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110B1 - 크롤러식 주행 장치 - Google Patents

크롤러식 주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110B1
KR100945110B1 KR1020090000591A KR20090000591A KR100945110B1 KR 100945110 B1 KR100945110 B1 KR 100945110B1 KR 1020090000591 A KR1020090000591 A KR 1020090000591A KR 20090000591 A KR20090000591 A KR 20090000591A KR 100945110 B1 KR100945110 B1 KR 100945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ler
frame
support
main frame
r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8990A (ko
Inventor
사또시 쯔보꾸라
노리후미 아다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09244A external-priority patent/JP45971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09245A external-priority patent/JP45971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77511A external-priority patent/JP459715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9001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4Suspension devices for wheels, rollers, bogi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 B62D49/0621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comprising traction increasing arrangements, e.g. all-wheel traction devices, multiple-axle traction arrangements, auxiliary traction increasing devices
    • B62D49/0635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comprising traction increasing arrangements, e.g. all-wheel traction devices, multiple-axle traction arrangements, auxiliary traction increasing devices using additional ground engaging means, e.g. endless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65Multi-track vehicles, i.e. more than two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with means to exclude or remove foreign matter, e.g. sealing means, self-cleaning track links or sprockets, deflector plates or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차체에 고정된 프레임 지지체에 요동축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 프레임에, 전후방 아이들러와 전륜을 지지하고, 전륜의 상방에 위치하는 구동륜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구동륜, 전후방 아이들러 및 전륜에 걸쳐 권취된 크롤러 벨트가 구동되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에 있어서, 요동 프레임의 메인 프레임 상에 흙이 쌓이기 어렵게 하는 것이다.
요동 프레임(9)을, 전후방 아이들러(10, 11)를 지지하는 전후방 아이들러 지지부(24, 25)를 구비하고 또한 전륜(12)이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26)과, 메인 프레임(26)의 상방측에 배치된 요동축(27)과, 요동축(27)과 전방 아이들러 지지부(24)를 연결하는 전방 연결 부재(28)와, 요동축(27)과 후방 아이들러 지지부(25)를 연결하는 후방 연결 부재(29)로 구성하여, 전후방 연결 부재(28, 29)와 메인 프레임(26)과의 사이를 좌우 방향 개구 형상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00591
크롤러식 주행 장치, 요동 프레임, 아이들러, 구동륜, 전륜

Description

크롤러식 주행 장치 {TRAVELING APPARATUS FOR CRAWLER}
본 발명은 크롤러식 주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크롤러식 주행 장치로서, 트랙터 등의 주행 차량의 차륜 대신에 장착되는 세미 크롤러형 크롤러식 주행 장치가 있고, 이 세미 크롤러형 크롤러식 주행 장치로서, 주행 차량의 차체측에 고정되는 프레임 지지체에 요동축을 통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 요동 프레임에 전후방 아이들러와 상기 전후방 아이들러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전륜(轉輪)을 지지하고, 전륜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차체측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륜을 구비하고, 이 구동륜을 주행 차량의 차축에 의해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구동륜, 전후방 아이들러 및 전륜에 걸쳐 권취된 크롤러 벨트가 순환 회주(回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148872호 공보 참조).
상기 종래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의 요동 프레임은, 전후방 아이들러를 지지하는 동시에 전륜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과, 이 메인 프레임의 좌우 방향 내측 단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되고 또한 판면이 좌우 방향을 향하는 지지 플레 이트와, 이 지지 플레이트의 상단부측에 고정되고 또한 프레임 지지체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축과, 이 요동축측으로부터 메인 프레임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지지 플레이트의 좌우 방향 외면에 용접 고정된 전후방 한 쌍의 보강 플레이트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에 있어서는, 요동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의 좌우 방향 내측 단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되고 또한 판면이 좌우 방향을 향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이 지지 플레이트 상단부측에 고정된 요동축으로부터 메인 프레임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지지 플레이트의 좌우 방향 외측면에 용접 고정된 전후방 한 쌍의 보강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지지 플레이트 및 보강 플레이트에 의해 메인 프레임 상에 적재된 흙이 떨어지기 어려워(요동 프레임의 메인 프레임 상에 흙이 쌓이기 쉬워), 메인 프레임 상에 쌓인 흙이 주행 차량의 이동 중에 도로 상에 떨어져, 그 처리에 고생하는 것이나, 세차할 때에 메인 프레임 상에 쌓인 흙을 떨어뜨리는 데 고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요동 프레임의 메인 프레임 상에 흙이 쌓이기 어렵게 한 크롤러식 주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식 주행 장치는,
주행 차량의 차체측에 고정되는 프레임 지지체와,
상기 프레임 지지체에, 요동축을 통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 프레임과,
상기 요동 프레임에 지지된 전방 아이들러 및 후방 아이들러와,
상기 전방 아이들러와 상기 후방 아이들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요동 프 레임에 지지된 복수의 전륜과,
상기 복수의 전륜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체측에 차축을 통해 지지되는 구동륜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륜을 상기 차축에 의해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구동륜, 상기 전방 아이들러, 상기 후방 아이들러 및 상기 복수의 전륜에 걸쳐 권취된 크롤러 벨트가 구동되도록 구성된 크롤러식 주행 장치이며, 상기 요동 프레임은 상기 전방 아이들러를 지지하는 전방 아이들러 지지부와, 상기 후방 아이들러를 지지하는 후방 아이들러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전륜이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과, 이 메인 프레임의 상방측에 배치된 상기 요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 프레임은 또한, 상기 요동축과 상기 전방 아이들러 지지부를 연결하는 전방 연결 부재와, 상기 요동축과 후방 아이들러 지지부를 연결하는 후방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후방 연결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전후방 연결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과의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전후방 연결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전후방 연결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과의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메인 프레임 상에 흙이 쌓이기 어렵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요동 