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515A -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 Google Patents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515A
KR20120064515A KR1020100125789A KR20100125789A KR20120064515A KR 20120064515 A KR20120064515 A KR 20120064515A KR 1020100125789 A KR1020100125789 A KR 1020100125789A KR 20100125789 A KR20100125789 A KR 20100125789A KR 20120064515 A KR20120064515 A KR 20120064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crawler
support frame
tension
lower roller
buffe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4775B1 (ko
Inventor
김남재
Original Assignee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5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77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4Endless-track units or carriages mounted separably, adjustably or extensibly on vehicles, e.g. portable track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7Climbing vehicles, e.g. facade climb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에 관한 것으로, 고무 크롤러의 후방 상단을 지지하는 아이들러의 내측에 고무 크롤러에 가해진 장력을 완충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 자연스러운 충격 완충으로 차체 충격 전달을 방지하고 주행성을 높이며, 3개의 하부 롤러 조합체의 전후방 롤러의 승강 각도가 안정적인 장애물 돌파의 최적 각도로 이루어짐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높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장애물을 넘을 때나 접지저항으로 인해 발생된 크롤러 장력을 효과적인 수평 구조로 완충함으로써 특히 장애물이 많은 농업지역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이동 주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크롤러 내부에 구성된 3조의 롤러 조합체가 각 위치별 상승 개방각이 상이하므로 안정적으로 장애물을 넘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UNDERCARRIAGE WITH A STRUCTURE FOR BUFFERING TENSION OF RUBBER CRAWLER}
본 발명은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고무 크롤러의 후방 상단을 지지하는 아이들러의 내측에 고무 크롤러에 가해진 장력을 완충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 자연스러운 충격 완충으로 차체 충격 전달을 방지하고 주행성을 높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키드 로더, 굴삭기, 불도저 등의 중장비에서는 상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상부 몸체를 지지하면서 작업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하부 주행체인 언더캐리지 파트를 가지고 있다.
언더캐리지로서는 통상적으로 울퉁불퉁하거나 불안정한 지면에서 중장비를 원활하게 이동시켜주기 위해 크롤러(crawler; 무한궤도)가 많이 이용되며, 근래에는 주행시 저진동, 저소음 및 도로의 훼손을 방지할 목적으로 고무 크롤러가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고무 크롤러는 고무 트랙 내부에 탑재되어 중장비의 스프라켓 및 아이들러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는 심금을 가지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고무 크롤러의 굴곡성 향상과 자체 중량의 감소라는 장점 때문에 심금을 제거한 무심금 고무 크롤러가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인 종래의 언더캐리지는 무심금 고무 크롤러와, 무심금 고무 크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스프라켓, 무심금 고무 크롤러의 내면에 접하여 마련되는 트랙 롤러(Track roller) 및 아이들러(Idler)를 구비하고 있다.
무심금 고무 크롤러는 크게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 띠본체와 띠본체의 외면에 복수로 형성된 견인용 러그 및 띠본체의 내면에 복수로 형성되는 돌출 치자로 구성되고, 중심축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인가받는 스프라켓은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들이 무심금 고무 크롤러 내면의 돌출 치자와 기어결합으로 맞물려 회전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무심금 고무 크롤러가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구성되며, 전진 또는 후진 구동력을 인가받은 무심금 고무 크롤러는 하부의 트랙 롤러와 후방의 아이들러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부에서 인가되는 몸체의 중량을 지면상에 고르게 분포시키면서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을 갖는 언더캐리지에서 몸체의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이 스프라켓과 무심금 고무 크롤러가 맞물리는 돌기부분들과 무심금 고무 크롤러가 지면과 맞닿는 접지부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종래의 언더캐리지는 상기 고무 크롤러의 접지부위로 인해 고무 크롤러에 가해진 장력을 접지부위가 아닌 부위에서는 자연스럽게 가변되어야 하나 그러한 수단이 부재하므로, 장력 변동에 따른 충격이 차체에 가해진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충격 전달구조는 차체의 주행시 고무 크롤러가 멈칫거리게 하는 주행특성을 나타내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무 크롤러의 후방 상단을 지지하는 아이들러의 내측에 고무 크롤러에 가해진 장력을 완충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 자연스러운 충격 완충으로 차체 충격 전달을 방지하고 주행성을 높이며, 3개의 하부 롤러 조합체의 전후방 롤러의 승강 각도가 안정적인 장애물 