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229B1 -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229B1
KR101644229B1 KR1020140075677A KR20140075677A KR101644229B1 KR 101644229 B1 KR101644229 B1 KR 101644229B1 KR 1020140075677 A KR1020140075677 A KR 1020140075677A KR 20140075677 A KR20140075677 A KR 20140075677A KR 101644229 B1 KR101644229 B1 KR 10164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oupled
spraying
pesticid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998A (ko
Inventor
정휘정
이원태
오성한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정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정 filed Critical 정휘정
Priority to KR1020140075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22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수단에 장착되며, 액체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10)는 이송수단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노즐이 설치된 노즐지지대(12)로 구성되되, 상기 노즐지지대(12)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하부몸체(14)와, 상기 하부몸체(14)에 내입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몸체(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spray height control device for agricultural conveyance}
본 발명은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수단에 장착되며, 농약 등의 액체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병충해를 방지하고자 각종의 농약(살충제, 영양제 등 이하 '액체'라 칭함)을 분사하기 위하여 일정한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에 액체를 저장하여 등에 메고 이동하면서 분사기를 통하여 분사하거나 동력장치로부터 일정한 압력의 액체를 공급받아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분사대를 통하여 작물에 분사를 하고 있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70758(이동 및 분사능력을 향상시킨 농기구용 이동 정전분사장치)에 의하면, 상기 이동 및 분사능력을 향상시킨 농기구용 이동 정전분사장치는 압력을 가진 액체를 공급받아 분사하되, 분사되는 액체에 다량의 음(-)전하 또는 양(+)전하를 공급하여 분사된 액체가 음(-)전하 또는 양(+)전하가 띄도록 하전시킴으로써 분사된 액체가 비상하여 멀리 날아가지 않고 근처에 있는 농작물에 날아가도록 하는 것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1항에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가이드역할을 수행하는 수직프레임과;상기 수직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구가 형성된 제1 이동대와;상기 제1 이동대의 상측으로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있
도록 고정구이 형성된 제2 이동대와;상기 제1 이동대의 양측에 각각 회전하도록 설치되되, 다수의 정전분사노즐이 설치되고, 하측으로 액체 공급용 호스가 연결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양측에 위치하는 노즐대와; 상기 제2 이동대의 양측에 각각 일단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노즐대의 일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되, 수직프레임 양측에 위치하는 노즐대가 서로 다른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길이조절이 가능한 로드와; 상기 수직프레임 하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전방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이격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앞바퀴와; 상기 받침대 후방에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가이드부가 형성된 손잡이대와; 상기 손잡이대의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뒷바퀴와;상기 손잡이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정전분사노즐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장치와;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액체 공급용 호스으로 공급되어 분사되는 액체의 압력과 유량을 확인하는 압력계와 유량계를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및 분사능력을 향상시킨 농기구용 이동 정전분사 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29212호(분사노즐의 높이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이동용 분사장치)에 의하면, 상기 분사노즐의 높이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이동용 분사장치는 비닐하우스와 같이 좁은 공간이나 밭 또는 과수농장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분사액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편리하게 농작물에 분사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노즐대에 설치하고, 원하는 위치 및 각도에서 분사액이 분사노즐에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노즐대의 높이 및 각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장치와 각도조절장치가 형성된 분사장치와, 상기 분사 장치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분사 장치 하측에 양측의 바퀴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장치와 길이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동용 손잡이가 형성된 이동대로 구성된 분사노즐의높이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이동용 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노즐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장치와, 프레임 하측에 설치되어 노즐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로 이루어진 분사 장치와, 상기 분사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용 손잡이와 바퀴로 이루어진 이동대로 구성되는 것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의 보관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분사노즐의 높이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도 보관이 용이한 분사노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수단에 장착되며, 액체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10)는 이송수단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노즐이 설치된 노즐지지대(12)로 구성되되, 상기 노즐지지대(12)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하부몸체(14)와, 상기 하부몸체(14)에 내입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몸체(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사노즐의 높이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도 보관이 용이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의 측면도
도3은 도2의 베이스플레이트 및 노즐지지대 하부의 확대도
도4는 본 발명의 노즐지지대의 플렉시블와이어
도5는 본 발명의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의 측면사진
도6은 도5의 노늘지지대가 회동한 상태의 사진
도7은 도5의 클램프 확대사진
도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농약 살포용 대차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농약 살포용 대차의 배면도
도10은 도9의 구동부의 부분 확대도
도1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농약 살포용 대차의 구동부의 부분적인 개략도
도1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농약 살포용 대차의 사진
도1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농약 살포용 대차에 덮개가 탈거된 상태의 사진
