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9524A -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49524A KR20080049524A KR1020060120179A KR20060120179A KR20080049524A KR 20080049524 A KR20080049524 A KR 20080049524A KR 1020060120179 A KR1020060120179 A KR 1020060120179A KR 20060120179 A KR20060120179 A KR 20060120179A KR 20080049524 A KR20080049524 A KR 200800495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ubber
- track
- square tube
- loader
- track loa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4—Suspension devices for wheels, rollers, bogies o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는 하부 주행장치의 사이드프레임 상부쪽에 사각튜브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사각튜브는 트랙이 받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러버가 설치되며, 특히 상기 사각튜브는 그 내부에 설치된 중심부재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탄성계수(Stiffness)를 갖는 러버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트랙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따라서, 각기 탄성계수가 다른 두 종류의 러버를 이용하여 운전 중 또는 작업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사용자가 안락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고, 작업중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비의 내구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트랙, 로더, 완충장치, 러버, 탄성계수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로더의 트랙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의 러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에 작은 충격이 가해졌을 때의 러버 변형을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에 큰 충격이 가해졌을 때의 러버 변형을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도 5와 도 6의 러버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그 변형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러버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러버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러버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완충장치 2 : 사이드프레임
3 : 사각튜브 4 : 러버
5 : 중심부재 a : 제 1 러버
b : 제 2 러버
본 발명은 트랙 로더에 사용되는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랙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데 있어 충격하중의 부하에 따라 변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형 로더의 하부 주행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이드프레임(101) 하측에 주행시 장비의 중량을 트랙(102)을 통해 지면에 대해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다수개의 하부롤러(103)가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프레임(101)의 상측에 트랙(102)의 처짐을 방지하여 원활한 주행을 유도하는 상부롤러(104)가 장착되며, 주행시 스프로킷(105)과 함께 트랙(102)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트랙형 로더의 하부 주행장치(100)에는 주행의 안정성 및 승차감의 향상을 위해 완충장치가 설치되는 바, 트랙형 로더의 특성상 상기 완충장치는 매우 큰 댐핑력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평편하지 못한 야지를 주행하기 때문에 댐핑력의 변화속도가 상당히 빨라야 하며 상당한 충격이 지속적으로 가해지 는 환경에서 작동해야 하는 조건을 만족시켜 주어야만 한다.
즉, 상기 완충장치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주행장치(100)의 사이드프레임(101) 일측에 설치되어 트랙(102)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는 바, 상기 완충장치(200)는 사각튜브(201)로 이루어지고 이 사각튜브(201) 내부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러버(Rubber, 202)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 사각튜브(201)의 안쪽에 설치되는 러버(202)가 단일 성분을 가진 것으로 하중에 따른 변위량이 일정하여 비교적 작은 충격하중에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큰 하중에는 러버(202)의 탄성범위를 넘어 별도의 스토퍼로 변위량을 조절하므로 실제 차량에 작용하는 가변 하중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비교적 적은 충격하중에서 큰 하중까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여 운전자에게 보다 더 안락한 운전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로더 하부 주행장치의 사이드프레임 일측에 설치되어 트랙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는 사각튜브가 구비되고, 상기 사각튜브 내부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러버가 설치되는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각튜브는 그 내부에 설치된 중심부재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탄 성계수(Stiffness)를 갖는 