돌파의 최적 각도로 이루어짐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높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주연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회전 가능한 스프라켓과; 그 스프라켓에 그 내주연이 접하는 고무 크롤러와; 상기 고무 크롤러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스프라켓과 반대위치에 형성된 아이들러와; 각형으로 이루어진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된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며 각각 복수의 하부 트랙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고무 크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 롤러조합체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된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고무 크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롤러와; 상기 아이들러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고무 크롤러의 접지동작으로 인해 가해진 장력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롤러 조합체는 중앙에 힌지축이 형성되며, 좌우측에 각각 롤러축이 형성된 몸체와; 그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롤러축에 축결합된 롤러로 이루어지며, 제 1, 2, 3 하부롤러 조합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방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각형으로 구성된 후방프레임과; 그 후방프레임에 하단 소정부가 힌지결합되고, 그 단부에는 아이들러축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단 소정부에 밀착되어 고무크롤러의 장력을 흡수하는 완충소재와; 상기 완충소재의 가장자리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소재 가이드와; 상기 완충소재 가이드의 단부와 결합된 유동봉과; 상기 유동봉의 단부에 형성되며, 지지 프레임에 볼트결합되어 아이들러로 인한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하부롤러 조합체는 그 몸체 전방이 지지 프레임에 대해 3°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몸체 후방은 지지 프레임에 대해 12°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장애물과 접촉시 운전석의 격한 각도 변화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하부롤러 조합체는 그 몸체 전방이 지지 프레임에 대해 12°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몸체 후방은 지지 프레임에 대해 12°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3 하부롤러 조합체는 그 몸체 전방이 지지 프레임에 대해 12°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몸체 후방은 지지 프레임에 대해 3°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장애물 통과시 차체가 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하부롤러 조합체는 상기 제 1, 3 하부롤러 조합체에 비해 5㎜ 더 하부에 위치되어 제 1, 2, 3 하부롤러 조합체가 동일 높이일 때에 비해 지면과의 마찰력 감소를 통한 신속한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소재는 우레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는 장애물을 넘을 때나 접지저항으로 인해 발생된 크롤러 장력을 효과적인 수평 구조로 완충함으로써 특히 장애물이 많은 농업지역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이동 주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크롤러 내부에 구성된 3조의 롤러 조합체가 각 위치별 상승 개방각이 상이하므로 안정적으로 장애물을 넘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더캐리지가 구비된 농약방제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a, 3b,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의 롤러 조합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에 포함된 완충부재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더캐리지가 구비된 농약방제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20)는 고무 크롤러의 후방 상단을 지지하는 아이들러의 내측에 고무 크롤러에 가해진 장력을 완충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 자연스러운 충격 완충으로 차체 충격 전달을 방지하고 주행성을 높이며, 3개의 하부 롤러 조합체의 전후방 롤러의 승강 각도가 안정적인 장애물 돌파의 최적 각도로 이루어짐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높인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20)는 농기계용으로 적용함으로써 그 구성은 일반적인 스키드 로더, 굴삭기, 불도저 등의 중장비에서의 언더캐리지와 유사하게 상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상부 몸체를 지지하면서 작업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하부 주행체인 언더캐리지 파트를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20)는 어느 한 농기계 장치의 하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컨대 농약을 방제하는 에쎄스기의 하부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1을 통해 예시한 농약 방제차량(2)은 그 차체를 구성하는 하부에 차체 프레임(4)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차체 프레임(4)의 상면 전방에 운전석(6)이 구비되고, 중앙에 약액 탱크(8), 후방에 약액탱크(8)로부터 유출된 악액을 후방으로 고압분사시키는 분사구동부(1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운전석(6)의 하부에는 차량구동부(12)가 구비되는 바, 그 차량 구동부(12)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고, 발생된 구동력은 후술하는 스프라켓(28)을 회전시키게 된다.
