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092B1 -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 - Google Patents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092B1
KR102239092B1 KR1020190154877A KR20190154877A KR102239092B1 KR 102239092 B1 KR102239092 B1 KR 102239092B1 KR 1020190154877 A KR1020190154877 A KR 1020190154877A KR 20190154877 A KR20190154877 A KR 20190154877A KR 102239092 B1 KR102239092 B1 KR 102239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haft
frame
whee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식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이원식
이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식, 이현석 filed Critical 이원식
Priority to KR1020190154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5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all driven wheels being steer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43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21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 B62D5/0424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the axes of motor and final driven element of steering gear, e.g. rack, being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2Four wheel driv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는 후방지지프레임(71)을 구비하는 차체프레임부(70);와 후방지지프레임(71)의 끝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프레임(81);과 상기 연결프레임(81)과 연결축(82)으로 연결되고, 하부에는 조향축 지지브래킷(25)이 설치되는 장치프레임(46);과 상기 조향축 지지브래킷(25)에 결합되는 조향축(21)과 상기 조향축(21)에 연결 설치되는 조향로드(32)와 조향핸들(22)을 구비하는 조향장치;와 상기 장치프레임(46)의 양쪽 끝 부분에 배치되는 조향회전부(40)와 상기 조향회전부(40)의 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구동모터부(50); 및 상기 구동모터부(50)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바퀴(W)로 전달하는 구동기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Four-wheel Independent Driving Electric Cart}
본 발명은 사륜이 독립 구동하는 전동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농업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비닐 등으로 멀칭(mulching)한 농경지 또는 이랑이나 둔덕이 형성된 지형에서 바퀴의 구동 및 조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이나 농자재의 운반용이나 농약 살포용으로 소형의 동력 운반차가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농업용 동력 운반차는 농경지처럼 험한 지형에서도 중량물을 운반하기 쉽도록 큰 토크를 발휘하며 저속운전에 적합하도록 제조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좋은 전기 구동모터를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사륜 구동 전동운반차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농업용 사륜 구동 전동운반차들은, 한 쌍의 전방 바퀴 및/또는 한 쌍의 후방 바퀴를 구동모터에 연결된 차동장치를 설치한 드라이브 샤프트로 구동하는 방식이 많이 이용된다.
드라이브 샤프트에 차동장치를 장착한 농업용 사륜 구동 전동운반차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275981호는 ‘도면 14’에 도시된 형식의 것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농업용 사륜 구동 전동운반차는 차동기어 잠금장치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미끄럽거나 파인 곳이 흔한 농경지에서 운행할 때 차동장치의 특성상 바퀴가 헛도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그리고 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에 유니버설 조인트를 적용한 경우에는, 조향 시 조향각도를 크게 하기 어렵다.
도 5는 상기 종래 기술의 후륜 조향장치를 단순화해서 그린 개념도이고, 도 6은 종래기술의 후륜 조향장치로 조향 시 뒷바퀴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서 거리 A는 바퀴(W)가 조향 회전할 때에 회전중심(4)과 바퀴 중심(O) 사이의 거리이다. 길이 B는 운전자가 조향핸들(1)을 잡는 손의 위치에서 조향로드(3)까지 길이로서, 조향 운전할 때 운전자가 힘을 주어 움직여야 하는 조향축(2)의 길이와 비슷하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차체(6)를 우회전하기 위해 조향핸들(1)로 조향축(2)을 오른쪽으로 선회시키면 조향축(2) 말단에 링크된 좌측 조향로드(3)는 당겨지고 우측 조향로드(3)는 밀려난다. 이에 따라 조향로드(3)들의 타단에 각각 고착되어 있는 축잡이(5)들도 당겨지거나 밀려나서 회전중심(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결국 축잡이(5)에 연결되어 있는 바퀴(W)는 최초 위치 w1에서 w2의 조향 위치로 선회 이동하게 된다.
