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683B1 - 보행형 관리기 - Google Patents

보행형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683B1
KR101329683B1 KR1020117022130A KR20117022130A KR101329683B1 KR 101329683 B1 KR101329683 B1 KR 101329683B1 KR 1020117022130 A KR1020117022130 A KR 1020117022130A KR 20117022130 A KR20117022130 A KR 20117022130A KR 101329683 B1 KR101329683 B1 KR 101329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cam
auxiliary frame
walking type
t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425A (ko
Inventor
마사노리 나카노
슈지 니시무라
타케하루 마츠자와
타다요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9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8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of the walk-behind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기체의 이동과 경운 작업의 절환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 보행형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행형 관리기(1)의 미륜체(30)는, 경운 장치(1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보조 프레임(31)과, 상기 보조 프레임(31)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지지 로드(32)와, 상기 제1 지지 로드(32)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지지 로드(33)와, 상기 제2 지지 로드(3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륜(34)과, 상기 제1 지지 로드(32)를 상기 보조 프레임(31)에 대해 임의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제1 유지 수단(40)과, 상기 제2 지지 로드(33)를 상기 제1 지지 로드(32)에 대해 임의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5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보행형 관리기{WALKING TYPE MANAGEMENT MACHINE}
본 발명은 보행형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보행형 관리기의 이동용 미륜체(尾輪體)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경운 장치를 구비한 보행형 관리기에 있어서, 이동용 미륜체를 사용할 때에는 경운 장치의 후부에 마련된 작업기 부착부에 미륜체를 장착하거나 경운 깊이 조절바나 저항봉에 미륜체를 장착하였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전자의 작업기 부착부에 미륜체를 장착하는 방법은, 기체의 이동 작업과 경운 작업을 절환할 때마다 상기 작업기 부착부로부터 미륜체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간이 들었다. 또한, 작업기 부착부로부터 미륜체를 분리한 경우, 보관 장소를 확보하고 관리도 해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작업기 부착부에 미륜체를 장착하고 있을 때는 다른 작업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후자의 특허 문헌 1과 같은 방법은, 다른 작업기를 동시에 사용 가능하여 미륜체의 보관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자의 수단보다 기체의 이동 작업과 경운 작업의 절환이 용이하지만, 미륜체를 일단 분리한 후에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고, 경운 깊이 조정 스테이의 높이도 조절할 필요가 있어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장착할 때 경운 깊이 조절바나 저항봉에 부착한 흙을 털어내는 시간이 드는 점에서 불리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6-6343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경운 장치와 함께 미륜체를 간단히 조작해 이동 상태와 경운 작업 상태를 쉽고 신속하게 절환할 수 있는 보행형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행부의 후방에 경운 장치를 마련하고, 그 경운 장치의 후부에 미륜체를 장착한 보행형 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미륜체가 상기 경운 장치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보조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지지 로드와, 상기 제1 지지 로드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지지 로드와, 상기 제2 지지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륜과, 상기 제1 지지 로드를 상기 보조 프레임에 대해 임의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제1 유지 수단과, 상기 제2 지지 로드를 상기 제1 지지 로드에 대해 임의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유지 수단은, 상기 보조 프레임에 마련된 걸림 부재로서의 회전 규제 부재와, 상기 제1 지지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바깥에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회전 규제 부재와 결합 가능한 피걸림부로서의 걸림 오목부를 상기 보조 프레임의 축심 방향 한쪽에 회동 방향으로 복수 개 갖는 통 형상의 제1 보스체와, 상기 제1 보스체를 그 걸림 오목부가 상기 회전 규제 부재와 걸리도록 바이어스하는 제1 바이어스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유지 수단은, 상기 제1 지지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지지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바깥에서 끼워짐과 동시에, 캠부를 상기 제2 지지 로드의 축심 방향 한쪽에 갖는 통 형상의 제2 보스체와, 상기 제2 지지 로드에 바깥에서 끼워져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캠부와 결합 가능한 캠부를 상기 제2 지지 로드의 축심 방향 다른 쪽에 