언더캐리지로서는 통상적으로 울퉁불퉁하거나 불안정한 지면에서 중장비를 원활하게 이동시켜주기 위해 크롤러(crawler; 무한궤도)가 많이 이용되며, 근래에는 주행시 저진동, 저소음 및 도로의 훼손을 방지할 목적으로 고무 크롤러가 많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도 이러한 고무 크롤러(46)가 구비되어져 있는 바, 상기 고무 크롤러(46)는 크게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 띠본체와 띠본체의 외면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견인용 러그 및 띠본체의 내면에 복수로 형성되는 돌출 치자(미도시)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20)는 그 내부에 외주연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회전 가능한 스프라켓(28)이 구성되는 바, 그 스프라켓(28)은 중심축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인가받는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들이 고무 크롤러(46) 내면의 돌출 치자와 기어결합으로 맞물려 회전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고무 크롤러(46)가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20)는 그 내부에 그 스프라켓(28)에 그 내주연이 접하는 고무 크롤러(46)와; 상기 고무 크롤러(46)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스프라켓(28)과 반대위치에 형성된 아이들러(36)가 포함되며, 각형으로 이루어진 지지 프레임(22)이 고무 크롤러(46)로 둘러싸인 공간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20)는 그 중앙에 각형의 지지프레임(22)이 구성되며, 그 지지 프레임(22)의 전단에 상기 스프라켓(28)이 장착되고, 지지 프레임(22)의 후단에 상기 아이들러(36)가 장착되며, 고무 크롤러(46)가 상기 스프라켓(28)과 아이들러(36)를 내면에 접촉시키면서 둘러싼다.
이때, 상기 스프라켓(28)은 상기 지지 프레임(22)의 전방 상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상방으로 올려진 상태에서 결합된 전방 단차프레임(24)의 단부에 결합된다.
또, 상기 아이들러(36)의 경우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2)의 후단 내부에 삽입된 각형 후방프레임(26)에 힌지 결합된 브라켓(34)의 단부에 힌지(38)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들러(36)는 상기 스프라켓(28)의 구동력을 고무 크롤러(46)를 통해 전달받아 종동 회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20)는 상기 지지 프레임(22)의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된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며 각각 복수의 하부 트랙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고무 크롤러(46)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 롤러조합체(40,42,44)와; 상기 지지 프레임(22)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된 브라켓(30)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고무 크롤러(46)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롤러(32)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20)는 상기 아이들러(36)와 상기 지지 프레임(22)의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고무 크롤러(46)의 접지동작으로 인해 가해진 장력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50)를 포함한다.
도 3a, 3b,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의 롤러 조합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의 롤러 조합체 특히 하부롤러 조합체(40, 42, 44)는 중앙에 힌지축이 형성되며, 좌우측에 각각 롤러축이 형성된 몸체(40a, 42a, 44a)와; 그 몸체(40a, 42a, 44a)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롤러축에 축결합된 롤러로 이루어지며, 제 1, 2, 3 하부롤러 조합체(40,42,44)로 각각 구분되어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각각의 제 1, 2, 3 하부롤러 조합체(40,42,44)를 살펴본다.
먼저, 상기 제 1 하부롤러 조합체(40)는 지지 프레임(22)의 하면에 위치되면서 다수의 하부롤러 조합체중 제일 전방에 설치된 하부롤러 조합체로, 그 몸체(40a) 전방이 지지 프레임(22)에 대해 3°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몸체(40a) 후방은 지지 프레임(22)에 대해 12°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장애물과 접촉시 운전석의 격한 각도 변화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하부롤러 조합체(40)의 몸체(40a) 전방이 지지 프레임(22)에 대해 3°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것은 몸체(40a) 전방 상면에 돌출된 추가상승 방지턱(40b)으로 구현된다.
