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269B1 - 새싹 재배기 - Google Patents

새싹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269B1
KR101826269B1 KR1020160064389A KR20160064389A KR101826269B1 KR 101826269 B1 KR101826269 B1 KR 101826269B1 KR 1020160064389 A KR1020160064389 A KR 1020160064389A KR 20160064389 A KR20160064389 A KR 20160064389A KR 101826269 B1 KR101826269 B1 KR 101826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nutrient solution
door
bu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201A (ko
Inventor
김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본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본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본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60064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269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01G31/001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새싹 재배기는 케이스, 두둑 레일, 채반 운반대, 양액 분무기를 구비한다. 케이스는 일측에 도어를 결합하고 도어를 구비한 측의 하단에 단턱을 구비한다. 두둑 레일은 케이스의 바닥에 이격 구비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면서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양액 이동홀을 구비한다. 채반 운반대는 두둑 레일을 따라 출입하고, 두둑 레일 상에 지지되며,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채반 고정바를 구비한다. 양액 분무기는 케이스의 바닥에 고인 양액을 안개 형태로 케이스 내에 분사한다.

Description

새싹 재배기{Apparatus for Cultivating Sprout}
본 발명은 새싹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양액을 안개 형태로 분사하여 새싹을 재배하는 새싹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새싹 채소(sprout vegetable)는 종자에서 발아하는 싹을 짧은 기간에 키워 생장 초기의 어린 배축(胚軸)과 떡잎을 식용으로 하거나 숙근초 등의 뿌리나 줄기를 묻어 움을 트게 하여 그 싹을 식용으로 하는 채소를 말한다.
종래의 새싹 재배기는 채반에 씨앗을 담고 그 위에 빛을 차단하는 커버를 덮은 후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씨앗을 발아시키는 방식, 육묘 상자에 솜이나 스펀지 등을 일정한 두께로 깔고 물을 공급한 후 그 위에 씨앗을 뿌려 재배하는 방식, 비닐하우스 내부에 상토와 모래 또는 흙 등을 뿌린 후 그 위에 씨앗을 조밀하게 뿌리고 물을 공급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새싹 재배 방식은 재배 속도가 느리고, 씨앗에 곰팡이가 생기거나 썩을 수 있다.
특허공개 10-2015-0139269는 새싹 재배기를 개시하고 있는데, 구조를 보면,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의 케이싱,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물 저장부와 새싹 재배부로 구획하면서 상부에 관통부가 구비되는 구획벽, 물 저장부에 구비되며 저장된 물을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미립화시키는 초음파 진동부, 미립화된 물을 새싹 재배부로 이동시키는 회전팬, 그리고 케이싱 상부에 구비되어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부 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특허공개 10-2015-0139269는 물을 미립화하여 새싹 채소마다 양액을 공급하고 있다. 그런데, 특허공개 10-2015-0139269는 새싹을 지지하는 채반을 출입시키는데 어려움이 있고, 양액을 공급하는 구조가 복잡하다. 또한, 특허공개 10-2015-0139269는 초음파를 이용하는데, 이 경우 슬러지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채반을 대량으로 쉽게 적재할 수 있고,
둘째, 채반을 쉽게 출입시킬 수 있으며,
셋째, 슬러지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넷째, 양액의 분사, 회수, 온도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는, 새싹 재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새싹 재배기는 케이스, 두둑 레일, 채반 운반대, 양액 분무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는 일측에 도어를 구비한다. 케이스는 도어를 구비한 측의 하단에 단턱을 형성할 수 있다.
두둑 레일은 케이스의 내부 바닥에 이격 구비된다. 두둑 레일은 양액 이동홀을 구비할 수 있는데, 양액 이동홀은 두둑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 형태일 수 있다.
채반 운반대는 두둑 레일을 따라 출입하며, 두둑 레일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채반 운반대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채반 고정바를 구비할 수 있다.
채반은 새싹을 지지하는 것으로 채반 고정바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양액 분무기는 케이스의 바닥에 고인 양액을 안개 형태로 변환하여 케이스 내에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싹 재배기는 양액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싹 재배기는 채반 운반대의 출입을 가이드하는 운반대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운반대 가이드부는 전체 형상으로 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일측을 케이스의 단턱에 경첩 결합하고 타측을 경첩이 형성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싹 재배기에서, 도어는 내측 도어와 외측 도어를 구비할 수 있다. 