러버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트랙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러버는 상기 사각튜브의 중심부재를 중심으로 하부쪽 모서리 좌우에 각각 제 2 러버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러버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제 1 러버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러버는 상기 사각튜브의 중심부재를 중심으로 하부쪽 좌측 모서리와 이에 대응되는 상부쪽 우측 모서리에 각각 제 2 러버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러버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제 1 러버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러버는 상기 중심부재의 하부쪽 좌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부쪽 우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제 1 러버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러버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제 2 러버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러버는 상기 사각튜브의 각 모서리에 각각 제 2 러버가 설치되고, 상기 중심부재를 중심으로 하부쪽 좌측 모서리와 이에 대응되는 상부쪽 우측 모서리에 설치된 상기 제 2 러버의 내측에 각각 제 1 러버가 배치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트랙 로더의 하부 주행장치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된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를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1)는 하부 주행장치의 사이드프레임(2) 일측에 사각튜브(3)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사각튜브(3)는 트랙이 받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러버(4)가 설치되며, 특히 상기 사각튜브(3)는 그 내부에 설치된 중심부재(5)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탄성계수(Stiffness)를 갖는 러버(4)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트랙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즉, 상기 트랙의 충격이 상기 사각튜브(3)에 전달되면 사각튜브(3) 내부에 설치된 상기 러버(4)가 그 충격을 완화하게 되는 바, 상기 러버(4) 중 탄성계수가 적은 러버(4)의 경우 보다 큰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상기 러버(4) 중 탄성계수가 큰 러버(4)의 경우 보다 작은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랙에 가해지는 충격의 변위가 크더라도 상기 러버(4)를 통해 적절하게 그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트랙 로더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1)의 작동 상태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사각튜브(3)에 설치되는 러버(4)는 서로 각기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제 1 러버(a)와 제 2 러버(b)로 구분되며, 상기 사각튜브(3)의 중심부재(5)를 중심으로 하부쪽 모서리 좌우에 각각 제 2 러버(b)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러버(b)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제 1 러버(a)가 배치된다.
즉, 상기와 같이 러버(4)가 상기 사각튜브(3)에 배치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충격이 작은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러버(a)가 그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게 되고, 상기 충격이 큰 경우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러버(a) 뿐만 아니라 상기 사각튜브(3)의 모서리쪽에 배치된 한 쌍의 제 2 러버(b)가 수축되면서 적극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러버(4)의 충격 흡수상태는 도 7의 그래프와 같이 최 초 시작되는 작은 충격에는 탄성계수가 높은 상기 제 1 러버(a)가 심하게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보다 큰 충격이 가해질 경우 탄성계수가 낮은 상기 제 2 러버(b)가 완만한 상태로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각튜브(3)에 설치되는 러버(4)는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우선 도 8의 경우 상기 러버(4)는 상기 사각튜브(3)의 중심부재(5)를 중심으로 하부쪽 좌측 모서리와 이에 대응되는 상부쪽 우측 모서리에 각각 제 2 러버(b)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러버(b)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제 1 러버(a)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러버(b)는 상기 사각튜브(3)의 모서리와 대응되도록 삼각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도 9의 경우 상기 러버(4)는 상기 중심부재(5)의 하부쪽 좌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부쪽 우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제 1 러버(a)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러버(a)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제 2 러버(b)가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러버(a)는 상기 중심부재(5)를 중심으로 2개소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2 러버(b)는 삼각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사각튜브(3)의 각 모서리인 4개소에 각각 설치되는 구조이다.