상기 제 1 하부롤러 조합체(40)의 몸체(40a) 후방 상면에는 상기 추가상승 방지턱(40b)이 구성되어져 있지 않으므로 상기 제 1 하부롤러 조합체(40)는 몸체(40a) 후방이 지지 프레임(22)에 대해 12°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3° 또는 12°의 이동은 모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에서 상방으로의 이동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몸체(40a)의 전후방에는 각각 하부 트랙롤러(40c)가 장착되어져 있고, 그 몸체(40a)의 하단 측면에 볼트(40f) 결합되며 상기 고무 크롤러(46)의 이탈을 방지하게 가이드하는 고무 크롤러 이탈방지 가이드(40d)가 장착된다.
즉, 상기 고무 크롤러(46)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턱(미도시)이 구비되는 바, 상기 고무 크롤러 이탈방지 가이드(40d)는 그 가이드턱을 양측에서 가이드할 수 있게 상기 몸체(40a)의 양측면에 상기 고무 크롤러 이탈방지 가이드(40d)가 고정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고무 크롤러(46)는 운행중에 측방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하부롤러 조합체(42)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몸체(42a) 전방이 지지 프레임(22)에 대해 12°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몸체(42a) 후방은 지지 프레임(22)에 대해 12°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하부롤러 조합체(42)는 언더 캐리지(20)의 중앙을 형성하는 구성이고 이미 제 1 하부롤러 조합체(40)를 통해 장애물을 넘은 상태이므로 다소 많은 각도의 변화에도 차체를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하부롤러 조합체(42)의 몸체(42a) 가변 각도는 전후방 공히 12°로 큰 편에 속한다.
한편, 상기 제 3 하부롤러 조합체(44)는 그 몸체(44a) 전방이 지지 프레임(22)에 대해 12°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몸체(44a) 후방은 지지 프레임(22)에 대해 3°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장애물 통과시 차체가 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 3 하부롤러 조합체(44)의 몸체(44a) 후방이 지지 프레임(22)에 대해 3°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것은 몸체(44a) 후방 상면에 돌출된 추가상승 방지턱(44b)으로 구현된다.
상기 제 3 하부롤러 조합체(43)의 몸체(43a) 전방 상면에는 상기 추가상승 방지턱(44b)이 구성되어져 있지 않으므로 상기 제 3 하부롤러 조합체(44)는 몸체(44a) 전방이 지지 프레임(22)에 대해 12°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3° 또는 12°의 이동은 모두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에서 상방으로의 이동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몸체(44a)의 전후방에는 각각 하부 트랙롤러(44c)가 장착되어져 있고, 그 몸체(44a)의 하단 측면에 볼트(44f) 결합되며 상기 고무 크롤러(46)의 이탈을 방지하게 가이드하는 고무 크롤러 이탈방지 가이드(44d)가 장착된다.
즉, 상기 고무 크롤러(46)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턱(미도시)이 구비되는 바, 상기 고무 크롤러 이탈방지 가이드(44d)는 그 가이드턱을 양측에서 가이드할 수 있게 상기 몸체(44a)의 양측면에 상기 고무 크롤러 이탈방지 가이드(44d)가 고정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고무 크롤러(46)는 운행중에 측방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44e는 브라켓이다.
한편, 상기 제 2 하부롤러 조합체(42)는 상기 제 1, 3 하부롤러 조합체(40,44)에 비해 5㎜ 더 하부에 위치되어 제 1, 2, 3 하부롤러 조합체(40,42,44)가 동일 높이일 때에 비해 지면과의 마찰력 감소를 통한 신속한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에 포함된 완충부재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20)에 구성된 상기 완충부재(50)는 상기 지지 프레임(22)의 후방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각형으로 구성된 후방프레임(26)과; 그 후방프레임(26)에 하단 소정부가 힌지(38)결합되고, 그 단부에는 아이들러(36)축이 형성된 브라켓(도 2참조: 3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50)는 상기 브라켓(34)의 상단 소정부에 밀착되어 고무크롤러(46)의 장력을 흡수하는 완충소재(56)와; 상기 완충소재(56)의 가장자리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소재 가이드(54)를 포함한다.