내측 도어는 단턱 상에 구비되는 미닫이 형태일 수 있고, 외측 도어는 내측 도어의 외측에 결합하는 여닫이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싹 재배기를 컨테이너 형태로 확장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 배열하는 새싹 재배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새싹 재배기에 의하면, 상하로 다수를 이격시켜 고정한 채반 고정바를 구비하여 다수의 채반을 걸쳐 고정하는 채반 운반대를 포함하고 있어, 다수의 채반을 쉽게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싹 재배기에 의하면, 채반 운반대의 출입을 가이드하는 운반대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채반 운반대를 케이스 내에 삽입하고 인출하므로, 다수의 채반을 탑재한 채반 운반대를 케이스 내에 쉽게 삽입하고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싹 재배기에 의하면, 양액 분무기가 케이스의 바닥에 고여있는 양액을 안개 형태로 변환하여 케이스 내에 전체적으로 분사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양액의 분사, 회수 등에 구성요소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회수되어 바닥에 고여있는 양액을 가열 또는 냉각함으로써 양액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과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싹 재배기에 의하면, 양액을 안개 형태로 케이스 내에 분사하는 방식이므로, 초음파를 이용한 새싹 재배기에서 야기되는 슬러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새싹 재배기에 의하면, 배관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 비용도 크게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두둑 레일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제1 변형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제2 변형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적용례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는 케이스(10), 두둑 레일(20), 채반 운반대(30), 채반(40), 도어(50)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전면 일측을 개방하고 나머지 측면, 후면, 상면 및 하면을 폐쇄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재배되는 새싹의 특성에 따라 불투명 재질, 예를들어 불투명 플라스틱, 나무, 철, 스테인리스 등으로 구성하거나 투명 재질, 예를들어 투명 플라스틱, 강화 유리, 비닐 형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10)를 불투명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 상면, 측면 등에 창을 형성할 수 있다. 창에는 창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블라인드를 설치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조도 센서를 구비하여 조도값에 따라 블라인드의 개폐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새싹 재배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케이스(10)는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바닥이 양액통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언급되는 양액통에 저장되는 양액은 용수일 수 있고, 용수에 미네랄 등 비료 성분이 포함된 형태일 수 있다.
케이스(10)의 양 측방과 후방이 폐쇄되고, 전방에는 단턱(S)을 형성하면, 바닥면 전체를 박스 형태의 용기로 만들 수 있다. 케이스(10)의 바닥 용기에는 안개 형태의 양액이 응결되어 하부로 떨어지거나 안개화가 덜 된 양액이 포집되어 모일 수 있다.
케이스(10)는 바닥을 부분적으로 경사지게, 예를들어 양 측방에서 중앙으로, 전후방에서 중앙으로 가면서 낮아지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양액이 중앙으로 모이게 할 수 있다. 양액 분무기를 다수 설치할 경우, 케이스(10)는 바닥에서 양액이 모이는 곳을 여러 군데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바닥에 도랑 형태의 배수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10) 바닥을 평평하게 하고 바닥에 홀을 뚫어 새싹 재배를 완료한 후 배수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케이스(10)는 하방에 바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스(1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50)는 케이스(10)의 전방 개방구에 설치할 수 있다. 도어(50)는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 1과 같이, 이중 도어로 구성할 수 있다. 이중 도어의 경우, 내측 도어(51)와 외측 도어(53)로 구성할 수 있다. 내측 도어(51)는 케이스(10)의 전방 단턱(S) 상에 미닫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외측 도어(53)는 내측 도어(51)보다 외측에 여닫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두둑 레일(20)은 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할 수 있다. 두둑 레일(20)은 도어(50)가 설치된 전방 개방구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다수를 형성할 수 있다. 두둑 레일(20)은 측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할 수 있으며, 전방으로 단턱(S)과 밀착하고, 후방으로는 케이스(10)의 후방 폐쇄면과 밀착되게 구성할 수 있다. 두둑 레일(20)은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운반대 가이드홈(G)을 구비할 수 있다. 두둑 레일(20)은 케이스(10)의 전방 개방구에 형성되는 단턱(S)과 동일 높이로 구성할 수 있다.
두둑 레일(20)은 하방에 바닥 방향으로 개방되는 양액 이동홀(T)을 구비할 수 있다. 양액 이동홀(T)은 두둑 레일(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일 수 있고, 다수를 형성할 수 있다.
채반 운반대(30)는 채반(40)을 적재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채반 고정바(B)를 구비할 수 있다. 채반 고정바(B)는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가장자리에 결합하는 바(bar)일 수 있다.
채반 운반대(30)는 하측이 두둑 레일(20)의 운반대 가이드홈(G)을 따라 케이스(10) 내로 출입할 수 있다. 채반 운반대(30)는 두둑 레일(20)의 운반대 가이드홈(G)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채반 운반대(30)는 하측에 바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바퀴 대신에 운반대 가이드홈(G)에 삽입될 수 있는 바(bar)를 구비할 수도 있다.
채반(40)은 새싹을 보관 지지하는 것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에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채반(40)의 걸림턱은 채반 고정바(B)에 결합될 수 있다. 채반(40)은 하면에 틈새를 형성하여 새싹 뿌리가 아래로 성장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는 양액 분무기(60), 양액 온도조절기(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양액 분무기(60)는 케이스의 바닥면에 고인 양액을 안개 형태로 변환하여 케이스(10) 내에 분사할 수 있다. 양액 분무기(60)는 출구 측을 상방으로 향하게 하여 상부로 양액을 분사하여, 케이스(10) 내부를 안개 형태의 양액으로 채울 수 있다. 양액 분무기(60)는 튜브, 송풍기, 무화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튜브는 수평 방향의 적어도 일측에 개방구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중공을 형성할 수 있다.
