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722A - 크레인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722A
KR20200007722A KR1020190084205A KR20190084205A KR20200007722A KR 20200007722 A KR20200007722 A KR 20200007722A KR 1020190084205 A KR1020190084205 A KR 1020190084205A KR 20190084205 A KR20190084205 A KR 20190084205A KR 20200007722 A KR20200007722 A KR 20200007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vehicle
driver
crane control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705B1 (ko
Inventor
시몬 쇼르크호퍼
요하네스 슈타인들
Original Assignee
엡실론 크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9519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00772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엡실론 크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엡실론 크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07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6Arrangements of handles or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6Position indicators for suspended loads or for cra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60P1/54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 B60P1/542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attached to the loading platform or simi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64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with a slewing arm
    • B66C2700/0371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with a slewing arm on a turn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Jib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1)에 배치된 크레인(5)의 크레인 제어장치는 크레인(5)의 작업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운전자(8)에 의해 조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2)를 포함하고, 조작부에 의해 크레인(5)의 액추에이터에 제어 신호가 입력될 수 있으며, 조작부(2)를 차량(1)의 운전캡(driving cab; 4)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12)와 조작부(2)를 장착 구조(12)에 연결하는, 조작부(2)용 지지 구조(11)가 구비되며, 조작부(2)용 지지 구조(11)는 적어도 두 위치 사이에서 제한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적어도 두 위치 중 하나의 위치는 조작부(2)가 차량(1)의 조향 장치(10)와 운전석(9) 사이에 있는 작업 위치의 형태이고, 적어도 두 위치 중 다른 위치는 조작부(2)가 차량(1)의 조향 장치(10)로부터 멀리 이동된 보관 위치의 형태이다.

Description

크레인 제어장치 {CRANE CONTROL}
본 발명은 본원의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크레인 제어장치 및 이러한 크레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고 크레인의 작업 기능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조작부(operating unit)를 갖는, 설명된 일반적인 유형의 크레인 제어장치는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제어 신호는 이러한 조작부에 의해 크레인의 액추에이터에 입력될 수 있고, 이 경우 차량의 운전석 캡(driving cab)에 조작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mounting arrangement)가 구비되고, 조작부를 지지하기 위한 조작부용 지지 구조(support arrangement)가 구비되며, 지지 구조는 조작부를 장착 구조에 연결한다. 종래 기술에 공지된 조작부는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석 캡에 배치된 조수석에 장착된 팔걸이에 지지될 수 있다.
크레인의 운전자는 일반적으로 또한, 크레인이 장착되어 있고 크레인을 사용 위치로 운전하는 차량을 조종하는 사람이기도 하다. 조작부에 의해 수행되는 크레인의 조작을 위해,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운전석 캡에 배치된 조작부의 경우, 운전자는 예를 들어 운전석으로부터, 고정식으로 장착된 조작부가 배치되어 있는 조수석으로 이동함으로써 운전석 캡 내에서 조작부로 이동해야 한다. 그 결과, 가능하게는 지지 부재의 작동을 포함하여, 차량의 움직임 이동 및 크레인의 조작은 운전석 캡 내의 운전자 측의 대응하는 위치 변화를 전제로 한다. 이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낮은 수준의 편안함을 수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논의된 문제점이 회피되는, 전술한 일반적인 유형의 크레인 제어장치 및 이러한 크레인 제어장치를 구비한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원의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크레인 제어장치 및 이러한 크레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크레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용 지지 구조는 적어도 2 개의 위치 사이에서 제한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적어도 2 개의 위치 중 하나의 위치는 조작부가 차량의 조향 장치(steering arrangement)와 운전석 사이에 있는 작업 위치의 형태이고, 적어도 2 개의 위치 중 다른 위치는 조작부가 차량의 조향 장치로부터 멀리 이동되는 보관 위치의 형태인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크레인의 운전자는 운전석을 떠날 필요 없이 크레인의 조작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그러한 방식으로 차량의 조향 및 크레인의 조작은 운전석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운전석 캡 내의 운전자의 위치의 변화를 제거함으로써, 차량의 조향과 크레인의 조작 사이의 전환을 위해 필요한 시간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 결과 크레인의 조작이 더욱 편안해진다.