프레임은 상기 전후방 연결 부재의 상기 요동축의 근방 영역의 부분과 메인 프레임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연결 부재가 파이프재에 의해 구성되고, 전방 연결 부재는 요동축으로부터 전방 아이들러 지지부를 향해 전방 하향 경사 형상으로 되고, 후방 연결 부재는 요동축으로부터 후방 아이들러 지지부를 향해 후방 하향 경사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전방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는 개구 부분과, 상기 후방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는 개구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전방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고, 상기 전방 연결 부재의 전단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중간 연결 부재의 전방면까지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개구 부분과, 후방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고, 상기 중간 연결 부재의 후방면으로부터 상기 후방 연결 부재의 후단부 영역까지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개구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중간 연결 부재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개구의 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향하는 판면을 갖고, 상기 프레임 지지체의 좌우 방향 외측에 배치된 요동 플레이트를 상기 요동 프레임에 일체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요동 플레이트에 요동 규제용 개구를 형성하고, 이 요동 규제용 개구 내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갖는 요동 규제체를 프레임 지지체에 고정하고, 상기 요동 프레임이 요동할 때에 상기 요동 규제용 개구의 요동 방향의 모서리부가 결합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요동 프레임의 요동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요동 프레임의 소정 범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규제 수단을 간단한 구조이며 또한 흙이 쌓이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요동 규제체에, 상기 요동 플레이트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요동 프레임의 좌우 방향 내측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내측 규제부를 설치하고, 상기 요동 플레이트의 좌우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요동 규제체의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요동 플레이트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요동 프레임의 좌우 방향 외측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외측 규제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요동 플레이트는 상기 전방 연결 부재와 상기 후방 연결 부재의 각각의 상부측의 좌우 방향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 벨트의 내주면측에 있는 흙을 상기 크롤러 벨트의 측방으로 배제하는 스크레이퍼를, 상기 메인 프레임측에, 크롤러 벨트 내주면의 흙을 측방으로 배제하는 사용 위치와, 상기 사용 위치로부터 퇴피시킨 퇴피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작업 중에는 스크레이퍼를 퇴피 위치로 위치시켜 둘 수 있어, 스크레이퍼가 작업 중의 주행의 저항이 되는 일이 없고, 또한 논밭 등으로부터 포장 도로로 나갈 때 등의 필요할 때에는, 스크레이퍼를 사용 위치로 하여 주행하면, 크롤러 벨트의 내주면 상의 흙을 측방으로 배제할 수 있어, 예를 들어 포장 도로 상에 흙을 떨어뜨리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를, 상기 후방 아이들러의 장착 부분에, 상기 크롤러 벨트가 접지하는 부분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크롤러 벨트의 내주면의 흙에 대해 작용하는 스크레이퍼 날부와, 이 스크레이퍼 날부를 지지하는 날부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레이퍼 날부는 크롤러 벨트의 내주면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날부 지지대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로 위치 변경되고,
상기 지지축을 경계로 하여 가압 방향이 절환되는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사용 위치 또는 상기 퇴피 위치로 유지되고,
설정치를 초과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사용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위치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레이퍼를 퇴피 위치와 사용 위치로 위치 변경하여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퇴피 위치로 할 경우, 작업 중 주행의 저항이 되는 일이 없고, 사용 위치로 할 경우, 크롤러 벨트의 내주면 상의 흙을 측방으로 배제할 수 있어 포장 도로 상에 흙을 떨어뜨리는 일이 없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에 있어서, 부호 1은 좌우 한 쌍 전후륜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한 4륜 트랙터의 후륜 대신에 세미 크롤러형(semi-crawler) 크롤러식 주행 장치(2)를 좌우 독립하여 장착한 트랙터(1)(주행 차량)이다.
트랙터(1)의 차체(1A)는 엔진(3)의 후방부에 플라이휠(flywheel) 하우징을 통해 동력 전달 케이스(4)를 장착하여 주로 구성되고, 동력 전달 케이스(4)는 예를 들어 클러치 하우징의 후방부에 미션 케이스를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엔진(3)으로부터의 동력을 크롤러식 주행 장치(2)를 구동하는 차축(5)(후방 차축)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후방 차축(5)은 차체(1A) 후방부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좌우 각 차축 케이스(6)(후방 차축 케이스)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6)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좌우 각 후방 차축(5)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측에는 장착 플랜지(7)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 각 크롤러식 주행 장치(2)는, 도1 내지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랙 터(1)의 차체(1A)측에 고정된 프레임 지지체(8)와, 이 프레임 지지체(8)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프레임(9)과, 이 요동 프레임(9)의 전후방에 설치된 전후방 아이들러(10, 11)와, 요동 프레임(9)의 전후방 아이들러(10, 11) 사이에 배치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전륜(12)과, 이들 전륜(12)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차체(1A)측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륜(13)(스프로킷)과, 구동륜(13), 전후방 아이들러(10, 11) 및 전륜(12)에 걸쳐 권취된 크롤러 벨트(14)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륜(13)은 후방 차축(5)의 외측 단부측의 장착 플랜지(7)에 볼트 고정되어 있고 후방 차축(5)과 함께 후방 차축 케이스(6)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동륜(13)의 외주측에는 결합 이(齒)(15)가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한편 크롤러 벨트(14)에는 상기 결합 이(15)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 구멍(16)이 벨트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구동륜(13)을 트랙터(1)의 후방 차축(5)에 의해 회전 구동함으로써 크롤러 벨트(14)가 순환 회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크롤러 벨트(14)의 결합 구멍(16)으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이, 좌우 방향 내측보다도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지지체(8)는 후방 차축 케이스(6)에 설치된 장착부(6a)를 끼우도록 배치된 전후방 한 쌍의 장착판(17)과, 이 전후방 장착판(17)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전후방 장착판(17)의 하단부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지지판(18)과, 이 좌우 지지판(18)의 상단부측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판(19)과, 좌우 지지판(18)을 관통하는 통체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부재(20)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전후방 장착판(17)과 좌우 지지판(18)과 연결판(19)은 서로 용접되어 있고, 베어링 부재(20)는 좌우의 지지판(18)에 용접되어 있다.