이 종래기술에서 조향 시 바퀴(W)가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은 점선 빗금으로 표시된 면적(S)이 되며, 이 접촉면에서는 바퀴와 지면 사이에 큰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바퀴(W)의 조향 회전중심(4)이 바퀴가 지면에 접촉하는 바퀴 중심(O)과 이격되어 있으면, 바퀴가 조향을 위해 회전하는 동안 지면과 마찰하는 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농경지에서는 지면에 멀칭한 비닐이나 농작물이 바퀴에 의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조향방식은 바퀴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이 크게 발생하므로 조향 토크가 커지고 조향 조작에 힘이 많이 들게되어 노령자가 많은 농촌 현실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조향축(2)의 길이가 길어 차체 길이가 길어지는 단점이 발생하고, 조향 핸들조작 시 운전자가 좌우로 크게 움직여야 하는 불편도 생긴다.
특허등록 제10-1275981호 (공고일:2013.06.2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퀴의 조향 회전중심축 상에 바퀴 중심을 일치시켜서, 바퀴가 조향 회전할 때 지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조향토크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동력 구동과 조향이 동시에 이루어져 조향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조향장치와 바퀴의 상하 요동을 담당하는 틸팅장치를 한 몸체에 유기적으로 결합 구성함으로써 전체 장치 구조를 간소화한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을 추가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는, 상부에 적재함을 올려놓을 수 있는 차체프레임과 상기 차체프레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차체프레임부;와 상기 후방지지프레임의 끝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결축으로 연결되고, 하부에는 조향축 지지브래킷이 설치되는 장치프레임;과 상기 조향축 지지브래킷에 결합하는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에 연결 설치되는 조향로드와 조향핸들을 구비하는 조향장치;와 상기 장치프레임의 양쪽 끝 부분에 배치되는 조향회전부;와 상기 조향회전부의 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구동모터부; 및 상기 구동모터부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구동기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향장치에서 조향축과 조향로드의 연결은, 한쪽은 조향축에 고정 결합되고, 반대쪽은 조향로드의 로드엔드가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링크브래킷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결축으로 연결되는 장치프레임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축은 힌지축으로 구성하고, 상기 장치프레임은 상기 연결프레임과 간극을 두고 설치하여, 상기 장치프레임의 좌우 측이 연결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요동 가능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향회전부는, 상기 장치프레임의 양쪽 끝 부분에 설치된 베어링;과 한쪽에 힌지축 구멍이 형성되고, 옆쪽에는 조향로드를 연결하는 돌출편이 형성된 힌지축 장착구; 및 상기 베어링의 축구멍과 힌지축 장착구의 힌지축 구멍을 함께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향힌지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때 상기 조향회전부는, 조향힌지축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이 바퀴의 바퀴 중심을 통과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는 바퀴의 조향 회전중심축 상에 바퀴 중심이 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조향 시 바퀴와 지면 사이의 마찰면적이 작게 발생하며 요구되는 조향토크의 크기도 감소한다. 또한, 조향 핸들로 회전시켜야 하는 조향축의 길이가 짧아서, 조향 핸들로 회전시킬 때 힘이 적게 들고, 조향축 길이로 인한 차체 길이 증가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향 회전하는 바퀴를 동시에 동력 구동시킴으로써 조향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은 고령자나 여성 농민들도 적은 힘으로 운전할 수 있으며, 조향 중에 바퀴가 지면에 포설된 멀칭 비닐을 찢거나 농작물을 훼손하는 일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향장치와 조향 바퀴의 상하 요동을 담당하는 틸팅장치를 한 몸체에 유기적으로 결합 구성함으로써, 전체 장치 구조를 간소화하였으며, 틸팅 효과로 운반 중인 수확물 등이 요철 등에 의한 충격으로 손상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사륜 독립 구동 방식을 사용하므로, 바퀴가 미끄러운 지면이나 함몰부에 빠지더라도 헛돌지 않고 손쉽게 탈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향장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후륜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향 운전 시 바퀴의 작용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기술의 조향장치 개념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의 조향 운전 시 바퀴의 작용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어들은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참작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 '하', '앞', '뒤', '좌, '우', '선단', '후단', '전방', '후방'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이 되었다고 기재한 경우는, 중간 매개 구성요소를 통한 간접적 방법으로 이루어진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의 전체적인 구성을 후륜 쪽에서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의 조향장치와 후륜 구동부의 주요 부분을 각각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의 특징을 보여주는 핵심 기술은 3개의 큰 구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후방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차체프레임부과 후방지지프레임 부착되며 뒷바퀴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조향장치 및 한 쌍의 뒷바퀴를 각각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독립구동장치가 그것이다.
