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911A -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 Google Patents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911A
KR20150099911A KR1020140021051A KR20140021051A KR20150099911A KR 20150099911 A KR20150099911 A KR 20150099911A KR 1020140021051 A KR1020140021051 A KR 1020140021051A KR 20140021051 A KR20140021051 A KR 20140021051A KR 20150099911 A KR20150099911 A KR 20150099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front wheel
bracket
fender bracket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9911A/ko
Publication of KR2015009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방향을 바꾸기 위해 핸들을 돌렸을 때 조향륜인 전륜과 함께 회전하는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은, 조향 시 조향 너클이 되는 앞차축 케이스와 함께 회전하는 제1 펜더 브래킷과, 제1 펜더 브래킷 상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제2 펜더 브래킷과, 조향 시 상기 제1 펜더 브래킷과 함께 회전하는 제2 펜더 브래킷의 회전을 소정 각으로 제한하는 메인 스토퍼와, 제1 펜더 브래킷에 대해 제2 펜더 브래킷을 원위치로 정렬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 그리고 제2 펜더 브래킷과 전륜 상부를 덮는 전륜 펜더를 상호 연결하는 펜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Steering connected type front unit wheel fender of a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전륜을 감싸는 전륜 팬더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방향을 바꾸기 위해 핸들을 돌렸을 때 전륜 펜더가 조향륜인 전륜과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라 불리우는 농용 작업차의 경우 대부분이 전륜이 보닛 측면보다 좌우로 더 돌출되어 노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때문에 우천 주행이나 습전 작업, 비포장 험로 등을 다소 빠르게 이동할 경우 전륜에 의해 튀어 올라온 빗물이나 진흙, 작은 돌 등이 운전석까지 비산되어 운전에 심히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기체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주행 또는 작업 시 전륜에 의해서 튀어 올려지는 빗물이나 진흙, 작은 돌 등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륜의 후부 측 위쪽을 가리도록 전륜 펜더를 채택한 농용 작업차가 제안 되었다. 농용 작업차에 전륜 펜더가 채택된 선행기술로는 일본공개실용 제1992-125984호나 일본공개실용 제1994-10081호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나타난 종래의 전륜 펜더는 전륜 조향과는 상관 없이 전륜 상측 일부를 덮는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전륜 조향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곤란하였으며, 또한 전륜 펜더에 의해 전방 작업 대상부의 시야 일부가 가려짐으로써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실용 제1992-125984호(공개일 1992. 11. 17) 일본공개실용 제1994-010081호(공개일 1994. 02. 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핸들을 돌렸을 때 조향륜인 전륜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전륜의 조향 상태 확인이 가능한 구성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륜과 함께 회전하다가도 특정 각도가 되면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하여, 전륜과 함께 회전하는 전륜 펜더가 보닛이나 차체 측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전륜 조향 시 조향 너클이 되는 앞차축 케이스와 함께 회전하는 제1 펜더 브래킷;
상기 제1 펜더 브래킷 상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제2 펜더 브래킷;
전륜 조향 시 상기 제1 펜더 브래킷과 함께 회전하는 제2 펜더 브래킷의 회전을 소정 각으로 제한하는 메인 스토퍼;
상기 제1 펜더 브래킷에 대해 제2 펜더 브래킷을 원위치로 정렬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제2 펜더 브래킷과 전륜 상부를 덮는 전륜 펜더를 상호 연결하는 펜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메인 스토퍼 대향부 타측의 제1 펜더 브래킷 상에 설치된 서브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스토퍼와 인접한 제1 펜더 브래킷의 상면 일측에 제1 스프링 걸이구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 스토퍼에서 떨어진 제2 펜더 브래킷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2 스프링 걸이구가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 부재의 한쪽 끝과 다른 쪽 끝이 상기 제1, 제2 스프링 걸이구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제1 스프링 걸이대는 메인 스토퍼와 마주보는 측 제2 펜더 브래킷의 일부와 접하게 됨으로써, 좌측 또는 우측 전륜의 앞쪽이 기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스프링 걸이대를 매개로 제2 펜더 브래킷이 제1 펜더 브래킷에 연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제1 펜더 브래킷과 제2 펜더 