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693B1 - 보행형 관리기 - Google Patents

보행형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693B1
KR101463693B1 KR1020130088607A KR20130088607A KR101463693B1 KR 101463693 B1 KR101463693 B1 KR 101463693B1 KR 1020130088607 A KR1020130088607 A KR 1020130088607A KR 20130088607 A KR20130088607 A KR 20130088607A KR 101463693 B1 KR101463693 B1 KR 101463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posture
traveling
attitud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014A (ko
Inventor
마사루 우치타니
사다오 야마나카
게이이치 세자키
도시히토 모리와키
슘페이 오오츠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40014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16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special addition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1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 A01B33/024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with disk-like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8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of the walk-behind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성형판을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전환하는 전환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접지체가 작업자의 방해로 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접지체(11) 및 성형체(12)는, 경작 로터(10)로 경작한 흙을 압박하는 작업 자세의 성형체(12)에 대하여, 접지체(11)의 하단부측 부위가 성형체(12)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측면에서 볼 때 접지체(11)와 성형체(12)를 교차시켜 접지체(11)를 비작업 자세로 하는 제1 자세 상태와, 작업 자세보다도 상방측에 대피한 비작업 자세의 성형체(12)에 대하여, 접지체(11)의 하단부측 부위가 성형체(12)보다도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측면에서 볼 때 접지체(11)와 성형체(12)를 교차시켜 접지체(11)를 작업 자세로 하는 제2 자세 상태로 주행 기체(1)의 횡폭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보행형 관리기{WALK-BEHIND TYPE MANAGING MACHINE}
본 발명은, 주행 기체의 하부에 구비된 경작 로터와, 상기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된 접지체와, 상기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경작 로터로 경작한 흙을 압박하여 이랑을 성형하는 성형체가 구비되어 있는 보행형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보행형 관리기에서는, 접지체를 사용함으로써, 접지체에 의해 주행 기체에 대한 전진 저항을 조정하면서 경작 로터로 경운하는 경운 작업을 행하고, 성형체를 사용함으로써, 경작 로터로 경작한 흙을 성형체에 의해 압박하여 이랑을 성형하는 이랑 세움 작업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성형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성형체의 일단부를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핀 연결함으로써, 성형체를 주행 기체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성형체를 사용하지 않고 접지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핀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성형체를 주행 기체로부터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다른 보행형 관리기에서는,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반을 구비하고, 그 회전반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장착통을 구비하고, 1개의 장착통에 접지체를 장착하고, 다른 1개의 장착통에 성형판을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관리기에서는, 접지체를 사용하지 않고 성형판을 사용하는 경우에, 성형판이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회전반을 회전시켜 피닝에 의해 회전반을 고정하고 있고, 성형판을 사용하지 않고 접지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접지체를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회전반을 회전시켜 피닝에 의해 회전반을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147463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7-18501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관리기에서는, 성형판을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전환하기 위해, 성형체의 장착 작업 및 제거 작업을 행해야 하고, 그 전환 작업이 수고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된다.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관리기에서는, 회전반의 회전과 피닝이라고 하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에 의해, 성형판을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접지체를 사용하지 않고 성형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교체 작업이 필요해지고, 접지체의 사용과 이동륜의 사용을 변경할 때라도, 주행 기체의 후방부의 회전반으로부터 그것보다도 후방측에 접지체 또는 이동륜이 돌출되도록 존재하게 되어, 그 접지체 등이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방해로 된다. 따라서, 회전반으로부터 접지체를 제거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 경우에는, 결국, 회전반으로부터 접지체를 제거하는 작업을 행해야 하여, 수고를 필요로 하는 작업으로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성형판을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전환하는 전환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접지체가 작업자의 방해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보행형 관리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보행형 관리기의 특징 구성은, 주행 기체의 하부에 구비된 경작 로터와, 상기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된 접지체와, 상기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경작 로터로 경작한 흙을 압박하여 이랑을 성형하는 성형체가 구비되고, 상기 접지체 및 상기 성형체는, 상기 경작 로터로 경작한 흙을 압박하는 작업 자세의 성형체에 대하여, 상기 접지체의 하단부측 부위가 상기 성형체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접지체와 상기 성형체를 교차시켜 상기 접지체를 비작업 자세로 하는 제1 