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803B1 - 유압변속기 조작부 - Google Patents

유압변속기 조작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803B1
KR100658803B1 KR1020050102639A KR20050102639A KR100658803B1 KR 100658803 B1 KR100658803 B1 KR 100658803B1 KR 1020050102639 A KR1020050102639 A KR 1020050102639A KR 20050102639 A KR20050102639 A KR 20050102639A KR 100658803 B1 KR100658803 B1 KR 100658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transmission
vertical member
fixing
hole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호병
황선국
박성제
Original Assignee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2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된 유압변속기 조작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업기를 갖는 작업용 차량에 구비된 유압변속기 조작부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일측에 구비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식 수직부재;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장치;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유압변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변속기 조작부를 제공한다.
트랙터, 유압변속기, 조작부, 회전식수직부재

Description

유압변속기 조작부{handling part for oil pressure transmission}
도 1은 일반적인 트랙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압변속기 조작부가 설치된 작업용 차량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변속기 조작부가 설치된 작업용 차량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변속기 조작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변속기 조작부에 적용되는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변속기 조작부에 적용되는 회전식 수직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변속기 조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압변속기 조작부 20 : 고정부
21 : 결합부 21a : 제1홀
21b : 제2홀 22 : 연결부
23 : 체결홀 30 : 회전식 수직부재
31 : 가이드홀 34,35 ; 회전가이드홀
40 : 고정장치 41 : 레버
42 : 마찰부 44 : 체결돌기
50 : 유압변속기 52 : 유압관 연결부
60 : 길이조절부재
본 발명은 농기계를 비롯한 작업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조작이 가능한 유압변속기 조작부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대면적화된 농지를 경작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농기계를 비롯한 작업용 차량이 사용되고 있으며, 단일의 차량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의 유압장치가 탑재되고 있다.
특히, 작업기 등을 끌고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트랙터는 단순히 작업기를 끌 뿐만 아니라 동력유도장치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버켓 등의 작업기를 구동시켜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수행하는 이동동력원으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트랙터는 농업용·임업용·공업용·군용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2륜 보행용 트랙터('경운기'라고도 함)와 4륜 승용 트랙터로 구분된다.
이하,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업기 및 유압변속기 조작부를 갖는 작업용 차량의 대표적인 일예로서 승용 트랙터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4륜 승용 트랙터를 나타낸 외관 측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랙터는 전방에 돌출되어 엔진이 장착되는 엔진부(3)가 구비되고, 상기 엔진부(3)의 후방에는 운전석이 구비되는 탑승부(7)가 설치된다. 상기 탑승부(7)의 전방에는 운전자가 전방시야를 관찰할 수 있도록 윈도우(W)가 설치되고, 상기 탑승부(7)의 양측방에는 도어(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트랙터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흙을 퍼내거나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버켓 등과 같은 작업기(6a,6b)가 장착되고, 상기 작업기(6a,6b)의 작동은 상기 탑승부의 내측에 구비된 유압변속기 조작부(8)에 의하여 제어된다.
도 2는 트랙터의 탑승부 내부공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탑승부 내부에는 운전자가 착석할 수 있는 운전석(4)이 구비되고, 상기 운전석(4)의 전방에는 조향장치 및 계기판를 비롯한 각종의 운전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운전석(4)의 전방 일측에는 유압변속기 조작부(8)가 설치되는데,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8)는 상기 트랙터에 연결되어 화물을 운반하는 버켓 등과 같은 작업기를 구동하는 유압장치의 작동을 조작하도록 유압제어라인과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8)는 운전석(4)에 착석한 운전자의 손이 미치도록 상기 탑승부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지지프레임(8a)의 상단에 구비되고, 운전자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유압변속기(8b)를 상하 또는 좌우로 조작함에 따라서 작업기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운전자의 체형에 맞도록 위치를 수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최초 설계시 큰 체형의 운전자를 기준으로 상기 조작부가 배치된 경우 왜소한 체형의 운전자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기 불편하였다.
둘째,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가 탑승부의 일측에 구비된 트랙터가 측방으로 좌초되어 운전자가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가 배치된 측의 도어를 통하여 비상탈출하여야 하는 경우에,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에 걸려서 비상탈출하기 어려워 인명피해의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작업용 차량의 일측이 건물의 벽면에 인접하여 주차되어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가 배치된 측의 도어를 통하여 운전자가 하차하여야 하는 경우에, 상기 유압변속기로 인하여 하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하기 편리하고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압변속기 조작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업기를 갖는 작업용 차량에 구비된 유압변속기 조작부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일측에 구비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식 수직부재;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 정장치;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유압변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변속기 조작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는 상기 고정부 및 고정장치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 및 고정장치 사이에 클램핑됨으로써 선택적으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부에 나사 결합되어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가지고,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장치는 운전자에 의하여 회전조작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홀로 삽입됨에 따라서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의 측면에 마찰접촉되는 마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의 상부에는 한쌍의 회전가이드홀이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압변속기는 상기 회전가이드홀에 각각 결합되는 볼트부재에 의하여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작업용 차량의 일측에 볼트체결되는 제1홀과, 상기 제1홀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좌우방향으로 원하는 각도에서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회전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제2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와 상기 유압변속기의 사이에는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변속기 조작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변속기 조작부가 설치된 트랙터의 탑승부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변속기 조작부(10)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업기를 갖는 트랙터 등과 같은 작업용 차량의 운전석(4) 일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10)는 고정부(20), 회전식 수직부재(30), 고정장치(40), 그리고 유압변속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20)는 운전석(4)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의 하부는 상기 고정부(20)에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의 상부에는 상기 유압변속기(50)가 고정배치된다.
