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896Y1 - 농작업용 이동대차 - Google Patents

농작업용 이동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896Y1
KR200446896Y1 KR20090001874U KR20090001874U KR200446896Y1 KR 200446896 Y1 KR200446896 Y1 KR 200446896Y1 KR 20090001874 U KR20090001874 U KR 20090001874U KR 20090001874 U KR20090001874 U KR 20090001874U KR 200446896 Y1 KR200446896 Y1 KR 200446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late
chain
present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1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인환
Original Assignee
권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인환 filed Critical 권인환
Priority to KR20090001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8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8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16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self-prope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작업용 이동대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작은 동력으로도 우수한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정확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농작업용 이동대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상호 마주하며 절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지지플레이트(11a) 및 제2 지지플레이트(11b)와, 제1,2 지지플레이트(11a,11b)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로울러(14a,14b)와, 제2 지지플레이트(11b)에 설치되는 지지축(17a,17b)에 축설치되는 체인 스프라켓(18a) 및 체인(18b)과, 체인(18a)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배열·고정되는 구동 마그네틱(19)과, 어느 일측의 지지축(17a,17b)을 회전구동시켜 주기 위한 구동모터(M)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구동 마그네틱과 가이드 레일의 접촉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확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인력이 우수하여 작은 동력으로도 우수한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어 농약의 살포작업시에 균일하고 안정적인 살포가 가능하며, 중량이 나가는 수확물의 운반수단으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동대차, 가이드 레일, 가이드 로울러, 견인 로울러, 구동 마그네틱

