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776B1 -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 - Google Patents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776B1
KR101774776B1 KR1020150122522A KR20150122522A KR101774776B1 KR 101774776 B1 KR101774776 B1 KR 101774776B1 KR 1020150122522 A KR1020150122522 A KR 1020150122522A KR 20150122522 A KR20150122522 A KR 20150122522A KR 101774776 B1 KR101774776 B1 KR 101774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vehicle body
track loader
fixed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702A (ko
Inventor
남윤태
조철현
Original Assignee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2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776B1/ko
Priority to PCT/KR2015/011588 priority patent/WO2017039060A1/ko
Priority to US15/756,511 priority patent/US20180237084A1/en
Publication of KR20170025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4Suspension devices for wheels, rollers, bogies or frames
    • B62D55/108Suspension devices for wheels, rollers, bogies or frames with mechanical springs, e.g. torsion bars
    • B62D55/1086Rubbe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4Suspension devices for wheels, rollers, bogi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4Suspension devices for wheels, rollers, bogies or frames
    • B62D55/108Suspension devices for wheels, rollers, bogies or frames with mechanical springs, e.g. torsion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 E02F3/341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the arms being pivo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chassis, e.g. skid steer loa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 로더 주행 및 작업시 차체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차체의 피칭을 최소화함으로써 차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에게 미치는 피로를 덜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승차감 및 작업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a suspension device for tracked loader and a tracked loader having the suspension device}
본 발명은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에게 미치는 피로를 덜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승차감 및 작업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에 관한 것이다.
트랙 로더는 버킷을 구비하므로 이를 이용함으로써 땅을 파는 굴착, 흙을 쌓는 성토, 땅을 다듬는 정지, 토사 또는 자갈의 이송 및 적재 등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건축, 건설, 토목, 골재 채취 등의 각종 현장에서 트랙 로더가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한편, 트랙 로더는 무한궤도를 이용하는 주행장치에 의해 주행이 이루어짐에 따라 평지보다는 굴곡이 심한 경사지나 험지 등에 주로 투입되므로 주행 및 작업시 차체에 상당한 충격이 지속적으로 미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트랙 로더에 탑승하는 운전자에게 상당한 피로가 미칠 뿐만 아니라 차체의 손상이 빈번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9524호(공개일 : 2008. 06. 04.)에 개시된 바와 같은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는, 캐빈(cabin), 즉 차체와 연결된 사각 튜브의 내부에 사각 바가 마련되고, 상기 사각 바 주변에 충격을 흡수하는 러버가 마련되며, 상기 사각 바는 암(arm)의 한쪽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기 암의 다른 쪽에 언더캐리지(undercarriage)의 프레임, 즉 주행장치 프레임에 연결되는 액슬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는 트랙 로더 주행 및 작업시 차체에 미치는 충격이 액슬 및 암을 거쳐 사각 바로 전달된 이후 사각 바가 러버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완화되므로 운전자에게 미치는 피로를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는 액슬이 별도 브래킷과 연결되어 차체에 결합할 때 브래킷과 주행장치 사이의 간섭 방지를 위해 액슬이 버킷으로부터 멀어지므로 장비 밸런스가 흐트러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는 정지, 출발, 버킷의 승강 등이 불안정해짐에 따라 차체에 심한 유동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9208호(공고일 : 2015. 05. 11.)에 개시된 바와 같은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를 제안한바 있다.
