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019B1 - 보행형 작업기 - Google Patents

보행형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019B1
KR102639019B1 KR1020180071329A KR20180071329A KR102639019B1 KR 102639019 B1 KR102639019 B1 KR 102639019B1 KR 1020180071329 A KR1020180071329 A KR 1020180071329A KR 20180071329 A KR20180071329 A KR 20180071329A KR 102639019 B1 KR102639019 B1 KR 102639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aped member
tillage
stay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563A (ko
Inventor
야스나오 야마시타
슌야 마노
šœ야 마노
시게루 마스다
다쿠토 야스하라
도모야 히라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071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8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of the walk-behind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1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 A01B33/024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with disk-like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경기된 흙을 좌우로 긁어 올리기 가능한 판상 부재를 사용하여 소형 경량화한 경우에 있어서, 그 판상 부재의 지지 구조에 대해서도 소형화 및 간략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조종 핸들이 연결되어 작업자에 의하여 조종되는 기체 본체와, 경운 장치(2)와, 경운 작업 주행 시에 포장에 접지하여 기체 본체의 주행 자세를 보조하는 주행 보조구(3)와, 경운 장치(2)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지지 부재(31)를 통해 기체 본체에 지지되고, 경운 작업 주행 시에 경운 장치(2)에 의하여 경운된 흙을 탄성 변형하면서 좌우의 이랑으로 긁어 올리기 가능한 판상 부재(40)가 구비되고, 판상 부재(40)는 지지 부재(31)에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보행형 작업기 {WALKING TYPE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고랑을 주행하면서 경운 작업이 가능한 경운 장치, 및 경운 장치의 후방에 위치하여 경기된 흙을 좌우로 긁어 올리기 가능한 수단을 구비한 보행형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보행형 작업기에서는, 제초, 토양의 통기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는 중경 작업이나, 부정근의 발생이나 작물의 도복 방지 등을 주목적으로 하는 배토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중경 작업이나 배토 작업은, 경운 장치에 의하여 경운된 흙을 긁어 올리듯이 하여 행해진다.
이러한 종류의 종류의 보행형 작업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1]에 기재된 기술이 이미 알려져 있다.
[1] 경운 장치의 후방측 개소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후부 히치에 상단측을 지지시킨 배토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그 배토 플레이트의 후방측에서 저항봉을 접지시킴으로써 배토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36587호 공보(단락 「0037」, 「도 1」 및 「도 4」 참조)
상기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무판이나 합성 수지판으로 구성된 배토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배토 작업을 행하는 구조의 것은 배토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배토 플레이트의 상단부가 후부 히치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배토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긴 것으로 되는 경향이 있다. 즉, 실제로 배토 작업을 행하는 것에 필요한 배토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 길이는 이랑의 높이 정도이지만, 그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후부 히치에 상단부를 지지시키기 위하여 배토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 길이로서는, 그 하단으로부터 후부 히치에의 설치 위치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길이를 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배토 플레이트가 배토 작업에 필요한 크기 이상으로 커져 그만큼 중량이 증가하거나 소재의 사용량이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토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 길이가 길어지면, 배토 플레이트의 하단측에서 작용하는 토압에 의한 모멘트가 커져, 그 모멘트 등에 기인하는 비교적 큰 외력에 저항하여 배토 플레이트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튼튼한 지지 구조가 필요해지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경기된 흙을 좌우로 긁어 올리기 가능한 판상 부재를 사용하여 소형 경량화한 경우에 있어서, 그 판상 부재의 지지 구조에 대해서도 소형화 및 간략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행형 작업기는, 구동 주행 장치가 구비되어 고랑에서의 경운 작업 주행이 가능한 보행형 작업기이며, 조종 핸들이 연결되어 작업자에 의하여 조종되는 기체 본체와, 상기 기체 본체의 후부에 지지된 경운 장치와, 상기 경운 장치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기체 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경운 작업 주행 시에 포장에 접지하여 상기 기체 본체의 주행 자세를 보조하는 주행 보조구와, 상기 경운 장치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경운 작업 주행 시에 상기 경운 장치에 의하여 경운된 흙을 탄성 변형하면서 좌우의 이랑으로 긁어 올리기 가능한 판상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판상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운된 흙을 탄성 변형하면서 좌우의 이랑으로 긁어 올리기 가능한 판상 부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큰 규모의 쟁기형의 배토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경량이면서 소형의 판상 부재에 의하여 배토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판상 부재는, 기체 본체에 지지되어 있는 주행 보조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설치 수단으로서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체 본체에 대한 전용의 설치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설치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주행 보조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설치 수단으로서 이용함으로써 배토용의 판상 부재의 상하 방향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기체 본체에의 설치 위치로부터 배토용의 판상 부재의 하단까지의 거리가 아니라, 주행 보조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에 대한 설치 위치로부터 배토용의 판상 부재의 하단까지의 거리를 구비하기만 하면 되므로, 그 거리를 배토 작업에 필요한 상하 방향 치수 정도로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배토용의 판상 부재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함께, 그 판상 부재의 설치 위치에 작용하는 곳의, 배토 작업 시의 토압에 의한 모멘트 등의 외력도 비교적 작아도 되는 점에서, 지지 구조의 소요 강도를 억제하여 소형 경량화하기 쉬운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기체 본체에, 높이 위치를 조정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주행 보조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의 높이 조절 구조를 배토용의 판상 부재의 높이 조절 수단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하로 뻗어 있는 긴 형상의 부재이고, 상기 지지 부재가 뻗어 있는 방향 중간부에, 기체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스테이가 