Description

농작업용 이동대차{conveyance device for a farming}
본 고안은 농작업용 이동대차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가이드 레일에 거치되어 자체적으로 구동하여 가이드 레일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농작업용 대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농약의 살포나 수확물 및 기타 농자재의 운반이 요구되는 농작업(특히 하우스 농작업)에는 각종 약제를 도포하기 위한 약대 노즐이나 기타의 약제 도포수단을 이동시켜 주기 위한 이동대차가 사용되고 있으며, 수확물의 운반이나 기타 농자재의 운반에도 이동대차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도 약제의 도포나 수확물 및 농자재의 운반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이동대차가 안출되어 사용되어 왔는데, 종래의 이동대차는 가이드 레일에 맞물리는 구동 로울러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구동수단(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로울러에 의해 이동대차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상기한 종래 이동대차는 약대노즐 및 약제 도포수단이나 수확용 바구니 등을 거치하여 사용할 경우 견인력이 떨어져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웠으며, 그로 인해 견인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동력을 출력할 수 있는 구동수단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고, 구동수단의 동력을 높이더라도 구동 로울러와 가이드 레일 간에 발생하는 슬립현상으로 인해 이동대차의 정확하고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농약의 살포작업시에 균일하고 안정적인 살포를 보장할 수 없었으며, 다소 중량이 나가는 대상체의 이동에 적합치 않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이동대차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마그네틱과 가이드 레일의 접촉에 의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은 동력으로도 우수한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정확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농작업용 이동대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정브라켓에 의해 상호 마 주하도록 하고, 일측에 설치되는 경첩에 의해 절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지지플레이트 및 제2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 상면에 일정거리를 유지하게끔 설치되는 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는 가이드 로울러와 각 지지대에 일측에 설치되는 이탈방지용 로울러;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 상면에 일정거리를 유지하게끔 설치되는 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는 가이드 로울러;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 상면에 일정거리를 유지하게끔 설치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구동수단과 회전구동수단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배열·고정되는 구동 마그네틱;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어느 일측의 회전축을 회전구동시켜 주도록 한 구동모터 등으로 구성되어짐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농작업용 이동대차는 자력의 영향을 받는 소재로 된 가이드 레일을 이용하고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마그네틱과 가이드 레일의 접촉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정확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인력이 우수하여 작은 동력으로도 우수한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어 농약의 살포작업시에 균일하고 안정적인 살포가 가능하며, 중량이 나가는 수확물이나 농자재의 운반수단으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본 고안은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고안이다.
<고안의 실시형태>
도 1에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이동대차(1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는 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마주하도록 결합되는 제 1,2 지지플레이트(11a,11b) 상에 가이드 로울러(14a,14b)를 설치하여 가이드 로울러(14a,14b) 사이로 가이드 레일(20)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하고, 가이드 레일(20)의 일측 지지벽에 연접하여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 마그네틱(19)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은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2에 본 고안에 따른 제1,2 지지플레이트(11a,11b)를 발췌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지지플레이트(11a,11b)의 일측에 제1,2 지지플레이트(11a,11b)와 직교하는 고정브라켓(110a,110b)을 각각 형성하여 고정브라켓(110a,110b)이 서로 마주하며 맞닿게 하면 제1,2 지지플레이트(11a,11b)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고정브라켓(110a,110b)에 대응하는 통공(111a,111b)을 각각 형성하며, 제1,2 지지플레이트(11a,11b)의 경계지점에 경첩(12)을 설치하여 제1,2 지지플레이트(11a,11b)가 경첩(12)을 중심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도 3 참조)
상기와 같이 제1,2 지지 플레이트(11a,11b)를 구성함으로써, 제1,2 지지플레이트(11a,11b)를 동일선상에 위치시켜 고정브라켓(110a,110b)이 마주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110a,110b)의 통공(111a,111b)으로 결합볼트(미도시됨)를 관통시켜 체결너트(미도시됨)를 결합하면 제1,2 지지플레이트(11a,11b)가 일직선을 이루는 판상의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며, 고정브라켓(110a,110b)으로부터 결합볼트를 분리하면 제1,2 지지플레이트(11a,11b)를 절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1a)의 상면에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지지대(13a)를 설치하고, 각 지지대(13a)의 상단에 가이드 로울러(14a)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각 지지대(13a)에 일측에 이탈방지용 로울러(15)를 지지대(13a)와 직교하게끔 설치 한다.