자세 상태와, 상기 작업 자세보다도 상방측에 대피한 비작업 자세의 성형체에 대하여, 상기 접지체의 하단부측 부위가 상기 성형체보다도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접지체와 상기 성형체를 교차시켜 상기 접지체를 작업 자세로 하는 제2 자세 상태로 상기 주행 기체의 횡폭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접지체를 사용하지 않고 성형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지체 및 성형체의 자세 상태를 제1 자세 상태로 전환하여, 성형체를 작업 자세로 하고, 또한 접지체를 비작업 자세로 함으로써, 이랑 세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성형체를 사용하지 않고 접지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지체 및 성형체의 자세 상태를 제2 자세 상태로 전환하여, 성형체를 비작업 자세로 하고, 또한 접지체를 작업 자세로 함으로써, 경운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성형체를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로 전환하기 위해, 접지체 및 성형체를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좋고, 이 전환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세 상태에서는, 접지체의 하단부측 부위가 성형체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므로, 주행 기체의 후방부로부터 후방측으로 크게 접지체가 돌출되는 일 없이, 그 접지체가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방해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보행형 관리기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성형체는, 상기 주행 기체의 횡폭 방향을 따르는 제1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접지체는, 상기 주행 기체의 횡폭 방향을 따르는 제2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 요동 축심은, 상기 주행 기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제2 요동 축심보다도 상기 경작 로터에 접근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주행 기체의 전후 방향에서 제1 요동 축심을 제2 요동 축심보다도 경작 로터에 접근하는 측에 배치함으로써, 접지체 및 성형체의 자세 상태를 제1 자세 상태로 전환한 경우에, 성형체를 경작 로터에 의해 접근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경작 로터에 의해 경작된 흙을 성형체에 의해 적절하게 압박하여 이랑을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보행형 관리기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접지체 및 상기 성형체의 자세 상태를 상기 제1 자세 상태와 상기 제2 자세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는 경우에, 상기 접지체의 요동에 수반하여 상기 성형체를 요동시키는 요동 연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접지체 및 성형체의 자세 상태를 제1 자세 상태와 제2 자세 상태로 전환하는 데 있어서, 접지체를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요동 연동 기구에 의해, 성형체도 요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전환 작업으로서는, 접지체를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좋고, 보다 가일층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보행형 관리기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요동 연동 기구는, 상기 성형체에 형성된 긴 구멍 형상의 홈부를 구비하고, 그 홈부를 관통하여 그 홈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접지체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접지체를 요동시킨 경우에는, 접지체가 홈부 내를 이동하고, 그 홈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지체가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해 홈부 내에서의 접지체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접지체의 움직임에 성형체가 연동하게 되어, 접지체의 요동에 수반하여 성형체를 요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요동 연동 기구로서는, 홈부를 구비하고, 그 홈부에 접지체를 관통시켜 설치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만으로 좋다.
본 발명에 관한 보행형 관리기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주행 기체에 피봇 지지 연결되어, 상기 주행 기체에 대하여 상기 접지체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체가 구비되고, 그 요동 지지체에는, 상기 제1 자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접지 가능한 접지 자세로 되고, 상기 제2 자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지 자세보다도 상방측에 대피한 비접지 자세로 되는 이동륜이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접지체 및 성형체의 자세 상태를 제1 자세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접지 자세로 되는 이동륜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경작 로터를 들어올리도록 주행 기체를 조작함으로써, 이동륜을 사용한 주행 기체의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이동륜을 지지하는 것이, 접지체를 지지하는 요동 지지체이므로, 이동륜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이 요동 지지체를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접지체뿐만 아니라, 이동륜도 요동시켜 자세의 전환을 행할 수 있어, 전환 작업을 보다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보행형 관리기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요동 지지체에는, 상기 제1 자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체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1 자세 상태에 있어서 작업 자세로 되는 성형체는, 경작 로터에 의해 경작한 흙을 압박하여 이랑을 성형하므로, 그 흙의 반동에 의해 성형체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본 특징 구성에서는, 규제체를 구비함으로써, 성형체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하여, 성형체를 작업 자세로 유지하여 이랑의 성형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규제체를 지지하는 것이, 접지체를 지지하는 요동 지지체이므로, 규제체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이 요동 지지체를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접지체뿐만 아니라, 규제체도 요동시켜 자세의 전환을 행할 수 있어, 전환 작업을 보다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경운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보행형 관리기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이랑 세움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보행형 관리기의 전체 측면도.