또한, 전후방 각 장착판(17)은 상기 장착판(17)을 관통하여 후방 차축 케이스(6)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된 볼트에 의해 후방 차축 케이스(6)에 장착 고정되고, 좌우 지지판(18)은 상기 좌우 지지판(18)을 관통하여 후방 차축 케이스(6)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된 볼트에 의해 후방 차축 케이스(6)에 장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 부재(20)는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고, 상기 베어링 부재(20)는 그 축심이 후방 차축(5)의 축심의 하방측이고 또한 전후 방향에 관하여 후방 차축(5)의 축심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 외측의 지지판(18)은 좌우 방향 내측의 지지판(18)보다도 전방측으로 연장 설치된 연장 설치부(21)를 갖는다.
또한, 좌우의 프레임 지지체(8)의 외측의 지지판(18)끼리는, 도9에 도시하는 연결체(22)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체(22)는 차체(1A)의 하면측에 볼트 고정된 피장착판(23)을 구비하고 있다.
요동 프레임(9)은 전후방 아이들러(10, 11)를 지지하는 전후방 아이들러 지지부(24, 25)를 구비한 메인 프레임(26)과, 이 메인 프레임(26)의 전후 방향 중도부 상방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요동축(27)과, 이 요동축(27)과 전방 아이들러 지지부(24)를 연결하는 전방 연결 부재(28)와, 요동축(27)과 후방 아이들러 지지 부(25)를 연결하는 후방 연결 부재(29)와, 전후방 연결 부재(28, 29)의 요동축(27)측과 메인 프레임(26)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 부재(30)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요동 프레임(9)에 있어서는, 전후방 연결 부재(28, 29)와 메인 프레임(26)과의 사이[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후방 연결 부재(28, 29)와 메인 프레임(26)과 중간 연결 부재(30)로 둘러싸이는 부분]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어, 메인 프레임(26) 상에 흙이 쌓이기 어려운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6)은 두꺼운 띠 판재로 형성되고 또한 판 두께 방향이 상하 방향이고 띠 길이 방향이 전후 방향이 되도록 배치된 메인 판(31)을 구비하고, 이 메인 판(31)의 전방부측에 전방 아이들러 지지부(24)가 설치되고, 메인 판(31)의 후방부측에 후방 아이들러 지지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 판(31)은 구동륜(13)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판(31)의 하면측에는 전단부측, 후단부측 및 전후 방향 중앙측에 각각 전륜 장착 브래킷(32)이 장착 고정되고, 각 전륜 장착 브래킷(32)에 전륜(12)이 좌우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메인 판(31)의 하면에는 크롤러 벨트(14)의 이탈을 방지하는 크롤러 이탈 방지 부재(33)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 아이들러 지지부(24)는 크롤러 벨트(14)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부여 장치(34)와, 전방 아이들러(10)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 브래킷(35)을 갖는다.
장력 부여 장치(34)는 메인 판(31)의 전방부 상면측에 고정된 외통체(36)와, 이 외통체(36)의 후단부에 고착되고 또한 메인 판(31)에 기립 설치된 후방벽(37)과, 외통체(36)에 전방측으로부터 진퇴 가능하게 삽입된 내통체(38)와, 이 내통체(38)의 전단부측에 고착된 전방벽(39)과, 후방벽(37)에 전후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고 또한 위치 고정 가능하게 장착된 스프링 받침체(40)와, 이 스프링 받침체(40)와 전방벽(39)과의 사이에 개재 장착된 스프링(41)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 아이들러(10)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 브래킷(35)은 장력 부여 장치(34)의 전방벽(39)의 전방면에 설치되고, 전방 아이들러(10)는 전방 지지 브래킷(35)의 전방면측에 볼트 고정된 장착 부재(42)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41)의 가압력에 의해 전방 아이들러(10)가 크롤러 벨트(14)에 압박됨으로써 크롤러 벨트(14)에 장력이 부여되고, 스프링 받침체(40)를 전후 방향으로 진퇴시킴으로써 크롤러 벨트(14)의 장력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후방벽(37)은 메인 판(31)으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방 아이들러 지지부(25)는 메인 판(31) 상에 고착된 하부벽(43a)과 상기 하부벽(43a)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종벽(43b)으로부터 측면에서 보아 L자형으로 형성된 장착 플레이트(43)와, 이 장착 플레이트(43)의 종벽(43b) 후방면에 고착된 후방 지지 브래킷(44)을 갖고, 후방 지지 브래킷(44)의 후방면측에 볼트 고정된 장착 부재(45)에 후방 아이들러(11)가 좌우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장착 플레이트(43)는 메인 판(31)으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 다.