도1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농약 살포용 대차의 제어반의 사진
도1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농약 살포용 대차의 제어반의 내부사진
본 발명은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수단에 장착되며, 액체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10)는 이송수단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노즐이 설치된 노즐지지대(12)로 구성되되, 상기 노즐지지대(12)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하부몸체(14)와, 상기 하부몸체(14)에 내입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몸체(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지지대(12)의 하부몸체(14)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의 측면도, 도3은 도2의 베이스플레이트 및 노즐지지대 하부의 확대도, 도4는 본 발명의 노즐지지대의 플렉시블와이어, 도5는 본 발명의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의 측면사진, 도6은 도5의 노늘지지대가 회동한 상태의 사진, 도7은 도5의 클램프 확대사진, 도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농약 살포용 대차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농약 살포용 대차의 배면도, 도10은 도9의 구동부의 부분 확대도, 도1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농약 살포용 대차의 구동부의 부분적인 개략도, 도1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농약 살포용 대차의 사진, 도1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농약 살포용 대차에 덮개가 탈거된 상태의 사진, 도1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농약 살포용 대차의 제어반의 사진, 도1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농약 살포용 대차의 제어반의 내부사진이다.
본 발명의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는 이송수단에 연결되어 농약 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것으로, 상기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는 이송수단의 전방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노즐이 설치된 노즐지지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노즐지지대의 중간부분에는 지지프레임이 연결되되, 지지프레임의 다른 끝단부는 이송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은 노즐지지대가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일단은 노즐지지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이송수단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노즐지지대가 관통되도록 하고, 이와 대응되는 노즐지지대의 외주면에는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57809929-pat00001
'형상인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지지프레임의 일단이 걸림돌기에 걸려짐으로써 지지프레임이 노즐지지대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이송수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노즐지지대가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노즐지지대는 베이스플레이트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되어진다.
사용자가 노즐지지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의 높이가 조절함에 따라 노즐지지대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도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이송수단의 실시예로 사용되는 농약 살포용 대차(100)의 본체프레임(110) 일측에는 수직단면이'
Figure 112014057809929-pat00002
'형상인 'ㄷ'자 앵글(114) 한 쌍이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ㄷ'자 앵글에 베이스플레이트의 양 끝단이 힌지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즐지지대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내입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몸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몸체의 외주면에는 클램프가 결합되어 상부몸체를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하부몸체의 베이스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며, 상부몸체는 하부몸체의 내부로 삽입 및 이탈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는 상부몸체를 상하로 이동시켜 원하는 만큼 삽입 및 이탈시킨 후, 클램프를 죄어 상부몸체를 고정시킨다.
또한, 도1 및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클램프에는 노즐대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노즐대의 외주연에는 액체가 분사되는 노즐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즐대의 상부는 상부몸체의 외주연에 고정되며, 하부는 하부몸체의 외주연에 결합되되, 노즐대의 하부는 클램프에 의해 하부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상부몸체 및 노즐대를 상하로 이동시켜 원하는 높이로 맞추고, 클램프를 죄어 상기 노즐대를 하부몸체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의 일부구간은 플렉시블 와이어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하부몸체를 구부림으로써 천장의 높이가 낮은 장소에서도 보관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의 외주연에는 고정로드가 결합되되, 상기 고정로드의 일단은 플렉시블 와이어의 상부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플렉시블와이어의 하부측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로드는 플렉시블 와이어 때문에 하부몸체가 상부몸체 및 노즐의 무게를 못견디고 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로드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착탈가능하도록 볼트 및 너트 등의 조임부재로 플렉시블 와이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곧, 사용자는 하부몸체를 구부릴 경우, 고정로드를 분리하여 하부몸체를 구부리게되고, 하부몸체를 수직방향으로 세워 사용할 경우, 고정로드를 결합하여 하부몸체가 구부러지지않고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하부몸체를 구부리 경우, 작업자는 하부몸체에 결합된 노즐대를 분리하거나, 또는 노즐대의 일부구간에도 블랙시블 와이어를 구성하여 함께 구부려서 보관할 수도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노즐지지대가 구부러졌을 경우, 상기 노즐지지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이송수단의 손잡이에 안착플레이트를 장착하였으며,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노즐지지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다른 실시례로서, 손잡이의 상면에 안착홈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송수단의 실시례로서 농약살포용 대차를 사용하며, 상기 농약 살포용 대차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와, 상기 본체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프레임은 구동부에 의해 이동되어지며, 상기 구동부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전방레일롤러와, 후방레일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레일롤러와 후방레일롤러는 각각 좌, 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레일롤러는 축의 양 끝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동시에 구동되며, 본 발명에서 전방레일롤러 및 후방레일롤러는 우레탄과 같은 고무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레일롤러와 후방레일롤러가 결합된 축들에는 스프로켓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스프로켓에 연결된 체인이 모터에 연결되므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전방레일롤러 및 후방레일롤러가 회전된다.