도 3은 이랑 세움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보행형 관리기의 전체 평면도.
도 4는 경운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보행형 관리기의 주요부를 확대한 측면도.
도 5는 이랑 세움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보행형 관리기의 주요부를 확대한 측면도.
도 6은 보행형 관리기의 주요부에 있어서의 부재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본 발명에 관한 보행형 관리기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보행형 관리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2), 전동 케이스(3) 및 조종 핸들(4)을 갖는 주행 기체(1)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경운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보행형 관리기(100)의 전체 측면도이며, 지면에 대한 접지체(11)의 깊이를 조정함으로써 주행 기체(1)에 대한 전진 저항을 조정하면서, 경작 로터(10)를 구동시켜 주행 기체(1)를 전진시키고 있다. 도 2는 이랑 세움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보행형 관리기(100)의 전체 측면도이며, 도 3은 이랑 세움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보행형 관리기(100)의 전체 평면도이다. 이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랑 세움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경작 로터(10)에 의해 경작된 흙을 성형체(12)에 의해 압박하여 주행 기체(1)의 통과 후의 좌우에 이랑을 형성하고 있는 외측 융기식의 이랑 세움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주행 기체(1)는, 엔진(2)을 상단부에 지지한 전동 케이스(3)로부터 후방으로 조종 핸들(4)을 연장하고 있고, 전동 케이스(3)의 하부 좌우에 회전축(5)을 가로로 걸쳐 지지하고, 전동 케이스(3)의 상부 좌우에 펜더(6)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1)의 하부에는, 좌우 한 쌍의 경작 로터(10)가 구비되어 있고, 회전축(5)을 회전시킴으로써, 좌우 한 쌍의 경작 로터(10)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 기체(1)의 후방부에는, 접지체(11)와, 경작 로터(10)로 경작한 흙을 압박하여 이랑을 성형하는 성형체(12)와, 주행 기체(1)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륜(13)이 구비되어 있다.
엔진(2)은, 예를 들어, 공냉식 가솔린 엔진이 사용되어 있고, 엔진(2)의 구동력은 벨트 텐션식의 클러치 기구를 겸한 전동 장치(7)에 의해 전동 케이스(3)에 전달되고 있다. 엔진(2)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측부에 구비한 리코일 스타터(8)에 의해 수동으로 시동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리코일 스타터(8)에는 엔진(2)의 시동 시에 당김 조작하는 그립(9)이 구비되어 있다.
조종 핸들(4)은, 강재제의 둥근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핸들 기부(4a)와, 그 후단부에 횡방향의 지지점 P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 좌우 두 갈래 형상으로 되는 강재제의 조작 핸들부(4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조종 핸들(4)은, 핸들 기부(4a)와 조작 핸들부(4b)의 경계 부분의 지지점 P에 구비한 노브가 장착된 볼트(14)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조작 핸들부(4b)를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임의의 회전 위치에서 노브가 장착된 볼트(14)를 조임으로써, 조작 핸들부(4b)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종 핸들(4)은, 조작 핸들부(4b)를 전방으로 크게 회전시킴으로써, 엔진(2)에 걸치도록 절입 저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3)의 후방부[주행 기체(1)의 후방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금 구조의 후방부 히치(15)가 구비되어 있고, 이 후방부 히치(15)에 삽입 관통한 핸들 기부(4a)의 전단부가 전동 케이스(3)의 하부 후방 개소에 연결됨으로써, 핸들 기부(4a)가 소정의 후방 상승 경사 자세로 견고하게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후방부 히치(15)는, 주행 기체(1)에 접지체(11) 및 성형체(12)를 지지하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접지체(11) 및 성형체(12)의 지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경운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주요부를 확대한 측면도이며, 도 5는 이랑 세움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주요부를 확대한 측면도이며, 도 6은 주행 기체(1)의 후방부에 있어서, 후방부 히치(15)에 구비되는 부재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후방부 히치(15)는, 주행 기체(1)의 전후 방향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부 히치(15)의 후단부에는, 원통 형상의 제1 통 형상체(16)가 그 축심 방향을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한 기립 자세로 구비되어 있다. 