상기 본 출원인이 제안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는, 링크하우징 내부의 개방구에 삽입 설치되는 돌출판과 완충부재의 접촉에 의해 트랙 로더 주행 및 작업시 차체에 미치는 충격이 안정적으로 완화되므로 운전자에게 미치는 피로를 덜 수 있고, 차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성 및 승차감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 출원인이 제안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주행장치 프레임의 전방에 장착되는 링크하우징에서 차체에 연결되는 액슬(20') 및 주행장치 프레임에 연결되는 액슬(20')이 일 주행장치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는 링크하우징에서 차체에 연결되는 액슬(20') 및 주행장치 프레임에 연결되는 액슬(20')과 상하좌우로 반대 방향에 위치함에 따라 전방 링크하우징과 후방 링크하우징의 회전 방향이 반대가 되어 트랙 로더 주행 및 작업시 특히, 차체의 피칭(pitching)이 상당하여 이에 의해 승차감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트랙 로더 주행 및 작업시 차체에 미치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완화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차체의 피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를 통해 트랙 로더 주행 및 작업시 차체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할 때 주행장치 프레임의 전방에 장착되는 링크하우징과 주행장치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는 링크하우징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차체의 피칭이 상당하여 승차감 및 작업성이 저하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는,
내부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 각각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개방구가 형성된 링크하우징; 상기 링크하우징에 삽입 설치되되, 어느 하나는 차체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주행장치 프레임에 연결되는 한 쌍의 액슬; 상기 액슬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상기 링크하우징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액슬 각각을 고정하는 한 쌍의 커버; 상기 개방구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액슬과 접촉함에 따라 충격을 완화하는 복수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로, 상기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는, 상기 차체 좌우측에 마련되는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장착되되,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의 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에서 상기 차체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 및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이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에서 상기 차체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 및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과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의 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과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개방구는 상기 축공 둘레의 방사상 격벽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축공은 그 내부에 부쉬가 설치된다.
상기 액슬은, 원판 일면의 중앙에 중심축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 둘레에 방사형으로 복수의 돌출판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축은 선단부의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액슬은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상기 축공 및 개방구에 서로 대향되게 삽입 설치된다.
상기 커버는,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 둘레에 방사형으로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는 중앙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는 상기 액슬의 중심축 중심축 선단에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액슬과 결합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탄성 중합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는,
내부에 좌우로 인접 배치되는 개방구들이 형성된 링크하우징; 상기 개방구들 각각에 삽입 설치되어 어느 하나는 차체에 연결되고, 다른 어느 하나는 주행장치 프레임에 연결되는 액슬들; 상기 개방구들 각각에 삽입 설치된 상기 액슬들을 고정하는 커버들; 상기 개방구들 각각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액슬들과 접촉함에 따라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하우징은 상기 차체 좌우측 각각에 마련되는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 전방 및 후방에 장착되되,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의 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에서 상기 차체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 및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이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에서 상기 차체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 및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과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의 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과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는, 개방구 내측에 완충부재 및 돌출판이 삽입 설치되는바, 개방구 내에서의 돌출판과 완충부재의 접촉에 의해 트랙 로더 주행 및 작업시 차체에 미치는 충격이 안정적으로 완화되므로 운전자에게 미치는 피로를 덜 수 있고, 차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성 및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는, 주행장치 프레임의 전방에 장착되는 링크하우징과, 주행장치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는 링크하우징의 회전 방향이 동일한바, 트랙 로더 주행 및 작업시 차체의 피칭이 최소화되므로 작업성 및 승차감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방향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에서 완충부재의 설치형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가 적용된 주행장치 프레임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가 적용된 주행장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의 설치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가 적용되는 트랙 로더의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가 적용된 트랙 로더와, 종래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가 적용된 트랙 로더와, 완충장치가 적용되지 않은 트랙 로더 에서의 부위별 진동 정도를 대비한 그래프.
도 10은 종래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에서 링크하우징의 설치 형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A)는, 링크하우징(10)과, 한 쌍의 액슬(20)과, 한 쌍의 커버(30)와, 복수의 완충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하우징(10)은, 내부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축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11a) 각각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개방구(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방구(11)는 상기 축공(11a) 둘레의 방사상 격벽(11b)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개방구(11)가 상기 격벽(11b)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액슬(20)의 돌출판(23) 및 상기 완충부재(40)의 분리 수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축공(11a)은 그 내부에 부쉬(11c)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축공(11a)의 내부에 상기 부쉬(11c)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부쉬(11c)에 의해 상기 축공(11a)과 그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액슬(20)의 중심축(22)이 긴밀히 접촉된다.
상기 한 쌍의 액슬(20)은, 상기 링크하우징(10)에 삽입 설치되되, 어느 하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랙 로더의 차체(10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주행장치 프레임(200)에 연결된다.
상기 액슬(20)은, 원판(21) 일면의 중앙에 중심축(22)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22) 둘레에 방사형으로 돌출판들(23)이 형성된다.