그리고 도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의 하부측에는 보조기어가 설치되어 하부에서 체인을 받쳐줌으로써 체인이 좀 더 안정적으로 회전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프로켓은 전방레일롤러 및 후방레일롤러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좌, 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전방레일롤러 및 후방레일롤러의 양 외측에는 각각 바퀴가 설치된다.
상기 전방레일롤러의 양 외측에는 전방바퀴가 설치되고, 후방레일롤러의 양 외측에는 후방바퀴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바퀴 및 후방바퀴는 좌, 우 한 쌍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바퀴 및 후방바퀴는 전방레일롤러 및 후방레일롤러와 별도로 구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베어링을 사용하여 바퀴와 레일롤러를 결합하였다.
또한, 상기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에는 중앙바퀴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중앙바퀴는 좌, 우 한 쌍으로 구성되며, 축의 양 끝단부에 좌, 우 한 쌍의 중앙바퀴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바퀴, 후방바퀴 및 중앙바퀴는 전방레일롤러 및 후방레일롤러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방레일롤러 및 후방레일롤러가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바퀴가 레일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역할을 한다.
또한, 레일이 아닌 일반적인 지면을 이동할 시에는 전방, 중앙, 후방바퀴룰 사용하여 본체프레임을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바퀴는 전방바퀴 및 후방바퀴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본체프레임을 이동시킬 때, 방향 전환이 유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후방바퀴는 전방바퀴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본체프레임을 이동시킬 때, 전방바퀴가 지면에 닿지 않고 살짝 들린 상태에서 구동되도록 한다.
즉, 전방바퀴와 중앙바퀴와 후방바퀴 중 중앙바퀴의 지름이 가장 크고, 그다음으로는 후방바퀴의 지름이 크며, 전방바퀴의 지름이 가장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바퀴는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사이에 설치되되, 전방바퀴측에 조금 더 가깝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본체프레임을 이동시킬 때 방향전환이 유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와 모터는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장공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모터에 연결된 체인이 관통홀을 관통하여 본체프레임 하부에 설치된 스프라켓에 걸려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와 모터가 안착된 본체프레임 상부에는 덮개가 덮혀지는 것으로, 상기 덮개의 상부에는 보조지지대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지지대는 지지대에 설치된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에 연결되는 호스나 노즐 등을 한번 더 고정시켜, 상기 호스 등을 깔끔하게 정리한다.
한편,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본체프레임을 이동시키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의 외측면에는 본 발명의 농약 살포용 대차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반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반은 박스형상이며, 외부측에는 대차의 이동방향과 농약이 살포되는 속도 및 시간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개의 기능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키 조작부가 구성된다. 제어반의 내부에는 상기 키 조작부에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모터 등과 같은 구동수단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PCB기판을 포함하는 제어부가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14을 참조하여 제어반에 구비된 기능스위치의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농약 살포용 대차를 사용하기 위해 작업자는 레일 상부에 농약 살포용 대차를 올려놓는다.
그 다음 일조량을 체크하여 모터속도조절버튼(174)과 농약살포선택버튼(175)과 농약살포시간버튼(176)을 각각 조작한 뒤 대차 전진버튼(171)을 누르게 된다.
상기 대차전진버튼이 눌러지면, 입력된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대차를 구동하게 하되,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모터가 구동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대차가 전진되는 것이다.
이 때, 수동농약살포버튼(178)은 정지로 설정되어 대차가 전진함에 따라 농약이 자동으로 살포되게 한다.
상기 모터속도조절버튼(174)은 대차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0부터 100까지 범위 내에서 10단위로 속도를 선택하도록 되어있으며, 모터속도조절버튼을 0으로 지정하면 대차가 움직이지 않고 100으로 지정하면 1분당 20m 이동하게 된다.