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1a) 상면에 상부로 돌출하는 견인 플레이트(11c)를 설치하고, 견인 플레이트(11c)의 상단부 양측에 견인 로울러(16)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1b) 상면에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지지대(13b)를 설치하고, 각 지지대(13b)의 상단에 가이드 로울러(14b)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1a)에 설치되는 각 가이드 로울러(14a) 제2 지지플레이트(11b)에 설치되는 각 가이드 로울러(14b)는 상호 대응하도록 설치하여 가이드 로울러(14a,14b) 사이의 영역으로 가이드 레일(20)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가이드 로울러(14a,14b) 간의 간격은 가이드 레일(20)의 양측 지지판에 연접할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 5에 본 고안에 따른 체인(18b) 및 체인 스프라켓(18a)과 구동 마그네틱(19)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사시도 제2 지지플레이트(11b)에 설치되는 가이드 로울러(14b)의 전측에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지지축(17a,17b)을 설치하고, 각 지지축(17a,17b)의 상단에 체인 스프라켓(18a)을 설치하여 체인 스프라켓(18a) 간에 체인(18b)을 설치하며, 체인(18b)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배열·고정되는 구동 마그네틱(19)을 설치하여 체인(18b)의 회전구동에 따라 가이드 레일(20) 측에 위치하는 구동 마그네틱(19)이 그 자력에 의해 가이드 레일(20)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때, 체인 스프라켓(18a)을 회전·지지하는 어느 일측의 지지축(17b)은 제2 지지플레이트(11b)에 마련되는 장공에 결합하며, 그 지지축(17b)에 스크류공을 형성하고, 제2 지지플레이트(11b)에 설치되는 조절블럭에 나사결합되는 조절 스크류를 스크류공에 결합하여 조절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지지축(17b)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조건에 따라서 체인(18b)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동 마그네틱(19)은 자력을 차폐시킬 수 있는 소재로 된 하우징(19a)에 내입하여 구동 마그네틱(19)의 일면이 하우징(19a)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드러나도록 하고, 구동 마그네틱(19)이 내입된 하우징(19a)의 후면부를 체인(18b)에 결합하여 구동 마그네특(19)의 자성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외부의 금속성 이물질이 구동 마그네틱(19)에 달라붙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1b)의 일측(제1 지지플레이트(11b)의 저면이 적합)에 정,역 구동이 가능한 구동모터(M)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M)를 이용하여 어느 일측의 지지축(17a,17b)이 회전구동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한다.
<고안의 작용>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하방에 개구부(21)가 형성되고 개구부(21)의 상단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슬라이드 면(22)이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0)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도 4 참조) 가이드 레일(20)은 자력의 영향을 받는 금속 소재로 제작되며, 별도로 제작하거나 기성품으로 나오는 철제 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강한 자성을 갖는 복수의 구동 마그네틱(19)을 이용하므로 체인(18b) 및 체인 스프라켓(18a)과 구동 마그네틱(19)의 외부를 별도의 케이스(C)로 감싸 외부의 금속성 이물질이 구동 마그네틱(19)에 붙지 않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도 6 참조) 본 고안의 상세한 작용은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가이드 레일(20)의 개구부(21)로 제1 지지플레이트(11a)에 마련된 견인 플레이트(11c)를 인입시켜 견인 로울러(16)가 가이드 레일(20)의 슬라이드 면(22)에 위치하도록 하면 이동대차(10)가 가이드 레일(20)에 견인됨과 아울러 이탈 방지용 로울러(15)가 가이드 레일(20)의 하방에 위치하여 이동대차(10)의 임의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며,(도 4 참조) 위와 같이 이동대차(10)를 가이드 레일(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동대차(10)의 구동모터(M)를 전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기동시키면 어느 일측의 지지축(17a)이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하고 지지축(17a,17b)에 설치된 체인 스프라켓(18a) 간에 설치된 체인(18b)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체인(18b)의 회전과정에서 체인(18b)의 외주면에 부착된 구동 마그네틱(19)이 가이드 레일(20)의 일측 지지벽에 순차적으로 붙고 반대편의 구동 마그네틱(19)을 가이드 레일(20)에서 떨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이동대차(10)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체인(18b)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20)의 길이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구동모터(M)로 구동하는 체인(18b)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마그네틱(19)과 가이드 레일(20)의 접촉에 의해 궤도차량과 같은 이동을 하게 되어 이동이 정확하고 우수한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을 가이드 레일(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2 지지플레이트(11a,11b)의 고정브라켓(110a,110b)에 결합된 결합볼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제2 지지플레이트(11b)를 하방으로 젖혀주면 제2 지지플레이트(11b)가 경첩(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 레일(20)의 지지벽에 붙어 있던 구동 마그네틱(19)이 떨어지게 되며, 위와 같이 제2 지지플레이트(11b)를 하방으로 절첩시킨 상태에서 이동대차(10)를 밀어주면 이동대차(1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가이드 레일(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동하는 이동대차(10)의 일측에 별도의 견인수단을 설치하여 견인수단에 농약 살포를 위한 약대 노즐이나 기타 농약 살포수단을 부착하면 이동대차(10)를 농약의 살포에 이용할 수 있으며, 견인수단에 운반용 상자 등을 부착하면 이동대차(10)를 농사 수확물이나 기타 농자재의 운반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농작업용 이동대차(10)로 명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이 농작업에 적합한 것임을 기술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농작업에 국한하지 않고 정확한 이동과 강력한 견인력을 요구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농작업용 이동대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2 지지플레이트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2 지지플레이트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로울러 및 견인 로울러와 가이드 레일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체인 및 체인 스프라켓과 구동 마그네틱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농작업용 이동대차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이동대차 11a: 제1 지지플레이트
11b: 제2 지지플레이트 12: 경첩
13a,13b: 지지대 14a,14b: 가이드 로울러
15: 이탈방지용 로울러 16: 견인 로울러
17a,17b: 지지축 18a: 스프라켓
18b: 체인 19: 구동 마그네틱
20: 가이드 레일 M : 구동모터