상기 유압변속기(50)가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를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소정각도 회전시킨뒤, 상기 고정장치(40)를 사용하여 회전식 수직부재(30)를 소정각도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는 상기 고정부(20) 및 고정장치(40)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장치(40)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가 상기 고정부(20) 및 고정장치(40) 사이에 클램핑됨으로써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운전자의 체형에 맞도록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의 각도를 조절하 여 작업의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전복시 또는 주차시 일측의 도어(5)가 막혀서 반대측 도어로 하차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장치(40)를 해제한 후 회전식 수직부재(30)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하차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작업용 차량의 운전석 일측에 구비되는데, 상기 운전석(4)의 바닥부 또는 운전석의 전면부와 상기 고정부(2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고정부(20)는 운전석 일측의 전방부 또는 바닥부에 배치된 차체 프레임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결합부(21)와, 상기 결합부(21)에서 밴딩되어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와 연결되는 연결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1)와 연결부(22)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밴딩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1)에는 상기 작업용 차량의 차체 프레임 등에 볼트체결되는 제1홀(21a)과, 상기 제1홀(21a)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어 원하는 각도에서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 형상의 제2홀(21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홀(21a)에 볼트를 느슨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0)를 원하는 각도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하는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제2홀(21b)에 볼트를 단단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홀(21a) 및 제2홀(21b)에 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 기 고정부(20)의 좌우각도가 조절가능하므로,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를 전체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원하는 각도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2)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의 하단이 힌지결합 등의 방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의 회전기준점으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는 상기 회전기준점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전후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의 상부에는 유압변속기(50)가 고정되는데,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압변속기(50)의 하부면에는 작업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와 연결된 케이블선(90)이 연결되는 유압부재(52)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유압변속기(50)의 상부에 연결된 로드(54)의 상단에는 작업기 등의 유압장치를 제어하도록 좌우/전후로 조작되는 손잡이(5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에서 상기 회전기준점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가이드홀(31)이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홀(31)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장치(40)의 체결돌기(44)가 삽입된다. 상기 체결돌기(44)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는 상기 고정부(20)에 형성된 체결홀(23)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의 회전시 상기 체결돌기(23)가 상기 가이드홀(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을 안내하므로 원활한 회전을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20)를 차체 프레임에 결합시 좌우방향으로 원하는 각도에 고정시키고,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를 전후방향으로 원하는 각도에 고정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20) 및 회전식 수직부재(30)를 운전자의 체형 또는 기호에 맞게 원하는 각도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유압변속기의 조작 편의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는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40)는 레버(41), 체결돌기(44), 그리고 마찰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버(41)는 운전자가 상기 체결돌기(44)를 회전조작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레버(41)의 일측에는 돌출된 체결돌기(44)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44)의 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20)에 형성된 체결홀(도 4a의 23)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결합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장치(40)와 고정부(20)의 사이에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장치(40)의 체결돌기(44)가 체결홀(23)에 결합되어 삽입될수록,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는 상기 고정장치(40)와 고정부(20)의 사이에 클램핑되어 더이상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장치(40)의 레버(41) 내측에 구비된 마찰부(42)는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에 형성된 가이드홀(31)의 테두리에 밀착된다.
즉, 운전자가 상기 레버(41)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체결돌기(44)는 체결홀(23)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를 따라서 회전되면서 삽입되고,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는 상기 고정장치의 마찰부(42)와 상기 고정부(20)의 사이에 클램핑됨으로써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42)는 상기 레버(41)와 동일한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이 까칠까칠한 마찰면이 형성되거나 고무재질이 포함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수직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의 하단에는 회전기준점으로 작용되도록 상기 고정부(20)와 힌지결합되는 결합홀(30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30a)로부터 소정간격 상측에는 가이드홀(31)이 상기 결합홀(30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서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의 상부에는 한쌍의 회전가이드홀(34,35)이 상하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 )"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가이드홀(34,35)에는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의 상부에 유압변속기(50)를 고정하는 볼트(7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회전가이드홀(34,35)에 볼트(70)를 삽입하고 상기 유압변속기(50)에 형성된 체결홀에 상기 볼트(70)를 느슨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유압변속기(50)의 고정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유압변속기(50)를 원하는 각도에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70)를 단단하게 체결함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상기 유압변속기(50)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의 체형 또는 기호에 맞게 상기 유압변속기를 고정함으로써 조작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변속기 조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30)와 상기 유압변속기(50)의 사이에는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6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부재(60)에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한쌍의 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서 상기 길이조절부재(60)를 결합하고 상기 각 쌍의 홀들에 볼트(70,80)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10)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길이조절부재(60)는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적어도 1종류 이상 준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다양한 길이의 길이조절부재(60)를 차량의 보관함 등에 구비하여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단순히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변속기 조작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운전자의 체형에 맞도록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를 전후/좌우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최초 설계시 큰 체형의 운전자를 기준으로 상기 조작부가 배치된 경우에서 왜소한 체형의 운전자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를 조절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조절부재를 삽입하여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변속기의 조작 편의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가 구비된 작업용 차량이 측방으로 좌초된 경우에도 운전자가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의 고정장치를 해제한 후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를 회전시켜 반대측의 도어를 통하여 비상탈출할 수 있는 공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탈출을 해야 하는 경우 등에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작업용 차량이 건물의 벽면에 인접하게 주차된 경우에도 운전자는 상기 유압변속기 조작부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하차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8)