적재를 위한 크레인의 조작부는, 예를 들어 차량이 조향되는 동안 작업 위치로부터 그것이 배치되는 보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조작부는 크레인의 조작을 위해 보관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크레인의 작업 환경을 시각화하기 위한 시각화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시각화 유닛은 운전자가 운전석 캡으로부터 직접 볼 수 없는 크레인의 작업 환경의 지역을 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각화 유닛은 조작부과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운전자에 의해 신체 상에 착용 가능하도록 모바일 유닛(mobile unit)의 형태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시각화 유닛은 사용자의 눈앞에 배치될 수 있는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에게는 예를 들어 시각화 유닛에 의해 크레인 상에 배치된 카메라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작업 환경의 부분들에 대해 입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지 구조가 장착 구조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및/또는 장착 구조 상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장착 구조와 지지 구조 사이의 안내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장착 구조에 대해 제한적으로 피봇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및/또는 장착 구조 상에 제한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지 구조는 서로에 대해 피봇 가능한 적어도 2 개의 부분을 갖고, 적어도 2 개의 부분 중 하나의 부분은 조작부를 지지하고, 다른 부분 상에는 장착 구조가 배치되며, 작업 위치와 보관 위치 사이에서의 조작부의 제한된 이동은 서로에 대해 피봇 가능한 2 개의 부분의 피봇 이동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피봇 가능한 적어도 2 개의 부분은 조작부와 장착 구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지 구조는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적어도 2 개의 부분을 갖고, 적어도 2 개의 부분 중 하나의 부분은 조작부를 지지하고, 다른 부분 상에는 장착 구조가 배치되며, 작업 위치와 보관 위치 사이에서의 조작부의 제한된 이동은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한 2 개의 부분의 바람직하게는 선형인 변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적어도 2 개의 부분은 조작부와 장착 구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지지 구조의 2 개의 부분에 있어서 피봇 이동 및 변위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구조는 운전자에 대한 작업 위치 내의 조작부의 위치의 조정을 위한 조정 장치를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조정 장치는 가능하게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지지 구조의 적어도 2 개의 부분과는 독립적으로, 추가의 피봇 이동 및/또는 변위를 허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 부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 및 크레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 대해서도 보호가 청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크레인 제어장치의 장착 구조가 차량의 운전석 캡에 장착되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보관 위치 내의 조작부가 차량의 운전석 옆에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보관 위치 내의 조작부가 차량의 운전석 위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조작부가 운전석 아래의 보관 위치 내에 배치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도 있다.
보관 위치 내의 조작부가 차량의 운전석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논의된다.
도 1은 크레인을 갖는 차량을 도시한다.
도 2는 운전석 캡 내의 공지된 조작부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제어장치를 갖는 운전석 캡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크레인 제어장치를 갖는 운전석 캡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크레인 제어장치를 갖는 운전석 캡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크레인 제어장치를 갖는 운전석 캡을 도시한다.
도 7은 지지 구조의 보관 위치에 조작부를 갖는 제안된 크레인 제어장치를 도시한다.
도 8은 보관 구조의 작업 위치에 있는 도 7의 조작부를 도시한다.
도 1은 운전석 캡(4) 및 차량(1) 상에 배치된 로딩 크레인의 형태의 크레인을 갖는 차량(1)을 도시한다. 운전석 캡(4)에는 크레인(5)의 작업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2)가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1)의 운전석 캡(4) 내의 조작부(2)를 도시한다. 조작부(2)는 조수석(7)에 장착되고, 조수석(7)의 수직으로 피봇 가능한 팔걸이 상에 장착되는 조이스틱(6) 형태의 2 개의 조작 레버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8)는 크레인(5)의 작업 환경을 시각화하기 위한 시각화 유닛(3)을 착용한다.
도 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위치에 있는 조작부(2)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제어장치를 갖는 운전석 캡(4)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며, 이러한 경우 조작부(2)는 차량(1)의 조향 장치(10)와 운전석(9) 사이에 있다. 크레인 제어장치는 ― 여기서 지지 핀의 형태인 ― 장착 구조(12)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부(2)용 지지 구조(11) ― 여기서 피봇 가능한 레버의 형태임 ― 를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된 운전자(8)는, 도시된 바와 다른 방식으로, 크레인(5)의 작업 환경을 시각화하기 위한 시각화 유닛(3)을 장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시각화 유닛(3)은 조작부(2)와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모바일 유닛(예를 들어, 가상 현실 고글)일 수 있다(도 2 참조).
도 4는 크레인 제어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조작부(2)는 보관 위치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위치에서 조작부(2)는 차량(1)의 운전석(9) 위에 배치되고, 차량(1)의 조향 장치(10)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지지 구조(11)의 피봇 이동에 의해, 조작부(2)는 작업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이 경우 조작부(2)는 차량(1)의 조향 장치(10)와 운전석(9) 사이에 있다.