상기 후방 지지 브래킷(44)은 좌우 측벽(44a)과, 좌우 측벽(44a)의 상단부측으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상부벽(44b)과, 좌우 각 측벽(44a)의 후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장착벽(44c)을 구비하고, 상면측에는 후방 아이들러(1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절결부(22)가 형성되고, 좌우 각 장착벽(44c)의 전방면측에는 상하 한 쌍의 너트(23A)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장착 부재(45)는 좌우 각 장착벽(44c)의 후방면측에 배치되고, 장착 부재(45) 및 장착벽(44c)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23A)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23B)에 의해 후방 지지 브래킷(4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후방 지지 브래킷(44)의 장착벽(44c) 및 장착 부재(45)는 상하 방향에 대해 약간 후방 경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전후방 연결 부재(28, 29)는 파이프재에 의해 구성되고,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각 파이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구동륜(13)의 좌우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방 연결 부재(28)는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이 요동축(27)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측에 고착되고, 길이 방향의 타단부측이 전방 아이들러 지지부(24)의 후방벽(37)의 상기 연장 부분에 고착되어 있고, 요동축(27)으로부터 전방 아이들러 지지부(24)를 향해 전방 하향 경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방 연결 부재(28)의 하단부측의 외측방에는, 메인 판(31), 후방벽(37) 및 전방 연결 부재(28)에 용접된 보강 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 연결 부재(29)는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이 요동축(27)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측에 고착되고, 길이 방향의 타단부측이 후방 아이들러 지지부(25)의 장착 플레이트(43)의 종벽(43b)의 상기 연장 부분에 고착되어 있고, 요동축(27)으로부터 후방 아이들러 지지부(25)를 향해 후방 하향 경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후방 연결 부재(29)의 하단부측의 좌우 양측에는 장착 플레이트(43) 및 후방 연결 부재(29)에 용접된 보강 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 연결 부재(30)는 상하 방향의 축심을 갖는 바닥이 있는 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측이 전방 연결 부재(28)의 후단부측 하면 및 후방 연결 부재(29)의 전단부측 하면에 고착되고, 하단부측이 메인 판(31)의 좌우 방향 내측면에 고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연결 부재(30)는 좌우 방향 외측의 외측 부재(48)와, 좌우 방향 내측의 내측 부재(49)의 2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부재(48)는 중간 연결 부재(30)의 좌우 방향 외측부를 구성하는 외측벽(30a)과, 이 외측벽(30a)의 전후 양측으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중간 연결 부재(30)의 전후방부를 구성하는 전후방벽(30b, 30c)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아 역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외측 부재(48)의 상단부가 전방 연결 부재(28)의 후단부측 하면 및 후방 연결 부재(29)의 전단부측 하면에 고착되고, 외측벽(30a)의 하단부측이 메인 판(31)의 좌우 방향 내측면에 고착되어 있다.
내측 부재(49)는 중간 연결 부재(30)의 좌우 방향 내측부를 구성하는 내측벽(30d)과, 이 내측벽(30d)의 하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중 간 연결 부재(30)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바닥벽(30e)으로부터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 연결 부재(30)의 하부에는 상기 중간 연결 부재(30)의 외측면에 고착된 종벽(50a)과, 메인 판(31)의 상면에 고착된 하부벽(50b)으로부터 L자형으로 형성된 보강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축(27)은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통체로 이루어지는 축 본체(51)와, 이 축 본체(51)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측을 폐색하는 외측 폐색판(52)과, 축 본체(51)의 좌우 방향 내측 단부측에 삽입되어 고착된 내측 폐색 부재(53)를 갖는다.
내측 폐색 부재(53)에는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나사 구멍(5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요동축(27)은, 좌우 방향 중도부로부터 내측 단부에 이르는 부분이 프레임 지지체(8)의 베어링 부재(20)에 상기 베어링 부재(20)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측으로부터 동심 형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 부재(20)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에 의해 요동 프레임(9)이 프레임 지지체(8)에 요동축(27)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볼트(55)를, 베어링 부재(20)의 좌우 방향 내측 단부측에 배치한 빠짐 방지판(56)을 관통시켜 상기 내측 폐색 부재(53)의 나사 구멍(54)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요동축(27)의 베어링 부재(20)로부터의 빠짐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요동 프레임(9)에 있어서는,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전후방 연결 부재(28, 29)에 의해 요동축(27)과 메인 프레임(26)의 전후방 아이들러 지지 부(24, 25)를 연결하여 트러스 구조(Truss Structure)로 함으로써, 강도 확보가 도모되고 있다.
