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5856A - 자동차의 이동용 대차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이동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5856A
KR20000065856A KR1019990012575A KR19990012575A KR20000065856A KR 20000065856 A KR20000065856 A KR 20000065856A KR 1019990012575 A KR1019990012575 A KR 1019990012575A KR 19990012575 A KR19990012575 A KR 19990012575A KR 20000065856 A KR20000065856 A KR 20000065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hicle
moving
trolle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4916B1 (ko
Inventor
박준욱
신이찌 노가미
Original Assignee
박준욱
주식회사 세양
신이찌 노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욱, 주식회사 세양, 신이찌 노가미 filed Critical 박준욱
Priority to KR1019990012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91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5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0Elements for spacing platforms from supporting surface
    • B65D19/42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rollers o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Abstract

일렬주차열에서 쉽게 탈출하도록 하고, 또 좁은 장소에서 대형차를 작은 움직임으로 크게 방향 전환시키는 보조구로써의 자동차의 이동용대차를 제공한다.
종향각통(縱向角筒) 형상의 편평한 프레임(1)과, 그 한쪽 대향측벽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걸쳐 설치되고 그 위에 올려진 자동차의 구동바퀴에 의해 전동되는 1쌍의 구동용로울러(2)와, 프레임(1)의 다른쪽 대향측벽간에 걸쳐 설치되어 구동용로울러(2)의 회전력을 전동기구(4)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며 프레임(1)을 구동바퀴의 차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용로울러(3)와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킨 프레임(1)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20)을 구비한다.
이동용로울러(3)의 외주면은 원추형으로 하고 전동기구(4)로써 웜 치차기구 등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이동용대차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레일(30)을 병용해도 좋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이동용 대차{Truck for Movement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를 노상에 일렬주차 시켜두고 임무가 끝난 후에 차로 돌아와 보면 그 앞뒤를 다른 사람의 차나 장해물이 막고 있어 간격이 좁아 운전에 의해서는 쉽게 빠져 나올 수 없게 된 경우에 운전미숙자도 간단히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혹은 운수회사의 좁은 주차공간에서 대형차량을 아주 조금만 움직여 방향 전환 시키는데 매우 도움이 되는 자동차의 이동용대차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렬주차열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는 경우에 방해차의 운전자를 호출할 수 있는 방송시설이 있는 경우는 별도로 하고, 배려가 없는 운전자가 돌아올 때까지 기다리거나, 운전 외에 다른 강제적인 방법을 취할 수밖에 없었다.
또, 운수회사의 부지내 또는 공사현장 등의 좁은 주차공간에서는 대형차량의 방향회전이 큰 문제였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격이 좁아 차를 조작하여도 일렬주차열로부터 빠져 나올 수 없는 경우 운전미숙자도 간단히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혹은 운수회사의 부지내의 좁은 주차공간에서의 대형차량의 방향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자동차의 이동용대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이동용대차는, 종향각 통(縱向角筒) 형상의 편평한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한쪽 대향측벽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걸쳐 설치되고 그 위에 올려진 자동차의 구동바퀴에 의해 전동되는 1쌍의 구동용로울러(2)와, 상기 프레임(1)의 다른쪽 대향측벽간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구동용로울러(2)의 회전력을 전동기구(4)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프레임(1)을 상기 구동바퀴의 차축방향으로 횡이동시키는 이동용로울러(3)와,
상기, 프레임(1)을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그 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동용 로울러(3)에는 외주면이 완만한 원추면을 이루는 로울러형상의 타이어(13)를 입혀도 좋다.
전동기구(4)로는 구동용로울러(2) 및 이동용로울러(3)의 각 회전축에 끼운 웜(4A) 및 웜휠(4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웜휠기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프레임(1)은 구동용로울러(2)를 걸쳐 설치하는 내측프레임(1A)과 그 외측에 끼워져 이동용로울러(3)를 걸쳐 설치하는 외측프레임(1B)과의 조합구조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프레임(1)의 한변에는 구동바퀴를 1쌍의 구동용로울러(2, 2)의 위로 이끄는 발판(10)을 연결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정지수단으로는 프레임(1)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웜휠(4B)의 톱니에 걸어 설치시키는 정지용후크(21)를 구비한 잠금기구(20) 등을 사용해도 좋다.