즉, 상기 아이들러(36)측으로는 고무 크롤러(46)의 이동으로 인한 장력이 가해지는 바, 고무 크롤러(46)는 지면의 접지저항에 따라 각각의 위치가 서로 다른 장력을 가지므로, 이를 어느 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흡수해야만 운행 충격을 제거할 수 있고, 충격을 차체로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들러(36)측으로 가해진 고무 크롤러(46)의 장력은 브라켓에 의해 수평력으로 전달되고, 그 수평력은 브라켓을 통해 완충소재(56)로 유입되어 제거된다.
이때, 상기 완충소재(56)는 내구성과 흡수력을 감안하면 바람직하게 우레탄 소재인 것이 좋겠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50)는 상기 완충소재 가이드(54)의 단부와 결합된 유동봉(52)과; 상기 유동봉(52)의 단부에 형성되며, 지지 프레임(22)에 볼트결합되어 아이들러(36)로 인한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볼트(58)를 포함한다.
상기 장력조절볼트(58)는 유동봉(5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완충소재 가이드(5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고정된 완충소재(56)의 흡수력과는 다르게 완충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서 임계값 이하에서의 최적의 충격 흡수와 고무 크롤러(46) 장력 흡수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20)는 장애물을 넘을 때나 접지저항으로 인해 발생된 크롤러 장력을 효과적인 수평 구조로 완충함으로써 특히 장애물이 많은 농업지역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이동 주행이 가능하다. 또한, 크롤러 내부에 구성된 3조의 롤러 조합체가 각 위치별 상승 개방각이 상이하므로 안정적으로 장애물을 넘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0:언더캐리지, 22:지지프레임,
24:전방 단차프레임, 26:후방프레임,
28:스크롤러, 30:상부롤러 브라켓,
32:상부롤러, 34:브라켓,
36:아이들러, 38:힌지,
40,42,44:제 1,2,3 하부롤러 조합체, 46:고무 크롤러.

Claims (8)

  1. 외주연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회전 가능한 스프라켓과;
    그 스프라켓에 그 내주연이 접하는 고무 크롤러와;
    상기 고무 크롤러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스프라켓과 반대위치에 형성된 아이들러와;
    각형으로 이루어진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된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며 각각 복수의 하부 트랙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고무 크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 롤러조합체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된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고무 크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롤러와;
    상기 아이들러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고무 크롤러의 접지동작으로 인해 가해진 장력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롤러 조합체는 중앙에 힌지축이 형성되며, 좌우측에 각각 롤러축이 형성된 몸체와;
    그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롤러축에 축결합된 롤러로 이루어지며, 제 1, 2, 3 하부롤러 조합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방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각형으로 구성된 후방프레임과;
    그 후방프레임에 하단 소정부가 힌지결합되고, 그 단부에는 아이들러축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단 소정부에 밀착되어 고무크롤러의 장력을 흡수하는 완충소재와;
    상기 완충소재의 가장자리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소재 가이드와;
    상기 완충소재 가이드의 단부와 결합된 유동봉과;
    상기 유동봉의 단부에 형성되며, 지지 프레임에 볼트결합되어 아이들러로 인한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부롤러 조합체는 그 몸체 전방이 지지 프레임에 대해 3°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몸체 후방은 지지 프레임에 대해 12°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장애물과 접촉시 운전석의 격한 각도 변화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부롤러 조합체는 그 몸체 전방이 지지 프레임에 대해 12°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몸체 후방은 지지 프레임에 대해 12°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하부롤러 조합체는 그 몸체 전방이 지지 프레임에 대해 12°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몸체 후방은 지지 프레임에 대해 3°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장애물 통과시 차체가 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부롤러 조합체는 상기 제 1, 3 하부롤러 조합체에 비해 5㎜ 더 하부에 위치되어 제 1, 2, 3 하부롤러 조합체가 동일 높이일 때에 비해 지면과의 마찰력 감소를 통한 신속한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소재는 우레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KR1020100125789A 2010-12-09 2010-12-09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KR101324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789A KR101324775B1 (ko) 2010-12-09 2010-12-09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789A KR101324775B1 (ko) 2010-12-09 2010-12-09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515A true KR20120064515A (ko) 2012-06-19