갖는 통 형상의 캠체와, 상기 캠체를 그 캠부가 상기 제2 보스체의 캠부와 걸리도록 바이어스하는 제2 바이어스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운 장치와 상기 미륜체 사이에 경운 장치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고무 차양을 구비하고, 상기 미륜체는 상기 제1 지지 로드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위치에 유지해 상기 고무 차양의 좌우 중앙부에 맞닿을 수 있게 하고, 상기 제2 지지 로드를 상기 미륜이 상기 경운 장치의 최하 위치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회동 위치에 유지해 상기 고무 차양의 좌우 중앙 하부에 맞닿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지지 로드를 회동시켜 제1 유지 수단에 의해 다른 회동 위치에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지지 로드를 회동시켜 제2 유지 수단에 의해 다른 회동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운 장치에 대한 미륜의 상하 위치를 제1 지지 로드 및 제2 지지 로드의 간단한 회동 조작으로 변경해 보행형 관리기의 이동 상태와 경운 작업 상태를 수고를 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절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규제 부재와 제1 보스체의 걸림 오목부를 결합함으로써 제1 지지 로드를 보조 프레임에 대해 소정의 회동 위치에서 유지하고, 제1 보스체를 슬라이딩시켜 회전 규제 부재와 제1 보스체의 걸림 오목부의 결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제1 지지 로드를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 로드의 유지 상태를 간단하게 변경해, 제1 지지 로드를 다른 회동 위치까지 신속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캠체의 캠부와 제2 보스체의 캠부를 결합함으로써 제2 지지 로드를 제1 지지 로드에 대해 소정의 회동 위치에서 유지하고, 제2 지지 로드를 제1 지지 로드에 대해 이동시켜 캠체의 캠부와 제2 보스체의 캠부의 결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제2 지지 로드를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 로드의 유지 상태를 간단하게 변경해, 제2 지지 로드를 다른 회동 위치까지 신속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운 작업시, 고무 차양의 좌우 양측이 경운 후의 토양을 좌우로 밀게 됨으로써 논밭에 이랑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형 관리기를 이동 상태, 경운 작업 상태, 이랑 일구기 상태 중 하나의 상태로 수고를 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절환할 수 있다.
도 1은 보행형 관리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미륜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미륜체의 배면도이다.
도 4의 (a)는 제1 유지 수단의 분해 좌측면도이고, (b)는 보조 프레임과 제1 보스체의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제2 유지 수단의 분해 배면도이고, (b)는 제2 보스체와 캠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지지 로드를 작용 위치로부터 비작용 위치로 회동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좌측면도이고, (b)는 배면도이다.
도 7은 제1 지지 로드를 비작용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로 회동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좌측면도이고, (b)는 배면도이다.
도 8은 이랑 일구기 작업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좌측면도이고, (b)는 배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보행형 관리기(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의 화살표 F의 방향을 보행형 관리기(1)의 전진 방향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행형 관리기(1)에는 주행부(2), 경운부(3), 조종부(4)가 구비된다. 경운부(3)는 주행부(2)의 후방에 배치되고, 조종부(4)는 주행부(2)의 뒤쪽 상방이면서 경운부(3)의 상방에 배치된다.
주행부(2)에서는 기체 프레임(5)의 전부 위에 엔진(6)이 장착되고, 기체 프레임(5)의 후부에 변속 장치(8)가 장착된다. 엔진(6)과 변속 장치(8) 사이에는 전동 장치(7)가 마련된다.
변속 장치(8)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전부가 기체 프레임(5)의 후부에 위치하고, 후부가 경운부(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변속 장치(8)의 앞쪽 하부에는 차축(9)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지지되고, 차축(9)의 좌우 각 단부에 주행륜(10·10)이 장착된다.
경운부(3)는 경운 작업을 행하기 위한 경운 장치(11)를 구비하고, 경운 장치(11)는 변속 장치(8)의 후부에 장착된다. 경운 장치(11)에 의해 경운축(12)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지지되고, 경운축(12)에 복수 개의 경운날(13·13 …)이 적절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마련된다.
경운날(13)의 상방 및 좌우 양측에는 경운 커버(14)가 당해 경운날(13)의 회동 궤적에 맞게 배치되고, 경운날(13)의 후방에는 고무 차양(15)이 경운 커버(14)와 동일 정도의 좌우 폭으로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경운 커버(14)에 의해 복수 개의 경운날(13·13 …)의 상방과, 좌우 양측의 상부에서 측방으로부터 덮이고, 고무 차양(15)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덮인다.
경운 커버(14)의 후부에는 작업기 장착부(16)가 설치된다. 작업기 장착부(16)에 의해 배토기 등의 작업기가 탈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기 장착부(16)에 경운 깊이 조절바(17)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경운 깊이 조절바(17)와 작업기 장착부(16)에 핀이 삽입됨으로써 경운 깊이 조절바(17)가 적절한 상하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작업기 장착부(16)의 뒤쪽 하방에는 미륜체(30)가 배치된다.