상기 액슬(20)에 상기 중심축(2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중심축(22)이 상기 축공(11a)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액슬(20)이 상기 링크하우징(1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중심축(22)은 선단부의 외주면에 나선(2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축(22)에 상기 나선(22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중심축(22)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기 커버(30)에 형성되는 결합공(3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나선(22a)에 별도 너트(24)의 내주면 형성되는 나선(도면상 미도시)이 물림에 따라 상기 액슬(20)과 상기 커버(3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액슬(20)은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상기 축공(11a) 및 개방구(11)에 서로 대향 되게 삽입 설치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액슬(2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중심축(22)이 형성된 일면이 상기 축공(11a) 및 개방구(11)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중심축(22)이 형성된 일면이 상기 축공(11a) 및 개방구(11)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삽입된다.
상기 한 쌍의 액슬(20)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상기 축공(11a) 및 개방구(11)에 서로 대향되게 삽입 설치됨으로써 상기 원판(21) 배면을 상기 차체(100) 또는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에 고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액슬(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차체(10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차체(100) 및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에 상기 한 쌍의 액슬(20)을 고정하는 방법은 그 고정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고정 방법을 따르더라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용접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체(100)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2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 브래킷(210)과 결합하여 상기 브래킷(210)이 상기 차체(100)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차체(100)와 상기 액셀(2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커버(30)는 상기 액슬(20)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상기 링크하우징(10)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액슬(20) 각각을 고정한다.
상기 커버(30)는, 중앙에 결합공(3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1) 둘레에 방사형으로 복수의 삽입홈(32)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30)에 상기 결합공(3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공(31)을 관통하는 상기 중심축(22) 선단에 상기 너트(24)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커버(30)가 상기 액슬(20)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30)에 상기 삽입홈(3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홈(32) 각각에 상기 돌출판(23)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액슬(20)의 유동에 의해 상기 커버(30)가 유동하여 상기 액슬(20)과 상기 커버(30)의 결합 상태가 지속적으로 견고히 유지된다.
상기 완충부재(40)는 상기 개방구(11)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액슬(20)과 접촉함에 따라 충격을 완화한다.
이와 같은 상기 완충부재(40)는 탄성 중합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재(40)가 탄성 중합체로 형성됨으로써 소재의 특성상 상기 돌출판(23)과 접촉시 안정적으로 충격이 완화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40)는 상기 개방구(11) 각각의 내부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40)가 상기 개방구(11) 각각의 내부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개방구(11) 내의 상기 돌출판(23)이 양측 중의 어느 일 방향으로 유동할 때에만 상기 완충부재(40)와 접촉하여 충격이 완화된다.
반면, 상기 완충부재(40)가 상기 개방구(11) 각각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개방구(11) 내의 상기 돌출판(23)이 양측 어느 방향으로 유동하더라도 상기 완충부재(40)와 접촉하여 충격이 완화되므로 상기 완충부재(40)와 상기 돌출판(23)의 접촉에 의한 충격 완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A)는 상기 차체(100) 좌우측 각각에 마련되는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 전방 및 후방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A)가 상기 차체(100) 좌우측 각각에 마련되는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 전방 및 후방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트랙 로더 주행 및 작업시 상기 차체(100) 및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의 전후좌우에서 미치는 충격이 고르게 완화된다.