차체프레임부(70)는 전방에 한 쌍의 앞바퀴를 각각 독립구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륜구동부(미도시)가 설치되며, 상부에는 적재함(10)을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데, 이 부분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차체프레임부(70)의 후방 상단에는 역기역자 형태를 갖는 한 쌍의 후방지지프레임(71)이 소정 간격을 두고 후방을 향해 연장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후방지지프레임(71)의 끝 부분은 연결프레임(81)으로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연결프레임(81)은 상면이 후방지지프레임(71)에 용접 결합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는 기다란 프레임이다.
연결프레임(81)의 중앙 하단에는 연결축(82)이 관통 설치되는데, 이 연결축(82)은 후술하는 장치프레임(46)을 동시에 관통하므로, 결국 연결프레임(81)에 장치프레임(81)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조향장치는 장치프레임(46), 조향축(21), 조향로드(32)와 조향핸들(22) 및 조향회전부(4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해 보면, 장치프레임(46)은 단면이 장방형이고 좌우로 긴 각파이프 형태로 구성하며, 좌우 측 끝 부분에는 베어링(43)을 설치하고, 중앙부에는 연결축(82) 삽입을 위한 관통공을 형성한다. 그리고 중앙 하부에는 조향축 지지브래킷(25)을 용접 설치한다.
장치프레임(46)은 연결프레임(81)의 개방된 하부로 삽입된 후 연결축(82)으로 서로 결합되는데, 장치프레임(46)은 좌우 측 끝 부분에 설치된 베어링(43)이 연결프레임(81)과 접촉하지 않도록 연결프레임(81) 보다 길게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치프레임(46)의 상면이 연결프레임(81)의 상부와 간극(83)을 가지도록 결합시키는데, 이는 후술하는 틸팅작용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조향축 지지브래킷(25)은 후방이 장치프레임(46)에 용접 설치되는데, 전방 중앙 부분에 조향축(21)을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홈이 파여 있는 각파이프 형태의 판재로 구성한다.
짧은 길이의 봉 형태로 구성하는 조향축(21)은,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브래킷(24)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이 베어링 브래킷(24)을 상기 조향축 지지브래킷(25)에 고정 결합시키면, 조향축(21)과 장치프레임(46)은 조향축 지지브래킷(25)을 매개로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조향축(21) 상부에는 조향핸들(22)이 좌우로 뻗어 나오도록 결합되며, 이 조향핸들 상에는 조작스위치부(23)가 설치된다.
한편, 조향핸들(22)과 베어링브래킷(24) 사이의 조향축(21) 상에는 링크브래킷(31)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링크브래킷(31)은 양쪽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기다란 금속편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한쪽 관통공에는 상기 조향축(21)이 관통된 후 고정 결합되며, 다른 쪽 관통공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로드엔드(33) 연결공(34)들을 각각 상하로 배치한 후 볼트(미도시)로 체결한다. 이때 로드엔드(33)들은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조향축(21)은 종래기술의 조향축들보다 대단히 짧게 형성되므로, 조향축(21)을 회전시키기 위해 조향핸들(22)을 회전시키는 힘이 적게 들며, 노령자나 여성도 수월하게 조향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조향회전부(4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장치프레임(46)의 양쪽 끝 부분에 설치된 베어링(43)과 힌지축 장착구(41) 및 조향힌지축(42)을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힌지축 장착구(41)는 한쪽에 힌지축 구멍(45)이 형성되고 측부에는 조향로드(32)를 연결하는 돌출편(37)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힌지축 장착구(41)를 직육면체 상자 형태로 구성하였는데, 이러한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형가능하다.