Claims (1)

  1. 일측에 직교하는 고정브라켓(110a)을 마련하고, 고정브라켓(110a)에 통공(111a)을 형성하여서 된 제1 지지플레이트(11a);
    일측에 직교하는 고정브라켓(110b)을 마련하고, 고정브라켓(110b)에 통공(111b)을 형성하여서 된 제2 지지플레이트(11b);
    상기 제1,2 지지플레이트(11a,11b)의 경계지점에 설치하여 제1,2 지지플레이트(11a,11b)의 절첩이 가능하게 해주도록 한 경첩(12);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1a) 상면에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설치한 지지대(13a)의 상단에 결합되는 가이드 로울러(14a)와 각 지지대(13a)에 일측에 설치되는 이탈방지용 로울러(15);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1a) 상면에 마련되는 견인 플레이트(11c)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견인 로울러(16);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1b) 상면에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설치한 지지대(13b)의 상단에 결합되는 가이드 로울러(14b);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1b) 상면에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설치한 지지축(17a,17b)의 상단에 설치되는 체인 스프라켓(18a)과 체인 스프라켓(18a) 간에 설치되는 체인(18b), 상기 체인(18b)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배열·고정되는 구동 마그네틱(19);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1b)에 설치되어 어느 일측의 지지축(17a,17b)을 회전구동시켜 주도록 한 구동모터(M)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용 이동대차.
KR20090001874U 2009-02-19 2009-02-19 농작업용 이동대차 KR200446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1874U KR200446896Y1 (ko) 2009-02-19 2009-02-19 농작업용 이동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1874U KR200446896Y1 (ko) 2009-02-19 2009-02-19 농작업용 이동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896Y1 true KR200446896Y1 (ko) 2009-12-08

Family

ID=4600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1874U KR200446896Y1 (ko) 2009-02-19 2009-02-19 농작업용 이동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8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269B1 (ko) 2016-05-25 2018-02-06 주식회사 리본인터내셔널 새싹 재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534Y1 (ko) 2000-01-31 2000-06-15 한경프루베주식회사 비닐하우스의 작업바구니 이동용 이동대차
KR20000065856A (ko) * 1999-04-09 2000-11-15 박준욱 자동차의 이동용 대차
KR100840207B1 (ko) 2007-03-14 2008-06-23 대교엔지니어링(주) 래들 이동대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856A (ko) * 1999-04-09 2000-11-15 박준욱 자동차의 이동용 대차
KR200186534Y1 (ko) 2000-01-31 2000-06-15 한경프루베주식회사 비닐하우스의 작업바구니 이동용 이동대차
KR100840207B1 (ko) 2007-03-14 2008-06-23 대교엔지니어링(주) 래들 이동대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269B1 (ko) 2016-05-25 2018-02-06 주식회사 리본인터내셔널 새싹 재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636B1 (ko) 주행형 자동 방제기
WO2016026550A1 (de) Fördervorrichtung für transportstrukturen
KR101469661B1 (ko) 약재 살포용 운반차
EP3180224A1 (de) Transportkarre zum transportieren von gegenständen oder tierkadavern
KR200446896Y1 (ko) 농작업용 이동대차
KR101644229B1 (ko)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
CN103563880B (zh) 一种农药喷洒机
CN100436224C (zh) 带电动升降台的手推车
US9371655B1 (en) Dolly apparatus for door installation
US93716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ging doors
KR102239092B1 (ko)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
KR20180046146A (ko) 농기계의 구동장치
US20130300078A1 (en) Running gear
KR20130106596A (ko) 전동 수레
KR101116051B1 (ko) 동력 이동장치가 구비된 파종기
CN202197631U (zh) 一种轮距可调的田园喷灌装置
KR20130068124A (ko) 리프터 전동 손수레
NL2006938C2 (nl) Inrichting voor het afdekken van een silo.
CN203033340U (zh) 用于冻干机的传送带组件
CN208198486U (zh) 一种建筑工程专用运输设备
KR101386705B1 (ko)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US1232414A (en) Transportation device.
CN207267434U (zh) 分离式牵引车的底座联动装置
CN109502517A (zh) 一种方便调节钢钎间距的越野叉车
CN218661847U (zh) 一种带固定机构的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