혹은, 이동용대차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소정의 곡율과 길이를 갖는 원호홈형상의 가이드레일(30)과 2개의 이동용대차를 가로 또는 세로 나란히 소정간격을 두어 연결시키는 연결용부재(11)를 부속시켜도 좋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동용대차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자동차의 구동바퀴와 노면과의 틈에 이동용대차를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동용대차의 기능설명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내측프레임 및 구동용로울러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외측프레임 및 이동용로울러의 사시도이다.
도6은 정지수단의 일실시예로써의 잠금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프레임1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7은 정지수단의 일실시예로써의 잠금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잠금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2개의 이동용대차를, 연결용부재를 통해 일체로 연결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대형자동차용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동용 대차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대형자동차용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가이드레일을 병용한 이동용대차의 작용을 설명한 평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대형자동차용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0도의 Z-Z선을 따라 자른 종단면도이다.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A, A2: 이동용대차 B: 구동바퀴
C, D: 자동차 1: 프레임
1A: 내측프레임 1B: 외측프레임
2: 구동용로울러 3: 이동용로울러
2a, 3a: 회전축 4: 전동기구
4A: 웜 4B: 웜휠
5,9: 축구멍 6: 상판
7: 볼트구멍 8: 나사구멍
10: 발판 11: 연결용부재
12: 체결볼트 13: 로울러형태의 타이어
13a: 환상리브 a, d: 좌우의 대향측벽
b, c: 전후의 대향측벽 e: 경사판
20: 잠금기구(정지수단) 21: 정지용후크
21c: 레버 22: 브라켓
23: 스프링 와셔 30: 가이드레일
30a: 측단벽(정지수단) 31: 회전대
우선, 주로 승용차를 차간거리를 좁혀 주차할 때에 이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도1 내지 도8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 실시예의 이동용대차(A)의 개략적인 구성은 그 외관과 내부구조를 투시하여 본 도1에서 볼 수 있듯이 종향각통 형상을 한 편평한 프레임(1)을 구비한 프레임(1)의 좌우 대향측벽에는 1쌍의 구동용로울러(2, 2)를 소정간격을 두고 병렬로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 전후의 대향측벽에는 1쌍의 이동용로울러(3, 3)를 그 아랫면이 프레임(1) 의 아래쪽으로 돌출 시킨 상태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병렬로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용로울러(2)의 회전운동을 이동용로울러(3)에 전달하는 전동기구
(4)를 부착하고 있다.
도2 및 도3은 이동용대차(A)의 사용상태의 설명도이다.
이동용대차(A)는 우선 도 2와 같이 자동차(C)의 뒷측 좌우의 구동바퀴(B)와 노면과의 사이의 틈에 각각 꼭 댄다.
그리고, 도3과 같이 구동바퀴(B)를 1쌍의 구동용로울러(2, 2)의 위에 올려놓고서 저속전진 또는 후진시키면 도면의 화살표시와 같이 자동차의 후부가 이동용대차(A)와 함께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엉덩이를 흔들 듯이 선회하면서 움직이게 된다.
아래에 본 실시예의 이동용대차(A)의 구체적인 구조를 차례대로 설명한다.
프레임(1)은 도5와 같이 외측프레임(1B)과 그 내측에 끼워지는 도4와 같은 내측프레임(1A)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프레임(1A)의 전후방향폭은 외측프레임(1B)에 겹쳐져 끼워진 상태로 내측에 삽입 설치시킬 수 있는 칫수로 설정하고 또 좌우방향의 폭은 외측프레임(1B)의 그것보다 소정칫수만큼 좁게 한다.
내측프레임(1A)은 도4와 같이 좌우의 대향측벽(a, a)의 각 양단근처에 구동용로울러(2)의 양단에 설치한 회전축(2a)을 끼워주는 축구멍(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대향측벽(a, a)의 각 윗가장자리에는 외측프레임(1B)에 삽입설치시킨 상태로 그 좌우의 대향측벽(d, d)의 윗가장자리에 달하는 상판(6)을 각각 밖으로 향하도록 연장형성한다.