조향힌지축(42)은 상기 베어링(43)의 축구멍과 힌지축 장착구(41)의 힌지축 구멍(45)을 함께 관통한 후 너트(44)로 결합된다. 따라서 힌지축 장착구(41)는 장치프레임(46) 아래에서, 베어링(43)에 끼워진 조향힌지축(42)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조향로드(32)와 돌출편(37)의 연결은 조향로드(32)의 로드엔드(33)에 형성된 연결공(34)과 돌출편(37)에 형성된 관통공을 일치시킨 후 연결볼트(35)와 너트(36)로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로드엔드(33)는 연결볼트(35)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조향힌지축(42)을 특정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발명의 주요 기술 사상으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조향힌지축(42)의 길이방향 중심축선 상의 임의의 위치에 조향 회전중심(O’)이 놓이게 되는데, 상기 조향힌지축(42)의 길이방향 중심축선 상에 바퀴의 정중앙인 바퀴 중심(O)이 오도록 조향힌지축(42)의 설치위치를 특정한다.
본 발명에서 한 쌍의 뒷바퀴를 각각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독립구동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독립구동장치는 구동모터부(50)와 구동기어부(60)로 구분된다.
구동모터부(50)는 힌지축 장착구(41)의 하부에 케이싱 형태로 부착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모터(51)와 감속기(52)가 수직으로 세워져 수용되며, 케이싱 하부로 모터축(53)이 돌출된다.
구동기어부(60)는 구동모터부(50)의 하부에 케이싱 형태로 부착 설치된다. 이 케이싱의 상면에는 모터축구멍(63)이 형성되고, 좌우 측면에는 바퀴축 관통구멍(66)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바퀴축 관통구멍(66) 안쪽의 케이싱 내면에는 베어링이 결합되어 있는 베어링브래킷(64, 65)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 좌우 측면의 바퀴축 관통구멍(66)으로 바퀴축(68)을 관통시킨 후, 바퀴축 끝 단면에 형성된 나사구멍(68-1)에 바퀴축 결합볼트(67)를 결합하면 바퀴(W)와 구동기어부(60)가 연결된다.
한편, 케이싱 내부로 상기 모터축구멍(63)을 통해 모터축(53)을 삽입한 후, 이 모터축(53)에 구동베벨기어(61)를 결합하고, 여기에 바퀴축(68)에 결합되어 있는 종동베벨기어(62)를 치합시키면, 모터(51)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바퀴(W)로 전달시킬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69는 구동기어부(60)의 케이싱 측면으로 돌출된 바퀴축 끝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측면커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는 조향 바퀴인 뒷바퀴에 틸팅기능을 부여하는 틸팅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틸팅장치는 연결프레임(81)과 장치프레임(46) 및 연결축(82) 사이의 특정한 결합관계에서 구현된다.
즉 본 발명은, 연결프레임(81)과 연결축(82)으로 연결되는 장치프레임(46)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82)을 힌지축으로 구성하고, 상기 장치프레임(46)은 상기 연결프레임(81)과 간극(83)을 두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장치프레임(46)이 좌우 측이 연결축(82)을 중심으로 간극(83)만큼 상하로 요동 가능해진다.
이렇게 장치프레임(46)의 좌우 측이 상하로 요동하면, 여기에 조향힌지축(42)으로 결합되어 있는 힌지축 장착구(41), 구동모터부(50), 구동기어부(60) 및 바퀴(W)도 같이 상하로 요동하므로, 결국 바퀴에 틸팅기능을 구현 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향 운전 시 바퀴에 일어나는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차체를 좌우로 조향하기 위하여, 조향핸들(22)을 돌리면 조향축(21)도 같이 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조향축(21)이 좌우로 회전하면 조향축(21)에 고정 결합한 링크브래킷(31)도 같이 회전하므로, 한 쌍의 조향로드 로드엔드(33)가 결합되어 있는 링크브래킷(31)의 로드엔드 결합부(38)는 화살표 a처럼 선회하게 된다.