조종부(4)에서는, 변속 장치(8)의 후측 경사부에 핸들(18)이 뒤쪽 상방을 향해 비스듬히 마련된다. 핸들(18)의 후단부에는 데드맨 레버(deadman lever)(19)나 디퍼런셜록 레버(differential lock lever)(20) 등이 마련된다. 또한, 변속 장치(8)에 변속 레버(21)가 뒤쪽 상방을 향해 비스듬히 마련되어, 핸들(18)과 나란히 배치된다.
그리고, 동력이 엔진(6)으로부터 전동 장치(7)를 통해 변속 장치(8)에 전달되고, 변속 장치(8)에서 변속된 동력이 주행륜(10·10)이나 경운 장치(11)의 경운축(12)에 전달되어, 주행륜(10·10) 및 복수의 경운날(13·13 …)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종부(4)의 각 레버 등으로 주행부(2)나 경운부(3)의 각 장치가 조작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보행형 관리기(1)는 주행륜(10·10)에 의해 주행하면서, 경운 장치(11)에 의해 경운 작업을 행하고, 또한 경운 깊이 조절바(17)의 상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경운 장치(11)의 경운 깊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미륜체(30)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미륜(34)을 사용하는 기체가 이동할 때의 형태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륜체(30)에는 경운 장치(11)(경운 커버(14) 또는 작업기 장착부(16))쪽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보조 프레임(31)과, 보조 프레임(31)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보조 프레임(3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 로드(32)와, 제1 지지 로드(32)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지지 로드(33)와, 제2 지지 로드(3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륜(34)과, 제1 지지 로드(32)를 보조 프레임(31)에 대해 임의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제1 유지 수단(40)과, 제2 지지 로드(33)를 제1 지지 로드(32)에 대해 임의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50)이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프레임(31)은 원주상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보조 프레임(31)은 경운 커버(14)의 후부에 장착된 작업기 장착부(16)의 하부 후면에 그 전단이 고정되고, 작업기 장착부(16)보다 뒤쪽으로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돌출된다. 보조 프레임(31)에는 제1 유지 수단(40)의 회전 규제 부재(41)를 구성하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보조 프레임(31)에는 제1 유지 수단(40)의 분할 핀(45)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31a)이 당해 보조 프레임(31)의 축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
제1 지지 로드(32)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며, 그 기단, 즉 상단에서 제1 유지 수단(40)을 구성하는 제1 보스체(42)에 고정된다. 제1 지지 로드(32)는 제1 보스체(42)에 의해 보조 프레임(31)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보조 프레임(31)으로부터 그 축선과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지지 로드(32)의 일단부(제1 유지 수단(40)쪽 상부) 후면으로부터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へ' 형상의 파지부(32a)가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에 그립(35)이 마련된다.
제1 유지 수단(40)은 회전 규제 부재(41)와, 제1 보스체(42)와, 제1 바이어스 부재(43)와, 와셔(44)와, 분할 핀(45)으로 주로 구성된다.
걸림 부재로서의 회전 규제 부재(41)는 원주상의 핀으로 구성되어, 보조 프레임(31)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마련된 핀 구멍에 삽입되고, 이 핀 구멍으로부터 보조 프레임(31)의 축선과의 직교 방향(좌우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1 보스체(42)는 축심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는 단차가 있는 대략 원통형의 부재이며, 회전 규제 부재(41)보다 후방에서 보조 프레임(31)에 바깥에서 끼워짐과 동시에, 그 앞 부분의 하면에서 제1 지지 로드(32)의 상단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 제1 보스체(42)의 후부는 연장부(42c)로서 전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스체(42)의 전면에는 피걸림부로서의 제1 걸림 오목부(42a)와 제2 걸림 오목부(42b)가 제1 보스체(42)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보스체(42)의 회동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두고 배치된다. 제1 걸림 오목부(42a)와 제2 걸림 오목부(42b)는 각각의 내주면 형상이 회전 규제 부재(41)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한 것이 되어, 이 회전 규제 부재(41)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제1 걸림 오목부(42a)의 위치가 작용 위치가 되었을 경우, 제2 걸림 오목부(42b)는 이 작용 위치로부터 제1 보스체(42)를 중심으로 θ1 회전한 비작용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θ1의 각도는 제1 지지 로드(32)를 그 축심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는 작용 위치, 또는 그 축심 방향이 좌우 방향이 되는 비작용 위치에 후술과 같이 유지할 수 있는 각도이면 되기 때문에, 대략 70° 내지 대략 110° 정도가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회전 규제 부재(41)는 보조 프레임(31)의 일측방으로 돌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제1 걸림 오목부(42a)와 제2 걸림 오목부(42b)를 제1 보스체(42)의 직경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보조 프레임(31)의 직경 방향으로 양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1 걸림 오목부(42a)와 제2 걸림 오목부(42b)가 이루는 각도가 θ1이면, 회전 규제 부재(41)의 삽입 각도는 상하 방향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걸림 오목부(42a)와 제2 걸림 오목부(42b)의 형상도 회전 규제 부재(41)와 결합 가능한 형상이면 되고, V자 형상이나 U자 형상 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지지 로드(32) 나아가서는 미륜체(30)를 임의의 각도로 유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회전 규제 부재(41)와 제1 걸림 오목부(42a)와 제2 걸림 오목부(42b) 대신에 보조 프레임(31)과 제1 보스체(42)에 각각 대향해 이붙이 와셔(tooth lock washer)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1 바이어스 부재(43)는 압축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고, 제1 보스체(42)보다 약간 작은 반경의 연장부(42c)의 바깥에 끼워진다.