후방부 히치(15)의 후단부에는, 제1 연결 핀(18)에 의해 제1 지지체(17)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이 제1 지지체(17)는, 주행 기체(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행 기체(1)의 횡폭 방향에서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된 전방측 부위에서 후방부 히치(15)를 끼워 넣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1 지지체(17)는, 그 후방측 부위가 후방부 히치(15)보다도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고, 그 제1 지지체(17)에 대하여, 접지체(11) 및 성형체(12)가 주행 기체(1)의 횡폭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접지체(11)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요동 지지체(19)가 구비되어 있고, 그 요동 지지체(19)가, 제2 연결 핀(20)에 의해 제1 지지체(17)의 후단부에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요동 지지체(19)는, 전방측에 배치된 제2 지지체(21)와 후방측에 배치된 제2 통 형상체(22)가 구비되어 있다. 제2 지지체(21)는, 그 전방측 부위가 상방측을 폐색하고 또한 하방측을 개방한 주행 기체(1)의 횡폭 방향에서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방측 부위에서 제1 지지체(17)를 끼워 넣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제2 통 형상체(22)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접지체(11)를 삽입 분리 가능한 내경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2 통 형상체(22)의 내부에 접지체(1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3 연결 핀(23)에 의해 접지체(11)가 제2 통 형상체(22)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접지체(11)는, 일본어 「へ」자 형상의 막대 형상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상방측 부위가 제2 통 형상체(22)에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요동 지지체(19)에는, 접지체(11)에 더하여, 이동륜(13)도 지지되어 있다. 제2 통 형상체(22)의 상단부측 부위로부터 횡측방으로 연장되도록 제3 통 형상체(24)가 구비되어 있고, 그 제3 통 형상체(24)의 단부에 이동륜용 축부(25)가 구비되어 있다. 이동륜(13)은, 좌우 한 쌍 구비되어 있고, 좌우 한 쌍의 이동륜(13) 각각이, 이동륜용 축부(25)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성형체(12)의 지지 구성에 대해 설명하지만, 우선, 성형체(1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성형체(1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복수의 보강 부재(26, 27, 28)와 고무판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져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판 형상 부재(29)를 구비하고 있고, 그 보강 부재(26, 27, 28)와 판 형상 부재(29)의 복수 개소에서 볼트에 의해 볼트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강 부재로서, 성형체(12)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그 횡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척 판 형상의 제1 보강 부재(26)와, 성형체(12)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그 횡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척 판 형상의 제2 보강 부재(27)와, 제1 보강 부재(26)의 횡폭 방향의 중앙부와 제2 보강 부재(27)의 횡폭 방향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제3 보강 부재(28)가 구비되어 있다. 제1 보강 부재(26)의 횡폭 방향에서의 폭은, 제2 보강 부재(27)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보강 부재(28)의 횡폭 방향의 양단부가 기립하도록 절곡된 기립 벽부(28a)로서 형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기립 벽부(28a)의 상단부는, 판 형상 부재(29)보다도 상방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좌우 한 쌍의 기립 벽부(28a)의 상단부에 연결 핀 삽입 관통 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성형체(12)의 지지에 대해서는, 좌우 한 쌍의 기립 벽부(28a)에서 제1 지지체(17)를 끼워 넣는 상태에서, 연결 핀 삽입 관통 구멍(30)에 제4 연결 핀(31)을 장착함으로써, 성형체(12)가 제1 지지체(17)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보행형 관리기(1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체(12)가 제4 연결 핀(31)의 제1 요동 축심 Q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접지체(11)가 제2 연결 핀(20)의 제2 요동 축심 Q2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성형체(12)를 제1 요동 축심 Q1 주위로 요동시키고 또한 접지체(11)를 제2 요동 축심 Q2 주위로 요동시킴으로써, 접지체(11) 및 성형체(12)의 자세 상태를 전환하여,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경운 작업을 행하는 경우와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이랑 세움 작업을 행하는 경우로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이랑 세움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서는, 접지체(11) 및 성형체(12)의 자세 상태를 제1 자세 상태로 전환하고 있고,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경운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서는, 접지체(11) 및 성형체(12)의 자세 상태를 제2 자세 상태로 전환하고 있다.