또한, 전후의 대향측벽(b, b)의 각 양단근처에는 볼트구멍(7)이 뚫어져 있다. 그리고, 앞쪽의 대향측벽(b)에는 양 볼트구멍(7)의 각 내측에 나사구멍(8)을 형성함과 동시에 길이방향의 중간개소를 결여시킨다.
한편, 외측프레임(1B)은 도 5와 같이 그 전후의 대향측벽(c, c)의 각 양단근처에 이동용로울러(3)의 양단에 설치한 회전축(3a)을 끼우는 축구멍(9)을 각각 형성한다.
또, 각 축구멍(9)의 내측에는 내측프레임(1A)의 볼트구멍(7)과 대향하는 각각의 개소에도 볼트구멍(7)을 설치한다.
뒤쪽의 대향측벽(c)의 축구멍(9)은 가로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대향측벽(c)도 길이방향의 한가운데부분을 결여시킨다.
또한, 전후의 대향측벽(c)에는 내측프레임(1A)의 나사구멍(8)과 대향하는 각각의 개소에도 나사구멍(8)을 설치한다.
도5 중의 10은, 자동차(C)의 구동바퀴(B)를 1쌍의 구동용로울러(2, 2)의 위로 이끄는 발판에서 밟는 면이 되는 경사판(e)과, 뒤쪽의 대향측벽(c)의 외측면에 연결시키는 부착판(f)을 일체로 연결 결합시킨 형상을 갖추고 있다.
이 부착판(f)에도 볼트구멍(7) 및 축구멍(9)이 형성된다.
이동용대차(A)는 자동차(C)의 좌우 1쌍의 구동바퀴(B, B)의 각각을 올려놓기 위해 좌우1쌍으로 사용한다.
이를 위해 이 1쌍의 이동용대차(A, A)는 사용할 때에 적절한 연결용부재를 사용하여 좌우 구동바퀴(B, B)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띄운 상태에서 연결결합시켜 두면 취급하기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8과 같이 소정길이의 채널형상의 재료를 상기의 연결용부재(11)로 하여 이동용대차(A)에 부착시키고 있다.
연결용부재(11)의 양측에는 프레임(1)에 설치한 각 나사구멍(8)과 대향하는 각각의 개소에 체결볼트(12)를 삽통시키는 볼트구멍(도시생략)을 설치한다.
또한, 체결볼트(12)에는 나비너트와 같은 손잡이 또는 핸들을 설치하여 두면 착탈이 용이하다.
또, 좌우의 구동바퀴(B, B)의 간격은 차종에 따라서 다르므로 체결용부재(11) 의 양측의 상기 볼트구멍은 복수세트로 형성해두면 좋다.
다음으로 구동용로울러(2)는 도4와 같이 그 외주면을 덮는 고무층에 마찰저항을 증대시키는 복수의 긴돌기를 축방향으로 형성한다.
또, 양단의 회전축(2a)에는 전동기구(4)를 구성하는 웜(4A)을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한다.
이동용로울러(3)는 도5와 같이 우레탄고무로 된 로울러형상의 타이어(13)를 갖추고 있다. 이 로울러형태의 타이어(13)는 외주면을 완만한 원추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로울러축에 대한 이 원추면의 경사각도는 이동용대차(A)가 자동차(C)의 호일베이스칫수와 거의 비슷한 반경의 원호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로울러형태의 타이어(13)의 외주면에는 그 축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환상리브(13a)를 일체로 돌설시키고 있다.
또, 이동용로울러(3)의 양단 회전축(3a)에는 웜(4A)과 맞물려 전동기구(4)를 구성시키는 웜휠(4B)이 각각 축설되어 있다.
또한, 전동기구(4)는 구동용로울러(2) 및 이동용로울러(3)의 각 일단측에만 설치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6 및 7은 구동바퀴(B)를 얹은 이동용대차(A)를 원하는 거리만큼 선회시킨 후에 그 움직임을 저지하기 위한 정지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의 정지수단으로써의 잠금기구(20)는 외측프레임(1B)의 이웃한 대향측벽(c, d) 간에 걸쳐져서 부착되어 웜휠(4B)의 톱니에 계탈(係脫)시킬 수 있는 정지용후크(21)와, 그 부착용 브라켓(22)으로 이루어진다.