송풍기는 튜브 내에 설치되어, 공기를 개방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송풍기는 송풍 모터, 송풍팬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무화기는 튜브 내부에 설치되어, 양액을 안개 형태로 변환시킨다. 무화기는 양액을 방사상으로 분출하여 미세 입자로 1차 분쇄하고, 추가로 튜브 내면에 충돌시켜 안개 형태로 변환시킨다. 무화기는 모터, 회전체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모터는 브라켓으로 튜브의 내부에 고정되어 회전체를 회전시킨다. 회전체는 회전하면서 내부에 공급된 양액을 방사상으로 분출한다. 회전체는 원판체를 포함하고, 원판체는 내부 중앙에 양액이 유입되는 중공부를 구비한다. 원판체는 내부 중공부와 연통하고 방사상으로 연장된 후 외면에서 개방되는 분출 유로를 다수 구비한다.
양액 온도조절기(70)는 양액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양액 온도조절기(70)는 양액 히터, 양액 냉각기, 양액 온도센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양액 온도조절기(70)는 바닥에 고인 양액의 온도를 새싹 재배에 알맞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양액 히터와 양액 냉각기는 양액 온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동된다.
산소 발생기도 구비할 수 있는데, 산소 발생기는 바닥에 고인 양액에 산소를 공급하여 양액의 용존 산소량을 높일 수 있다.
제어부는 케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양액 분무기(60)를 가동하여 안개 형태의 양액을 케이스(10) 내부로 분사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양액 온도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양액 온도값에 따라 양액 히터와 양액 냉각기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킨다. 산소 발생기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고, 바닥에 용존산소 센서를 설치하여 그 측정값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는 운반대 가이드부(80)를 구비할 수 있다.
운반대 가이드부(80)는 채반 운반대(30)의 출입을 수월하게 하는 것으로, 케이스(10)의 전방 개방구의 하단, 예를들어 단턱(S)에 결합하여 회동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운반대 가이드부(80)는 경첩과 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경첩은 단턱(S)의 상면 전방에 결합하고, 플레이트는 경첩에 결합하여 경첩을 축으로 하여 상방, 전방, 하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는 전방 및 하방으로 회동했을 때 지면에 닿을 정도로 충분한 폭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는 상방으로 회동했을 때 케이스(10)의 전방 개방구 가장자리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10)의 전방 개방구 가장자리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케이스(10)의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운반대 가이드부(80)는 분리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채반 운반대(30)의 바퀴 폭만큼 이격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두둑 레일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둑 레일(20)은 사각형의 바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상면에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ㄷ'자 형상의 홈, 즉 운반대 가이드홈(G)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양액 이동홀(T)을 구비할 수 있다. 운반대 가이드홈(G)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양액 이동홀(T)은 그 수나 형상에 제한은 없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제1 변형례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는 다수의 양액 분무기(60)를 케이스(10)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0)가 클 경우, 또는 양액을 케이스(10) 내부에 고르게 분사시킬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도 6에서, 양액 분무기(60)을 하방에 설치하고 있으나, 배관을 연결하여 케이스(10)의 측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바닥과 양액 분무기(60) 사이 또는 배관에 펌프를 설치하여, 바닥에 고인 양액을 양액 분무기(60)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제2 변형례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는 양액 분무기(60)를 케이스(10)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10)는 바닥면에 배수구를 구비할 수 있다. 배수구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양액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양액 배출구를 배출되는 양액은 회수 배관을 거쳐 외부 양액통(65)으로 회수된다.
양액 히터, 양액 냉각기, 양액 온도센서는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 양액통(65)에 결합되어, 양액의 온도를 새싹 재배의 알맞은 온도로 유지시킨다.
산소 발생기도 외부 양액통에 결합할 수 있다.
외부 양액통(65)과 양액 분무기(60)는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고, 외부 양액통(65)의 양액이 바로 양액 분무기(60)로 공급되게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케이스(10) 또는 양액 분무기(60)에 설치할 수 있으며, 양액 온도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양액 온도값에 따라 양액 히터 및/또는 양액 냉각기를 선택적으로 가동하고, 필요에 따라 산소 발생기도 가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적용례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는 분획된 형태의 컨테이너(90)로 구성할 수 있다. 컨테이너(90)는 분획되고, 분획된 공간 자체가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에 기초하여 실시 형태를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 : 케이스 20 : 두둑 레일
30 : 채반 운반대 40 : 채반
50 : 도어 51 : 내측 도어
53 : 외측 도어 60 : 양액 분무기
65 : 외부 양액통 70 : 양액 온도조절기
80 : 운반대 운반대 가이드부 90 : 컨테이너
B : 채반 고정바 G : 운반대 가이드홈
S : 단턱 T : 양액 이동홀