제1 자세 상태에서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작 로터(10)로 경작한 흙을 압박하는 작업 자세의 성형체(12)에 대하여, 접지체(11)의 하단부측 부위가 성형체(12)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측면에서 볼 때 접지체(11)와 성형체(12)를 교차시켜 접지체(11)를 비작업 자세로 하는 자세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제1 자세 상태에서는, 접지체(11)의 하단부측 부위가 좌우 한 쌍의 경작 로터(1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측면에서 볼 때 경작 로터(10)와 접지체(11)의 하단부측 부위가 중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작업 자세의 접지체(11)는, 주행 기체(1)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주행 기체(1)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다. 또한, 성형체(12)의 제1 요동 축심 Q1이, 접지체(11)의 제2 요동 축심 Q2보다도 주행 기체(1)의 전후 방향에서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 자세의 성형체(12)를 경작 로터(10)에 대하여 보다 접근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경작 로터(10)에 의해 경작된 흙을 성형체(12)에 의해 적절하게 압박하여 이랑을 성형할 수 있다.
제2 자세 상태에서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 자세보다도 상방측에 대피한 비작업 자세의 성형체(12)에 대하여, 접지체(11)의 하단부측 부위가 성형체(12)보다도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측면에서 볼 때 접지체(11)와 성형체(12)를 교차시키는 자세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제2 자세 상태에서는, 비작업 자세의 성형체(12)가 주행 기체(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수평한 자세로 되어 있고, 접지체(11)가 그 성형체(12)를 관통하는 상태에서 주행 기체(1)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비작업 자세의 성형체(12)는, 작업 자세의 접지체(11)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주행 기체(1)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어, 접지체(11)에 의한 주행 기체(1)에 대한 전진 저항의 조정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보행형 관리기(100)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체(11) 및 성형체(12)의 자세 상태를 제1 자세 상태와 제2 자세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는 경우에, 접지체(11)의 요동에 수반하여 성형체(12)를 요동시키는 요동 연동 기구(36)가 구비되어 있다. 이 요동 연동 기구(36)는, 성형체(12)에 형성된 긴 구멍 형상의 홈부(37)를 구비하고, 그 홈부(37)를 관통하여 그 홈부(37)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접지체(11)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홈부(37)는, 성형체(12)의 횡폭 방향의 중앙부에 그 상하 방향으로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지체(11)는, 그 홈부(37) 내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접지체(11)를 요동시킨 경우에는, 접지체(11)가 홈부(37) 내를 이동하고, 그 홈부(37)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지체(11)가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해 홈부(37) 내에서의 접지체(11)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접지체(11)의 움직임에 성형체(12)가 연동하게 되어, 접지체(11)의 요동에 수반하여 성형체(12)를 요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작업자는, 접지체(11)를 제2 요동 축심 Q2 주위에서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접지체(11) 및 성형체(12)의 자세 상태를 제1 자세 상태와 제2 자세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체(11) 및 성형체(12)의 자세 상태를 제1 자세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접지체(11)가 홈부(37)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상단부)에 접촉하고 있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체(11) 및 성형체(12)의 자세 상태를 제2 자세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접지체(11)가 홈부(37)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하단부)에 접촉하고 있다.