정지용후크(21)는 ㄷ자형금구(21a)의 한쪽 다리단에 설치한 회전축(21b)과 회동용레버(21C)를 축설하고 다른쪽의 다리단에 축구멍(21d)을 형성한다.
그리고, L자형의 브라켓(22)에는 축구멍(21d)에 끼워지는 회전축(22a)을 설치한다. 22b는 부착용볼트구멍, 23은 스프링와셔이다.
다음으로 이동용대차(A)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내측프레임(1A)의 각1쌍의 축구멍(5, 5)에 호일(4A)을 분리해낸 상태에서 구동용로울러(2)의 회전축(2a)을 각각 끼운다.
그리고, 대향측벽(a)의 외측에 돌출된 각 회전축(2a)에 호일(4A)을 부착한다 (도 1 참조). 또, 외측프레임(1B)의 각1쌍의 축구멍(9, 9)에는 이동용로울러(3)의 회전축(3a)을 각각 끼운다(도1 참조).
이어서, 내측프레임(1A)을 외측프레임(1B)속으로 하강삽입하면서 구동용 로울러(2)에 축설된 웜(4A)을 이동용로울러(3)에 축설한 웜휠(4B)에 맞물리게 한다.
그런 다음, 웜(4A)과 웜휠(4B)이 원활하게 맞물려지도록 조금씩 조정하면서 내외 양프레임(1A, 1b) 및 발판(10)을 각 볼트구멍(7)에 삽통된 볼트·너트 또는 볼트(도시생략)에 의해 체결 결합시키면 도1과 같은 상태의 이동용대차(A)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이동용대차(A)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자동차(C)가 승용차인 경우는 좌우에서 1쌍의 이동용대차(A, A)를 항상 트렁크 안에 넣어둔다. 연결용부재(11)도 필수품은 아니지만 그 부착용의 체결볼트(12) 와 함께 넣어두면 좋다.
주차시설이 없고 다수의 자동차가 노상에 일렬 주차되어 있어야만 하는 상황에서는 숙달된 양심 불량한 운전자가 일렬 주차되어 있는 자동차사이의 근소한 간격에 끼어들어 주차하거나, 차간거리에 신경 쓰지 않는 등의 무신경한 사람이 적지 않다.
이러한 악질주차를 하게되면 초보운전자는 물론 운전에 자신이 있는 사람도 거의 빠져 나올 수가 없게 되고 만다.
그러한 경우에는 탈출해야하는 자동차(C)의 전후양측의 어느 한 쪽이 보다 차간거리가 긴지 그리고 또한 좌우어느쪽으로 탈출해야하는 가를 확인한 후, 원추형의 이동용로울러(3)의 지름이 큰 쪽이 차체의 뒤쪽 또는 앞쪽을 향해 위치하고, 동시에 발판(10)이 구동바퀴(B)(이 경우는 뒷바퀴)와 접하도록 하여 양 이동용대차 (A, A)를 각각 노면에 설치한다(도 2 참조).
그럼으로써 좁은 폭에서의 운전조작시에 자동차(C)를 전후 어느 쪽으로 진행시킬 것인지가 스스로 판단된다.
그리고 잠금기구(20)의 레버(21c)를 도6에 가상선으로 나타내었듯이 잠금 해제측으로 회동시키면 폭이 좁은 곳에서의 운전조작준비가 정리된다.
주차상황에서 안쪽의 구동바퀴(B)에 이동용대차(A)를 대기 어려운 경우에는 연결용 부재(11)와 체결볼트(12)를 사용하여 양 이동용대차(A, A)를 합체시키면 쉽게 댈 수가 있다.
그래서, 아이들링(idling)을 개시한 후에 변속레버를 전진시에는 최저속으로 후진시에는 백으로 바꾸고서 브레이크를 느슨히 하여 엑셀을 신중하게 밟으면, 좌우의 구동바퀴(B)는 발판(10)에 이끌리어 각각 프레임(1) 위에 올려지고 트레드 (tread)의 일부를 1쌍의 구동용로울러(2, 2) 사이에 낙하시킬 수가 있다(도 3 참조).