지지되고, 상기 스테이에 상기 판상 부재의 상단부가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판상 부재의 상단부의 높이 위치를 기체 본체의 후부 히치 등의 필요 이상으로 높은 위치에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지지 부재가 뻗어 있는 방향 중간부에 있어서, 배토 작업에 필요한 적정 높이 위치를 선정하여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의 상단부에, 기체 좌우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프레임재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재와 상기 스테이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면 맞춤된 상태에서 고정 기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기체 좌우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프레임재를, 지지 부재가 뻗어 있는 방향 중간부에서 기체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스테이에 면 맞춤 상태에서 연결함으로써, 판상 부재의 좌우 방향에서의 넓은 범위에 작용하는 외력을 지지 부재에서 받아내게 할 수 있어, 판상 부재의 배토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하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재는, 상기 스테이의 전면부에 전측으로부터 면 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에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판상 부재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프레임재가, 지지 부재에 마련된 스테이의 전면부에 전측으로부터 면 맞춤되어 있으므로, 프레임재와 스테이의 면 맞춤 상태에서의 고정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재는 판상의 부재이고, 상기 프레임재에 있어서의 기체 좌우 방향 중앙부의 상단부에 꺾임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재에 있어서의 기체 좌우 방향 중앙부의 상단부에 꺾임부가 존재함으로써 그 꺾임부가 보강 리브로서 유효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프레임재의 강도를 형상 면에서도 높이게 되므로 프레임재의 경량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보행형 작업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보행형 작업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배토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배토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배토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Ⅵ-Ⅵ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있어서의 Ⅶ-Ⅶ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8은 고정 기구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로프 걸이용의 로프 훅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배토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배토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배토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배토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단의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 핸들을 후방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시킨 보행형 작업기에 있어서, 조종 핸들의 연장 돌출 방향과는 반대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 F의 진행 방향이 「전」이고, 후진측 B의 진행 방향이 「후」이다. 그리고 전후 방향에서의 전향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 R에 상당하는 방향이 「우」이고, 좌측 L에 상당하는 방향이 「좌」이다.
〔보행형 작업기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형 작업기의 기체 본체에는, 기체 프레임(1)의 일부를 구성하는 엔진 프레임(10) 상에 구동원으로 되는 엔진(11)이 탑재되어 있다. 엔진 프레임(10)의 후방측에, 엔진 프레임(10)과 함께 기체 프레임(1)을 구성하는 미션 케이스(12)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엔진(11)과 미션 케이스(12)는 벨트 전동 기구(13)를 통해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동 연결되어 있다.
엔진(11)의 동력이 입력되는 미션 케이스(12)는, 전방 하방으로 연장 돌출된 전부 케이스(12A)와, 후방 하방으로 연장 돌출된 후부 케이스(12B)를 구비하며, 2갈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부 케이스(12A)의 하부에 구동 주행 장치로서의 주행륜(14)이 차축(14a)을 통해 지지되고, 후부 케이스(12B)에 구동축(20)을 통해 로터리 경운 장치(2)(경운 장치에 상당함)가 지지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을 겸하는 상기 미션 케이스(12)의 상부에는, 핸들 설치대(15)를 통해 조종 핸들(16)이 마련되어 있다.
이 조종 핸들(16)은, 핸들 설치대(15)에의 연결측 단부가, 횡축심 x1을 가진 횡축으로 피봇지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파지부(16a) 측의 단부는 상기 횡 축심 x1 주위로 상하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조종 핸들(16)의 상하 위치 변경은, 핸들 설치대(15)에 구비한 각도 조절 기구(17)에 의하여 행해진다. 각도 조절 기구(17)는, 핸들 설치대(15)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 설치된 조절 브래킷(17a)과, 조종 핸들(16)의 기부 근처에 위치하는 걸림 지지부(17b)를 구비하고 있다. 조절 브래킷(17a)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조절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걸림 지지부(17b)측의 걸림 지지 핀(도시하지 않음)을 선택적으로 걸림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횡 축심 x1 주위에서의 조종 핸들(16)의 설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걸림 지지부(17b)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 핸들(16)의 기부 근처에서 좌우의 장대체 부분(16b, 16b)끼리에 걸쳐 연결된 전후 1쌍의 판상 연결 스테이(16c)에 용접 고정된 통형부(17c)가 구비되어 있다. 이 통형부(17c)에 대하여 상기 걸림 지지 핀이 진출 후퇴 가능하게 지지되며, 통형부(17c)로부터 돌출시킨 걸림 지지 핀을 조절 브래킷(17a)의 조절 구멍에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조종 핸들(16)의 설치 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다.
조종 핸들(16)의 기부 근처를 연결하는 판상 연결 스테이(16c)의 좌우 양측부와, 좌우의 장대체 부분(16b, 16b)에 걸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1쌍의 로프 훅(16d)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로프 훅(16d)은,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측이 개방된, 배면에서 보아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행형 작업기를 운반차로 반송하는 경우에, 로프 훅(16d)에 로프를 걸어 짐받이 상에 고정하는 등의 작업을 행하기 쉽다.
상기 핸들 설치대(15)는, 미션 케이스(12)의 상부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종축심 y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 설치대(15)를 종축심 y1 주위로 회전시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후방 연장 돌출 상태로부터 180도 방향 변경하면, 조종 핸들(16)의 파지부(16a)가 전방을 향해진 전방 연장 돌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전방 연장 돌출 상태로 자세 변경하여 고정함으로써, 전방측으로부터 조종 핸들(16)을 파지하여 주행 조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조종 핸들(16)을 전방 연장 돌출 상태로 자세 변경하고, 또한 각도 조절 기구(17)를 조작하여 조종 핸들(16)이 엔진(11)의 상측에 더 근접하도록 자세 변경하면, 보행형 작업기의 전체를 체적이 작은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격납 시나 운반 시에 취급하기 쉬운 콤팩트한 자세로 할 수 있다.