브래킷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인장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펜더 브래킷은, 판상의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를 앞차축 케이스로부터 이격되게 연결시키는 고정대 하부면 일 측의 볼트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펜더 브래킷은, 제1 펜더 브래킷의 평면상의 상면과 마주보는 형태로 피봇 축을 통해 제1 펜더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펜더 지지대 조립판으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앞차축 케이스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고정체인 앞차축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스토퍼가 제2 펜더 브래킷의 인접 측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고정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펜더 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전륜 펜더 내주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조립되는 호형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호형 브래킷은 둘 이상의 체결판을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체결판에 조립되는 볼트부재에 의해 전륜 펜더가 상기 호형 브래킷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판에는 전륜 펜더의 좌우 폭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길게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에 상기 볼트부재가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륜 펜더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에 의하면, 전륜 펜더가 전륜 조향에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주행 또는 작업 시 전륜의 조향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정확하게 방향 전환 시킬 수 있으며, 전륜 펜더에 의한 작업 대상부의 시야 가림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의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조향을 위해 핸들을 돌렸을 때 전륜 펜더가 전륜과 함께 회전하다가 미리 설정된 특정 각도가 되면 스토퍼에 걸려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는 구조임에 따라, 전륜 조향에 연동해 전륜 펜더가 회전함에 있어 지나친 회전으로 보닛이나 차체 측부에 간섭되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한 농용 작업차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농용 작업차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륜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이 설치된 농용 작업차 앞차축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농용 작업차를 "A"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주요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상기 전륜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조립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2 펜더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을 통해 도시된 제1, 2 펜더 브래킷의 분해 측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1, 2 펜더 브래킷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도 8을 통해 도시된 제1, 2 펜더 브래킷의 결합 측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전륜 펜더의 저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한 농용 작업차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농용 작업차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이 장착되는 농용 작업차의 전체적인 구성부터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운전석이 외부로 노출된 타입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한 농용 작업차는, 주행 기체 전방에 보닛으로 덮인 엔진 룸(3)을 구비한다. 엔진 룸(3)에는 엔진(5)을 비롯해 차량 구동과 관련된 주요부품이 탑재되며, 엔진 룸(3)의 후방에는 전륜 조향을 위한 조향 핸들(스티어링 휠, 11)을 비롯해, 기체 조작을 위한 각종 레버, 버튼, 스위치 등이 장치된 운전석(1)이 배치된다.
운전석(1) 후방의 주행 기체 후미에는 다양한 작업기의 견인식 연결을 위한 3점식 승강 장치(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 룸(3), 운전석(1), 승강 장치(6)를 갖춘 주행 기체는, 엔진 룸 저부의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조향 전륜(FW)과 승강 장치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후륜(RW)으로 구성된 주행륜에 의해 기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체 전방의 엔진 프레임(2) 저부에는 상기 전륜(FW)이 연결되고 이 전륜(FW)에 동력 전달을 위한 좌우 한 쌍의 차동축이 내설된 앞차축 하우징(4)이 차체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기체 후방의 상기 후륜(RW)은 상기 승강 장치가 탑재되고 후륜(RW)에 주행 동력 전달을 위한 좌우 한 쌍의 차동축을 내설한 뒷차축 하우징(7) 좌우 양측 선단에 장착된다.