이 보행형 관리기(10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요동 연동 기구(36)에 더하여, 접지체(11) 및 성형체(12)의 자세 상태를 제1 자세 상태와 제2 자세 상태의 각각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이 유지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체(17)에는, 그 후방면부에 제1 로크 구멍부(32)가 구비되고, 그 상방면부에 제2 로크 구멍부(33)가 구비되어 있다. 요동 지지체(19)에는, 제1 로크 구멍부(32) 및 제2 로크 구멍부(33)의 각각에 대하여 삽입 분리 가능한 막대 형상의 로크체(34)가 구비되어 있다. 이 로크체(34)는, 요동 지지체(19)에 대하여 그 내외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1 로크 구멍부(32) 또는 제2 로크 구멍부(33)에 결합 삽입됨으로써, 제1 지지체(17)에 대한 요동 지지체(19)의 요동이 규제되어 있다. 요동 지지체(19)에는, 제1 로크 구멍부(32) 또는 제2 로크 구멍부(33)에 결합 삽입하는 측에 가압하는 탄성 스프링 등의 가압체(35)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체(34)를 제1 로크 구멍부(32)에 결합 삽입함으로써, 접지체(11)를 제1 자세 상태에서의 비작업 자세로 유지하고 있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체(34)를 제2 로크 구멍부(33)에 결합 삽입함으로써, 접지체(11)를 제2 자세 상태에서의 작업 자세로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지체(11)에 대해서는, 로크 구멍부(32, 33)에 대한 로크체(34)의 결합 삽입에 의해, 작업 자세와 비작업 자세의 각각으로 유지하고 있다. 성형체(12)에 대해서는, 상술한 요동 연동 기구(36)를 이용하여, 성형체(12)를 작업 자세와 비작업 자세의 각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지체(11)는, 성형체(12)에 형성된 홈부(37)를 관통하여 그 홈부(37)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접지체(11)가 제1 자세 상태 또는 제2 자세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는, 접지체(11)가 홈부(37)의 단부에 접촉하여 접지체(11)의 홈부(37) 내에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지체(11)에 의해 성형체(12)를 유지할 수 있다. 접지체(11) 및 성형체(12)의 자세 상태를 제1 자세 상태로 전환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체(11)가 홈부(37)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상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성형체(12)를 작업 자세로 유지하고 있다. 접지체(11) 및 성형체(12)의 자세 상태를 제2 자세 상태로 전환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체(11)가 홈부(37)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하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성형체(12)를 비작업 자세로 유지하고 있다.
접지체(11) 및 성형체(12)의 자세 상태를 제1 자세 상태와 제2 자세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로크체(34) 및 접지체(11)를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로크체(34)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요동 지지체(19)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작업자가 조작하는 조작 레버 부위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로크체(34)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 부위를 작업자가 파지하고, 제1 로크 구멍부(32) 또는 제2 로크 구멍부(33)로부터 로크체(34)를 이탈시킴으로써, 접지체(11)의 자세 유지를 해제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로크체(34)를 조작함으로써, 접지체(11)의 자세 유지를 해제하고, 다음으로, 접지체(11)를 제2 요동 축심 Q2 주위에서 요동시킴으로써, 접지체(11) 및 성형체(12)의 자세 상태를 제1 자세 상태와 제2 자세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요동 지지체(19)에는, 접지체(11)뿐만 아니라, 이동륜(13)도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동륜(13)은, 요동 지지체(19)의 요동에 수반하여 요동하므로, 접지체(11)와 일체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륜(13)은, 접지체(11)와의 일체적인 요동에 의해,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자세 상태에 있어서 성형체(12)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접지 가능한 접지 자세로 되고,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자세 상태에 있어서 접지 자세보다도 상방측에 대피한 비접지 자세로 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륜(13)을 접지 자세로 한 경우에, 경작 로터(10)를 들어올리도록 주행 기체(1)를 요동시킴으로써, 이동륜(13)을 사용한 주행 기체(1)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요동 지지체(19)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자세 상태에 있어서, 성형체(12)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체(38)가 구비되어 있다. 규제체(38)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3 통 형상체(24)로부터 그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규제체(38)는, 요동 지지체(19)의 요동에 수반하여 요동하므로, 접지체(11)와 일체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체(38)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자세 상태에 있어서, 성형체(12)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성형체(12)에 접촉함으로써, 성형체(12)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규제체(38)의 접촉 개소는, 성형체(12)에 있어서, 제3 보강 부재(28)의 좌우 한 쌍의 기립 벽부(28a)의 사이의 부위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립 벽부(28a)에 의해 규제체(38)가 주행 기체(1)의 횡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고, 성형체(12)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적절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세 상태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체(38)가, 이동륜(13)과 함께 비작업 자세의 성형체(12)의 상방측에 대피한 자세로 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원동부로서, 엔진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원동부로서 전동 모터를 구비한 보행형 관리기를 적용할 수도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접지체(11)로서 막대 형상체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접지 차륜을 접지체로서 적용할 수도 있고, 그 밖에, 각종 접지체를 적용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기체(1)의 전후 방향에서 제1 요동 축심 Q1을 제2 요동 축심 Q2보다도 접근하는 측에 구비하고 있지만, 제1 요동 축심 Q1과 제2 요동 축심 Q2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는 이 배치 관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요동 축심 Q1과 제2 요동 축심 Q2가 다른 위치이면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륜(13)이나 규제체(38)를 구비하여, 이동륜(13) 및 규제체(38)를 요동 지지체(19)에 지지시키고 있지만, 이러한 이동륜(13)이나 규제체(38)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요동 연동 기구(36)를 구비하고, 접지체(11)를 요동함으로써, 그 접지체(11)의 요동에 수반하여 성형체(12)를 요동시키고 있지만, 이러한 요동 연동 기구를 구비하지 않고, 접지체(11)와 성형체(12)를 각각 요동시킴으로써, 제1 자세 상태와 제2 자세 상태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성형판을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전환하는 전환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접지체가 작업자의 방해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각종 보행형 관리기에 적용 가능하다.