미션 케이스(12)의 상부로부터 비스듬히 후방 상방으로 주변속 레버(18)가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이 주변속 레버(18)를 조작함으로써 주행륜(14)의 변속 조작 및 정역전 조작, 그리고 로터리 경운 장치(2)의 정역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주행륜(14)은 좌우 1쌍 마련되어 있는데, 그 좌우 방향 폭 W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 경운 장치(2)의 경운 갈고리(20a)에 의한 경운 작업 폭 W2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어, 고랑에서의 주행을 행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로터리 경운 장치〕
로터리 경운 장치(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경운 장치(2)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주행륜(14)의 후방 위치에 배치되며, 미션 케이스(12)의 후부 케이스(12B)에 구동축(20)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로터리 경운 장치(2)는 경운 갈고리축(21)과 로터리 커버(22)와 주행 보조구(3)와 후 커버(23)를 장비하고 있다.
경운 갈고리축(21)은, 미션 케이스(12)의 후부 케이스(12B)에 지지된 구동축(20) 중, 미션 케이스(12)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하는 축 부분에 다수의 낫형의 경운 갈고리(20a)가 이식 설치된 것이다. 경운 갈고리축(21)은, 구동축(20)의 회전에 수반하여 경운 갈고리(20a)에 의한 토양의 경기 작용을 행하는 주지의 구조의 것이다.
로터리 커버(22)는, 경운 갈고리축(21)의 상반측을 덮어, 경운 갈고리축(21)의 회전에 수반하여 튕겨 올라가는 이토의 상방 및 횡 측방에의 비산을 제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로터리 경운 장치(2)는 경운 갈고리축(21)과 로터리 커버(22)와 주행 보조구(3)와 후 커버(23)를 장비하고 있다.
로터리 커버(22)는, 상 커버 부분과, 그 상 커버 부분의 좌우 양 단부에 마련한 횡 측판을 구비하고 있다. 상 커버 부분은 좌우 방향으로 3분할되며, 중앙부에 위치하는 동시 커버 부분에 대하여 좌우 양측의 상 커버 부분이, 도 4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각 전후 방향 축심 z1, z1의 주위로 요동하여, 좌우 단부측의 상하 위치를 변경한 상태에서 위치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횡 측판 부분은, 상 커버 부분의 좌우 방향의 양 단부에 구비한 전후 방향 축심 z2, z2 주위로,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경운 갈고리축(21)은, 미션 케이스(12)의 후부 케이스(12B)에 지지된 구동축(20) 중, 미션 케이스(12)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하는 축 부분에 다수의 낫형의 경운 갈고리(20a)가 이식 설치된 것이다. 경운 갈고리축(21)은, 구동축(20)의 회전에 수반하여 경운 갈고리(20a)에 의한 토양의 경기 작용을 행하는 주지의 구조의 것이다.
로터리 커버(22)는, 경운 갈고리축(21)의 상반측을 덮어, 경운 갈고리축(21)의 회전에 수반하여 튕겨 올라가는 이토의 상방 및 횡 측방에의 비산을 제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주행 보조구(3)는 로터리 커버(22)의 후단측에서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주행 보조구(3)는, 미션 케이스(12)의 후부 케이스(12B)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 후부 프레임(19)에 대하여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후부 프레임(19)의 후단부에 통형의 지지 통부(19a)를 구비하며, 이 지지 통부(19a)에 긴 형상의 환 파이프상의 지지 부재(31)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통부(19a)에 구비한 고정 볼트(19b)에 의하여, 지지 통부(19a) 내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31)의 위치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후부 프레임(19)에 대한 주행 보조구(3)의 상하 방향 높이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후 커버(23)는, 로터리 커버(22)의 후단측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수하 설치된 복수 매의 고무제 가요판으로 구성되며, 경운토의 후방측에의 비산을 제한하는 역할을 가진 것이다.
이 후 커버(2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 자세에서는, 가는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측으로 수하되어 경운 갈고리축(21)의 후방측을 덮는 상태에서 사용된다. 불사용 자세에서는, 후 커버(23)의 전체를 로터리 커버(22)의 후단부로부터 떼어내거나, 또는 도 1에 굵은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부를 상방측으로 접은 상태로 한다.
후술하는 배토 장치(4)를 사용하여 배토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후 커버(23)는, 로터리 커버(22)의 후단부로부터 떼어내거나 하단부를 상방측에 접거나 하여 불사용 자세로 한다.
〔배토 장치〕
배토 장치(4)는, 후부 프레임(19)의 후단부에 지지된 주행 보조구(3)에 설치되어 있다.
주행 보조구(3)는, 접지하여 전동 가능한 보조륜(30)과,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긴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31)를 구비하며, 지지 부재(31)의 상단측이 후부 프레임(19)에 지지되고, 지지 부재(31)의 하단측에 보조륜(30)이 마련되어 있다.
배토 장치(4)는, 지지 부재(31)가 뻗어 있는 방향 중간부에 연결되고, 로터리 경운 장치(2)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경운 작업 주행 시에 로터리 경운 장치(2)에 의하여 경운된 흙을 좌우의 이랑으로 긁어 올리기 가능한 판상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배토 장치(4)는 편의적인 명칭이며, 배토 작업뿐 아니라 중경 작업 시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보조륜(3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31)의 하단부에 구비된 설치 브래킷(32)에 지지되며, 좌우 방향을 따르는 회전 축심 x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지지되어 있다.
설치 브래킷(32)은, 지지 부재(31)의 하단부에 용접 고정된 좌우 방향을 따르는 횡편(32a)을 상부에 구비함과 함께, 횡편(32a)의 횡 일 측방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돌출한 상하 방향을 따르는 종편(32b)를 구비하며, 전후 방향에서 보아 도립한 L자형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다.