또한, 도 10의 경우 상기 도 8의 러버(4) 배치와 유사한 것으로 상기 제 2 러버(b)가 원형을 이루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끝으로, 도 11의 경우 상기 러버(4)는 상기 사각튜브(3)의 각 모서리에 각각 제 2 러버(b)가 설치되고, 상기 중심부재(5)를 중심으로 하부쪽 좌측 모서리와 이 에 대응되는 상부쪽 우측 모서리에 설치된 상기 제 2 러버(b)의 내측에 각각 제 1 러버(a)가 배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러버(4)의 배치 상태는 그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완충장치(1)를 이루는 사각튜브(3)에 각기 다른 두 종류의 러버(4)가 배치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에 의하면, 각기 탄성계수가 다른 두 종류의 러버를 이용하여 운전 중 또는 작업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사용자가 안락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고, 작업중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비의 내구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Claims (5)
- 로더 하부 주행장치의 사이드프레임(2) 일측에 설치되어 트랙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는 사각튜브(3)가 구비되고, 상기 사각튜브(3) 내부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러버(4)가 설치되는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에 있어서,상기 사각튜브(3)는, 그 내부에 설치된 중심부재(5)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러버(4)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트랙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러버(4)는, 상기 사각튜브(3)의 중심부재(5)를 중심으로 하부쪽 모서리 좌우에 각각 제 2 러버(b)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러버(b)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제 1 러버(a)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러버(4)는, 상기 사각튜브(3)의 중심부재(5)를 중심으로 하부쪽 좌측 모서리와 이에 대응되는 상부쪽 우측 모서리에 각각 제 2 러버(b)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러버(b)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제 1 러버(a)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러버(4)는, 상기 중심부재(5)의 하부쪽 좌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부쪽 우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제 1 러버(a)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러버(a)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제 2 러버(b)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러버(4)는, 상기 사각튜브(3)의 각 모서리에 각각 제 2 러버(b)가 설치되고, 상기 중심부재(5)를 중심으로 하부쪽 좌측 모서리와 이에 대응되는 상부쪽 우측 모서리에 설치된 상기 제 2 러버(b)의 내측에 각각 제 1 러버(a)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0179A KR20080049524A (ko) | 2006-11-30 | 2006-11-30 |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0179A KR20080049524A (ko) | 2006-11-30 | 2006-11-30 |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9524A true KR20080049524A (ko) | 2008-06-04 |
Family
ID=3980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0179A KR20080049524A (ko) | 2006-11-30 | 2006-11-30 |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4952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39060A1 (ko) * | 2015-08-31 | 2017-03-09 |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 |
US10370048B2 (en) | 2017-03-01 | 2019-08-06 | Deere & Company | Suspension system for work vehicle |
-
2006
- 2006-11-30 KR KR1020060120179A patent/KR2008004952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39060A1 (ko) * | 2015-08-31 | 2017-03-09 |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 |
US10370048B2 (en) | 2017-03-01 | 2019-08-06 | Deere & Company | Suspension system for work vehicle |
US10919587B2 (en) | 2017-03-01 | 2021-02-16 | Deere & Company | Suspension system for work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7557B1 (ko) | 에어 현가 장치의 에어 스프링 장치 | |
CN104773045B (zh) | 组合弹簧补偿悬挂装置 | |
KR101449016B1 (ko) | 건설장비 캐빈 마운팅구조 | |
KR100294480B1 (ko) | 운전실 부착 작업기 | |
CA1219017A (en) | Stabilizing and isolation system for a vehicle cab | |
JP2012220024A (ja) | 車両懸架装置用ストラット組立体のリバウンドストッパー | |
JP5376549B2 (ja) | トラック張力の調節装置 | |
KR20040026677A (ko) | 캐브 완충장치 | |
US20130300042A1 (en) | Spring and damper system, in particular for an assembly mount in a motor vehicle | |
CN103386869B (zh) | 用于工程车辆的悬架减振结构 | |
KR20080049524A (ko) |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 |
CN207405512U (zh) | 一种城市道路减速装置 | |
KR101093206B1 (ko) | 차량용 로어 암 부시유닛 | |
KR20100056707A (ko) | 마운팅 부시유닛 | |
CN204755722U (zh) | 一种汽车发动机减震装置总成 | |
JP3107321B2 (ja) | 建設機械のオペレータキャビン弾性支持構造 | |
CN107719095A (zh) | 一种发动机前悬置胶垫 | |
KR20010056013A (ko) | 차량용 현가장치 | |
JPH0732340Y2 (ja) | 建設機械における運転室の防振装置 | |
CN211592324U (zh) | 具有减震功能的拖拉机底盘 | |
JP2004001614A (ja) | 台車の軸ばねダンパ | |
KR200154041Y1 (ko) | 엔진 마운트용 브라켓 | |
JPH11100865A (ja) | 建設機械のキャブ支持装置 | |
KR100365276B1 (ko) | 대형차량의 변속기 장착구조 | |
JP2007137421A (ja) | 車両の動力源支持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