도 5는 크레인 제어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조작부(2)는 보관 위치와 작업 위치 사이의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서로에 대해 텔레스코픽한(telescopic) 2 개의 부분(11a, 11b)이 제공되는 지지 구조(11)의 변위로 인해, 조작부(2)는 작업 위치 또는 보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 구조(11)는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한 2 개의 부분(11a, 11b)을 갖고, 이러한 2 개의 부분 중 하나의 부분(11b)은 조작부(2)를 지지하고, 다른 부분(11a) 상에는 ― 여기서 지지 핀의 형태인 ― 장착 구조(12)가 배치되며, 여기서 작업 위치와 보관 위치 사이에서의 조작부(2)의 제한된 이동은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한 2 개의 부분(11a, 11b)의 바람직하게는 선형 변위에 의해 수행된다.
도 6은 차량(1)의 운전석 캡(4)에 배치된 크레인 제어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운전석 캡(4) 내에는 운전석(9) 및 조수석(7)이 배치되어 있다. 운전자(8)는 운전석(9)에 앉는다. 도면의 명확성을 위해, 운전자(8)의 전방에 있을 조향 장치(10)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았다. 이 도면은 조작부(2)가 운전석(9) 옆에 배치되는 보관 위치에 있는 조작부(2)를 도시한다. 지지 구조(11) 및 장착 구조(1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구성일 수 있다.
도 7은 지지 구조(11) 상에 지지되는 조작부(2)를 도시하며, 여기서 지지 구조(11)는 조작부(2)가 차량(1)의 조향 장치(10)로부터 멀리 이동된 보관 위치에 있다(도 6 참조). 조작부(2)는 장착 구조(12)에 의해 ― 예를 들어 운전석 캡(4)의 플로어(floor)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 차량(1)의 운전석 캡(4)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 구조(11)는 장착 구조(12) 상에 이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8은 작업 위치에 있는, 도 7의 조작부(2)가 장착되어 있는 지지 구조(11)를 도시한다. 지지 구조(11)는 작업 위치에서 운전자(8)에 대한 조작부(2)의 위치의 조정을 위한 조정 장치(13)를 갖는다. 조정 장치(13)는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한 2 개의 부분(13a, 13b)을 갖고, 이러한 2 개의 부분 중 하나의 부분(13b)은 조작부(2)를 운반하고, 다른 부분(13a) 상에는 장착 구조(12)가 배치된다.
1 차량
2 조작부
3 시각화 유닛
4 운전석 캡
5 크레인
6 조이스틱
7 조수석
8 운전자
9 운전석
10 조향 장치
11 지지 구조
11a 지지 구조의 한 부분
11b 지지 구조의 다른 부분
12 장착 구조
13 조정 장치
13a 조정 장치의 한 부분
13b 조정 장치의 다른 부분

Claims (11)

  1. 차량(1) 상에 배치된 크레인(5)용 크레인 제어장치로서, 상기 크레인(5)의 작업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운전자(8)에 의해 조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2)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크레인(5)의 액추에이터에 제어 신호가 입력될 수 있고, 상기 조작부(2)를 상기 차량(1)의 운전석 캡(driving cab; 4)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12)와, 상기 조작부(2)를 상기 장착 구조(12)에 연결하는, 상기 조작부(2)용 지지 구조(11)가 구비되는, 상기 크레인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용 상기 지지 구조(11)는 적어도 2 개의 위치 사이에서 제한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위치 중 하나의 위치는 상기 조작부(2)가 상기 차량(1)의 조향 장치(10)와 운전석(9) 사이에 있는 작업 위치의 형태이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위치 중 다른 위치는 상기 조작부(2)가 상기 차량(1)의 상기 조향 장치(10)로부터 멀리 이동된 보관 위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5)의 작업 환경을 시각화하기 위한 시각화 유닛(3)이 제공되는,
    크레인 제어장치.
  3.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 유닛(3)은, 상기 조작부(2)과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운전자(8)에 의해 신체 상에 착용 가능하도록 모바일 유닛의 형태인,
    크레인 제어장치.
  4. 선행하는 항들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11)는 상기 장착 구조(12)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및/또는 상기 장착 구조(12) 상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크레인 제어장치.
  5.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11)는 서로에 대해 피봇 가능한 적어도 2 개의 부분을 갖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부분 중 하나의 부분은 상기 조작부(2)를 지지하고, 다른 부분 상에는 상기 장착 구조(12)가 배치되며, 상기 작업 위치와 상기 보관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조작부(2)의 제한된 이동은 서로에 대해 피봇 가능한 상기 2 개의 부분의 피봇 이동에 의해 수행되는,
    크레인 제어장치.