종편(32b)이 보조륜(30)의 좌 횡 측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종편(32b)에 지지된 지지축(34){보조륜(30)의 차축에 상당함}의 축심인 곳의 회전 축심 x2 주위로 보조륜(3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판상 부재(40)는, 고무 또는 합성 수지재 등의,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가진 판재이며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판상 부재(40)의 좌우 양 측연(40b, 40b)은, 하방측보다도 상방측이 횡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향 확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판상 부재(40)의 전체 형상은, 전후 방향에서 보아 하단 에지(40c)보다도 상단 에지(40a)의 좌우 방향 길이가 긴 역사다리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상 부재(40)의 하단 에지(40c)측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중앙부의 하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노치부(40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40d)의 주연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부(40d)를 따르는 상태에서 판상 부재(40)보다도 강성이 높은 보강 부재(41)가 장착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41)는 경운 작업 주행 시에, 진흙에 눌려진 판상 부재(40)가 후방측으로 변위하고자 한 때,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지지 부재(31)가 후방측으로부터 맞닿아, 노치부(40d)를 마련한 개소 부근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40)의 후방에의 변형량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보강 부재(41)에는, 보강 부재(41) 자신의 노치부(41d)의 주변 횡측 위치에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후방 돌출 횡편(41b)과, 노치부(41d)의 상측 위치에서 좌우 방향을 따르는 후방 돌출 상편(41a)과, 보강 부재(41)의 상단 위치에서 좌우 방향을 따르는 후방 돌출 상단편(4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돌출 상편(41a)이, 지지 부재(31)의 하단부에 구비된 설치 브래킷(32)의 횡편(32a)에 맞닿고, 후방 돌출 횡편(41b)이 설치 브래킷(32)의 종편(32b)에 맞닿아, 보강 부재(41)의 후방측으로 변위를 억제하여 판상 부재(40)의 후방에의 변형량을 제한할 수 있다.
후방 돌출 상단편(41c)은 후방 돌출 상편(41a)과 함께, 보강 부재(41) 자신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리브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하여, 판상 부재(40)의 좌우 방향 단부측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에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판상 부재(40)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나 보강 부재(41)가, 좌우 방향에서의 횡 외방측일수록 후퇴하도록 굴곡 변형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41)의 하단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운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보조륜(30) 중의, 포장에 접지하는 개소의 위치와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는 위치 관계에 있으며, 판상 부재(40)의 하단부는 보강 부재(41)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해 있다.
따라서 보조륜(30)을 접지시킨 경운 작업 주행 시에는, 도 6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부재(41)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한 판상 부재(40)의 하단부가 후방측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접지하여, 판상 부재(40)의 그 이상의 침강을 억제하기 쉽게 되어 있다.
판상 부재(40)의 노치부(40d) 및 보강 부재(41)의 노치부(41d)의 좌우 방향 폭은, 보조륜(30)의 좌우 방향 폭보다도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40d, 41d)에 보조륜(30)의 지지축(34)보다도 전측의 부분이 들어가는 상태에서 보조륜(30)과 판상 부재(40)를 설치함으로써,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측면에서 보아 판상 부재(40)가 보조륜(30)과 중복되는 상태에서 마련된다.
이와 같이 하여, 판상 부재(40)는 경운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 판상 부재(40)의 하단부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가, 보조륜(30) 중의, 포장에 접지하는 개소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와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판상 부재(40)의 상단부에는, 상단 에지(40a)를 따라 기체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금속판제의 프레임재(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프레임재(42)는, 판상 부재(40)보다도 강성이 높고, 판상 부재(40)의 좌우에 걸친 상태이며 판상 부재(40)의 표면과 대향하는 상태에서 설치된 보강 부재로서 작용한다. 이 보강 부재로서 작용하는 프레임재(42)가 판상 부재(40)의 상단부에 설치된 것에 의하여, 판상 부재(40)의 탄성 변형 가능한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주행 보조구(3)에 대한 판상 부재(40)의 연결은 이 상단부의 프레임재(42)를 통해 행해진다.
판상 부재(40)가 연결되는 주행 보조구(3)는, 후부 프레임(19)의 후단부에 구비한 지지 통부(19a)에 상단측이 삽입 관통되고, 하단측이 하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31)에는, 판상 부재(4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로서, 기체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스테이(3A)가 마련되어 있다.
스테이(3A)는, 하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는 지지 부재(31)가 뻗어 있는 방향 중간부에, 지지 부재(31)에 대하여 용접 고정된 고정 스테이(35)와, 그 고정 스테이(35)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중간 스테이(36)가 구비된 것이다.
고정 스테이(35)와 중간 스테이(36)는, 고정 스테이(35)측에 마련한 연결 구멍(35a)에, 중간 스테이(36)측에 고정된 연결 볼트(36a)를 삽입 관통하고, 볼트 너트에 의한 체결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3A)에 대하여 판상 부재(40)의 프레임재(42)가,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면 맞춤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고정 기구(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고정 기구〕
고정 기구(5)는, 기체 본체측에 지지된 설치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스테이(3A)에 마련한 제1 걸림 지지부(50)와, 판상 부재(40)의 프레임재(42)에 마련한 제2 걸림 지지부(5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걸림 지지부(50)는, 스테이(3A) 중, 고정 스테이(35)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중간 스테이(36)에, 그 중간 스테이(36)를 상기 판상 부재(4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오뚝이 형상 구멍(52)(구멍에 상당함)이다. 제2 걸림 지지부(51)는, 오뚝이 형상 구멍(52)에 대하여 걸림 해제 가능하게, 상기 판상 부재(4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시킨 헤드 구비 핀(53)(돌기 부재에 상당함)이다.