그래서, 또한 정차시키고 나서 자동차에서 내려 양 구동바퀴(B)가 확실히 상기의 상태로 되어 있는가를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다시 자동차에 올라 변속레버를 소정의 전진 또는 후진측으로 조작하고 나서 신중하게 엑셀을 밟는다.
그러면, 구동바퀴(B)의 회전구동력이 1쌍의 구동용로울러(2, 2)에 전달되어 각각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력은 웜(4A) 및 웜휠(4B)을 통해 1쌍의 이동용 로울러(3, 3)에 전해진다. 이를 위해 회전축이 구동바퀴(B)의 차축에 대해서 직교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각 이동용로울러(3)는 프레임(1)이 자동차의 측방향을 향하여 선회형태로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이 이동궤적은 이동용로울러(3)의 외주면이 원추형을 이루는 곳에서부터 정지측 차바퀴의 접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자동차(C)의 휠베이스(wheelbase) 칫수를 반경으로 하는 원호와 거의 같아진다.
이동용대차(A)의 이동에 따라서 자동차(C)의 후부가 근접한 자동차(장해물)에 닿을 우려가 없고, 자동차를 그대로 후진시킬 수 있는 위치까지 엉덩이를 흔들 듯이 선회시켜 움직이게 한 다음 구동바퀴(B)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전륜구동차의 경우는 자동차(C)의 앞부분을 머리 흔드는 모양으로 선회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동용대차(A)의 더 이상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운전자 자신 또는 동승자가 잠금기구(20)의 레버(21c)를 도6의 실선표시와 같이 잠금측으로 회동시켜 이동용로울러(3)를 잠근다.
그런 후 이동용대차(A)를 깨내기 위해 자동차(C)를 신중하게 후진 또는 전진 운전하면 이동용대차(A)위의 구동바퀴(B)를 이 대차의 뒤쪽 또는 앞쪽으로 내릴 수가 있다.
그리고, 철거한 이동용대차(A)를 트렁크에 다시 넣으면 이후에는 초보운전자라도 일렬주차상태에서 매우 쉽게 빠져 나올 수가 있게 된다.
이동용대차(A)는 다른 사람의 차에 피해를 입히지 않는 상황이라면 한 대의 자동차가 가까스로 들어갈 정도의 매우 좁은 공간에 주차하기 위해서도 이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우선 자동차의 비구동바퀴측을 공간에 집어넣고 나서 공간 밖으로 튀어나와 있는 구동바퀴(B)를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이동용대차(A)위에 얹고나서 공간 안을 향해 선회하여 움직이게 하면 된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세한 구조는 적절히 변경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1)은 구동 및 이동용 로울러(2, 3)의 부착구조에 따라서는 내외 이중벽구조로 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전동기구(4)는 웜휠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베벨기어등과 같이 회전방향을 90도 전환시킬 수 있는 주지의 다양한 기구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 정지수단은 도면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여러 가지 축고정기구를 유용해도 좋다. 혹은, 프레임(1)과 노면과의 틈새에 끼워 넣는 쐐기라도 좋다.
다음으로,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는 예를 들면 뒷바퀴가 2측인 대형트럭 버스 덤프카 등을 좁은 주차공간에서 조작하는데 있어서 아주 조금 움직여 방향회전시킬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도9와 같이 이 실시예의 이동용대차(A2)는 제1실시예의 이동용대차(A)를 거의 그대로 유용하고 있다.
이동용대차(A2)는 2개의 차축을 갖는 뒷바퀴 전체를 얹을 수 있도록 2개의 이동용대차(A, A)를 종렬형상으로 축간 거리만큼 띄워 서로 마주보게 해 놓은 상태를 2개의 연결용부재(11, 11)를 사용하여 합체시켰다.
이동용대차(A2)의 사용방법은 이동용대차(A)의 그것과 기본적으로는 같다.
단, 이 실시예의 사용목적은 좁은 공간에서의 주차조작이 아니라 휠베이스의 긴 대형자동차를 좁은 공간 내에서 종래와 같이 크게 돌지 않고도 진행방향을 크게 전환시키는데 있다.