  1.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업기를 갖는 작업용 차량에 구비된 유압변속기 조작부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일측에 구비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식 수직부재;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장치;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유압변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변속기 조작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는 상기 고정부 및 고정장치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 및 고정장치 사이에 클램핑됨으로써 선택적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변속기 조작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부에 나사 결합되어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가지고,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변속기 조작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변속기 조작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운전자에 의하여 회전조작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홀로 삽입됨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홀의 테두리에 마찰접촉되는 마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변속기 조작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의 상부에는 한쌍의 회전가이드홀이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압변속기는 상기 회전가이드홀에 각각 결합되는 볼트부재에 의하여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변속기 조작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작업용 차량의 일측에 볼트체결되는 제1홀과, 상기 제 1홀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좌우방향으로 원하는 각도에서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회전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제2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변속기 조작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수직부재와 상기 유압변속기의 사이에는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변속기 조작부.
KR1020050102639A 2005-10-29 2005-10-29 유압변속기 조작부 KR100658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639A KR100658803B1 (ko) 2005-10-29 2005-10-29 유압변속기 조작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639A KR100658803B1 (ko) 2005-10-29 2005-10-29 유압변속기 조작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803B1 true KR100658803B1 (ko) 2006-12-15

Family

ID=3773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639A KR100658803B1 (ko) 2005-10-29 2005-10-29 유압변속기 조작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722A (ko) * 2018-07-13 2020-01-22 엡실론 크란 게엠베하. 크레인 제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0932U (ko) * 1995-12-30 1997-07-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체인지레버의 각도조절장치
KR19980030388U (ko) * 1996-11-29 1998-08-17 양재신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변속기 레버
KR200243786Y1 (ko) 2000-12-21 2001-09-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 콘트롤 박스 높이 조정 장치
KR20020086788A (ko) * 2001-05-11 2002-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레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0932U (ko) * 1995-12-30 1997-07-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체인지레버의 각도조절장치
KR19980030388U (ko) * 1996-11-29 1998-08-17 양재신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변속기 레버
KR200243786Y1 (ko) 2000-12-21 2001-09-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 콘트롤 박스 높이 조정 장치
KR20020086788A (ko) * 2001-05-11 2002-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레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722A (ko) * 2018-07-13 2020-01-22 엡실론 크란 게엠베하. 크레인 제어장치
KR102410705B1 (ko) * 2018-07-13 2022-06-17 엡실론 크란 게엠베하. 크레인 제어장치
US11498815B2 (en) 2018-07-13 2022-11-15 Epsilon Kran Gmbh Crane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08885A1 (en) Steering device for tractor
KR100658803B1 (ko) 유압변속기 조작부
JP2011173569A (ja) 作業車
US10024026B2 (en) Front loader frame, front loader equipped with front loader frame, and work vehicle equipped with front loader
KR102239092B1 (ko) 사륜 독립구동 전동운반차
KR102032916B1 (ko) 농작업차의 보닛 개폐를 위한 힌지 조립체 및 이 힌지 조립체에 의한 농작업차 보닛의 힌지구조
JP3896748B2 (ja) フロントロータリ耕耘装置
JP2009006811A (ja) 歩行型作業機
JP2010265674A (ja) 作業機
JP4236645B2 (ja) 旋回作業機におけるロータリジョイントの取付構造
EP3865353A1 (en) Work vehicle
JP3660538B2 (ja) 旋回作業機におけるロータリジョイントの取付構造
KR20150099911A (ko)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JPH10191706A (ja) 畦塗機
JP3690071B2 (ja) ロータリ耕耘具の防護装置
EP4095025B1 (de) Lastenfahrrad
JP4415698B2 (ja) 建設機械のキャノピ構造
KR102639019B1 (ko) 보행형 작업기
JP4223157B2 (ja) 建設機械
JP5250004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JP3611997B2 (ja) 旋回作業機におけるロータリジョイントの取付構造
KR102645412B1 (ko) 보행형 작업기
JP4236609B2 (ja) 旋回作業機におけるロータリジョイントの取付構造
JPH1071973A (ja) トラクターにおけるバランス制御装置
KR100522053B1 (ko) 견인차량용 붐의 헤드 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