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749Y1 - 실내화단구현을 위한 블록체 - Google Patents

실내화단구현을 위한 블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749Y1
KR200356749Y1 KR20-2004-0012236U KR20040012236U KR200356749Y1 KR 200356749 Y1 KR200356749 Y1 KR 200356749Y1 KR 20040012236 U KR20040012236 U KR 20040012236U KR 200356749 Y1 KR200356749 Y1 KR 200356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lower bed
support
corn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김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진 filed Critical 김형진
Priority to KR20-2004-0012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7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화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단을 블록으로 조립토록 하고 상기 보립된 블록에 장식대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가정이나 사무실에서의 주거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는 화분을 이용한 실내의 분위기 전환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분은 그 형태가 정해진 것이기 때문에 주거형태에 따른 주거자의 임의대로의 변화가 불가능하여 정해진 화분을 구입한 후 실내의 어디에 이치되어야 하는지로 고민하여야 하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정해진 공간의 어느 구석이나 위치에 주거자가 원하는 형태로 적용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실내에서 하단을 갖출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화단

Description

실내화단구현을 위한 블록체{A block for making a interior flowerbed}
본 고안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설치가 가능한 화단에 관한 것으로, 실내에서 실외에 있는 화단의 형태를 그대로 구현하면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화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가정이나 사무실에서의 주거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는 화분을 이용한 실내의 분위기 전환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분은 그 형태가 정해진 것이기 때문에 주거형태에 따른 주거자의 임의대로의 변화가 불가능하여 정해진 화분을 구입한 후 실내의 어디에 위치되어야 하는 지로 고민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화분은 나무만을 심게 됨으로 고가라는 문제점과 또한 계절별로 변화되어지는 꽃과 같은 식물을 재배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과 또한 별도의 야채등을 재배하여 취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화분의 형태를 이러한 것들의 재배가 가능한 형태로 구현토록 함으로서 가능하게 하였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화단의 구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내분위기를 해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화단의 구현이 가능토록 하고, 또한 이와 같은 화단의 형태를 다양한 형태로 변화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실내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하단을 갖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화단을 블록체로 구현토록 하고 상기 블록체에 장식대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체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블록체에 장식대의 장착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코너블럭에 펫말의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측판블럭에 장식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측판블럭 20: 코너블럭
30: 물받이 체 50: 장식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측판블럭(10)과 코너블럭(20)이 견고한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지면서 내공간을 구획토록 하고 상기 내공간에는 흙받이 체를 갖는 물받이 체(30)가 위치되어지며 상기 측판블럭(10)과 코너블럭(20)의 상측으로는 장식대(50)가 장착되어지는 구성이다.
이때 측판블럭(10)과 코너블럭(20)의 견고한 연결수단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나 본 고안에서는 끼임돌기(11,21)와 끼임홈(12,22)의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맞물림토록 한 것이다.
이때 측판블럭(10)과 코너블럭(20)이 연결되어지는 부분은 하측부(13,23)만이 맞물림 결합되어지는 것이고, 상측부(14,24)는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보여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측판블럭(10)과 코너블럭(20)에 장착되는 장식대(50)는 일정한 깊이만큼만 삽입되어지도록 지지대(51)에는 스토퍼(52)가 형성되고 지지대(50)의 하단에는 지지날개(53)가 형성되어지는 것이고, 이때 지지날개(53)가 삽입되어지도록 측판블럭(10)의 상측면에는 개구부(15)와 그 양측으로 절개부(16)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개구부의 폭은 절개부의 폭보다 크게 되는 것이고 절개부는 개구부에서 연결되어지게 절개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개구부(15)와 절개부(16)는 장식대(50)의 지지대(51)가 삽입되어 직립되어질 수 있도록 개구부(15)의 하방으로 지지면(17)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물받이 체의 내부에 삽입된 흙받이 체가 측면블럭과 코너블럭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어지지 않게 되면서 화단의 꽃만이 보여지게 되고 그 측면블럭과 코너블럭에 장식대가 삽입되어 노출되어짐으로 다양한 장식수단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측면블럭과 코너블럭이 서로 연결수단에 의하여 맞물림되어지게 됨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화단의 구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블럭과 코너블럭을 외부의 화단에서 적용할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화단은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립에 의하여 구현가능하게 됨으로 다양한 형태로의 화단구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물받이 체와 흙받이 체를 다양한 종류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도 보여지는 부분이 동일하게 됨으로 장식효과가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조립되어지는 블록(10)의 상측면에 장착되는 장식대는 일정한 깊이만큼만 삽입되어지도록 지지대(51)에는 스토퍼(52)가 형성되고 지지대의 하단에는 지지날개(53)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날개가 삽입되어지도록 블럭의 상측면에는 개구부(15)와 그 양측으로 절개부(16)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와 절개부는 장식대의 지지대가 삽입되어 직립되어질 수 있도록 개구부의 하방으로 지지면(17)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블럭과 코너블럭의 맞물림결합이 끼임돌기(11,21)와 끼임홈(12,22)의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맞물림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블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블럭과 코너블럭이 연결되어지는 부분은 하측부(13,23)만이 맞물림 결합되어지는 것이고, 상측부(14,24)는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내부가 보여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블럭.
KR20-2004-0012236U 2004-04-30 2004-04-30 실내화단구현을 위한 블록체 KR200356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236U KR200356749Y1 (ko) 2004-04-30 2004-04-30 실내화단구현을 위한 블록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236U KR200356749Y1 (ko) 2004-04-30 2004-04-30 실내화단구현을 위한 블록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749Y1 true KR200356749Y1 (ko) 2004-07-19

Family

ID=4934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236U KR200356749Y1 (ko) 2004-04-30 2004-04-30 실내화단구현을 위한 블록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7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32Y1 (ko) * 2013-01-02 2014-10-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화단을 이용한 광고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32Y1 (ko) * 2013-01-02 2014-10-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화단을 이용한 광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9466U (ja) 組合せ式園芸用装置
KR200444397Y1 (ko) 통기성이 우수한 난 재배용 화분
KR200356749Y1 (ko) 실내화단구현을 위한 블록체
KR200424597Y1 (ko) 채소재배를 위한 화분
KR101256044B1 (ko)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
KR200390125Y1 (ko) 관상용 식물 배양의 장식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관상용식물 배양용기
KR20050105056A (ko) 실내화단
JP3135647U (ja) 額に入れた壁掛け型観賞用植物
KR200449981Y1 (ko) 진공흡착에 의한 벽면부착 장식용 화분
KR200404327Y1 (ko) 인공 흙을 이용한 식물 재배용 투명 화분
JP2007319567A (ja) テーブル
KR200338832Y1 (ko) 화분용 넝쿨식물 지지대
KR200288314Y1 (ko) 수분을 겸하는 꽃병이 구비된 화분
KR20120069857A (ko) 블럭화분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구성된 화분장식장
KR200285220Y1 (ko) 파티션에 설치하는 식물 식재(植栽) 및 분식물(盆植物) 거치 용도의 무배수(無排水) 용기
KR101340041B1 (ko) 화단 프레임
KR200369017Y1 (ko) 꽃을 꽂거나 심을 수 있는 용기
JP3069514U (ja) 花植ポットの飾り台
CN201146709Y (zh) 悬挂式植物栽培装置
CN210580194U (zh) 一种花盆
KR20120067516A (ko)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
KR200370206Y1 (ko) 화초 재배장소가 구비된 테이블
USD564781S1 (en) Plant support
JPH0646286Y2 (ja) 観賞用組込み植木鉢
JP3020493U (ja) プラン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