트랜스 미션(변속기, 8)을 통해 상기 엔진 프레임(2)과 뒷차축 하우징(7)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차대(chassis)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앞차축 하우징(4)의 중앙에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좌우로 배분하는 차동 장치(도면 부호 생략)가 배치된다. 그리고 차동축(미도시)이 상기 차동 장치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앞차축 하우징(4) 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앞차축 하우징(4)의 좌우 양단에 외향 경사진 형태로 킹핀 하우징(9)이 결합되고, 킹핀 하우징(9)에는 조향 너클(Steering knuckle)인 앞차축 케이스(10)가 상기 킹핀 하우징(9)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앞차축 케이스(10)와, 앞차축 하우징(9)에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전륜 펜더 유닛(20)이 장치되고, 이 유닛(20)을 통해 전륜 펜더(29)가 상기 전륜(FW)에 연동 가능하게 전륜 상부를 덮는 형태로 배치된다.
전륜 펜더 유닛과 관련하여서는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륜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이 설치된 농용 작업차 앞차축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전륜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조립 사시도이며, 도 6 내지 9는 도 5에 도시된 제1, 2 펜더 브래킷의 분해 상태 및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먼저 참조하면, 전륜 펜더 유닛(20)은 크게, 상기 앞차축 케이스(10) 상부에 장착되어 전륜 조향 시 함께 회전되는 펜더 브래킷(21)(22), 펜더 브래킷의 회전을 제한하는 메인 스토퍼(23), 펜더 브래킷(22)으로부터 연장되는 펜더 지지대(26), 그리고 전륜에서 소정거리 떨어져 전륜 상부를 덮도록 상기 펜더 지지대(26)에 지지되는 전륜 펜더(29)로 구성된다.
펜더 브래킷은 상기 앞차축 케이스(10) 상부에 장착되는 제1 펜더 브래킷(21)과, 제1 펜더 브래킷(21) 상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제2 펜더 브래킷(22)으로 구성되며, 전륜 조향 시 일 방향(전륜 앞쪽이 기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대해 연동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펜더 브래킷(21)과 제2 펜더 브래킷(22)은 스프링 부재(25)를 통해 연결된다.
메인 스토퍼(23)는 상기 제2 펜더 브래킷(22)의 일 측방에 이격 배치되어, 전륜(FW) 앞쪽이 기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이하, '제1 방향'으로 약칭 함)으로 회전되는 경우 앞차축 케이스(10) 상의 상기 제1 펜더 브래킷(21)과 함께 회전되는 제2 펜더 브래킷(22)의 회전을 소정 각(전륜 펜더(29)의 뒷부분이 기체 측부에 간섭되지 않는 조향 최대 각)으로 제한한다.
즉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전륜 조향에 따라 앞차축 케이스(10)와 함께 제1 펜더 브래킷(21)과 제2 펜더 브래킷(22)이 회전됨에 있어, 메인 스토퍼(23)에 닿기 전까지는 제1 펜더 브래킷(21)과 제2 펜더 브래킷(22)이 함께 회전되고, 제2 펜더 브래킷(22)이 메인 스토퍼(23)에 닿으면 더 이상 회전이 저지되어 앞차축 케이스(10)와 제1 펜더 브래킷(21)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앞차축 케이스(1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킹핀 하우징(9)을 양단에 구비하는 상기 앞차축 하우징(4)에는 상기 제2 펜더 브래킷(22)을 향하도록 수직으로 연장되는 고정 브래킷(24)이 설치되며, 제2 펜더 브래킷(22) 위치에 대응되는 고정 브래킷(24)의 대략 상단부에 상기 메인 스토퍼(23)가 설치됨으로써 제2 펜더 브래킷(22)의 인접 측부(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제2 펜더 브래킷의 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메인 스토퍼(23)는 상기 제2 펜더 브래킷(22)과의 간격 조절을 통해 제2 펜더 브래킷(22)의 회전 제한 각(궁극적으로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전륜 펜더(29)의 최대 회전 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24)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성,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은 나사 체결된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펜더 지지대(26)는 제2 펜더 브래킷(22)에 그 하단부가 볼트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전륜 조향 시 상기 제2 펜더 브래킷(22)과 함께 회전되며, 전륜 펜더(29)는 제2 펜더 브래킷(22) 연결 측 반대편의 펜더 지지대(26) 상단부에 연결되는 후술되는 호형 브래킷(28)에 결합되어, 전륜 조향 시 상기 제2 펜더 브래킷(22)과 함께 회전된다.