Claims (5)

  1. 새싹 재배기에 있어서,
    일측에 도어(50)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50)를 구비한 측의 하단에 단턱(S)을 갖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이격 구비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면서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양액 이동홀(T)을 구비하며,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운반대 가이드홈(G)을 구비하는 두둑 레일(20);
    하측이 상기 두둑 레일(20)의 운반대 가이드홈(G)을 따라 상기 케이스(10) 내로 출입하고, 상기 두둑 레일(20)의 운반대 가이드홈(G)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채반 고정바(B)를 구비하는 채반 운반대(3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인 양액을 안개 형태로 상기 케이스(10) 내에 분사하는 양액 분무기(60)를 포함하는, 새싹 재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를 포함하는, 새싹 재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케이스의 단턱에 경첩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운반대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새싹 재배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단턱 상에 구비되며 미닫이 형태인 내측 도어;
    상기 내측 도어의 외측에 결합하며 여닫이 형태인 외측 도어를 포함하는, 새싹 재배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새싹 재배기가 컨테이너 형태로 확장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배열되는, 새싹 재배 시스템.
KR1020160064389A 2016-05-25 2016-05-25 새싹 재배기 KR101826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389A KR101826269B1 (ko) 2016-05-25 2016-05-25 새싹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389A KR101826269B1 (ko) 2016-05-25 2016-05-25 새싹 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201A KR20170133201A (ko) 2017-12-05
KR101826269B1 true KR101826269B1 (ko) 2018-02-06

Family

ID=6092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389A KR101826269B1 (ko) 2016-05-25 2016-05-25 새싹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2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1075A (zh) * 2018-04-24 2018-10-16 温州大学激光与光电智能制造研究院 幼苗培育箱的自动系统
KR102325831B1 (ko) * 2018-07-23 2021-12-14 에프디지앤 주식회사 식물의 재배 장치
KR102379576B1 (ko) * 2019-12-13 2022-03-29 대한민국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새싹율무의 재배방법
CN111837923B (zh) * 2020-07-11 2022-05-24 安徽谷神种业有限公司 一种玉米种子选育用培育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96Y1 (ko) 2009-02-19 2009-12-08 권인환 농작업용 이동대차
KR101299561B1 (ko) * 2012-03-19 2013-08-23 김영채 새싹 재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96Y1 (ko) 2009-02-19 2009-12-08 권인환 농작업용 이동대차
KR101299561B1 (ko) * 2012-03-19 2013-08-23 김영채 새싹 재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201A (ko)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269B1 (ko) 새싹 재배기
US10390504B2 (en) Multilevel mobile gutter system for growing indoor vegetation
US11925150B2 (en) Grow system
KR101275976B1 (ko) 회전타워 식물 재배장치
US20190261589A1 (en) Smart cabinet for home gardening
JP4821313B2 (ja) 養液栽培ハウス
KR101625647B1 (ko) 인삼 수경 재배 시스템
US5664369A (en) Plant growing room
KR101021136B1 (ko) 생초 연속 재배장치
CN104770284B (zh) 可用气雾栽培的家庭蔬菜花卉培养装置
JP2007166956A (ja) ベビーリーフの噴霧水耕栽培法
US6122861A (en) Plant growing room
KR102026448B1 (ko) 수경재배기
KR20170111159A (ko) 안개 농법을 이용한 인삼 재배 시스템
KR102457433B1 (ko) 회전형 식물재배 및 분무기술을 적용한 도시형 고밀도 식물재배 시스템
US6173529B1 (en) Plant growing room
KR200485979Y1 (ko) 직립형 분무 수경 재배 장치
JP2009055871A (ja) 噴霧水耕栽培法
JP2500380B2 (ja) トマト連続生産装置の養液供給方法
US20220087123A1 (en) Closed loop vertical disengageable aeroponic growing system
CN213246011U (zh) 一种红豆杉扦插苗床
KR20190080998A (ko) 수직형 분무수경 재배기
KR20230045907A (ko) 광 조사 거리조절이 가능한 포그포닉 스마트팜
CN209768345U (zh) 一种新型蔬果种植用幼苗培育装置
KR102125499B1 (ko) 식물 재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