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684Y1 - 회전식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684Y1
KR940003684Y1 KR2019910005405U KR910005405U KR940003684Y1 KR 940003684 Y1 KR940003684 Y1 KR 940003684Y1 KR 2019910005405 U KR2019910005405 U KR 2019910005405U KR 910005405 U KR910005405 U KR 910005405U KR 940003684 Y1 KR940003684 Y1 KR 940003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tire
parking lot
lamp
sprocke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5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725U (ko
Inventor
김낙훈
이원재
Original Assignee
김낙훈
이원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훈, 이원재 filed Critical 김낙훈
Priority to KR2019910005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684Y1/ko
Publication of KR9200197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7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6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식 주차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회전식 주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전식 주차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타이어 안내부가 램프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회전식 주차장치에 자동차가 주차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의 회전식 주차장치의 변경예가 도시되는 측면도 및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차장치 2 : 콘크리트 구조물
3 : 기초볼트 4 : 기둥
5 : 중심축 6,7 : 다리부
8 : 회전보 9 : 램프
10 : 호형부재 11 : 핸들
12 : 워엄기어 13 : 평기어
14,15 : 스프로켓 휠 16,17 : 체인
26,27 : 램프지지축 28,29 : 스프로켓 휠
30,31,32,33 : 아이들러 스프로켓 휠 45 : 축
46 : 평기어
본 고안은 자동차를 좁은 공간에 주차시킬 수 있게 하는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를 측방으로 주차하여 회전 상승시키는 회전식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차장치는 자동차가 램프위에 답재된 후 램프를 상승시키고 그 아래에 다른 차량을 주차시키는 형태로 제조되어서, 주차장의 면적을 크게 차지하고 일단 주차장이 설치되면 그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주차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하고 주차가 완료되면 램프 밑으로 자동차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회전식 주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의 회전식 주차장치가 정면도로서 도시되는데, 주차장치(1)는 크게 지하에 매설된 콘크리트 구조물(2)에 기초볼트(3)로서 고정된 기둥(4)과 상기 기둥(4)의 상부에 고정된 중심축(5)에 매달린 2개의 다리부(6) 및 (7)를 가지는 회전보(8)와 상기 회전보(8)의 각각의 다리부(6) 및 (7)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램프(9) 및 상기 회전보(8)의 다리부(6) 및 (7)의 중간에 양단이 고정되는 호형부재(10)로 구성된다.
콘크리트 구조물(2)은 기둥(4)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제조되며 그 위에 기둥(4)이 기초볼트(3)에 의해서 수직으로 설치된다. 기둥(4)의 내부에는 사람이 작동시킬 수 있는 높이에 핸들(11)이 설치되며 핸들(11)의 내측에는 워엄기어(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워엄기어(12)는 기둥(4)내부에 설치된 평기어(13)와 맞물리게 되며 따라서 워엄기어(12)는 평기어(13)와 맞물려 회전할때 그 축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워엄기어(12)와 일체인 핸들(11)은 기둥(4) 내부에 트러스트 베어링 또는 테이퍼 베어링으로 설치된다.
기둥(4)의 상부에는 중심축(5)이 도시되지 않은 키이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는데 제2도를 참조하면 중심축(5)의 외주에는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스프로켓 휠(14) 및 (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로켓 휠(14)에는 체인(16)이 물려지며 스프로켓 휠(15)에는 체인(17)이 물려진다.
회전보(8)는 케이스형태로 제조되며 다리부(6) 및 (7)는 120도의 벌림각으로 벌여져 있다. 이러한 다리부(6) 및 (7)의 벌림각은 이들 중간에 양단이 고정되는 호형부재(10)에 의해서 유지된다. 회전보(8)의 중앙 상부에는 상기 중심축(5)에 끼워지는 동축상의 구멍(18) 및 (19)이 형성되고 회전보(8)는 베어링(20) 및 (21)에 의해서 중앙축(5)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각각의 다리부(6) 및 (7)의 하부에는 동축상의 구멍(22)(23) 및 구멍(24)(25)들이 형성되어 각각의 램프지지축(26) 및 (27)들이 베어링에 의해서 각각의 다리부(6) 및 (7)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램프지지축(26) 및 (27)에는 스프로켓 휠(28) 및 (2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램프지지축(26)의 스프로켓 휠(28)은 체인(16)에 의해서 중앙축(5)의 스프로켓 휠(14)과 연결되므로 스프로켓 휠(28)은 스프로켓 휠(14)과 같은 수직선상에 위치되고, 램프지지축(27)의 스프로켓 휠(29)은 체인(17)에 의해서 중앙축(5)의 스프로켓 휠(15)과 연결되므로 스프로켓 휠(29)은 스프로켓 휠(15)과 같은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한편 체인(16)은 회전보(8)의 다리부(6) 내부에 위치되며 다리부(6)의 전방벽에 설치된 아이들러 스프로켓 휠(30) 및 (31)에 의해서 팽팽하게 유지되고, 체인(17)은 회전보(8)의 다리부(7) 내부에 위치되며 다리부(7)의 후방벽에 설치된 아이들러 스프로켓 휠(32) 및 (33)에 의해서 팽팽하게 유지된다.