즉, 모터속도조절버튼이 지정하는 숫자가 10씩 커질수록 대차가 이동하는 거리는 1분당 2m씩 늘어난다.
또한, 농약살포선택버튼(175)은 농약이 살포되는 시기를 지정하는 것으로, 상기 농약살포선택버튼이 눌러지면, 입력된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로 농약을 공급하는 펌프를 구동하게 하되,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펌프가 구동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농약이 살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농약살포선택버튼은 전후진, 전진, 후진 총3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되어있으며, 농약살포선택버튼이 전후진으로 설정된 경우, 대차는 전,후진 할 때 모두 농약이 살포되고 농약살포선택버튼이 전진으로 설정된 경우 대차가 전진할 때만 농약이 살포되며, 농약살포선택버튼이 후진으로 설정된 경우, 대차는 후진 할 때만 농약이 살포되는 것이다.
또한, 농약살포시간버튼(176)은 대차가 이동하기 전에 농약이 살포되는 시간을 정하는 것으로, 작업자는 상기 농약살포시간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농약살포시간을 0~ 10초 까지 지정할 수 있으며, 농약살포시간이 0초일경우에는 대차가 이동하는 순간부터 농약을 살포하는 펌프가 구동되고, 농약살포시간이 10초일 경우에는 농약을 살포하는 펌프가 구동되고 10초 후에 대차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대차가 이동하기 전 농약이 살포되는 시간을 정하는 이유는 대차가 이동될 때, 농약이 외부로 즉각 살포되지 않고, 농약을 외부로 분사시키는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내부를 통과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본체프레임의 전방에는 탈선방지센서와 후진센서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탈선방지센서는 본 발명의 농약 살포용 대차가 레일을 탈선했을 경우, 이것을 인지하여 대차가 멈추도록 하는 것이고, 후진센서는 농약 살포용 대차가 레일의 끝단부에 다다랐을 때, 이것을 인지하여 대차가 후진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농약 살포용 대차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레일을 탈선하였을 경우 대차 및 살포작동은 자동으로 정지되며, 레일의 끝에 다다랐을 경우 대차는 후진하면서 양액 및 농약을 살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어반은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한 것으로, 대차전진버튼(171), 대차정지버튼(172), 대차후진버튼(173)을 누름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대차의 이동을 통제할 수 있고, 수동농약살포버튼(178)을 살포 또는 정지로 설정하여 필요에 따라 살포되는 동작을 조작할 수 있다.
즉, 상기 대차는 사용자가 대차전진버튼(171)을 누르면 전진하고, 대차정지버튼(172), 누르면 정지하고, 대차후진버튼(173)을 누르면 후진하게 되는 것이며, 대차정지버튼과 대차후진버튼은 주로 비상시에 사용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일조시간에 맞춰 농약 및 양액의 살포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농약 및 양액이 살포되는 작동시기를 본 발명의 농약 살포용 대차가 전진, 후진, 전진 및 후진 할 때 등 여러 가지 경우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농작물에 농약 및 양액이 살포되는 양은 농약 살포용 대차가 이동되는 속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상기 대차가 빠른속도로 전, 후진하게되면 농작물에는 비교적 적은 양의 농약 및 양액이 살포되고 느린속도로 전, 후진하게되면 농작물에는 비교적 많은 양의 농약 및 양액이 살포된다.
그리고 농작물의 성장정도와 크기에 따라 농약 및 양액의 양을 조절하게 되며, 농작물이 작을 땐 대차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하고, 클 땐 속도를 느리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농약 살포용 대차를 최고속도로 구동시켰을 경우 1분당 20m 이동하며, 일조량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농약 살포용 대차는 실시례로서 오전에는 1분당 14m~18m이동하고, 오후에는 1분당 8m~12m이동하는 것으로, 일조량이 부족한 오전에는 빠른속도로 이동하여 적은양의 농약을 살포하고, 일조량이 풍부한 오후에는 느린속도로 이동하여 비교적 많은 양의 농약을 살포한다.
