, 화분, 이종, 생육, 조립, 식재

Description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streetlight flowerpot for set-up to growing a different kind}
본 고안은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에 화분을 복수 층으로 설치할 경우 신속하게 간편하게 식재 또는 개식하여 보다 다양한 관상용 식물을 조성하므로 도시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도로와 인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보행자와 차량이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밝혀주는 것으로, 도시의 야경을 돋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화분을 설치하여 도시미관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가로등에 설치되는 화분 즉 가로등화분은 소정의 높이에 가로등의 원주반경을 따라 화분이 설치되어 있다. 그 가로등화분에는 혼합용토에 초화식물 및 각종 식물들이 식재되어 있으며, 수분공급을 위해 충분히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로등화분은 획일적인 도시미관과 인공적인 미관의 환경을 제공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자연 친화적인 도시환경을 도시인 에게 제공하기 위한 아우성이 끊임이 없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도시미관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가로등에 아름다운 초화식물을 생육시키므로써 보다 자연 친화적 아름다움을 도시환경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로등화분을 설치하게 되면 식물을 식재할 경우 충분한 혼합용토를 가로등화분의 식재공간에 채워야 하는데, 일일이 작업자가 꽃삽이나 삽 등으로 옮겨야 할 뿐만 아니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도로와 인도의 통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더 화려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가로등화분을 적층으로 쌓아올릴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더 심각하게 부각되어 더 화려하게 설치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도로와 인도의 경계나 그 가장자리에 설치된 가로등에 보다 화려하게 꾸미기 위하여 화분을 복수의 적층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하게 초화식물 등과 같은 식물을 식재 및 개식할 경우 통행의 방해요인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다층식재를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나의 가로등화분을 설치할 때에도 식재 및 개식을 신속하게 하여 토행의 방해요인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최소한으로 단축시키므로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다층식재를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가로등 외경면에 고정되어 소정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지지부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관상용 식물들이 식재되어 있는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 외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물에게 수분공급을 위한 저장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그 저장공간의 외경 원주면을 따라 상반부가 개방되어 있는 한 쌍의 메인화분과, 상기 메인화분에 저장된 물을 식재된 식물들에게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수분공급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물이 혼합용토에 의해 식재되어 상기 메인화분의 내부공간에 상호 인접가능하게 수용되고,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절개되어 있는 복수의 절개부를 갖는 셀화분과, 상기 셀화분을 상기 메인화분의 내부공간에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배치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담수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셀화분에게 상기 담수공간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지지대를 포함하는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셀화분에서 상기 식물이 혼합용토에 식재되는 공간에는 전반부와 후반부를 구획하여 상호 이종식물을 식재 및 개식하기 위한 구획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화분에 물을 공급하고 상한 수위를 제한하는 물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화분 한 쌍이 맞닿는 영역에는 묶음선에 의해 각각 한 쌍이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한 제1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셀화분 한 쌍이 맞닿는 영역에는 묶음선에 의해 각각 한 쌍이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한 제2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화분의 상반부에는 상기 셀화분이 상기 수분공급지지대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 걸림턱이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셀화분의 절개부에는 식재된 상기 식물이 방사방향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그 절개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있는 고정커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도로와 인도의 경계나 그 가장자리에 설치된 가로등에 보다 화려하고 풍성하게 꾸미기 위하여 화분을 복수의 적층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도시미관을 더 돋보이게 하여 도시 전체의 친환경적 환경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다 신속하게 초화식물 등과 같은 식물을 식재 및 개식하여 통행의 방해요인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교통방해로 발생되는 사회적 비용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가로등화분을 설치할 때에도 식재 및 개식을 신속하게 하여 토행의 방해요인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최소한으로 단축시키므로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의 메인화분d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가로등화분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1) 외경면에 고정되어 소정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지지부(3)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메인화분(5)과 셀화분(7), 수분공급지지대(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지지부(3)는 상기 메인화분(5)를 지지하기 위하여 원주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브라켓을 체결하므로 상기 가로등(1)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메인화분(5)은 상기 가로등 외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물에게 수분공급을 위한 저장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그 저장공간의 외경 원주면을 따라 상반부가 개방되어 있다. 또한,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확경되고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초화식물 등에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상기 메인화분(5)이 맞닿은 면 상부에는 메인화분(5) 한 쌍이 원통형태를 항상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제1결합홀(15)이 묶음선(미도시)으로 결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메인화분(5)의 외경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물을 공급하고, 공급된 물과 빗물이 넘치도록 한 물주입구(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물주입구(6)는 동시에 물퇴수구 기능을 한다.
상기 메인화분(5)의 상반부에는 상기 셀화분(7)이 상기 수분공급지지대(8) 상에 안착되어 분리이탈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걸림턱(4)이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셀화분(7)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메인화분(5)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식재와 개식(식물을 바꾸어 식재함)하기 위한 이종의 초화식물 등과 같은 관상용 식물이 구획되도록 한 구획판(10)이 마련되어 이종생육환경을 제공한다. 즉 셀화분(7)은 상기 구획판(10)에 의해 이종의 초화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이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전반부의 전면에는 식재된 상기 식물을 방사방향으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셀화분(7)의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절개되어 있는 복수의 절개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그 절개부(13)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있는 고정커버(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셀화분(7)의 외측면에는 상기 메인화분(3)에 저장된 물을 초화식물에게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슬롯(12)이 기립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 바닥면에도 다수의 수분공급슬롯(12)이 나열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상기 셀화분(7)이 맞닿은 면에는 상부를 향하여 각각 돌출되어 있는 결합돌기(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셀화분(5)이 원통형태를 항상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돌기(16)의 중앙에 제2결합홀(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결합홀(17)에는 묶음선(미도시)에 의해 원통형태의 결합이 유지된다.
상기 수분공급지지대(8)는 상기 셀화분(7)을 상기 메인화분(5)의 내부공간에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배치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담수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셀화분(7)에게 상기 내부공간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셀화분(7)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있는 지지판(14)과, 상기 메인화분의 내부공간에 충분한 담수공간을 확보하고 수용된 물을 상기 지지판(14)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수분공급유도부(18)가 승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부공급유도부(18)는 그 내부에 혼합용토나 다량의 수분을 흡수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흡수부재가 채워져 있다. 실제로 설치시에는 상기 수분공급지지대(8)와 상기 셀화분(7) 사이에는 수분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 혼합용토 등과 같은 식재용토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가로등화분은 가로등에 하나의 화분이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볼륨을 확대하여 좀 더 웅장하게 연출하기 위하여는 가로등화분을 상측과 하측 중 어느 일측 이상에 적층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의 메인화분d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로등 3 ; 고정지지부
5 ; 메인화분 6 ; 물주입구
7 ; 셀화분 8 ; 수분공급지지대
9 ; 고정커버 10 ; 구획판
12 ; 수분공급슬롯 13 ; 절개부
14 ; 지지판 15 ; 제1결합홀
16 ; 결합돌기 17 ; 제2결합홀
18 ; 수부공급유도부