이들 부재가 조합되어 제1 유지 수단(40)이 구성된다. 즉, 보조 프레임(31)에 돌출된 회전 규제 부재(41)를 제1 보스체(42)의 제1 걸림 오목부(42a)에 결합시키고, 보조 프레임(31)에 제1 보스체(42)를 바깥에서 끼우고, 이 제1 보스체(42)의 연장부(42c)에 제1 바이어스 부재(43)와 와셔(44)를 차례로 바깥에서 끼운다. 그리고, 제1 보스체(42)의 연장부(42c)보다 후방에서 보조 프레임(31)의 관통공(31a)에 분할 핀(45)을 끼워, 제1 바이어스 부재(43)가 연장부(42c)로부터 빠지지 않게 한다. 그 결과, 제1 바이어스 부재(43)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제1 걸림 오목부(42a)가 회전 규제 부재(41)에 결합한 상태로 제1 보스체(42)가 눌리도록 상시 바이어스된다. 이 상태에서는, 축심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는 작용 위치에 제1 지지 로드(32)가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지지 로드(32)를 작용 위치로 했을 경우, 보행형 관리기(1)는 미륜(34)을 접지시키고 경운날(13)을 들리게 해, 경운날(13)에 손상을 주거나 경운날(13)에 의해 주행에 저항이 가해지지 않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경운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륜(34)을 상방으로 돌리고 나서 그립(35)을 잡아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제1 보스체(42)를 보조 프레임(31)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회전 규제 부재(41)와 제1 걸림 오목부(42a)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대로 그립(35)을 측방으로 회동시키고, 제2 걸림 오목부(42b)가 회전 규제 부재(41)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그립(35)을 놓아, 제2 걸림 오목부(42b)를 회전 규제 부재(41)에 결합시킴으로써, 제1 지지 로드(32)를 비작용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미륜(34)이 아니라 경운날(13)의 하단이 접지하게 되므로, 보행형 관리기(1)는 경운축(12)을 회전시켜 경운날(13)에 의해 논밭을 일굴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지지 로드(33)가 제2 유지 수단(50)에 의해 제1 지지 로드(32)에 유지되는 형태를 설명한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지지 로드(33)는 단면이 원형인 막대 형상 부재를 배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コ' 형상으로 굴곡시켜 형성한다. 제2 지지 로드(33)의 개방측의 양단부 중, 기부측(33a)(제1 지지 로드(32)측)에는 후술하는 캠체(52)가 바깥에서 끼워지고, 선단부(33b)(미륜(34)측)측에는 미륜(34)이 바깥에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기부측(33a)의 단면 가까이에는 관통공(33c)이 이 기단측에서의 축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직경 방향)으로 천공된다.
제2 유지 수단(50)은 제2 보스체(51)와 캠체(52)와 제2 바이어스 부재(53)와 와셔(54)와 분할 핀(55)으로 주로 구성된다.
제1 지지 로드(32)의 하단에는 제2 보스체(51)가 고정된다. 제2 보스체(51)는, 도 5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심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2 보스체(51)의 외주면 상측이 제1 지지 로드(32)의 선단, 즉 하단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제2 보스체(51)의 내경은 제2 지지 로드(33)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제2 지지 로드(33)가 제2 보스체(51)에 끼워져 회전 자재로 지지된다. 제2 보스체(51)의 측단면에는 요철 형상의 캠부(51a·51b)가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부(51a)가 캠체(52)쪽으로 돌출하는 볼록부가 되고, 캠부(51b)가 캠체(52) 반대쪽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되며, 캠부(51a)와 캠부(51b)가 제2 보스체(51)의 회동 둘레 방향에서 90°(θ2)마다 교대로 배치된다.