제1, 제2 펜더 브래킷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펜더 브래킷(2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고정대(210)와, 고정대(210)를 앞차축 케이스(10)로부터 이격되게 연결시키는 고정대(210) 하부면 일 측의 볼트 하우징(212)으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차축 케이스(10)에 장착 가능하며 제2 펜더 브래킷(22)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라면, 그 형태에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
제2 펜더 브래킷(22)은 상기 제1 펜더 브래킷(21)의 평면상의 상면과 마주보는 형태로 피봇 부재(P)을 통해 제1 펜더 브래킷(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판(220)과, 회전판(22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높이 조절을 위한 다수의 볼트 구멍(226)이 형성된 펜더 지지대 조립판(222)으로 된 구성일 수 있으나, 이 역시도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 스토퍼(23)에 인접한 상기 제1 펜더 브래킷(21)의 상면 일측에 제1 스프링 걸이구(214)가 마련되어 있으며, 메인 스토퍼(23)에서 떨어진 제2 펜더 브래킷(22)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2 스프링 걸이구(224)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스프링 부재(25)의 한쪽 끝과 다른 쪽 끝이 상기 제1 스프링 걸이구(214)와 제2 스프링 걸이구(224)에 각각 연결된다.
스프링 부재(25)는 인장 스프링일 수 있으며, 제1 스프링 걸이구(214)는 메인 스토퍼(23)와 마주보는 제2 펜더 브래킷(22)의 일부와 접하게 됨으로써, 전륜의 앞쪽이 기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이하, '제2 방향'으로 약칭 함)으로 회전할 경우 제1 스프링 걸이구(214)를 통해 제2 펜더 브래킷(22)이 제1 펜더 브래킷(21)에 연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두 펜더 브래킷은 상기 제2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면부호 27은 메인 스토퍼(23) 대향부 타측의 제1 펜더 브래킷(21) 상에 설치되는 서브 스토퍼로서, 서브 스토퍼(27)는 제2 펜더 브래킷(22)이 메인 스토퍼(23)에 걸려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제1 펜더 브래킷(21)이 소정 각 더 회전될 경우 메인 스토퍼(23) 반대편의 제2 펜더 브래킷(22) 측부에 닿아 제1 펜더 브래킷(21)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즉 제2 펜더 브래킷(22)이 메인 스토퍼(23)에 걸려 제1 방향에 대해 전륜 펜더(29)의 뒷부분이 기체 측부에 간섭되지 않는 각으로 제한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륜이 회전할 수 있는 최대 조향 각에 도달했을 때 서브 스토퍼(27)가 제2 펜더 브래킷(22)에 닿아 더 이상 전륜이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함으로써 반대편 전륜 팬더의 앞부분이 기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S는 피봇 부재(P)를 통해 제1 펜더 브래킷(21)에 제2 펜더 브래킷(2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있어 두 브래킷 사이의 회전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해 개재되는 스페이서(spacer)이며, N는 피봇 부재(P)를 이용해 두 브래킷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킴에 있어 제2 펜더 브래킷(22) 중앙부를 관통한 상기 피봇 부재(P) 선단에 체결되는 너트이다.
그리고 W는 상기 너트(N)의 풀림 방지를 위해 너트(N)와 제1 펜더 브래킷(22)의 회전판(220)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를 나타내고 있다.