이 크롤러식 주행 장치(2)는 요동 프레임(9)의 요동축(27) 주위의 소정 범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요동 규제 수단은, 요동 프레임(9)에 일체 요동 가능한 요동 플레이트(57)와, 이 요동 플레이트(57)에 형성된 요동 규제용 개구(58)와, 이 요동 규제용 개구(58)의 모서리부(58a, 58b)에 접촉하여 요동 플레이트(57)의 소정 범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규제체(59)와, 이 요동 규제체(59)에 장착된 외측 규제 부재(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요동 플레이트(57)는 프레임 지지체(8)의 좌우 방향 외측의 지지판(18)의 외측에 판면이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좌우 방향에서 대면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요동 플레이트(57)의 후방부측에는 축 삽입 관통 구멍(61)이 형성되고, 이 축 삽입 관통 구멍(61)에 요동축(27)이 그 좌우 방향 내측 단부측으로부터 삽입 관통되어 있는 동시에 요동 플레이트(57)가 전방 연결 부재(28) 및 후방 연결 부재(29)의 상부측[요동축(27)측]의 좌우 방향 내측면 및 중간 연결 부재(30)의 내측 부재(49)의 상단부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요동 플레이트(57)가 요동축(27), 전방 연결 부재(28), 후방 연결 부재(29) 및 중간 연결 부재(30)의 내측 부재(49)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또한, 요동 플레이트(57)의 전방 단부측과 전방 연결 부재(28)의 전방 하단부측과는 앵글재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6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요동 플레이트(57)는 프레임 지지체(8)의 베어링 부재(20)의 좌우 방 향 외측 단부측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요동 플레이트(57)의 전방부측은 요동축(27)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전방부측이 요동축(27) 주위로 상하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요동 규제용 개구(58)는 요동축(27)의 전방측이고 또한 프레임 지지 체(8)의 좌우 방향 외측의 지지판(18)의 연장 설치부(21)의 측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요동 규제체(59)는 프레임 지지체(8)의 좌우 방향 외측의 지지판(18)의 연장 설치부(21)의 외측면이고 또한 요동 규제용 개구(58)에 좌우 방향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요동 규제체(59)에는 요동 규제용 개구(58) 내에 삽입된 결합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요동 프레임(9)이 요동축(27) 주위로 요동하면, 요동 플레이트(57)의 전방부측이 상하로 일체 요동하고, 요동 규제용 개구(58)의 상하의 모서리부(58a, 58b)(요동 방향의 모서리부)가 결합부(63)에 접촉함으로써 요동 프레임(9)의 소정 범위 이상의 요동의 규제가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63)에는 그 좌우 방향 외측으로부터 형성된 나사 구멍(64)이 전후 한 쌍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동 규제체(59)에는 결합부(63)의 전후 양측에 위치하고 있고 요동 플레이트(57)의 좌우 방향 내측면에 대향하는 내측 규제부(65)가 설치되어 있어, 이 내측 규제부(65)가 요동 플레이트(57)에 결합함으로써 요동 프레임(9)의 좌우 방향 내측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외측 규제 부재(60)는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요동 규제체(59)의 결합부(63)의 좌우 방향 외측이고 또한 요동 플레이트(57)의 좌우 방향 외측에 판 두께 방향이 좌우 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외측 규제 부재(60)를 관통하여 결합부(63)의 나사 구멍(64)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66)에 의해 외측 규제 부재(60)가 요동 규제체(59)에 장착 고정되어 있다.
이 외측 규제 부재(60)는 요동 규제용 개구(58)보다도 전후 폭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규제 부재(60)의 전후 양측이 요동 플레이트(57)에 결합함으로써 요동 프레임(9)의 좌우 방향 외측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상기 구성의 요동 규제 수단에 있어서는, 요동 프레임(9)의 소정 범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하는 기능과, 요동 프레임(9)의 좌우 방향 내외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 구조인 것을 심플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요동 규제용 개구(58)에 흙이 쌓일 우려도 적고, 요동 규제 수단에 쌓이는 흙에 의해 요동 프레임(9)의 요동이 저해된다고 하는 일도 매우 적다.
또한, 전후방 연결 부재(28, 29)가 경사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전후방 연결 부재(28, 29)의 내측면에 요동 플레이트(57)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요동 플레이트(57)의 외측면에 있어서 전후방 연결 부재(28, 29) 상에 흙이 쌓이는 일도 적다.
또한, 요동 규제체(59)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 구멍(67)이 형성되어 있어 요동 규제체(59) 상에 흙이 쌓이기 어렵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동 규제 수단 및 그 주변에 흙이 쌓이기 어려우므로, 세차를 하기 쉽다고 하는 효과도 발휘한다.
도10 내지 도1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크롤러식 주행 장치(2)에 있어서는, 크롤러 벨트(14)의 내주면(14a)측에 있는 흙을 크롤러 벨트(14)의 측방으로 배제하는 스크레이퍼(scraper) 장치(161)를 설치해도 좋다.
스크레이퍼 장치(161)는 좌우의 각 크롤러식 주행 장치(2)의 외측부에 설치되고, 좌우의 각 크롤러식 주행 장치(2)의 크롤러 벨트(14)의 내주면(14a)의, 결합 구멍(16)으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측의 전륜 구름 이동면(170)으로부터 외측]의 진흙을 배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각 크롤러식 주행 장치(2)의 내측부에도 스크레이퍼 장치(161)를 설치하여, 좌우의 각 크롤러식 주행 장치(2)의 크롤러 벨트(14)의 내주면(14a)의, 결합 구멍(16)으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의 진흙을 배제하도록 해도 좋다.
이 스크레이퍼 장치(161)는 요동 프레임(9)의 메인 프레임(26)에 장착 고정된 장착대(162)와, 이 장착대(162)에, 크롤러 벨트 내주면(14a)의 흙을 측방으로 배제하는 사용 위치와 상기 사용 위치로부터 퇴피시킨 퇴피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장착된 스크레이퍼(163)와, 상기 스크레이퍼(163)를 사용 위치와 퇴피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불안정 절환 스프링(164)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대(162)는 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기판부(165)와, 이 기판부(165)에 설치된 상하 한 쌍의 장착벽(166)을 구비하고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아이들러(11)의 장착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이 장착대(162)의 기판부(165)는 후방 아이들러(11)의 좌우 방향 외측이고 또한 후방 아이들러(11)의 후방부측에, 판면이 좌우 방향에 면하도록(판 두께 방향이 좌우 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전방부에는 후방 아이들러(11)를 지지하는 베어링부(167)를 피하도록 전단부측의 상하 방향 중도부로부터 후방으로 오목 설치된 오목부(168)가 형성되고, 장착벽(166)은 기판부(165)의 전단부측의 오목부(168)의 상하에 위치하고 있어, 기판부(165)의 전방 모서리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의 장착벽(166)은 후방 아이들러(11)를 지지하는 장착 부재(45)에 배면측으로부터 중합되어, 상기 장착 부재(45)를 후방 지지 브래킷(44)의 장착벽(44c)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23B)에 의해 공통 체결되고, 이에 의해 장착대(162)가 후방 지지 브래킷(44)에 장착되어 있다.