1 : 주행 기체
10 : 경작 로터
11 : 접지체
12 : 성형체
13 : 이동륜
19 : 요동 지지체
36 : 요동 연동 기구
37 : 홈부
38 : 규제체

Claims (7)

  1. 주행 기체의 하부에 구비된 경작 로터와, 상기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된 접지체와, 상기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경작 로터로 경작한 흙을 압박하여 이랑을 성형하는 성형체가 구비되고,
    상기 접지체 및 상기 성형체는, 상기 경작 로터로 경작한 흙을 압박하는 작업 자세의 성형체에 대하여, 상기 접지체의 하단부측 부위가 상기 성형체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접지체와 상기 성형체를 교차시켜 상기 접지체를 비작업 자세로 하는 제1 자세 상태와, 상기 작업 자세보다도 상방측에 대피한 비작업 자세의 성형체에 대하여, 상기 접지체의 하단부측 부위가 상기 성형체보다도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접지체와 상기 성형체를 교차시켜 상기 접지체를 작업 자세로 하는 제2 자세 상태로 상기 주행 기체의 횡폭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보행형 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체의 하단부측 부위는, 제1 자세 상태에 있어서 경작 로터의 사이에서 전동 케이스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보행형 관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상기 주행 기체의 횡폭 방향을 따르는 제1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접지체는, 상기 주행 기체의 횡폭 방향을 따르는 제2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 요동 축심은, 상기 주행 기체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제2 요동 축심보다도 상기 경작 로터에 접근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는, 보행형 관리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체 및 상기 성형체의 자세 상태를 상기 제1 자세 상태와 상기 제2 자세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는 경우에, 상기 접지체의 요동에 수반하여 상기 성형체를 요동시키는 요동 연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보행형 관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연동 기구는, 상기 성형체에 형성된 긴 구멍 형상의 홈부를 구비하고, 그 홈부를 관통하여 그 홈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접지체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행형 관리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에 피봇 지지 연결되어, 상기 주행 기체에 대하여 상기 접지체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체가 구비되고, 그 요동 지지체에는, 상기 제1 자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접지 가능한 접지 자세로 되고, 상기 제2 자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지 자세보다도 상방측에 대피한 비접지 자세로 되는 이동륜이 구비되어 있는, 보행형 관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지지체에는, 상기 제1 자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체가 구비되어 있는, 보행형 관리기.