Claims (5)

  1. 가로등 외경면에 고정되어 소정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지지부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관상용 식물들이 식재되어 있는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 외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물에게 수분공급을 위한 저장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그 저장공간의 외경 원주면을 따라 상반부가 개방되어 있는 한 쌍의 메인화분과;
    상기 메인화분에 저장된 물을 식재된 식물들에게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수분공급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물이 혼합용토에 의해 식재되어 상기 메인화분의 내부공간에 상호 인접가능하게 수용되고,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절개되어 있는 복수의 절개부를 갖는 셀화분과;
    상기 셀화분을 상기 메인화분의 내부공간에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배치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담수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셀화분에게 상기 담수공간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생육를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화분에서 상기 식물이 혼합용토에 식재되는 공간에는 전반부와 후반 부를 구획하여 상호 이종식물을 식재 및 개식하기 위한 구획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화분에 물을 공급하고 상한 수위를 제한하는 물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화분 한 쌍이 맞닿는 영역에는 묶음선에 의해 각각 한 쌍이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한 제1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셀화분 한 쌍이 맞닿는 영역에는 묶음선에 의해 각각 한 쌍이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한 제2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화분의 상반부에는 상기 셀화분이 상기 수분공급지지대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 걸림턱이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화분의 절개부에는 식재된 상기 식물이 방사방향으로 노출되어 있으 며, 그 절개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있는 고정커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KR2020090008917U 2009-07-10 2009-07-10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KR201100005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917U KR20110000500U (ko) 2009-07-10 2009-07-10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917U KR20110000500U (ko) 2009-07-10 2009-07-10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500U true KR20110000500U (ko) 2011-01-18

Family

ID=44205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917U KR20110000500U (ko) 2009-07-10 2009-07-10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5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759B1 (ko) * 2011-09-20 2013-10-29 이지이 녹화조형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759B1 (ko) * 2011-09-20 2013-10-29 이지이 녹화조형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56974A1 (en) Vertical landscaping system
AU2010258104A1 (en) Vegetation support system
US20070186469A1 (en) Stackable plant pot
WO2009107929A1 (en) Flowerpot for street
CN202190578U (zh) 一种立体绿化花盆
KR100945298B1 (ko) 파티션용 화분
KR20110000499U (ko) 복층식재를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US20070084107A1 (en) Below ground plant pots and plant servicing
KR20110000500U (ko) 이종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CN102763574B (zh) 鞍马绿化箱
KR101043958B1 (ko) 조립식 벽면 조경시스템
CN201369959Y (zh) 一种方形立体组合花盆
KR200450466Y1 (ko) 적층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CN214329413U (zh) 一种特色小镇的建筑景观一体化装置
CN102771330A (zh) 组装式立体花盆
KR200220769Y1 (ko) 점적식 가로등 부착형 거리미화용 화분
KR102157856B1 (ko) 조립식 포트
KR101480078B1 (ko)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KR200475246Y1 (ko) 저면관수형 노변화분
KR200309852Y1 (ko) 자동급수식 화분 및 그 화분으로 조립되는 꽃탑
CN209897746U (zh) 一种用于园林景观的植物造型墙
CN218977406U (zh) 一种立体式种植花盆
KR200230286Y1 (ko) 화분구조체
KR101476269B1 (ko) 수직 기둥의 녹화장치
CN218436797U (zh) 绿化植被防护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