도10은 운수회사나 공사현장의 주차공간 등의 소정장소, 이동용대차(A2)를 이용한 차량의 방향전환시설을 설치한 사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는 자동차의 뒷부분을 엉덩이를 흔드는 상태로 회동시킴으로써 그 진행방향을 크게 전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체의 좌우모두 4개(8개)의 뒷바퀴를 각각 얹으려면 좌우1쌍의 이동용대차 (A2, A2)가 필요하다.
이 1쌍의 이동용대차(A2, A2)는 매우 긴 호일베이스를 반경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자동차(C)의 길이나 원하는 방향전환각도에 따라 도10, 도11에서와 같이 소정의 곡율과 길이를 갖는 원호홈상의 가이드레일(30)을 노면에 매설하고 있다. 그럼으로 이동용대차(A2)에는 도9와 같은 발판(10)은 필요 없다.
가이드레일(30)은 철판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그 길이방향의 양측단벽(30a, 30a)은 이동용대차(A2)의 정지수단의 역할을 해준다.
이 실시예의 작용을 도10에 의해 설명하면 우선, 방향 전환시키는 자동차(D)를 도면의 오른쪽 위에 화살표시(a)로 표시한 것과 같이 후진(또는 전진)운전하여 가이드레일(30)의 일단측에 미리 놓여져 있는 1쌍의 이동용대차(A2, A2)위에 모두 4개(8개)의 뒷바퀴를 각각 얹어놓는다.
이때, 자동차(D)의 앞바퀴는 도10의 상부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노면아래에 매설하거나 노면에 설치한 회전대(31)위에 올려놓아도 좋다.
이후는, 제 1실시예와 똑같이 차를 조작하면 도10의 하부에 화살표시(b)로 표시한 것과 같이 자동차(D)의 뒷바퀴를 올린 1쌍의 이동용대차(A2)는 스스로 가이드레일(30)의 다른 단을 향해 원활히 이동한다.
이 사이에 자동차(D)의 앞바퀴는 정지상태에 있으므로 자동차(D)의 뒤는 앞바퀴를 회동중심으로 하는 이동용대차(A2)의 회동각도만큼, 즉 엉덩이를 흔드는 모양으로 이동시켜 자동차(D)의 진행방향을 크게 전환시킬 수가 있다.
이동용대차(A2)는 가이드레일(30)의 다른 쪽 측단벽(30a)에 가서 닿으면 정지된다.
이후는, 제1실시예와 똑같이 하여 자동차(D)를 전진 운전하면 이동용대차 (A2)로부터 뒷바퀴를 내린 자동차(D)는 도 10에 화살표시 (c)로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용대차 (A2)에 올라탈 때의 방향( 화살표시a의 역방향)으로부터 크게 방향 전환되어 원하는 방향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30)은 이동용대차(A2)를 원하는 궤적을 그려 이동시키는 유도역할을 하면 되므로 프레임(1)의 형상과 함께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이동용대차를 사용하면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훌륭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주차한 자동차의 앞뒤에 바짝 붙어 일렬 주차한 다른 사람의 자동차에 끼어 있어도, 초보운전자라도 간단히 일렬주차군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가 있다.
(b)주차장소의 상황이나 차종에 따라서 자동차의 후미를 움직일 것인지 앞부분을 움직일 것인지, 또한 좌우의 어느 방향으로 선회시킬 것인지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
(c)후륜구동차와 전륜구동차 어느 것을 막론하고 사용할 수 있다.
(d)다른 사람의 자동차에 피해가 가지 않는 상황이라면, 한 대의 자동차가 가까스로 주차할 수 있는 매우 좁은 공간이라도 주차할 수 있다.
(e)운수회사나 공사현장의 좁은 주차공간에서 휠베이스의 긴 대형차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크게 움직여 운전할 필요가 없이 아주 조금 차체를 움직여 크게 방향 전환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종향각통 형상의 편평한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한쪽 대향측벽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걸쳐 설치되고 그 위에 올려진 자동차의 구동바퀴에 의해 전동되는 1쌍의 구동용로울러(2)와, 상기 프레임(1)의 다른쪽 대향측벽간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구동용로울러(2)의 회전력을 전동기구(4)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프레임(1)을 상기 구동바퀴의 차축방향으로 횡이동시키는 이동용로울러(3)와,
    상기 프레임(1)을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그 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동용대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로울러(3)와 외주면이 완만한 원추면을 이루는 로울러형상의 타이어(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동용대차.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구(4)는 상기 구동용로울러(2) 및 이동용로울러(3)의 각 회전축에 끼워진 웜(4A) 및 웜휠(4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동용대차.