펜더 지지대와 전륜 펜더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이후 도 10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0은 전륜 펜더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제2 펜더 브래킷(22)과의 연결부 반대편의 펜더 지지대(26) 단부에는 전륜 펜더(29) 내주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호형 브래킷(28)이 조립된다. 호형 브래킷(28)의 일단과 타단에는 판상의 체결판(280)이 일체로 마련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체결판(280)에 조립되는 볼트부재에 의해 전륜 펜더(29)가 상기 호형 브래킷(28)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펜더 지지대(26)는 상기 전륜 펜더(29)가 전륜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전륜 상부를 덮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판(280)에는 전륜 펜더(29)의 좌우 폭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길게 장공(282)이 형성되고 이러한 장공(282)에 상기 볼트부재가 조립됨으로써, 주행 시 이물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로 전륜 펜더(29)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에 의해 구현되는 전륜 조향에 연동한 전륜 펜더의 움직임을 도 11 내지 도 13의 작동 상태도를 참조하여 상기 전륜 펜더 유닛의 동작에 연계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의 (a)와 같이 전륜이 직진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최대 조향 각으로 전륜 조향이 행해지면, 좌우 한 쌍의 전륜 중 회전 방향 안쪽에 위치한 전륜을 덮는 전륜 펜더(29)는 전륜 회전 방향으로 해당 전륜과 함께 회전하다가 소정 각(전륜 펜더(29)의 뒷부분이 기체 측부에 간섭되지 않는 조향 최대 각)에 이르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즉 도 12의 요부 확대도와 같이, 최대 조향 각으로 전륜 조향이 행해졌을 때, 메인 스토퍼(23)에 닿기 전까지는 제1 펜더 브래킷(21)과 전륜 펜더(29)가 연결된 제2 펜더 브래킷(22)이 함께 회전되다가, 상기 소정 각에 도달해 제2 펜더 브래킷(22)이 메인 스토퍼(23)에 닿으면, 제2 펜더 브래킷(22) 및 이에 연결된 전륜 펜더(29)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것이다.
제1 펜더 브래킷(21)은 앞차축 케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펜더 브래킷(22)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앞차축 케이스(10)와 함께 전륜이 회전될 수 있는 조향 최대 각까지 더 회전 가능하지만 제2 펜더 브래킷(22)과 이에 연결된 전륜 펜더(29)는 상기 소정 각 이상으로는 회전되지 못하기 때문에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닛이나 차체 측부에 닿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전륜이 회전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형태로 도 13과 같은 조향이 행해지는 경우(전륜의 앞쪽이 기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조향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제1 펜더 브래킷(21) 상의 제1 스프링 걸이구(214)를 통해 제2 펜더 브래킷(22)에 해당 방향 조향력이 전달됨으로써, 전륜과 함께 전륜 펜더(29)가 해당 방향으로 연동된 회전을 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에 의하면, 전륜 펜더가 전륜 조향에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주행 또는 작업 시 전륜의 조향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정확하게 방향 전환 시킬 수 있으며, 전륜 펜더에 의한 작업 대상부의 시야 가림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조향을 위해 핸들을 돌렸을 때 전륜 펜더가 전륜과 함께 회전하다가 미리 설정된 특정 각도가 되면 스토퍼에 걸려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는 구조임에 따라, 전륜 조향에 연동해 전륜 펜더가 회전함에 있어 지나친 회전으로 보닛이나 차체 측부에 간섭되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운전석 2 : 엔진 프레임
3 : 엔진 룸 4 : 앞차축 하우징
5 : 엔진 6 : 승강 장치
7 : 뒷차축 하우징 8 : 트랜스 미션
9 : 킹핀 하우징 10 : 앞차축 케이스
20 : 전륜 펜너 유닛 21 : 제1 펜더 브래킷
22 : 제2 펜더 브래킷 23 : 메인 스토퍼
24 : 고정 브래킷 25 : 스프링 부재
26 : 펜더 지지대 27 : 서브 스토퍼
28 : 호형 브래킷 29 : 전륜 펜더
210 : 고정대 212 : 볼트 하우징
214 : 제1 스프링 걸이구 220 : 회전판
222 : 지지대 조립판 224 : 제2 스프링 걸이구
226 : 볼트구멍 280 : 체결판
282 : 장공

Claims (11)

  1. 전륜 조향 시 조향 너클이 되는 앞차축 케이스와 함께 회전하는 제1 펜더 브래킷;
    상기 제1 펜더 브래킷 상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제2 펜더 브래킷;
    전륜 조향 시 상기 제1 펜더 브래킷과 함께 회전하는 제2 펜더 브래킷의 회전을 소정 각으로 제한하는 메인 스토퍼;