KR1020130088607A 2012-07-27 2013-07-26 보행형 관리기 KR101463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7358A JP5868280B2 (ja) 2012-07-27 2012-07-27 歩行型管理機
JPJP-P-2012-167358 2012-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014A KR20140014014A (ko) 2014-02-05
KR101463693B1 true KR101463693B1 (ko) 2014-11-19

Family

ID=5019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607A KR101463693B1 (ko) 2012-07-27 2013-07-26 보행형 관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868280B2 (ko)
KR (1) KR1014636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7728A (zh) * 2016-07-05 2018-01-12 镇江市万金农机有限公司 一种手拖配套的大动力后置直传式旋耕机组
KR102531081B1 (ko) 2023-01-09 2023-05-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2차 변속기를 구비하는 보행행 전동 관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7727A (zh) * 2016-07-05 2018-01-12 镇江市万金农机有限公司 一种双动力后置直传式旋耕机组
USD825184S1 (en) 2017-02-22 2018-08-14 Yeti Coolers, Llc Bag
USD824675S1 (en) 2017-02-22 2018-08-07 Yeti Coolers, Llc Bag
USD824664S1 (en) 2017-02-22 2018-08-07 Yeti Coolers, Llc Bag
US11076666B2 (en) 2017-03-08 2021-08-03 Yeti Coolers, Llc Container with magnetic closure
EP3592173B1 (en) 2017-03-08 2024-07-17 Yeti Coolers, LLC Container with magnetic closure
US10954055B2 (en) 2017-03-08 2021-03-23 Yeti Coolers, Llc Container with magnetic closure
KR102645412B1 (ko) * 2017-12-14 2024-03-1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보행형 작업기
JP6910280B2 (ja) * 2017-12-14 2021-07-28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作業機
JP6910278B2 (ja) * 2017-12-14 2021-07-28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作業機
USD909063S1 (en) 2019-03-08 2021-02-02 Yeti Coolers, Llc Bag
USD935175S1 (en) 2019-03-08 2021-11-09 Yeti Coolers, Llc Bag
JP6840789B2 (ja) * 2019-06-24 2021-03-10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管理機
USD957200S1 (en) 2020-06-03 2022-07-12 Yeti Coolers, Llc Bag
US11992104B2 (en) 2022-02-16 2024-05-28 Yeti Coolers, Llc Container with resealable clos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9399A (ja) * 2010-03-12 2010-06-03 Kubota Corp 歩行型管理機
KR20100059740A (ko) * 2008-11-26 2010-06-04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소형 경운기
KR20120030019A (ko) * 2010-09-17 2012-03-2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로터리 경운 장치
JP2012090536A (ja) * 2010-10-25 2012-05-17 Yanmar Co Ltd 歩行型管理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8154B2 (ja) * 2004-04-28 2008-07-30 株式会社マキタ沼津 管理機
JP2012016284A (ja) * 2010-07-06 2012-01-26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歩行型管理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9740A (ko) * 2008-11-26 2010-06-04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소형 경운기
JP2010119399A (ja) * 2010-03-12 2010-06-03 Kubota Corp 歩行型管理機
KR20120030019A (ko) * 2010-09-17 2012-03-2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로터리 경운 장치
JP2012090536A (ja) * 2010-10-25 2012-05-17 Yanmar Co Ltd 歩行型管理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7728A (zh) * 2016-07-05 2018-01-12 镇江市万金农机有限公司 一种手拖配套的大动力后置直传式旋耕机组
KR102531081B1 (ko) 2023-01-09 2023-05-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2차 변속기를 구비하는 보행행 전동 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23487A (ja) 2014-02-06
KR20140014014A (ko) 2014-02-05
JP5868280B2 (ja)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693B1 (ko) 보행형 관리기
JP5730531B2 (ja) 歩行型管理機
JP5242466B2 (ja) 歩行型管理機
JP4408336B2 (ja) 管理機
JP5634493B2 (ja) 耕耘機
JP2014097041A (ja) 歩行型管理機
JP4360200B2 (ja) 移動農機の薬剤散布装置
JP6099431B2 (ja) 歩行型管理機
JP2012249591A (ja) 抵抗棒と補助輪の切替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歩行型作業機
JP5885580B2 (ja) 歩行型管理機
JP2014018177A (ja) 歩行型の車軸管理機
JP2011109962A (ja) 歩行型農作業機
JP2013236587A5 (ko)
JP2014068576A (ja) 歩行型管理機
JP4617201B2 (ja) 移動農機
JP2008237095A (ja) 歩行型管理機
JP6181410B2 (ja) 歩行型管理機
JP2017077229A (ja) 農業用作業機
KR20190071563A (ko) 보행형 작업기
JP6662750B2 (ja) 畝立器
JP7217886B2 (ja) 歩行型作業機
JP2023081201A (ja) 歩行型耕運機
JP2017051183A (ja) 管理機
JP2019103476A (ja) 歩行型作業機
JP6539858B2 (ja) 管理機のロータリ耕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