이때,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의 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10)에서 상기 차체(100)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20) 및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20)이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의 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10)에서 상기 차체(100)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20) 및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20)과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의 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10)과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의 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10)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링크하우징(10)의 회전 방향이 어긋남으로 인한 상기 차체(100)의 피칭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A)를 통한 충격 완화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액슬(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돌출판(23)은 상기 링크하우징(10) 내부의 상기 개방구(11)를 각각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개방구(11)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완충부재(40)가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구(11) 내에서 유동하는 상기 돌출판(2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상기 완충부재(40)와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돌출판(23)과 상기 완충부재(40)의 접촉에 의해 충격이 완화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액슬(20)은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상기 축공(11a) 및 상기 개방구(11)에 서로 대향되게 삽입 설치되어 어느 하나가 상기 차체(100)에 연결되고, 다른 어느 하나가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트랙 로더 주행 및 작업시 상기 차체(100) 및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이 유동하여 이와 연결된 상기 액슬(20)이 유동하면 상기 개방구(11) 각각에서 상기 돌출판(23)과 상기 완충부재(40)가 접촉하게 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트랙 로더 주행 및 작업시 상기 차체(100)에 미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어 운전자에게 미치는 피로를 덜 수 있고, 차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성 및 승차감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의 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10)과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의 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1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트랙 로더 주행 및 작동시 상기 차체(100)의 피칭에 의해 작업성 및 승차감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A)는,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의 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10)에서 상기 차체(100)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20) 및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20)이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의 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10)에서 상기 차체(100)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20) 및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에 연결되는 상기 액슬(20)과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의 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10)과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의 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10)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트랙 로더 주행 및 작동시 상기 링크하우징(10)의 회전 방향이 어긋남으로 인한 상기 차체(100)의 피칭이 최소화될 수 있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장치가 적용되지 않은 것에 비해 특히, 운전석에서의 진동 발생이 약 70-80% 감소하고, 종래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9208호)가 적용된 것에 비해 특히, 운적석에서의 진동 발생이 약 42% 감소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승차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축공(11a) 및 상기 개방구(11) 내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액슬(20)이 상기 링크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상기 개방구(11) 내에서의 상기 돌출판(23)과 상기 완충부재(40)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상기 돌출판(23)과 상기 완충부재(40)의 접촉에 의한 충격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축공(11a) 및 상기 개방구(11) 내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액슬(20)은, 상기 원판(21) 중앙에 형성되는 상기 중심축(22) 선단에 나선(22a)이 형성되는바, 상기 중심축(22) 선단을 상기 커버(30)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31)으로 관통시킨 후 상기 중심축(22) 선단에 상기 너트(24)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액슬(20)이 상기 축공(11a) 및 상기 개방구(11) 내에 삽입 설치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링크하우징(10)으로부터 상기 액슬(20) 이탈이 방지될 수 있어 상기 개방구(11) 내에서의 상기 돌출판(23)과 상기 완충부재(40)의 접촉에 의한 충격 완화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A)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는, 상기 개방구(11) 내측에 상기 완충부재(40) 및 상기 돌출판(23)이 삽입 설치되는바, 상기 개방구(11) 내에서의 상기 돌출판(23)과 상기 완충부재(40)의 접촉에 의해 트랙 로더 주행 및 작업시 차체에 미치는 충격이 안정적으로 완화되므로 운전자에게 미치는 피로를 덜 수 있고, 차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성 및 승차감을 높일 수 있고,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의 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10)과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200)의 후방에 장착되는 상기 링크하우징(10)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바, 상기 링크하우징(10)의 회전 방향이 어긋남으로 인한 상기 차체(100)의 피칭이 최소화되므로 작업성 및 승차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링크하우징 11 : 개방구
11a : 축공 11b : 격벽
20, 20' : 액슬 21 : 원판
22 : 중심축 22a : 나선
23 : 돌출판 24 : 너트
30 : 커버 31 : 결합공
32 : 삽입홈 40 : 완충부재
100 : 차체 200 : 주행장치 프레임
210 : 브래킷 A :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Claims (10)

  1. 내부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 각각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개방구가 형성된 링크하우징;
    상기 축공 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링크하우징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되, 어느 하나는 차체 측면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차체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주행장치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액슬;
    상기 액슬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상기 축공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액슬에 각각 고정되되, 상기 액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기 링크하우징의 상기 축공 중심선 방향 슬라이딩 운동을 차단하는 한 쌍의 커버;
    상기 개방구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액슬 및 커버와 접촉함에 따라 충격을 완화하는 복수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로서,
    상기 트랙로더용 완충장치는 상기 차체 및 그 양측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 사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장착되고,
    전방 및 후방의 상기 트랙로더용 완충장치에서 상기 차체 측면에 고정되는 상기 액슬은, 각각이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결합하여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 측면에 고정되는 상기 액슬의 후방 상부에 고정되고, 전방 및 후방의 상기 링크하우징 각각에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며,
    전방 및 후방의 상기 트랙로더용 완충장치에서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는 상기 액슬은 상기 차체 측면에 고정되는 상기 액슬의 전방 하부에 고정되고, 전방 및 후방의 상기 링크하우징 각각에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차체 측면에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 상기 액슬 간의 수평 거리와 상기 주행장치 프레임 측면에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 상기 액슬 간의 수평 거리가 동일하며,
    상기 링크하우징의 상기 축공의 중심선과 상기 축공에 삽입된 상기 액슬의 중심축 중심선은 항상 평행한 것인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는 상기 축공 둘레의 방사상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공은 그 내부에 부쉬가 설치되는 것인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슬은, 원판 일면의 중앙에 중심축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 둘레에 방사형으로 복수의 돌출판이 형성되는 것인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은 선단부의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것인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액슬은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상기 축공 및 개방구에 서로 대향되게 삽입 설치되는 것인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 둘레에 방사형으로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인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중앙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는 상기 액슬의 중심축 선단에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액슬과 결합하는 것인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탄성 중합체로 형성되는 것인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것인 트랙 로더.