제1 걸림 지지부(50)와 제2 걸림 지지부(51)의 걸림 해제는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스테이(36)의 전면부에 전측으로부터 프레임재(42)를 면 맞춤시킨 상태에서 오뚝이 형상 구멍(52)의 대직경 구멍부(52a)에 헤드 구비 핀(53)의 헤드부(53a)를 삽입한다{도 8의 (a) 참조}.
이 상태로부터,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재(42)를 도면 중 우 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헤드 구비 핀(53)의 축부(53b)를 오뚝이 형상 구멍(52)의 소직경 구멍부(52b) 내에 위치시킨다. 이 헤드 구비 핀(53)의 축부(53b)를 소직경 구멍부(52b) 내의 최심부에 위치시킨 상태가, 판상 부재(40)를 경운 작업용의 사용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이다. 이 사용 위치에서는, 제1 걸림 지지부(50)의 오뚝이 형상 구멍(52)에 제2 걸림 지지부(51)의 헤드 구비 핀(53)이 걸림 결합한 상태에서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반대로, 프레임재(42)를 도면 중 좌 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헤드 구비 핀(53)의 헤드부(53a)를 오뚝이 형상 구멍(52)의 대직경 구멍부(52a) 내에 위치시키면, 헤드 구비 핀(53)을 오뚝이 형상 구멍(52)으로부터 발출할 수 있다.
이 고정 기구(5)는, 오뚝이 형상 구멍(52)과 헤드 구비 핀(53)이 사용 위치에서 걸림 지지 상태로 되도록, 제1 걸림 지지부(50)인 오뚝이 형상 구멍(52)의 소직경 구멍부(52b)에 대하여 제2 걸림 지지부(51)인 헤드 구비 핀(53)의 축부(53b)를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5A)와, 판상 부재(40)를 상기 사용 위치에 위치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5B)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기구〕
가이드 기구(5A)는, 상기 오뚝이 형상 구멍(52) 자신의 형상과, 헤드 구비 핀(53)의 축부(53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오뚝이 형상 구멍(52) 중, 대직경 구멍부(52a)가, 헤드 구비 핀(53)의 헤드부(53a)의 삽입을 허용하고, 또한 대직경 구멍부(52a) 내에 위치하는 축부(53b)를 소직경 구멍부(52b)측으로 이행시킬 때의 안내를 하게 된다. 그리고 축부(53b)가 소직경 구멍부(52b)의 최심부에 도달할 때까지의 안내를 소직경 구멍부(52b) 자신에 의하여 행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헤드 구비 핀(53)은, 축부(53b)보다도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튀어나온 헤드부(53a)를 구비하고 있다. 이 헤드부(53a)는, 오뚝이 형상 구멍(52)의 대직경 구멍부(52a)보다는 소직경이고 소직경 구멍부(52b)보다는 대직경의 것이며, 축부(53b)는 소직경 구멍부(52b) 내에 진입 가능한 직경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헤드부(53a)를, 축부(53b)의 기단부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위치에 구비하고 있다. 이 축부(53b)의 기단부로부터 헤드부(53a)까지의 소정 거리란, 오뚝이 형상 구멍(52)을 형성한 설치부인 중간 스테이(36)의, 오뚝이 형상 구멍(52) 외주부에 있어서의 주변 부분의 두께 분에 상당하는 거리이다.
오뚝이 형상 구멍(52)은, 중간 스테이(36)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구멍 직경이, 대직경 구멍부(52a)의 구멍 직경에 긴 구멍 형상의 소직경 구멍부(52b)의 동일한 방향 길이를 더한 것이다. 그리고 오뚝이 형상 구멍(52) 중, 중간 스테이(36)의 폭 방향을 따르는 구멍 직경은, 최대 직경이 대직경 구멍부(52a)의 구멍 직경과 동일하다. 즉, 오뚝이 형상 구멍(52)은, 중간 스테이(36)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구멍 직경이, 중간 스테이(36)의 폭 방향을 따르는 구멍 직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오뚝이 형상 구멍(52)은, 기체 좌우 방향을 따르는 중간 스테이(36)의 길이 방향으로 긴 직경 방향을 따르게 하여 마련되고, 대직경 구멍부(52a)의 횡측 위치에 직선상의 소직경 구멍부(52b)가 마련되어 있다. 이 소직경 구멍부(52b)에 의한 직선상의 긴 구멍에 있어서, 그 일 단부에 축부(53b)를 위치시키기 위한 사용 위치가 존재하고, 타 단에 헤드 구비 핀(53)의 축부(53b) 및 헤드부(53a)를 삽입 가능한 걸림 삽입부로서의 대직경 구멍부(52a)가 존재하고 있다.
〔로크 기구〕
로크 기구(5B)는, 판상 부재(40)의 프레임재(42)에 설치한 제1 로크 부재(54)와, 스테이(3A)의 중간 스테이(36)에 구비한 제2 로크 부재(5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로크 부재(54)는, 프레임재(42)에 지지축(54a)을 사용하여 피봇 연결되어, 그 지지축(54a)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비된 L자형의 판 부재이며, 1변에 맞닿음면(54b)을 구비하고 있다.
제2 로크 부재(55)는, 중간 스테이(36)에 의하여 겸용되고, 중간 스테이(3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중, 제1 로크 부재(54)가 존재하는 측의 단부에 의하여 구성되는 맞닿음면(55a)을 구비하고 있다.
이 로크 기구(5B)에서는,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로크 부재(54)를, 그 맞닿음면(54b)이 제2 로크 부재(55)의 맞닿음면(55a)으로부터 빠진 로크 해제 자세로 하여, 중간 스테이(36)의 오뚝이 형상 구멍(52)에 헤드 구비 핀(53)을 삽입 관통한다.