스크레이퍼(163)는 장착대(162)의 기판부(165)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부재(169)에 고정되어 있다.
장착대(162)의 기판부(165)의 좌우 방향 외면측의 후단부측에는 상하 한 쌍의 지지편(171)이 설치되고, 요동 부재(169)에는 상기 각 지지편(171)에 지지축(172)을 통해 상기 지지축(172)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피지지편(17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172)의 축심은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후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형상이며 또한 좌우 방향에 대해서는 경사져 있지 않다.
이 요동 부재(169)는 스크레이퍼(163)가 사용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 그 판 두께 방향이 좌우 방향에 일치하도록 장착대(162)의 기판부(165)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그 전단부면이 기판부(165)의 후단부면에 접촉함으로써, 요 동 부재(169)의 후방 아이들러(11)측으로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위치로부터 전방측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고, 이 요동 부재(169)를 전방측으로 요동함으로써, 스크레이퍼(163)가, 후방 아이들러(11)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후방 아이들러(11)를 따른 상태의 퇴피 위치로 위치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스크레이퍼(163)는 지지축(17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사용 위치와 퇴피 위치로 위치 변경된다.
스크레이퍼(163)는 스크레이퍼 날부(174)와, 이 스크레이퍼 날부(174)를 지지하는 날부 지지대(175)를 구비하고, 이들 스크레이퍼 날부(174) 및 날부 지지대(175)는 띠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크레이퍼(163)의 스크레이퍼 날부(174) 및 날부 지지대(175)는, 사용 위치에 있어서 요동 부재(169)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날부 지지대(175)의 좌우 방향 내측 단부측이 요동 부재(169)의 외측면의 상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스크레이퍼(163)가 크롤러 벨트(14)가 접지하는 부분으로부터 뜨게 하여 설치되어 있어, 사용 위치에 있어서 크롤러 벨트(14)가 접지하는 접지면의 요철의 영향을 스크레이퍼(163)가 받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163)는, 사용 위치에 있어서는 스크레이퍼 날부(174)의 길이 방향을 따른 한쪽의 모서리부(174a)가 크롤러 벨트(14)의 내주면(14a)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모서리부(174a)가, 도1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 외측 A[크롤러 벨트(14)의 좌우 방향 중앙부로부터 좌우 방향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로 감에 따라서, 크롤러 벨트(14)의 전진 회주 방향 B로 이행하 는 경사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트랙터(1)를 전진시키도록 크롤러 벨트(14)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주시킴으로써, 크롤러 벨트(14)의 내주면(14a)에 적재된 흙이 스크레이퍼 날부(174)에 의해 좌우 방향 외측으로 안내되어 배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 위치에 있어서, 스크레이퍼 날부(174)의 크롤러 벨트(14)의 내주면(14a)에 대응하는 측의 모서리부(174a)는 크롤러 벨트(14)의 내주면(14a)에 접촉(미끄럼 접촉)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크롤러 벨트(14)의 내주면(14a)에 접촉(미끄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날부 지지대(175)는 스크레이퍼 날부(174)와 길이 방향 및 판 두께 방향을 일치시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스크레이퍼 날부(174)의 상면측에 중합되고 또한 스크레이퍼 날부(174)의 크롤러 벨트 내주면(14a)에 대응하는 측의 모서리부(174a)가, 날부 지지대(175)로부터 크롤러 벨트 내주면(14a)측으로 연장 돌출되도록(밀려 나오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 날부(174)는 길이 방향 한 쌍의 볼트·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구에 의해 날부 지지대(175)에 장착 고정되고, 또한 스크레이퍼 날부(174)가 크롤러 벨트(14)의 내주면(14a)에 대해 진퇴 가능(근접·이격 가능)해지도록, 날부 지지대(175)에 형성된 볼트 삽입 관통 구멍(177)이 긴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크레이퍼 날부(174)를 크롤러 벨트(14)의 내주면(14a)에 대해 진퇴 조정함으로써, 스크레이퍼 날부(174)를 크롤러 벨트(14)에 대해 최적 위치로 할 수 있는 동시에, 후방 아이들러(11)의 외주면이 마모되어 크롤러 벨트(14)가 스크레이퍼 날 부(174)에 근접해 왔을 때에, 스크레이퍼 날부(174)를 크롤러 벨트(14)에 대해 퇴피하는 방향으로 위치 조절함으로써, 스크레이퍼 날부(174)를 크롤러 벨트(14)에 대해 최적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 날부(174)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롤러 벨트(14)의 내주면(14a)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또한 크롤러 벨트(14)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감에 따라서 전진 회주 방향 B(상방)로 이행하는 경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 위치에 있어서 스크레이퍼 날부(174)를 크롤러 벨트(14)의 내주면(14a)에 대해 직교하도록 배치해도 좋다.
불안정 절환 스프링(164)은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고, 일단부측이 사용 위치에 있어서의 날부 지지대(175)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측에 고착된 스프링 걸이부(178)에 걸어 맞추어지고, 타단부가 장착대(162)의 기판부(165)의 후단부 상부에 고착된 스프링 걸이부(179)에 걸어 맞추어져 있고, 이때 불안정 절환 스프링(164)의 축심은 지지축(172)의 축심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불안정 절환 스프링(164)은 스크레이퍼(163)를 후방측[크롤러 벨트 내주면(14a)측]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동시에, 요동 부재(169)의 전단부면이 기판부(165)의 후단부면에 접촉하여 회전 규제가 되어 있으므로 스크레이퍼(163)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이 규제되고, 이에 의해 스크레이퍼(163)가 사용 위치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용 위치로부터 스크레이퍼(163)를 지지축(172) 주위로 전방측으로 회전시켜 퇴피 위치로 할 때에 있어서, 불안정 절환 스프링(164)의 축심이 지 지축(172)의 축심을 넘으면, 불안정 절환 스프링(164)의 가압 방향이 절환되어[지지축(172)의 축심을 경계로 하여 불안정 절환 스프링(164)의 가압 방향이 절환되어], 불안정 절환 스프링(164)은 스크레이퍼(163)를 후방 아이들러(11)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가압한다.