KR1020150122522A 2015-08-31 2015-08-31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 KR101774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522A KR101774776B1 (ko) 2015-08-31 2015-08-31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
PCT/KR2015/011588 WO2017039060A1 (ko) 2015-08-31 2015-10-30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
US15/756,511 US20180237084A1 (en) 2015-08-31 2015-10-30 Cushion device for track loader and track loader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522A KR101774776B1 (ko) 2015-08-31 2015-08-31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02A KR20170025702A (ko) 2017-03-08
KR101774776B1 true KR101774776B1 (ko) 2017-09-19

Family

ID=5818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522A KR101774776B1 (ko) 2015-08-31 2015-08-31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237084A1 (ko)
KR (1) KR101774776B1 (ko)
WO (1) WO2017039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0048B2 (en) 2017-03-01 2019-08-06 Deere & Company Suspension system for work vehicle
CA3164806A1 (en) 2020-01-23 2021-07-29 Yves SAUVAGEAU Suspended undercarriage assembly for a track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2407A1 (en) * 2010-07-15 2012-01-19 Daniels Christopher E Machine suspension system having torsion axle assemblies
KR101519208B1 (ko) * 2013-07-25 2015-05-11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트랙 로더의 완충 장치 및 이를 장착한 트랙 로더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7547B1 (en) * 1998-04-21 2001-06-19 A.S.V., Inc. Suspension and drive mechanism for a multi-surface vehicle
US6810975B2 (en) * 2002-05-23 2004-11-02 Westerngaco A.S. Suspension system for a tracked vehicle
KR20080049524A (ko) * 2006-11-30 2008-06-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JP2008143310A (ja) * 2006-12-08 2008-06-26 Bridgestone Corp ゴムクロ−ラ走行装置
US7967087B2 (en) * 2008-06-27 2011-06-28 Caterpillar Sarl Suspension for a machine
KR101324775B1 (ko) * 2010-12-09 2013-11-05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US9694861B2 (en) * 2015-10-07 2017-07-04 Deere & Company Compact track loader with lockable suspens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2407A1 (en) * 2010-07-15 2012-01-19 Daniels Christopher E Machine suspension system having torsion axle assemblies
KR101519208B1 (ko) * 2013-07-25 2015-05-11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트랙 로더의 완충 장치 및 이를 장착한 트랙 로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37084A1 (en) 2018-08-23
KR20170025702A (ko) 2017-03-08
WO2017039060A1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7718B2 (en) Arrangement for suspension of an operator cab on a work machine frame
US7665801B2 (en) Structure of upper frame for supporting cabin of construction machinery
US6394204B1 (en) Crawler or tracked vehicle having pivotable tracks
JP4287426B2 (ja) 衝撃吸収機能を有するアンダーキャリッジ
US20190185063A1 (en) Work vehicle
US8919725B2 (en) Exterior mounting apparatus for interior component
KR101774776B1 (ko)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
KR101324775B1 (ko)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JP2012071671A (ja) 建設車両のホイール式走行体
US10919587B2 (en) Suspension system for work vehicle
US10266213B2 (en) Tractor
US20120274101A1 (en) Fender providing enhanced visibility
KR101519208B1 (ko) 트랙 로더의 완충 장치 및 이를 장착한 트랙 로더
CA2891838C (en) Deformable guide rail and track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20220220700A1 (en) Work vehicle
KR102363695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JPH0732340Y2 (ja) 建設機械における運転室の防振装置
JP2024047404A (ja) 作業車両
JP2005350948A (ja) 油圧ショベルの保護装置
JP2014145201A (ja) 作業車両
JP3269804B2 (ja) 旋回式クローラキャリア
KR102363692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KR20170068835A (ko) 서브프레임 부시
JP6746544B2 (ja) 建設機械
JP2005170212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