이 상태로부터,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로크 부재(54)를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로크 부재(54)의 맞닿음면(54b)이 제2 로크 부재(55)의 맞닿음면(55a)에 맞닿는 로크 상태로 조작하면, 중간 스테이(36)의 오뚝이 형상 구멍(52) 내에 위치하는 헤드 구비 핀(53)의 축부(53b)가 소직경 구멍부(52b)의 최심부의 사용 위치로 이동된 상태로 전환된다.
즉, 제1 로크 부재(54)가 제2 로크 부재(55)에 대하여 가이드 기구(5A)에 의한 안내 방향과 동일한 측으로 떠받침 작용함으로써, 제1 걸림 지지부(50)로서의 오뚝이 형상 구멍(52)과, 제2 걸림 지지부(51)로서의 헤드 구비 핀(53)의 걸림 지지를 유지하는 로크 상태로 된다.
〔배토 부재〕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 부재(40)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의 상부에 대응하여, 판상 부재(40)의 좌우 양 측부로부터 좌우 측방으로 돌출하여 판상 부재(40)에 의한 흙의 긁어 올리기를 보조 가능한 좌우의 배토 부재(6)가 구비되어 있다.
배토 부재(6)는, 판상 부재(40)와 동일한 정도 이상의 경도를 가진, 비교적 경질의 고무 또는 합성 수지 재료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배토 부재(6)는 편평 판상으로 형성되며, 판상 부재(40)에 맞춤한 상태에서, 판상 부재(40)와 이에 대향하는 프레임재(42)에 걸쳐 마련된 체결구(60)를 통해 판상 부재(40)에 지지되어 있다.
체결구(60)는, 긴 구멍 형상의 지지 구멍(61)과, 그 지지 구멍(61)에 삽입 관통 가능한 축 부재로서의 연결 볼트(62)와, 연결 볼트(62)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캡 너트(63)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볼트(62)는, 판상 부재(40)의 좌우 양 측부 근처와, 이에 대향하는 프레임재(42)의 좌우 방향의 양 단부 근처에 걸쳐, 판상 부재(40)의 표면에 교차하는 방향의 축심을 구비하고, 판상 부재(40)의 두께 방향으로 체결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연결 볼트(62)의 나사부는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지며, 이 나사부에 후방측으로부터 파지부가 큰 캡 너트(63)가 나사 결합하고, 캡 너트(63)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연결 볼트(62)를 긴장 체결 상태와 이완 상태로 전환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배토 부재(6)는, 연결 볼트(62)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연결 볼트(62)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연결 볼트(62)의 축심 주위에서 판상 부재(40)에 대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볼트(62)를 죔으로써, 그 회전 조작에 의하여 변경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구멍(61)은 긴 구멍 형상이기 때문에, 그 지지 구멍(61)의 길이 분만큼 배토 부재(6)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배토 부재(6)는, 도 4 및 도 7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판상 부재(40)의 좌우 양 단부로부터 횡 외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또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한 상태로 판상 부재(40)에 대한 돌출 상태를 변경 가능하다. 이때, 배토 부재(6)는,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 부재(40)와 프레임재(42)에 의하여 끼움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끼움 지지 구조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판상 부재(40) 또는 프레임재(42)의 편면에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판상 부재(40)에 의한 배토 부재(6)의 유지 자세를 강고한 상태로 유지하기 쉽다.
또한 도 4 및 도 7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토 부재(6)를 판상 부재(40)의 좌우 양 단부로부터 횡 외방으로 돌출하지 않는 후퇴 상태로도 상태 변경 가능하다. 이 후퇴 상태에서는, 배토 부재(6)가 판상 부재(40)와 프레임재(42) 사이에 위치하여 끼움 지지된 상태에 있으므로, 배토 부재(6)에 전후 방향이나 상하 방향으로부터의 토압 등에 의한 외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할 우려가 없다. 또한 이와 같은 후퇴 상태로 상태 변경하면, 불사용 시에 배토 장치(4)를 콤팩트하게 격납하기 쉽다.
상기와 같이 배토 부재(6)를 판상 부재(40)의 좌우 양 단부로부터 횡 외방으로 전혀 돌출하지 않는 후퇴 상태로 한 경우에 한하지 않고, 배토 부재(6)가 판상 부재(40)의 좌우 양 단부로부터 횡 외방으로 약간 돌출한 상태로 수납하는 경우에도, 배토 부재(6)가 판상 부재(40)와 프레임재(42) 사이에 위치하여 끼움 지지된 상태에 있으면 강도적으로 유리하다.
즉, 배토 부재(6)가 판상 부재(40)와 프레임재(42) 사이에 위치하여 끼움 지지되어 있으면, 배토 부재(6)의 돌출 부분에 토압 등에 의한 전후 방향의 외력이 작용했다고 하더라도, 그 배토 부재(6)의 자세 변화를 판상 부재(40) 및 프레임재(42)에 의한 끼움 지지 개소에서 극력 억제하여, 판상 부재(40)나 프레임재(42)에의 설치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하기 쉽다.
〔다른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보조구(3)로서, 후부 프레임(19)에 지지된 지지 부재(31)와, 그 지지 부재(31)의 하단측에 마련된 보조륜(30)을 구비한 구조의 것을 예시했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보조구(3)로서, 썰매형의 접지체(30A)와, 후부 프레임(19)의 후단부에 지지된 긴 형상의 지지 부재(31)를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썰매형의 접지체(30A)는, 지지 부재(31)보다도 좌우 방향으로 폭넓게 구성된 접지면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조의 것에 있어서도, 판상 부재(40)의 하단부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가, 접지체(30A) 중의, 포장에 접지하는 개소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와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도록, 판상 부재(40) 및 보강 부재(41)에는, 지지 부재(31)의 하단측 및 썰매형의 접지체(30A)가 들어가는 노치부(40d, 41d)가 마련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보조구(3)로서, 후부 프레임(19)에 지지된 지지 부재(31)와, 그 지지 부재(31)의 하단측에 마련된 보조륜(30)을 구비한 구조의 것을 예시했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보조구(3)로서,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복수 개소에서 포장에 접지하는 저항부(30B)와, 그 저항부(30B)의 상측에 접속된 환 파이프상의 지지 부재(31)를 구비한 저항봉을 사용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저항봉의 하단측에 마련되는 저항부(30B)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갈래상으로 분기되고, 또한 분기된 저항부(30B)의 하단부가 기체 후방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다.