  4. 제 1항 내지 3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은 상기 구동용로울러(2)를 걸쳐 설치하는 내측프레임(1A)과, 그 외측에 끼워져 상기 이동용로울러(3)를 걸쳐 설치하는 외측프레임(1B)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1)의 한변에는 구동바퀴를 상기 1쌍의 구동용로울러(2, 2)의 위로 유도하는 발판(10)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동용대차.
  5. 제 1항 내지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정지수단은 상기 프레임(1)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되며 상기 웜휠(4B)의 톱니에 걸어 설치시킬 수 있는 정지용 후크(21)를 구비한 잠금기구(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동용대차.
  6. 제 1항 내지 5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대차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부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동용대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의 가이드레일은 소정의 곡율과 길이를 갖는 원호홈형상의 가이드레일(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동용대차.
  8. 제 1항 내지 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이동용대차를 가로 또는 세로 및 소정간격을 두고 연결시키는 연결용부재(11)를 부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동용대차.
KR1019990012575A 1999-04-09 1999-04-09 자동차의 이동용 대차 KR100314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575A KR100314916B1 (ko) 1999-04-09 1999-04-09 자동차의 이동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575A KR100314916B1 (ko) 1999-04-09 1999-04-09 자동차의 이동용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856A true KR20000065856A (ko) 2000-11-15
KR100314916B1 KR100314916B1 (ko) 2001-11-23

Family

ID=1957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575A KR100314916B1 (ko) 1999-04-09 1999-04-09 자동차의 이동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9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96Y1 (ko) * 2009-02-19 2009-12-08 권인환 농작업용 이동대차
CN108149987A (zh) * 2018-03-05 2018-06-12 重庆理工大学 旋转式立体停车装置
CN108556817A (zh) * 2018-06-12 2018-09-21 赵�卓 一种车辆及其侧方停车辅助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253B1 (ko) * 2013-01-31 2015-05-04 삼성중공업(주) 선박용 모듈 캐빈 설치를 위한 설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96Y1 (ko) * 2009-02-19 2009-12-08 권인환 농작업용 이동대차
CN108149987A (zh) * 2018-03-05 2018-06-12 重庆理工大学 旋转式立体停车装置
CN108149987B (zh) * 2018-03-05 2024-03-19 重庆理工大学 旋转式立体停车装置
CN108556817A (zh) * 2018-06-12 2018-09-21 赵�卓 一种车辆及其侧方停车辅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4916B1 (ko) 200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371B1 (ko) 계단, 경사로, 험로 주행장치
KR100314916B1 (ko) 자동차의 이동용 대차
JP2005306178A (ja) 無人搬送車
JPH11286262A (ja) 自動車の移動用台車
JPH10338107A (ja) 自動車移動装置
EP0983874A2 (en) A wheel
JPH11217001A (ja) 遊星走行装置
CN105715090A (zh) 汽车存车工程车
US11230813B1 (en) Automated road-rail transportation system with side stabilization
US3418943A (en) Automobile turntable
KR950002129B1 (ko) 주차장치
JP2963894B1 (ja) 車両のタイヤ交換補助装置
JPH0426289Y2 (ko)
KR200236486Y1 (ko) 차량용 쟈키
KR20070106156A (ko) 운송수단 견인장치
JP2006112029A (ja) 駐車装置
JPH0661576U (ja) 車移動装置
KR940003684Y1 (ko) 회전식 주차장치
JPH0594040U (ja) 自動車の幅寄せ装置
JP3126425B2 (ja) 自動車タイヤの案内装置
JP3064007U (ja) 移動車両用車止め
KR200277459Y1 (ko)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JP2873683B2 (ja) タイヤの乗り上げと降下を反復して自動車を横移動させるための台車
JPH03253451A (ja) 自動車の方向変換装置
JPH0532609U (ja) パーキ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