이 경우, 스크레이퍼(163)[또는 불안정 절환 스프링(164)]가 장착대(162)측의 접촉부에 접촉함으로써, 도12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163)의 요동이 규제되고, 스크레이퍼(163)는 퇴피 위치로 보유 지지된다[이때 스크레이퍼(163) 및 불안정 절환 스프링(164)이 후방 아이들러(11)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됨].
상기 구성의 스크레이퍼 장치(161)에 있어서는, 사용 위치와 퇴피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논밭에서의 작업 중에 있어서는 스크레이퍼(163)를 퇴피 위치로 해 둠으로써, 스크레이퍼(163)가 작업 중의 주행의 저항이 되는 일이 없고, 또한 논밭으로부터 나올 때에는 스크레이퍼(163)를 사용 위치로 하여 크롤러 벨트(14)를 몇 회전 전진 회주시킴으로써, 크롤러 벨트(14)의 내주면(14a)에 부착된 진흙이 스크레이퍼(163)에 의해 자동적으로 크롤러 벨트(14)의 외측으로 안내되어 긁어내어져, 상기 진흙을 사람 손으로 긁어낼 필요가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163)가 불안정 절환 스프링(164)의 가압력에 의해, 사용 위치와 퇴피 위치와의 각각의 위치에서 보유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불안정 절환 기구에 의해 사용 위치와 퇴피 위치로 불안정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 스크레이퍼(163)를 사용 위치로 한 상태에서, 트랙터(1)를 후진시켰을 때에, 크롤러 벨트(14)가 어떠한 것에 닿아 스크레이퍼(163)에 충격력(과대한 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스크레이퍼(163)는 불안정 절환 스프링(16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퇴피 위치로 회전하여 릴리프되어, 스크레이퍼(163)나 크롤러 벨트(14)의 파손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논밭의 볼록부를 타고 넘을 때에는, 크롤러 벨트(14)의 전방측이 들어 올려지므로, 크롤러 벨트(14)의 하부의 전방부측에 적재된 진흙은 어느 정도는 떨어지지만, 크롤러 벨트(14)의 하부의 후방부측에 적재된 진흙은 떨어지기 어려워, 이것을 후방 아이들러(11)의 측방에 설치한 스크레이퍼(163)에 의해 효율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163)는 후방 경사 형상의 축심 주위로 전방 회전하여 사용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위치 변경되므로, 접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로 퇴피되어, 퇴피 위치에 있어서 스크레이퍼(163) 자체에 진흙이 부착되기 어려워지는 것으로 고려되고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 장치(161)는 풀 크롤러형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에 채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크롤러식 주행 장치(2)가 채용되는 주행 차량으로서는 트랙터(1) 이외의 차량이라도 좋고, 또한 크롤러식 주행 장치(2)는 전방륜 대신에 설치되어도 좋다.
도1은 크롤러식 주행 장치의 측면도.
도2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를 장착한 트랙터의 측면도.
도3은 프레임 지지체 및 요동 프레임의 측면도.
도4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의 배면도.
도5는 요동 프레임의 측면도.
도6은 요동 프레임의 일부 파단 평면도.
도7의 (a)는 요동 프레임의 일부 단면 배면도, 도7의 (b)는 도5의 A-A선 화살표 단면도.
도8의 (a)는 프레임 지지체의 측면도, 도8의 (b)는 프레임 지지체의 일부 단면 배면도.
도9의 (a)는 도1의 B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부재의 도면, 도9의 (b)는 요동 규제 수단의 측면 확대도, 도9의 (c)는 요동 규제 수단의 평면 단면도.
도10은 스크레이퍼를 갖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의 측면도.
도11은 스크레이퍼 장치의 측면도.
도12는 스크레이퍼 장치의 평면도.