  6. 선행하는 두 개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11)는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적어도 2 개의 부분(11a, 11b)을 갖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부분 중 하나의 부분(11b)은 상기 조작부(2)를 지지하고, 다른 부분(11a) 상에는 상기 장착 구조(12)가 배치되며, 상기 작업 위치와 상기 보관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조작부(2)의 제한된 이동은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한 상기 2 개의 부분(11a, 11b)의 바람직하게는 선형인 변위에 의해 수행되는,
    크레인 제어장치.
  7. 선행하는 항들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11)는 상기 작업 위치에서 운전자(8)에 대한 상기 조작부(2)의 위치의 조정을 위한 조정 장치(13)를 갖는,
    크레인 제어장치.
  8. 크레인(5) 및 선행하는 항들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크레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차량(1)으로서,
    상기 크레인 제어장치의 상기 장착 구조(12)는 상기 차량(1)의 운전석 캡(4) 내에 장착되는,
    차량.
  9.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위치에서 상기 조작부(2)는 상기 차량(1)의 운전석(9) 옆에 배치되는,
    차량.
  10. 선행하는 두 개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위치에서 상기 조작부(2)는 상기 차량(1)의 운전석(9) 위에 배치되는,
    차량.
  11. 선행하는 세 개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위치에서 상기 조작부(2)는 상기 차량(1)의 운전석(9)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차량.
KR1020190084205A 2018-07-13 2019-07-12 크레인 제어장치 KR102410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83441.7 2018-07-13
EP18183441.7A EP3594169B1 (de) 2018-07-13 2018-07-13 Fahrzeug mit einem kran und einer kransteue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722A true KR20200007722A (ko) 2020-01-22
KR102410705B1 KR102410705B1 (ko) 2022-06-17

Family

ID=6295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205A KR102410705B1 (ko) 2018-07-13 2019-07-12 크레인 제어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98815B2 (ko)
EP (1) EP3594169B1 (ko)
JP (1) JP7003091B2 (ko)
KR (1) KR102410705B1 (ko)
ES (1) ES2877592T3 (ko)
PL (1) PL3594169T3 (ko)
RU (1) RU2716527C1 (ko)
SI (1) SI3594169T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803B1 (ko) * 2005-10-29 2006-12-15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유압변속기 조작부
WO2009010818A2 (en) * 2007-07-17 2009-01-22 Volvo Compact Equipment Sas Construction equipment machine comprising a cabin with advanced ergonomics
KR20100002236A (ko) * 2009-10-27 2010-01-06 대동공업주식회사 전자식 팔걸이가 장착되는 농용작업차량의 운전석 의자
JP2015059022A (ja) * 2013-09-19 2015-03-30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移動式クレーン
JP2016199388A (ja) * 2015-04-14 2016-12-01 Ihi運搬機械株式会社 荷役運搬機械の遠隔操作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0849A (ja) 1981-08-13 1983-02-23 Komatsu Ltd 操作弁制御装置
JPS6053859A (ja) 1983-09-05 1985-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計算機の高温度試験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053859U (ja) * 1983-09-17 1985-04-1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操縦装置
JP2943429B2 (ja) 1991-08-20 1999-08-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イロン装置
JP2536418Y2 (ja) * 1991-11-19 1997-05-21 小松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産業機械における作業機の操作装置
JPH0827839A (ja) * 1994-07-15 1996-01-30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操縦装置
JPH08128075A (ja) * 1994-10-27 1996-05-21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操縦装置
JPH09302726A (ja) * 1996-05-11 1997-11-25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操縦装置
JPH1046629A (ja) * 1996-08-02 1998-02-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JPH10121521A (ja) * 1996-10-24 1998-05-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JPH10204923A (ja) * 1997-01-28 1998-08-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JP3655429B2 (ja) 1997-04-10 2005-06-0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JPH1136368A (ja) * 1997-07-24 1999-02-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US6148946A (en) 1998-03-25 2000-11-21 Kobelco America, Inc. Excavator operator cab
RU2137625C1 (ru) 1998-04-20 1999-09-20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Пост управления оператора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3464623B2 (ja) * 1999-04-21 2003-11-1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6564896B1 (en) * 1999-06-22 2003-05-20 Caterpillar Inc Tiltable control console for a backhoe loader machine