캠체(52)는 축심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2 지지 로드(33)의 기부측(33a)에 바깥에서 끼워져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캠체(52)의 제2 보스체(51)쪽 단면에는 제2 보스체(51)의 캠부(51a·51b)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캠부(52a·52b)가 형성된다. 즉, 캠부(52a·52b)는 캠부(51a·51b)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2 보스체(51)와 캠체(52)는 동일 부재로 해도 된다. 이에 따라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하여 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 보스체(51)에 제2 지지 로드(33)의 기부측(33a)을 삽입하여, 캠부(52a)가 제2 보스체(51)의 캠부(51b)와 대향하면서 캠부(52b)가 제2 보스체(51)의 캠부(51a)와 대향하는 위치에 캠체(52)를 배치하고, 제2 지지 로드(33)의 기부측(33a)에 제2 바이어스 부재(53) 및 와셔(54)를 차례로 바깥에서 끼운 뒤, 기부측(33a)의 단면 근처의 관통공(33c)에 분할 핀(55)을 삽입한다. 그 결과, 제2 바이어스 부재(53)에 의해 제2 지지 로드(33)가 제2 보스체(51)에 대해 우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제2 지지 로드(33)상의 캠체(52)가 제2 보스체(51)쪽으로 밀리면서 캠부(52a·52b)에서 제2 보스체(51)의 소정의 캠부(51a·51b)와 결합된다. 이렇게 해서 제2 유지 수단(50)이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지지 로드(33)를 제1 지지 로드(32)에 대해 회동시키지 않고, 작용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제2 지지 로드(33)가 이 작용 위치에 유지되는 경우, 제1 지지 로드(32)의 앞쪽 하방에 배치된다. 단, 제1 유지 수단(40)과 제2 유지 수단(50)은 상기와 같은 어느 한쪽의 결합 수단을 이용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1 유지 수단(40)과 제2 유지 수단(50)은, 회전 규제 부재 및 걸림 오목부에 의한 결합 수단, 또는, 캠부 및 캠부에 의한 결합 수단을 이용해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1 지지 로드(32)가 작용 위치에서 유지되고, 제2 지지 로드(33)가 작용 위치에서 유지되는 경우, 제2 지지 로드(33)의 선단부(33b)가 미륜체(30)에서 하방에 위치하게 되어, 미륜(34)이 경운 장치(11)(경운날(13))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미륜(34)을 이용한 보행형 관리기(1)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미륜체(30)를 조작해 보행형 관리기(1)를 이동 상태로부터 경운 작업 상태로 절환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도 6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지지 로드(33)를 작용 위치로부터 비작용 위치로 변경한다. 즉, 제2 지지 로드(33)를 잡고 제2 지지 로드(33)를 제2 바이어스 부재(53)의 바이어스 방향과 반대 방향(왼쪽 방향)으로 당겨, 제2 지지 로드(33)를 슬라이딩시켜 캠체(52)의 캠부(52a·52b)와 제2 보스체(51)의 캠부(51a·51b)의 결합을 해제하고, 제2 지지 로드(33)를 뒤쪽 방향(도 6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대략 180° 회동시켜 제2 지지 로드(33)의 캠부(52a·52b)를 이전과 다른 제1 지지 로드(32)의 캠부(51a·51b)에 결합시켜 제2 지지 로드(33)를 비작용 위치에 유지한다. 이때, 제2 지지 로드(33)가 제1 지지 로드(32)의 후방에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7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로드(32)를 작용 위치로부터 비작용 위치로 변경한다. 즉, 제1 지지 로드(32)의 그립(35)을 잡고 제1 지지 로드(32)를 제1 바이어스 부재(43)의 바이어스 방향과 반대 방향(뒤쪽 방향)으로 당겨, 회전 규제 부재(41)와 제1 걸림 오목부(42a)의 결합을 해제하고, 제1 지지 로드(32)를 오른쪽 방향(도 7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각도 θ1 회동시켜 제1 보스체(42)의 이전과는 다른 제2 걸림 오목부(42b)를 회전 규제 부재(41)에 결합시켜, 제1 지지 로드(32)를 비작용 위치에 유지한다. 이때, 제1 지지 로드(32)가 경운 장치(11)의 상부 후방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1 지지 로드(32)가 비작용 위치에서 유지되고, 제2 지지 로드(33)가 비작용 위치에서 유지되는 경우, 제2 지지 로드(33)가 제1 지지 로드(32)와 함께 경운 장치(11)의 상부 후방에 위치해, 이 제2 지지 로드(33)의 선단부(33b)측에 지지된 미륜(34)이 경운날(13)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보행형 관리기(1)의 경운 작업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미륜체(30)를 조작함으로써, 보행형 관리기(1)를 경운 작업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절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보행형 관리기(1)의 이동 상태와 경운 작업 상태의 절환 도중에, 제1 지지 로드(32)를 작용 위치에서 유지하고, 제2 지지 로드(33)를 비작용 위치에서 유지함으로써, 보행형 관리기(1)의 이랑 일구기 작업이 가능해진다. 