상기 대차가 오전시간대에 1분당 14m미만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살포되는 농약의 양이 많아져서 약해(藥害,농약살포에 의해서 발생하는 유용 동식물에 대한 해)가 유발되며, 1분당 18m를 초과하여 이동할 경우에는 살포되는 농약의 양이 작아서 농약을 살포하는 효과가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대차가 오후시간대에 1분당 8m미만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살포되는 농약의 양이 많아져서 약해(藥害,농약살포에 의해서 발생하는 유용 동식물에 대한 해)가 유발되며, 1분당 12m를 초과하여 이동할 경우에는 살포되는 농약의 양이 너무 작아 농약을 살포하는 효과가 미비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농약처리 후 오후시간대와 같이 일조량이 많을 경우에는 광산화(빛의 흡수에 의해서 일어나는 산화)에 의해 엽록소가 파괴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사노즐의 높이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도 보관이 용이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11:베이스플레이트
12:노즐지지대 13:상부몸체
14:하부몸체 15:클램프
16:플렉시블와이어 17:지지프레임
18:안착플레이트 19:고정로드
20:노즐대 21:노즐
100:농약 살포용 대차
110:본체프레임 111:관통홀
112:후진센서 113:탈선방지센서
114:'ㄷ'자 앵글
120:손잡이
140:덮개 141:보조지지대
150:구동부 151:전방레일롤러
152:후방레일롤러
153a:전방스프로켓 153b:후방스프로켓
154:체인 155:전방바퀴
156:중앙바퀴 157:후방바퀴
158:축
51:배터리 52:모터
53:보조기어
170:제어반
171:대차전진버튼 172:대차정지버튼
173:대차후진버튼 174:모터속도조절버튼
175:농약살포선택버튼 176:농약살포시간버튼
177:대차전원공급버튼 178:수동농약살포버튼
179:배터리표시계

Claims (2)

  1. 이송수단에 장착되며, 액체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10)는 이송수단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노즐(21)이 설치된 노즐지지대(12)로 구성되되, 상기 노즐지지대(12)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하부몸체(14)와, 상기 하부몸체(14)에 내입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몸체(13)로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상부몸체(13)를 상하로 이동시켜 원하는 만큼 삽입 및 이탈시킨 후, 하부몸체(14)의 외주연에 결합된 클램프(15)를 죄어 하부몸체(14)에 내입된 상부몸체(13)를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이송수단은 농약살포용 대차(100)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농약살포용 대차(100)는 본체프레임(110)과,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120)와, 상기 본체프레임(110)을 이동시키는 구동부(150)로 구성되되,
    상기 구동부(150)는 배터리(51)와, 상기 배터리(5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52)와, 상기 모터(52)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전방레일롤러(151)와, 후방레일롤러(152)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레일롤러(151)와 후방레일롤러(152)는 각각 좌, 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후방레일롤러(151, 152)는 축(158)의 양 끝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동시에 구동되며,
    상기 전방레일롤러(151)와 후방레일롤러(152)가 결합된 축(158)에는 각각 전·후방스프로켓(153a, 153b)이 결합되며, 상기전·후방스프로켓(153a, 153b)에 연결된 체인(154)이 모터(52)에 연결되므로 모터(52)의 구동력에 의해 전방레일롤러(151) 및 후방레일롤러(152)가 회전되는 것이고,
    상기 모터(52)의 하부측에는 보조기어(53)가 설치되어 하부에서 체인(154)을 받쳐줌으로써 체인(154)이 안정적으로 회전되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전·후방스프로켓(153a, 153b)은 전방레일롤러(151) 및 후방레일롤러(152)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좌, 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전방레일롤러(151) 및 후방레일롤러(152)의 양 외측에는 각각 바퀴(155, 157)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레일롤러(151)의 양 외측에는 전방바퀴(155)가 설치되고, 후방레일롤러(152)의 양외측에는 후방바퀴(157)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바퀴(155) 및 후방바퀴(157)는 좌, 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전방바퀴(155)와 후방바퀴(157)는 각각 전방레일롤러(151) 및 후방레일롤러(152)와 별도로 구동되도록 베어링을 사용하여 서로 결합되며,
    상기 전방바퀴(155)와 후방바퀴(157) 사이에는 중앙바퀴(156)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바퀴(155), 후방바퀴(157) 및 중앙바퀴(156)는 전방레일롤러(151) 및 후방레일롤러(152) 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방레일롤러(151) 및 후방레일롤러(152)가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전방·중앙·후방바퀴(155, 156, 157)가 레일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역할을 하고,
    레일이 아닌 일반적인 지면을 이동할 시에는 전방, 중앙, 후방바퀴(155, 156, 157)를 사용하여 본체프레임(110)을 이송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중앙바퀴(156)는 전방바퀴(155) 및 후방바퀴(157)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되, 상기 후방바퀴(156)는 전방바퀴(155)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잡이(120)를 잡고 본체프레임(110)을 이동시킬 때, 전방바퀴(155)가 지면에 닿지 않고 중앙바퀴(156)와 후방바퀴(157)만 지면에 닿아 이동하기 때문에 방향전환이 쉬우며,
    상기 노즐지지대(12)의 하부몸체(14)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이며,
    상기 노즐지지대(12)의 중간부분에는 지지프레임(17)이 연결되되, 상기 지지프레임(17)의 다른 끝단부는 이송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7)은 노즐지지대(12)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하부몸체(14)의 일부 구간은 플렉시블 와이어(16)가 구성되고, 상기 이송수단의 손잡이에는 상면에 노즐지지대(12)가 구부러졌을 경우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플레이트(18)를 장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하부몸체(14)를 구부림으로써 천장의 높이가 낮은 장소에서도 보관이 용이하게 하도록 하되,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16)는 고정로드(19)에 의해 하부몸체(14)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졌을 경우 휘지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로드(19)는 막대형상으로서 상·하단이 플렉시블 와이어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볼트와 너트 같은 조임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장치.