도13은 스크레이퍼의 날부의 크롤러 벨트에 대한 배치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랙터(주행 차량)
1A : 차체
5 : 차축(후방 차축)
8 : 프레임 지지체
9 : 요동 프레임
10 : 전방 아이들러
11 : 후방 아이들러
12 : 전륜
13 : 구동륜
14 : 크롤러 벨트
24 : 전방 아이들러 지지부
25 : 후방 아이들러 지지부
26 : 메인 프레임
27 : 요동축
28 : 전방 연결 부재
29 : 후방 연결 부재
30 : 중간 연결 부재

Claims (6)

  1. 주행 차량(1)의 차체(1A)의 측방에 설치된 차축 케이스(6)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축(5)을 통해 지지되는 구동륜(13)과,
    상기 주행 차량(1)의 차체(1A)측에 고정되는 프레임 지지체(8)와,
    상기 프레임 지지체(8)에 상기 차축(5)의 하방에 있어서 요동축(27)을 통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 프레임(9)과,
    상기 요동 프레임(9)에 지지된 전방 아이들러(10) 및 후방 아이들러(11)와,
    상기 전방 아이들러(10)와 상기 후방 아이들러(11)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요동 프레임(9)에 지지된 복수의 전륜(轉輪)(12)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륜(13)을 상기 차축(5)에 의해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구동륜(13), 상기 전방 아이들러(10), 상기 후방 아이들러(11) 및 상기 복수의 전륜(12)에 걸쳐 권취된 크롤러 벨트(14)가 구동되도록 구성된 크롤러식 주행 장치이며,
    상기 요동 프레임(9)은 상기 전방 아이들러(10)를 지지하는 전방 아이들러 지지부(24)와, 상기 후방 아이들러(11)를 지지하는 후방 아이들러 지지부(25)와, 상기 복수의 전륜(12)이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26)과, 이 메인 프레임(26)의 상방측에 배치된 상기 요동축(27)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 프레임(9)은 또한, 파이프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요동축(27)으로부터 상기 아이들러 지지부(24)를 향해 전방 하향 경사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요동축(27)과 상기 전방 아이들러 지지부(24)를 연결하는 전방 연결 부재(28)와, 파이프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요동축(27)으로부터 후방 아이들러 지지부(25)를 향해 후방 하향 경사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요동축(27)과 후방 아이들러 지지부(25)를 연결하는 후방 연결 부재(29)를 구비하고,
    상기 전후방 연결 부재(28, 29)와 상기 메인 프레임(26)은 상기 전후방 연결 부재(28, 29)와 상기 메인 프레임(26)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프레임(9)은 상기 전후방 연결 부재(28, 29)의 상기 요동축(27)측과 메인 프레임(26)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 부재(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판 형상의 메인 판(31)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전방 아이들러 지지부(24)가 상기 메인 판(31)의 전방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 아이들러 지지부(25)가 상기 메인 판(31)의 후방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전방 연결 부재(28)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프레임(26)의 상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는 개구 부분과, 상기 후방 연결 부재(29)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프레임(26)의 상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는 개구 부분을 포함하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전방 연결 부재(28)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프레임(26)의 상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고, 상기 전방 연결 부재(28)의 전단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중간 연결 부재(30)의 전방면까지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개구 부분과, 후방 연결 부재(29)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프레임(26)의 상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고, 상기 중간 연결 부재(30)의 후방면으로부터 상기 후방 연결 부재(29)의 후단부 영역까지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개구 부분을 포함하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중간 연결 부재(30)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개구의 면적보다 작은 크롤러식 주행 장치.
KR1020090000591A 2007-01-18 2009-01-06 크롤러식 주행 장치 KR100945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9244 2007-01-18
JP2007009244A JP4597147B2 (ja) 2007-01-18 2007-01-18 クローラ式走行装置
JPJP-P-2007-009245 2007-01-18
JP2007009245A JP4597148B2 (ja) 2007-01-18 2007-01-18 クローラ式走行装置
JP2007077511A JP4597158B2 (ja) 2007-03-23 2007-03-23 クローラ式走行装置
JPJP-P-2007-077511 2007-03-2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867A Division KR100901907B1 (ko) 2007-01-18 2007-09-03 크롤러식 주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990A KR20090018990A (ko) 2009-02-24
KR100945110B1 true KR100945110B1 (ko) 2010-03-02

Family

ID=398223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867A KR100901907B1 (ko) 2007-01-18 2007-09-03 크롤러식 주행 장치
KR1020090000591A KR100945110B1 (ko) 2007-01-18 2009-01-06 크롤러식 주행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867A KR100901907B1 (ko) 2007-01-18 2007-09-03 크롤러식 주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0901907B1 (ko)
MY (2) MY15530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8820A (zh) * 2013-07-12 2013-12-18 北京时代沃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新型开有送料孔的履带底盘
CN106364578B (zh) * 2016-11-24 2018-08-17 北京建筑大学 一种两自由度车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9942A (ja) * 1995-10-18 1997-04-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クローラ揺動規制装置
JPH10218046A (ja) * 1997-02-04 1998-08-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クローラ及びクローラ車
JP2000006857A (ja) * 1998-06-18 2000-01-1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車両用クローラ
JP2001239968A (ja) * 2000-03-01 2001-09-04 Kubota Corp クローラ走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076U (ja) * 1992-03-17 1993-10-12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車のクローラ走行装置
JP3917470B2 (ja) * 2002-06-14 2007-05-23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式走行装置及びクローラ式走行装置の圃場適合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9942A (ja) * 1995-10-18 1997-04-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クローラ揺動規制装置
JPH10218046A (ja) * 1997-02-04 1998-08-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クローラ及びクローラ車
JP2000006857A (ja) * 1998-06-18 2000-01-1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車両用クローラ
JP2001239968A (ja) * 2000-03-01 2001-09-04 Kubota Corp クローラ走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55304A (en) 2015-09-30
KR100901907B1 (ko) 2009-06-10
MY152809A (en) 2014-11-28
KR20090018990A (ko) 2009-02-24
KR20080068517A (ko)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6326B2 (en) Crawler travel unit
US6601664B2 (en) Crawler device for a crawler type vehicle
JPH03500277A (ja) トラックローラーフレーム・アセンブリ
JP4597147B2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
KR100945110B1 (ko) 크롤러식 주행 장치
KR101592947B1 (ko) 캐터필러를 이용한 바퀴구조
JP5114344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5563039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KR20120064515A (ko)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JP4597158B2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
JP2002308160A (ja) 装軌車両の泥落し装置
JP2005280638A (ja) 作業車両のクローラ外れ防止装置
US10919587B2 (en) Suspension system for work vehicle
JP3560893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2017108667A5 (ko)
JP3410962B2 (ja) トラクタ
JP5132483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4373319B2 (ja) 走行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2015003553A (ja) トラクタのセミクローラ装置
JP3828823B2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
CA2574729A1 (en) Traction assembly for vehicles and components therefor
JP2006081453A (ja) 田植機
JPH0229024Y2 (ko)
KR20150099911A (ko) 농용 작업차의 조향 연동형 전륜 펜더 유닛
JP4501425B2 (ja) トラクタのクロー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