상세하게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행형 관리기(1)에서 미륜체(30)의 제1 지지 로드(32)가 보조 프레임(31)에 대해 하방으로 회동된 작용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경운축(12)이 회전되어 경운날(13)에 의해 경운 작업이 행해지면, 미륜체(30)의 전방에 배치되는 고무 차양(15)이 제1 지지 로드(32) 및 제2 지지 로드(33)의 기부측(33a)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이 고무 차양(15)의 좌우 양측에 의해 경운날(13)로 일구어진 토양이 좌우로 밀림으로써 논밭에 이랑이 형성된다.
한편,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 차양(15)을 경운 커버(14)에 고정하고 있는 고정 부재의 일부(좌우 양단의 것)를 제거하여, 고무 차양(15)의 좌우 상부를 적절하게 개방해도 된다. 이에 따라, 경운날(13)로 일구어진 토양이 경운 커버(14) 내에 머물기 힘들게 하여 확실하게 이랑 일구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고무 차양(15)의 개방된 개방부(15a·15a)가 형성된 이랑의 측면을 가압하여 쉽게 무너지지 않게 된다.
또한, 제2 지지 로드(33)의 기부측(33a) 길이를 조정하여, 고랑의 깊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주행부(2)의 후방에 경운 장치(11)를 마련하고, 경운 장치(11)의 후부에 미륜체(30)를 장착한 보행형 관리기(1)에 있어서, 상기 미륜체(30)는 상기 경운 장치(1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보조 프레임(31)과, 상기 보조 프레임(31)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지지 로드(32)와, 상기 제1 지지 로드(32)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지지 로드(33)와, 상기 제2 지지 로드(3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륜(34)과, 상기 제1 지지 로드(32)를 상기 보조 프레임(31)에 대해 임의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제1 유지 수단(40)과, 상기 제2 지지 로드(33)를 상기 제1 지지 로드(32)에 대해 복수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50)을 구비하는 것이므로, 제1 지지 로드(32)를 회동시켜 제1 유지 수단(40)에 의해 다른 회동 위치에 유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2 지지 로드(33)를 회동시켜 제2 유지 수단(50)에 의해 다른 회동 위치에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경운 장치(11)에 대한 미륜(34)의 상하 위치를 제1 지지 로드(32) 및 제2 지지 로드(33)의 간단한 회동 조작으로 변경하여, 보행형 관리기(1)의 이동 상태와 경운 작업 상태를 수고를 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절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지 수단(40)은 상기 보조 프레임(31)에 마련된 걸림 부재로서의 회전 규제 부재(41)와, 상기 제1 지지 로드(32)와 고정되어 상기 보조 프레임(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바깥에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회전 규제 부재(41)와 결합 가능한 피걸림부로서의 걸림 오목부(제1 걸림 오목부(42a) 및 제2 걸림 오목부(42b))를 상기 보조 프레임(31)의 축심 방향 한쪽에 회동 방향으로 복수 개 갖는 통 형상의 제1 보스체(42)와, 상기 제1 보스체(42)를 그 걸림 오목부가 상기 회전 규제 부재(41)와 걸리도록 바이어스하는 제1 바이어스 부재(43)를 구비하는 것이므로, 회전 규제 부재(41)와 제1 보스체(42)의 제1 걸림 오목부(42a)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제1 지지 로드(32)를 보조 프레임(31)에 대해 소정의 회동 위치에서 유지하고, 제1 보스체(42)를 슬라이딩시켜 회전 규제 부재(41)와 제1 보스체(42)의 제1 걸림 오목부(42a)의 걸림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제1 지지 로드(32)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1 지지 로드(32)의 유지 상태를 간단하게 변경하고, 이 제1 지지 로드(32)를 다른 회동 위치까지 신속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지 수단(50)은, 상기 제1 지지 로드(32)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지지 로드(3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바깥에서 끼워짐과 동시에, 캠부(51a·51b)를 상기 제2 지지 로드(33)의 축심 방향 한쪽에 갖는 통 형상의 제2 보스체(51)와, 상기 제2 지지 로드(33)에 바깥에서 끼워져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캠부(51a·51b)와 결합 가능한 캠부(52a·52b)를 상기 제2 