  2. 삭제
KR1020140075677A 2014-06-20 2014-06-20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 KR101644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677A KR101644229B1 (ko) 2014-06-20 2014-06-20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677A KR101644229B1 (ko) 2014-06-20 2014-06-20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998A KR20150145998A (ko) 2015-12-31
KR101644229B1 true KR101644229B1 (ko) 2016-07-29

Family

ID=5512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677A KR101644229B1 (ko) 2014-06-20 2014-06-20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2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187B1 (ko) * 2019-03-08 2019-12-06 조근현 폭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농약살포장치
KR20230091417A (ko) 2021-12-16 2023-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흔들식 약제살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574586B1 (ko) * 2023-02-07 2023-09-06 주식회사 에이비씨에프엑스 인공적인 눈효과 연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457A1 (ko) * 2019-01-14 2020-07-23 정용환 농약 살포장치
KR102489003B1 (ko) * 2020-11-12 2023-01-16 김경준 휠간 폭 조절이 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KR102387474B1 (ko) * 2022-01-11 2022-04-14 이원태 레일 이동식 자동 방제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540Y1 (ko) 2005-08-09 2005-10-25 박승진 분사노즐의 높이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이동용 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12B1 (ko) * 2006-06-07 2007-06-19 박승진 분사노즐의 높이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이동용 분사장치
KR20100113955A (ko) * 2009-04-14 2010-10-22 김성규 수레형 이동 방제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540Y1 (ko) 2005-08-09 2005-10-25 박승진 분사노즐의 높이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이동용 분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187B1 (ko) * 2019-03-08 2019-12-06 조근현 폭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농약살포장치
KR20230091417A (ko) 2021-12-16 2023-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흔들식 약제살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574586B1 (ko) * 2023-02-07 2023-09-06 주식회사 에이비씨에프엑스 인공적인 눈효과 연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998A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229B1 (ko) 농약살포용 분무기의 높이조절 장치
KR101218732B1 (ko) 자주형 농기구용 정전분사장치
KR102388072B1 (ko) 농약 살포 장치
KR101565636B1 (ko) 주행형 자동 방제기
KR101762929B1 (ko) 무인 방제기
KR101368090B1 (ko) 농약 살포용 대차 운용방법
KR101469661B1 (ko) 약재 살포용 운반차
KR101661707B1 (ko) 무선조종 방제 장치
CN107372433B (zh) 一种风送施药装置及方法
JP6778789B1 (ja) 温室用液体散布装置
KR20060121573A (ko)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형 시설의 농약 자동살포장치
KR101386924B1 (ko) 수레형 방제 분무기
KR101368008B1 (ko) 농약 살포용 대차
KR20150122932A (ko) 살포용 무인방제기
CN202603459U (zh) 一种手推独轮式多用电动喷雾车
CN203748506U (zh) 一种行走式喷杆喷雾机
KR102030410B1 (ko) 자동살포장치
KR101752769B1 (ko) 관리기 부착형 약제 살포장치
KR20140103231A (ko) 온실용 방제장치
JP7179480B2 (ja) レール走行車運搬台車
KR101895127B1 (ko) 관리기장착형 제초제 집중살포기
CN220384086U (zh) 一种病虫害防治用药物喷洒设备
KR20150144007A (ko) 주행형 자동 방제기 모듈 타입
JP3038254U (ja) 茶園等の管理装置
KR102571232B1 (ko) 비닐하우스 농약 살포용 운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