로드엔드 결합부(38)가 선회함에 따라 좌측 조향로드(32)는 밀리면 우측 조향로드(32)는 당겨지고, 반대로 좌측 조향로드(32)는 당겨지면 우측 조향로드(32)는 밀려난다. 이에 따라 조향로드(32)의 타단 로드엔드(33)에 연결되어 있는 힌지축 장착구(41)에도 역시 밀리거나 당겨지는 힘이 작용한다.
이렇게 조향로드(32)로부터 힌지축 장착구(41)가 힘을 받으면, 힌지축 장착구(41)는 화살표 b처럼 조향힌지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힌지축 장착구(41)는 구동모터부(50), 구동기어부(60) 및 바퀴(W)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바퀴(W)를 조향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조향힌지축(42)의 길이방향 중심축선 상에 바퀴의 정중앙인 바퀴 중심(O)이 오도록 바퀴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퀴(W)는 조향회전 시 거의 제자리에서 화살표 c처럼 회전하게 되므로 바퀴(W)와 지면 사이의 마찰면적은 매우 작게 형성된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 바퀴(W)의 조향 회전중심(4)이 바퀴 중심(O)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바퀴(W)가 지면과 접촉하는 빗금 표시 면적(S)처럼 넓게 형성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파악되어야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라면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적재함
20 : 조향핸들부
21 : 조향축 22 : 조향핸들
23 : 조작스위치부 24 : 베어링브래킷
25 : 조향축 지지브래킷
30 : 조향링크부
31 : 링크브래킷 32 : 조향로드
33 : 로드엔드 34 : 연결공
35 : 연결볼트 36 : 너트
38 : 로드엔드 결합부
40 : 조향회전부
41 : 힌지축 장착구 42 : 조향힌지축
43 : 베어링 44 : 너트
45 : 힌지축 구멍 46 : 장치프레임
50 : 구동모터부
51 : 모터 52 : 감속기
53 : 모터축
60 : 구동기어부
61 : 구동베벨기어 62 : 종동베벨기어
63 : 모터축 구멍 64, 65 : 베어링브래킷
66 : 바퀴축 관통구멍 67 : 바퀴축 결합볼트
68 : 바퀴축 68-1 : 나사구멍
69 : 측면커버
70 : 차체프레임부
71 : 후방지지프레임
80 : 틸팅부
81 : 연결프레임 82 : 연결축
83 : 간극
W : 바퀴

Claims (5)

  1. 상부에 적재함(10)을 올려놓을 수 있는 차체프레임과 상기 차체프레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지지프레임(71)을 구비하는 차체프레임부(70);
    상기 후방지지프레임(71)의 끝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프레임(81);
    상기 연결프레임(81)과 연결축(82)으로 연결되고, 하부에는 조향축 지지브래킷(25)이 설치되는 장치프레임(46);
    상기 조향축 지지브래킷(25)에 결합되는 조향축(21)과 상기 조향축(21)에 연결 설치되는 조향로드(32)와 조향핸들(22)을 구비하는 조향장치;
    상기 장치프레임(46)의 양쪽 끝 부분에 배치되는 조향회전부(40);
    상기 조향회전부(40)의 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구동모터부(50);
    상기 구동모터부(50)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바퀴(W)로 전달하는 구동기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에서 조향축(21)과 조향로드(32)의 연결은,
    한쪽은 조향축(21)에 고정 결합되고, 반대쪽은 조향로드(32)의 로드엔드(33)가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링크브래킷(3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81)과 연결축(82)으로 연결되는 장치프레임(46)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82)은 힌지축으로 구성하고, 상기 장치프레임(46)은 상기 연결프레임(81)과 간극(83)을 두고 설치하여,
    상기 장치프레임(46)의 좌우 측이 연결축(82)을 중심으로 상하로 요동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회전부(40)는,
    상기 장치프레임(46)의 양쪽 끝 부분에 설치된 베어링(43);
    한쪽에 힌지축 구멍(45)이 형성되고, 측부에는 조향로드(32)를 연결하는 돌출편(37)이 형성된 힌지축 장착구(41); 및
    상기 베어링(43)의 축구멍과 힌지축 장착구(41)의 힌지축 구멍(45)을 함께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향힌지축(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회전부(40)는,
    조향힌지축(42)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이 바퀴(W)의 바퀴 중심(O)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
KR1020190154877A 2019-11-27 2019-11-27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 KR102239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877A KR102239092B1 (ko) 2019-11-27 2019-11-27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877A KR102239092B1 (ko) 2019-11-27 2019-11-27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092B1 true KR102239092B1 (ko) 2021-04-12