지지 로드(33)의 축심 방향 다른 쪽에 갖는 통 형상의 캠체(52)와, 상기 캠체(52)를 그 캠부(52a·52b)가 상기 제2 보스체(51)의 캠부(51a·51b)와 걸리도록 바이어스하는 제2 바이어스 부재(53)를 구비하는 것이므로, 캠체(52)의 캠부(52a·52b)와 제2 보스체(51)의 캠부(51a·51b)를 결합함으로써, 제2 지지 로드(33)를 제1 지지 로드(32)에 대해 소정의 회동 위치에서 유지하고, 제2 지지 로드(33)를 제1 지지 로드(32)에 대해 이동시켜 캠체(52)의 캠부(52a·52b)와 제2 보스체(51)의 캠부(51a·51b)의 결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제2 지지 로드(33)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2 지지 로드(33)의 유지 상태를 간단하게 변경하고, 이 제2 지지 로드(33)를 다른 회동 위치까지 신속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운 장치(11)와 상기 미륜체(30) 사이에 당해 경운 장치(11)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고무 차양(15)을 구비하고, 상기 미륜체(30)는 상기 제1 지지 로드(32)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위치에 유지해 상기 고무 차양(15)의 좌우 중앙부에 맞닿을 수 있게 하고, 상기 제2 지지 로드(33)를 상기 미륜(34)이 상기 경운 장치(11)의 최하 위치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회동 위치에 유지해 상기 고무 차양(15)의 좌우 중앙 하부에 맞닿을 수 있게 하는 것이므로, 경운 작업시, 고무 차양(15)의 좌우 양측이 경운 후의 토양을 좌우로 밀게 됨으로써, 논밭에 이랑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보행형 관리기(1)를 이동 상태, 경운 작업 상태, 이랑 일구기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수고를 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절환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보행형 관리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보행형 관리기
11 경운 장치
15 고무 차양
15a 개방부
30 미륜체
31 보조 프레임
32 제1 지지 로드
32a 파지부
33 제2 지지 로드
34 미륜
40 제1 유지 수단
41 회전 규제 부재
42 제1 보스체
42a 제1 걸림 오목부
42b 제2 걸림 오목부
43 제1 바이어스 부재
50 제2 유지 수단
51 제2 보스체
52 캠체
53 제2 바이어스 부재

Claims (4)

  1. 주행부의 후방에 경운 장치를 마련하고, 상기 경운 장치의 후부에,
    상기 경운 장치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보조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지지 로드와,
    상기 제1 지지 로드 및 상기 제1 지지 로드의 회동축에 대해 수직인 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지지 로드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지지 로드와,
    상기 제2 지지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륜과,
    상기 제1 지지 로드를 상기 보조 프레임에 대해 임의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제1 유지 수단과,
    상기 제2 지지 로드를 상기 제1 지지 로드에 대해 임의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미륜체를 구비하는 보행형 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지 수단은,
    상기 제1 지지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지지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바깥에서 끼워짐과 동시에, 캠부를 상기 제2 지지 로드의 축심 방향 한쪽에 갖는 통 형상의 제2 보스체와,
    상기 제2 지지 로드에 바깥에서 끼워져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캠부와 결합 가능한 캠부를 상기 제2 지지 로드의 축심 방향 다른 쪽에 갖는 통상의 캠체와,
    상기 캠체를 그 캠부가 상기 제2 보스체의 캠부와 걸리도록 바이어스하는 제2 바이어스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보스체와 상기 캠체는 서로 걸림 가능한 요철 형상의 캠부가 회동 둘레 방향으로 등각도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관리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운 장치와 상기 미륜체 사이에 상기 경운 장치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고무 차양을 구비하고,
    상기 미륜체는,
    상기 제1 지지 로드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위치에 유지해 상기 고무 차양의 좌우 중앙부에 맞닿을 수 있게 하고,
    상기 제2 지지 로드를 상기 미륜이 상기 경운 장치의 최하 위치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회동 위치에 유지해 상기 고무 차양의 좌우 중앙 하부에 맞닿을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관리기.