또한 이 구조의 것에 있어서도, 판상 부재(40)의 하단부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가, 저항부(30B) 중의, 포장에 접지하는 개소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와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도록, 판상 부재(40) 및 보강 부재(41)에는, 2갈래상으로 분기된 저항부(30B)가 들어가는 노치부(40d, 41d)가 마련되어 있다.
저항부(30B)로서는, 상기와 같이 2갈래상으로 분기된 구조에 한하지 않고, 하단측이 3갈래 이상으로 분기되어 복수의 저항부(30B)를 구비한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하단측을 분기시켜 복수의 저항부(30B)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에 한하지 않고, 단일의 저항부(30B)를 구비한 복수 개의 저항봉을 구비하도록 한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저항부(30B)가 반드시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 개소에 마련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중앙 개소로부터 벗어난 복수 개소에 마련되는 것이어도 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재(42)와 스테이(3A)의 연결 시에 프레임재(42)가 스테이(3A)의 전면부에 전측으로부터 면 맞춤된 구조의 것을 예시했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레임재(42)가 스테이(3A)의 후면부에 후측으로부터 면 맞춤된 구조의 것이어도 지장 없다.
또한 프레임재(42)와 스테이(3A)의 연결 개소의 구조를, 단순한 편평면끼리의 면 맞춤 상태에서 고정하는 구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단면 L자형이나, 채널상 단면에서의 면 맞춤 구조 등을 채용해도 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주행 장치로서 좌우 1쌍의 주행륜(14)을 채용한 구조를 예시했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주행륜(14)으로서 단일의 주행륜(14)을 채용한 1륜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요는, 로터리 경운 장치(2)에 의한 경운 폭보다도 협폭으로 구성된 구동 주행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면 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5〕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주행 장치로서, 구동되는 주행륜(14)을 채용한 구조를 예시했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동 주행 장치가 차륜에 한하지 않고 크롤러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구동 주행 장치로서 전용의 것이 마련된 구조에 한하지 않고, 로터리 경운 장치(2)에 있어서의 경운 갈고리(20a)의 구동 회전을 기체 본체의 추진력으로 이용하도록 하여, 로터리 경운 장치(2)를 구동 주행 장치에 겸용하는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6〕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륜(30)으로서 1륜으로 구성된 구조의 것을 예시했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1륜으로 구성된 구조의 것에 한하지 않고, 2륜 이상의 복수 륜으로 구성된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보조륜(30)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 개소에 마련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중앙 개소로부터 벗어난 복수 개소에 마련되는 것이어도 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7〕
실시 형태에서는, 배토 장치(4)의 판상 부재(40)를, 전체가 일체 구조인 단일 부재로 구성된 것을 예시했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판상 부재(40)를, 좌우 방향에서의 1개소 또는 복수 개소에서 분할된 복수 매의 분할 판재로 구성하고, 그 복수 매의 분할 판재의 상단부끼리를 프레임재(42)로 접속하거나 하여 하나의 판상 부재(40)를 구성하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8〕
실시 형태에서는, 판상 부재(40)의 노치부(40d)를 따르는 상태의 보강 부재(41)와, 판상 부재(40)의 상단부를 보강하는 프레임재(42)를 각각의 부재로 구성한 구조의 것을 예시했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자를 일체의 부재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보강 부재(41)의 상단 위치에서 좌우 방향을 따르는 후방 돌출 상단편(41c)이, 프레임재(42)의 기체 좌우 방향 중앙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꺾임부에 상당한다. 후방 돌출 상단편(41c)은 후방 돌출 상편(41a)과 함께, 보강 부재(41) 및 프레임재(42) 자신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리브 부재로서 기능한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9〕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부재(31)에 판상 부재(40)를 설치하기 위한 스테이(3A)를, 고정 스테이(35)와 중간 스테이(36)라는 다른 부재로 구성한 구조를 예시했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중간 스테이(36)를 고정 스테이(35)와 일체로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고정 스테이(35)나 중간 스테이(36)의 형상이나 구체적인 연결 구조 등은, 적당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10〕
실시 형태에서는, 판상 부재(40)가, 보조륜(30)의 차축인 지지축(34)보다도 전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구조의 것을 예시했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판상 부재(40)가 지지축(34)보다도 후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11〕
실시 형태에서는, 스테이(3A) 측의 중간 스테이(36)에 오뚝이 형상 구멍(52)에 의한 제1 걸림 지지부(50)가 마련되고, 판상 부재(40)측의 프레임재(42)에 헤드 구비 핀(53)에 의한 제2 걸림 지지부(51)가 마련된 구조의 것을 예시했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걸림 지지부(50)가 마련되는 측과 제2 걸림 지지부(51)이 마련되는 측이 반대여도 지장 없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12〕
실시 형태에서는, 배토 부재(6)가, 긴 구멍 형상의 지지 구멍(61)에 연결 볼트(62)를 삽입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구조의 것을 예시했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토 부재(6)에 둥근 구멍을 형성하고 그 둥근 구멍에 연결 볼트(62)를 삽입 관통시켜 회전만 가능하게 구성한 것, 또는 배토 부재(6)에 복수 개의 긴 구멍 형상의 지지 구멍(61)을 형성하고 복수의 연결 볼트(62)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등, 적당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중경 작업이나 배토 작업을 행하는 각종 보행형 작업기에 적용 가능하다.