Family

ID=7543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877A KR102239092B1 (ko) 2019-11-27 2019-11-27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0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616B1 (ko) * 2022-12-15 2023-06-07 김광철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
KR102603606B1 (ko) 2022-06-28 2023-11-16 이현석 전동운반차의 조향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640U (ko) * 2009-12-01 2011-06-09 주식회사 공성 농업용 전동 작업차
KR101275981B1 (ko) 2012-11-29 2013-06-20 주식회사 공성 차동기어장치를 이용한 운반차
KR101334304B1 (ko) * 2012-06-15 2013-12-02 근우테크 주식회사 틸팅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
JP2014210527A (ja) * 2013-04-19 2014-11-1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KR20180039544A (ko) * 2017-01-10 2018-04-18 (주) 대경엔지니어링 독립운전이 가능한 트레일러형 전동운반기
KR101849995B1 (ko) * 2016-10-27 2018-04-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농업용 로봇형 차량의 조향장치
KR20190004926A (ko) * 2017-07-05 2019-01-15 박영효 농기계 차량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640U (ko) * 2009-12-01 2011-06-09 주식회사 공성 농업용 전동 작업차
KR101334304B1 (ko) * 2012-06-15 2013-12-02 근우테크 주식회사 틸팅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
KR101275981B1 (ko) 2012-11-29 2013-06-20 주식회사 공성 차동기어장치를 이용한 운반차
JP2014210527A (ja) * 2013-04-19 2014-11-1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KR101849995B1 (ko) * 2016-10-27 2018-04-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농업용 로봇형 차량의 조향장치
KR20180039544A (ko) * 2017-01-10 2018-04-18 (주) 대경엔지니어링 독립운전이 가능한 트레일러형 전동운반기
KR20190004926A (ko) * 2017-07-05 2019-01-15 박영효 농기계 차량의 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606B1 (ko) 2022-06-28 2023-11-16 이현석 전동운반차의 조향장치
KR102541616B1 (ko) * 2022-12-15 2023-06-07 김광철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092B1 (ko)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
US7967101B2 (en) Combination drive and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US5413364A (en) Sulky for self-propelled lawn mower
US8789646B2 (en) Steering apparatus of for a tractor
CA2618175C (en) Steering for towed implements
ATE520384T1 (de) Rollstuhl mit mittenradantrieb
CA2750951C (en) All wheel 180-degree steer transport
WO2021250696A1 (en) An all-terrain utility vehicle and methods thereof
US2918300A (en) Caster wheel assembly for a disc tiller
US6619680B2 (en) Agricultural wagon having all-wheel steering
EP3119667B1 (en) Articulated vehicle
KR101772978B1 (ko) 농업용 운반차의 바퀴 장착장치
US6517097B1 (en) Towing device for an agricultural apparatus
US20080053717A1 (en) Utility vehicle with multiple axle steering
KR101657034B1 (ko) 무한궤도 타입의 주행장치를 갖는 경운기
CA2539518C (en) Slow response steering connection assembly
US3286781A (en) Articulated vehicle with pivotable frame steering
KR200171146Y1 (ko) 동력 운반차의 롤링장치
KR200216301Y1 (ko) 농업기계용 차량의 조향장치
KR20220058043A (ko) 틸팅 잠금장치를 구비한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
KR100658803B1 (ko) 유압변속기 조작부
JPS599392B2 (ja) トラクタ
JP4432026B2 (ja) 農業用トレーラ構造
US20020175014A1 (en) Three-wheeled recreational vehicle
US20190193493A1 (en) Lawn mower c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