KR1020117022130A 2009-03-18 2010-03-11 보행형 관리기 KR101329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66931A JP5242466B2 (ja) 2009-03-18 2009-03-18 歩行型管理機
JPJP-P-2009-066931 2009-03-18
PCT/JP2010/054078 WO2010106956A1 (ja) 2009-03-18 2010-03-11 歩行型管理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425A KR20110129425A (ko) 2011-12-01
KR101329683B1 true KR101329683B1 (ko) 2013-11-14

Family

ID=4273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130A KR101329683B1 (ko) 2009-03-18 2010-03-11 보행형 관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09557B1 (ko)
JP (1) JP5242466B2 (ko)
KR (1) KR101329683B1 (ko)
ES (1) ES2695303T3 (ko)
WO (1) WO20101069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703A (ko) 2017-08-09 2019-02-19 오페주식회사 조향유지부를 탑재하는 승용관리기용 조향장치
KR20220040326A (ko)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더블유엔에스 승용관리기의 조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0919B2 (ja) * 2010-09-22 2015-03-04 三菱農機株式会社 歩行型管理機
JP5577999B2 (ja) * 2010-09-29 2014-08-27 井関農機株式会社 歩行型耕耘機
JP5588315B2 (ja) * 2010-11-19 2014-09-10 三菱農機株式会社 歩行型管理機
JP5682262B2 (ja) * 2010-11-27 2015-03-11 井関農機株式会社 耕耘整地装置
JP5802028B2 (ja) * 2011-03-10 2015-10-28 三菱農機株式会社 農用管理機
ITRE20110069A1 (it) * 2011-09-16 2013-03-17 Eurosystems S P A Attrezzo agricolo perfezionato
JP5634493B2 (ja) * 2012-12-14 2014-1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耕耘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6775A (ja) * 2005-03-10 2006-09-21 Yanmar Co Ltd 歩行型管理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5425U (ja) * 1982-08-23 1984-04-11 末瀬 三郎 刈払機における移動用車輪装置
JP3615266B2 (ja) * 1995-05-25 2005-02-02 三菱農機株式会社 耕耘機におけるロータリの尾輪収納装置
JP4050630B2 (ja) * 2003-02-14 2008-02-20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歩行型耕耘機
JP2006006343A (ja) 2005-09-20 2006-01-1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小型移動農機の尾輪体装着装置
JP2008212073A (ja) * 2007-03-06 2008-09-1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歩行型作業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6775A (ja) * 2005-03-10 2006-09-21 Yanmar Co Ltd 歩行型管理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703A (ko) 2017-08-09 2019-02-19 오페주식회사 조향유지부를 탑재하는 승용관리기용 조향장치
KR20220040326A (ko)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더블유엔에스 승용관리기의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09557A1 (en) 2012-01-25
EP2409557A4 (en) 2012-08-29
JP2010213662A (ja) 2010-09-30
KR20110129425A (ko) 2011-12-01
EP2409557B1 (en) 2018-06-27
JP5242466B2 (ja) 2013-07-24
WO2010106956A1 (ja) 2010-09-23
ES2695303T3 (es)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683B1 (ko) 보행형 관리기
JP5730531B2 (ja) 歩行型管理機
JP2012016284A (ja) 歩行型管理機
JP4861159B2 (ja) 耕耘装置
JP2008278757A (ja) ロータリ作業機のエプロン跳ね上げ補助装置
JP2010154867A5 (ko)
JP6099431B2 (ja) 歩行型管理機
JP2007151503A (ja) 農作業機
JP6002601B2 (ja) 歩行型管理機
JP2006191866A (ja) 歩行型耕耘機
WO1996037092A1 (fr) Machine agricole
JP2006246807A (ja) 歩行型作業機
JP2014018177A (ja) 歩行型の車軸管理機
JP5281662B2 (ja) 歩行型管理機
JP2012249591A (ja) 抵抗棒と補助輪の切替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歩行型作業機
JPH09107706A (ja) 農作業機の付勢力調節装置
KR102639019B1 (ko) 보행형 작업기
JP6215148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KR102645412B1 (ko) 보행형 작업기
JP5069933B2 (ja) ロータリ作業機のエプロン跳ね上げロック装置
JP3718545B2 (ja) 管理機の後進変速牽制装置
JP3997229B2 (ja) 草刈機
JP3585570B2 (ja) 管理機の後進変速牽制装置
JP6293590B2 (ja) 農作業機
CN205611162U (zh) 一种差速器及坐式微型旋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