DE10138364B4 (de) 2000-11-10 2005-03-31 Kubota Corp. Antriebs-Steuer-Vorrichtung für ein Arbeitsfahrzeug
JP3839364B2 (ja) * 2002-06-27 2006-11-01 住友重機械建機クレーン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
US6971279B2 (en) * 2003-02-12 2005-12-06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Control lever safety apparatus for heavy equipment
US6971194B2 (en) * 2003-06-24 2005-12-06 Cnh America Llc Modular backhoe-excavator control station
ITMO20060125A1 (it) 2006-04-14 2007-10-15 Manitou Costr Ind Srl Sedile di manovra per sollevatori telescopici
US8039769B2 (en) 2006-09-19 2011-10-18 Deere & Company Joystick deactivation
WO2009050746A2 (en) * 2007-10-17 2009-04-23 Komatsu Utility Europe S.P.A. Backhoe loader
JP6030348B2 (ja) 2012-06-15 2016-11-24 株式会社セガ・ライブクリエイション アトラクション装置
DE102012015776A1 (de) * 2012-08-09 2014-02-13 Kissling Service GmbH Fahr- und/oder Bedienkabineninterieur eines Kraftfahrzeugs
US9026312B2 (en) * 2012-08-29 2015-05-05 Caterpillar Inc. Ergonomics test buck
DE102014209462A1 (de) 2014-05-19 2015-11-19 Hamm Ag Sitz für einen Fahrzeugführer einer Baumaschine, sowie Baumaschine
JP2015226094A (ja) * 2014-05-26 2015-12-14 住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用遠隔操作システム
FI127421B (fi) 2014-08-25 2018-05-31 Kesla Oyj Menetelmä kuormaimen ohjaamiseksi ja kuormaimenohjauslaitteisto
JP6306552B2 (ja) 2015-10-13 2018-04-04 株式会社タダノ 遠隔操作装置、及び案内システム
WO2017164781A1 (en) 2016-03-23 2017-09-28 Cargotec Patenter Ab Load handling assembly
DE102016012786A1 (de) * 2016-10-26 2018-04-26 Liebherr-Werk Biberach Gmbh Fernsteuer-Einrichtung für Kran, Baumaschine und/oder Flurförderzeug
WO2019146824A1 (en) * 2018-01-29 2019-08-01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Console box for construction mach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803B1 (ko) * 2005-10-29 2006-12-15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유압변속기 조작부
WO2009010818A2 (en) * 2007-07-17 2009-01-22 Volvo Compact Equipment Sas Construction equipment machine comprising a cabin with advanced ergonomics
KR20100002236A (ko) * 2009-10-27 2010-01-06 대동공업주식회사 전자식 팔걸이가 장착되는 농용작업차량의 운전석 의자
JP2015059022A (ja) * 2013-09-19 2015-03-30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移動式クレーン
JP2016199388A (ja) * 2015-04-14 2016-12-01 Ihi運搬機械株式会社 荷役運搬機械の遠隔操作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594169T3 (pl) 2021-09-27
SI3594169T1 (sl) 2021-08-31
EP3594169A1 (de) 2020-01-15
US11498815B2 (en) 2022-11-15
ES2877592T3 (es) 2021-11-17
US20200017336A1 (en) 2020-01-16
JP7003091B2 (ja) 2022-01-20
RU2716527C1 (ru) 2020-03-12
KR102410705B1 (ko) 2022-06-17
EP3594169B1 (de) 2021-03-24
JP2020015624A (ja)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9093B1 (en) Construction equipment machine comprising a cabin with advanced ergonomics
EP2391778B1 (en) Work machine vehicle having seat mounted controls with nested seatbar
EP2404781B1 (en) Operator seat structure of construction machine
US8763747B2 (en) Construction equipment machine with improved controller ergonomics
US9132855B2 (en) Electronic tag along
US20160031443A1 (en) Speed control for working vehicle
US6755275B2 (en) Controller positioning structure for vehicle
GB2520842A (en) Arm rest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 passenger vehicle
JP2005335429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23171903A (ja) アームレスト装置および車両用シート
GB2288770A (en) Driving position
JP3715278B2 (ja) 切替え装置
KR20200007722A (ko) 크레인 제어장치
EP1571064A1 (en) Adjustable pedal and steering mechanism
JP7326796B2 (ja) 作業機械
WO2017006592A1 (ja) トラクタ
US10482841B2 (en) Operator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by using an operator control device
JP2000247598A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における作業機用操作レバーの取付け構造
CN113784872B (zh) 与身体适应的扶手装置
CN111469909B (zh) 用于车辆的行驶操作的控制杆装置
JP6981384B2 (ja) 機器の操作装置
JP2018167599A (ja) 作業機
EP4276573A1 (en) Improved joystick for a work vehicle
JP2007245831A (ja) 運転姿勢調整装置及び運転姿勢調整方法
JP2009262849A (ja) 車両用運転姿勢調整装置及び車両用運転姿勢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