    상기 제1 펜더 브래킷에 대해 제2 펜더 브래킷을 원위치로 정렬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제2 펜더 브래킷과 전륜 상부를 덮는 전륜 펜더를 상호 연결하는 펜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더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토퍼 대향부 타측의 제1 펜더 브래킷 상에 설치된 서브 스토퍼;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토퍼와 인접한 제1 펜더 브래킷의 상면 일측에 제1 스프링 걸이구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 스토퍼에서 떨어진 제2 펜더 브래킷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2 스프링 걸이구가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 부재의 한쪽 끝과 다른 쪽 끝이 상기 제1, 제2 스프링 걸이구에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걸이대는 메인 스토퍼와 마주보는 측 제2 펜더 브래킷의 일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인장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펜더 브래킷은,
    판상의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를 앞차축 케이스로부터 이격되게 연결시키는 고정대 하부면 일 측의 볼트 하우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펜더 브래킷은,
    제1 펜더 브래킷의 평면상의 상면과 마주보는 형태로 피봇 축을 통해 제1 펜더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펜더 지지대 조립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차축 케이스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고정체인 앞차축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스토퍼가 제2 펜더 브래킷의 인접 측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고정 브래킷;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 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전륜 펜더 내주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조립되는 호형 브래킷;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브래킷은 둘 이상의 체결판을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체결판에 조립되는 볼트부재에 의해 전륜 펜더가 상기 호형 브래킷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에는 전륜 펜더의 좌우 폭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길게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에 상기 볼트부재가 조립됨으로써, 전륜 펜더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KR1020140021051A 2014-02-24 2014-02-24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KR20150099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051A KR20150099911A (ko) 2014-02-24 2014-02-24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051A KR20150099911A (ko) 2014-02-24 2014-02-24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911A true KR20150099911A (ko) 2015-09-02

Family

ID=5424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051A KR20150099911A (ko) 2014-02-24 2014-02-24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99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7872B2 (en) 2017-02-01 2019-12-17 Agco International Gmbh Tractor fender assembly
JP2021091323A (ja) * 2019-12-11 2021-06-1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7872B2 (en) 2017-02-01 2019-12-17 Agco International Gmbh Tractor fender assembly
JP2021091323A (ja) * 2019-12-11 2021-06-1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2121B2 (en) Fender mounting assembly for utility vehicles
WO2013001845A1 (ja) 作業車両
US9699950B2 (en) Lawn-mowing vehicle with outwardly and upwardly rotatable lawn-mowing unit
US8910741B2 (en) Steering device for tractor
JP2013018324A (ja) 作業車両のフロントガード
KR20150099911A (ko)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US10024026B2 (en) Front loader frame, front loader equipped with front loader frame, and work vehicle equipped with front loader
US10161106B2 (en) Platform assembly for a ground engaging tool
JP2005280638A (ja) 作業車両のクローラ外れ防止装置
CA3081697C (en) Loader suspension
CN104903182A (zh) 户外动力设备机罩铰链
US20200115883A1 (en) Accessory mounting system for a work vehicle
JP5763988B2 (ja) 作業車両
JP4747786B2 (ja) トラクタのクローラ走行装置
KR100945110B1 (ko) 크롤러식 주행 장치
JP2003291668A (ja) 作業車両
JP6000229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EP3135525A1 (en) Working vehicle
JP5763989B2 (ja) 作業車両
JP6959208B2 (ja) ホイール式建設機械
JP4069872B2 (ja) トラクタのクローラ式走行装置
KR101258558B1 (ko) 트랙터
KR100658803B1 (ko) 유압변속기 조작부
JP4223157B2 (ja) 建設機械
US10190676B2 (en) Work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