2: 경운 장치
3: 주행 보조구
3A: 스테이
4: 배토 장치
5: 고정 기구
14: 구동 주행 장치
16: 조종 핸들
30: 보조륜
31: 지지 부재
40: 판상 부재
41: 보강 부재
41c: 꺾임부
42: 프레임재

Claims (6)

  1. 구동 주행 장치가 구비되어 고랑에서의 경운 작업 주행이 가능한 보행형 작업기이며,
    조종 핸들이 연결되어 작업자에 의하여 조종되는 기체 본체와,
    상기 기체 본체의 후부에 지지된 경운 장치와,
    상기 경운 장치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기체 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경운 작업 주행 시에 포장에 접지하여 상기 기체 본체의 주행 자세를 보조하는 주행 보조구와,
    상기 경운 장치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경운 작업 주행 시에 상기 경운 장치에 의하여 경운된 흙을 탄성 변형하면서 좌우의 이랑으로 긁어 올리기 가능한 판상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판상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판상 부재보다 강성이 높고, 또한 상기 판상 부재가 후방측으로 변위하고자 한 때에 상기 지지 부재에 맞닿아 상기 판상 부재의 후방으로의 변형을 규제하는 보강 부재가 상기 판상 부재에 구비되어 있는, 보행형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기체 본체에, 높이 위치를 조정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는, 보행형 작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하로 뻗어 있는 긴 형상 부재이고,
    상기 지지 부재가 뻗어 있는 방향 중간부에, 기체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스테이가 지지되고,
    상기 스테이에 상기 판상 부재의 상단부가 지지되어 있는, 보행형 작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의 상단부에, 기체 좌우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프레임재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재와 상기 스테이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면 맞춤된 상태에서 고정 기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보행형 작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재는, 상기 스테이의 전면부에 전측으로부터 면 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에 연결되어 있는, 보행형 작업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재는 판상의 부재이고,
    상기 프레임재에 있어서의 기체 좌우 방향 중앙부의 상단부에 꺾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보행형 작업기.
KR1020180071329A 2017-12-14 2018-06-21 보행형 작업기 KR102639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39983 2017-12-14
JP2017239983A JP6910281B2 (ja) 2017-12-14 2017-12-14 歩行型作業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563A KR20190071563A (ko) 2019-06-24
KR102639019B1 true KR102639019B1 (ko) 2024-02-22

Family

ID=6705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329A KR102639019B1 (ko) 2017-12-14 2018-06-21 보행형 작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10281B2 (ko)
KR (1) KR1026390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8127A (ja) 2003-08-18 2005-03-10 Seirei Ind Co Ltd ロ−タリ耕耘装置及び耕土均平装置
JP2011147463A (ja) 2011-05-12 2011-08-04 Kubota Corp 歩行型管理機
JP2012161333A (ja) * 2012-04-27 2012-08-30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歩行型管理機
JP2014018177A (ja) 2012-07-23 2014-02-03 Iseki & Co Ltd 歩行型の車軸管理機
JP2014097041A (ja) * 2012-11-16 2014-05-29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歩行型管理機
JP2014161313A (ja) 2013-02-27 2014-09-08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歩行型管理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7991A (en) * 1996-10-21 1998-08-04 Sukup Manufacturing Company Adjustable angle ridger for a cultivator
JP5885580B2 (ja) 2012-05-15 2016-03-15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管理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8127A (ja) 2003-08-18 2005-03-10 Seirei Ind Co Ltd ロ−タリ耕耘装置及び耕土均平装置
JP2011147463A (ja) 2011-05-12 2011-08-04 Kubota Corp 歩行型管理機
JP2012161333A (ja) * 2012-04-27 2012-08-30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歩行型管理機
JP2014018177A (ja) 2012-07-23 2014-02-03 Iseki & Co Ltd 歩行型の車軸管理機
JP2014097041A (ja) * 2012-11-16 2014-05-29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歩行型管理機
JP2014161313A (ja) 2013-02-27 2014-09-08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歩行型管理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10281B2 (ja) 2021-07-28
JP2019103477A (ja) 2019-06-27
KR20190071563A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4514B2 (en) Rotary cutter implement with ball joint connection to a power machine
KR101463693B1 (ko) 보행형 관리기
KR101329683B1 (ko) 보행형 관리기
JP2001346405A (ja) 農作業機
KR102639019B1 (ko) 보행형 작업기
KR102645412B1 (ko) 보행형 작업기
US20110067893A1 (en) Floating Pivot Joint for Work Implement
JP7001452B2 (ja) 歩行型作業機
JP4170860B2 (ja) 畦塗り機
JP6910280B2 (ja) 歩行型作業機
JP2010265674A (ja) 作業機
JP2014018177A (ja) 歩行型の車軸管理機
JP6910278B2 (ja) 歩行型作業機
JP4059791B2 (ja) 農作業機
AU2017203496A1 (en) Tow hitch assembly
JP2019103478A (ja) 歩行型作業機
JP2019103475A (ja) 歩行型作業機
JP3679874B2 (ja) 作業車両用の作業装置
JP6544824B2 (ja) 農作業機
JP4753073B2 (ja) 農作業機
JP2023081201A (ja) 歩行型耕運機
JP4953332B2 (ja) 農作業機
KR20230162201A (ko) 굴착기 모듈이 탑재된 트랙터
JP2007267628A (ja) 耕耘機
CN113906874A (zh) 水田作业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