KR101324775B1 KR101324775B1 (ko) 2013-11-05

Family

ID=4668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789A KR101324775B1 (ko) 2010-12-09 2010-12-09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77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831A (ko) 2012-11-01 2014-05-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궤도차량용 트랙 가이드
KR101467188B1 (ko) * 2014-04-28 2014-12-02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크롤러 차량의 충격 제한장치
WO2017039060A1 (ko) * 2015-08-31 2017-03-09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
KR20170040576A (ko) 2015-10-05 2017-04-13 한국기계연구원 고무크롤러 시험장비
CN108748082A (zh) * 2018-07-12 2018-11-06 上海常仁信息科技有限公司 机器人的底盘移动机构
KR20220074379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에프알티 크롤러 및 독립구동 가능한 크롤러를 포함하는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2984U (ko) * 1988-05-24 1989-12-07
JPH06115464A (ja) * 1992-10-02 1994-04-26 Iseki & Co Ltd 作業機の走行装置
JPH09104371A (ja) * 1995-10-11 1997-04-2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走行クローラのイコライザローラ取付構造
KR100787367B1 (ko) * 2006-09-20 2007-12-18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중장비의 트랙 장력조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831A (ko) 2012-11-01 2014-05-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궤도차량용 트랙 가이드
KR101467188B1 (ko) * 2014-04-28 2014-12-02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크롤러 차량의 충격 제한장치
WO2017039060A1 (ko) * 2015-08-31 2017-03-09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
KR20170040576A (ko) 2015-10-05 2017-04-13 한국기계연구원 고무크롤러 시험장비
CN108748082A (zh) * 2018-07-12 2018-11-06 上海常仁信息科技有限公司 机器人的底盘移动机构
CN108748082B (zh) * 2018-07-12 2024-04-02 深圳市科莱昂科技有限公司 机器人的底盘移动机构
KR20220074379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에프알티 크롤러 및 독립구동 가능한 크롤러를 포함하는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775B1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775B1 (ko)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KR102072654B1 (ko) 트랙-모듈 장치 및 이를 위한 오픈 구동 휠
US6601664B2 (en) Crawler device for a crawler type vehicle
EP2006449B1 (de) Selbstfahrende Maschine zum Schneiden oder Fräsen, insbesondere Maschine zur Ausbeutung von Lagerstätten im Tagebaubetrieb
EP3259174B1 (en) Track system for traction of a vehicle
JP4183701B2 (ja) チェーン駆動を用いる芯金無しゴムクローラーを備えたアンダーキャリッジ{undercarriageequippedwithanon−steeltyperubbercrawlerusingchainaction}
US6132133A (en) Crawler type vibratory compacting machine
US7156185B2 (en) Soil stabilizer with track apparatus
CN109562800B (zh) 用于作业车辆的履带系统
EP1786662B1 (en) A snow and debris deflector for a track system
CN112373587A (zh) 一种适应全地形减震履带车底盘和具有其的履带车
US10919587B2 (en) Suspension system for work vehicle
KR20120108221A (ko) 완충 기능이 보강된 트랙터
CN110901778A (zh) 一种能够自由切换履带和麦克纳姆轮的全地形底盘
KR101774776B1 (ko)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
US20160114841A1 (en) Elastomeric Track Assembly and Track Band Having Damping Features
US10266213B2 (en) Tractor
US9650090B2 (en) Deformable guide rail and track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07804382B (zh) 一种能够越障的车辆底盘
KR100901907B1 (ko) 크롤러식 주행 장치
US20070258802A1 (en) Vibration isolator for crawler type vehicle
KR200309252Y1 (ko) 무한궤도의 트랙 장력조절장치
CN215553643U (zh) 一种支重轮履带式行走装置
KR102484673B1 (ko) 착탈식 트랙 장치 및 이의 장착 방법
CN213974219U (zh) 一种多摆臂多悬挂式履带行走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