램프(9)는 H자형 몸체(35)를 가지며 몸체(35)는 중앙부(36)로 부터 양 단부(37) 및 (38)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중앙부(36)의 측면에는 상기 램프 지지축(26) 및 (27)에 볼트로서 연결되는 연결부(39)가 형성되고 단부(37)의 중간에는 자동차 타이어가 안내되는 사각형 홈(40)이 형성되며 상기 홈(40)속에는 타이어 안내부(41)가 그 한 단부가 램프(9)의 단부(37)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이어 안내부(41)의 하부에는 바퀴(42)가 부착되어 있다 (제3도 참조). 또한 램프(9)의 다른 단부(38)의 중간에는 자동차 타이어가 안내되는 사각형 홈(43)이 형성되어 상기 홈(43)속에도 타이어 안내부(41)가 그 한 단부가 단부(38)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회전보(8)의 다리부(6) 및 (7)의 중간에 양 단부가 고정된 호형부재(10)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치차(44)를 가지며, 상기 치차(44)는 기둥(4) 내부에 설치된 평기어(13)와 축(45)으로 연결된 평기어(46)와 맞물린다. 축(45)은 베어링에 의해서 기둥(4)의 전면에 고정되며 평기어(46)는 기둥(4)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본 고안의 주차장치의 작동을 제1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회전식 주차장치(1)는 자동차가 입고되기 전에는 회전보(8)가 제1도에 도시된 위치로 놓여 있다가 자동차를 주차시키려면 기둥(4)에 설치된 핸들(1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핸들(11)의 워엄기어(12)가 평기어(13)를 회전시키고 평기어(13)가 회전하면 축(45)에 연결된 평기어(46)가 회전하며 평기어(46)에 맞물린 호형부재(10)의 치차(44)가 측방으로 이동하여 회전보(8)는 회전하게 되어 다리부(6)가 기둥(4)과 같이 수직하게 위치되어 다리부(6)의 램프(9)가 지면위에 놓여지게 된다. 여기서 워엄기어(12)를 사용하는 이유는 평기어(13)가 역회전하지 못하게 하여 회전보(8)의 이동을 막아서 정지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이다.
자동차가 램프(9)위로 입고되면 자동차의 타이어는 램프(9)의 타이어 안내부(41)위에 놓여진다 (제2도 참조). 자동차가 램프(9)위에 안전하게 주차되면 운전자는 자동차를 떠나며 핸들(11)을 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보(8)의 다리부(6)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이때 램프(9)는 수평상태로 계속 유지되는데 이것은 기둥(4)의 중앙축(5)상의 스프로켓 휠(14)이 고정되어 있고 스프로켓 휠(28)이 형성된 램프지지축(26)은 회전되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램프(9)가 지면으로 부터 상승하면 타이어 안내부(41)는 하부로 회전하여 램프(9)의 단부(37) 및 (38)의 요홈(47) 및 (48)에 걸려서 자동차 타이어는 램프(9)의 홈(41) 및 (43)속에 안전하게 고정된다 (제4도 참조).
자동차를 출고시키려면 기둥(4)의 핸들(11)을 정방향으로 다시 회전시키면 회전보(8)의 다리부(6)는 다시 지면을 향해 내려오면, 이때 다리부(6)의 램프(9)가 지면에 닿으면 타이어 안내부(41)의 바퀴(42)는 지면과 접촉하며 구르고 타이어 안내부(41)는 홈(41) 및 (43)속에서 상부로 회전하여 자동차의 타이어는 출고되기 좋게 램프(9)위에 놓여진다. 본 고안의 회전보(8)는 핸들(11)의 정방향 또는 부방향으로 회전에 따라 다리부(6) 및 (7)를 기둥(4)과 같이 수직위치에 놓이게 하므로 다리부(6) 및 (7)의 각각의 램프(9)위에 자동차가 주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회전식 주차장치(1)는 종래의 주차장치와는 달리 자동차가 램프(9)위로 진행하기만 하면 주차되므로 주차시키기가 편리하며, 자동차가 다리부(6) 및 (7)의 램프(9)위에 입고되어 회전보(8)가 제1도에 도시되는 주차상태로 놓이면 램프(9) 밑의 공간으로 자동차가 통행할 수 있어 본 고안의 주차장치(1)는 교통에 장애를 주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의 회전보(8)는 2개의 다리부(6) 및 (7)를 가지게 설명되었으나, 입고되는 자동차의 수를 고려하여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20도의 벌림각으로 벌어진 3개의 다리부를 가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기둥(4)의 양측에 회전보(8)를 설치하면 기둥(4)에 작용하는 벤딩모멘트가 안정되고 더욱 많은 자동차를 주차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주차장치(1)를 작동시키는 핸들(11)은 수동으로 작동되게 설명되었으나 브레이크 모터를 사용하여 전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Claims (2)

  1. 회전식 주차장치에 있어서, 지하에 매설된 콘크리트 구조물(2)에 기초볼트(3)로서 고정되고 내부에는 워엄기어(12)가 일체로 형성된 핸들(11)과 워엄기어(12)와 맞물리게 위치된 평기어(13) 및 평기어(13)와 축(45)으로 연결된 평기어(46)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스프로켓 휠(14) 및 (15)이 일체로 형성된 중심축(5)이 고정되는 기둥(4)과, 일체로 연결되고 120도의 벌림각으로 벌어진 다리부(6) 및 (7)를 가지며 중앙 상부에는 상기 중심축(5)에 끼워지는 동축상의 구멍(18) 및 (19)이 형성되고 각각의 다리부(6) 및 (7)의 하부에는 동축상의 구멍(22)(23) 및 구멍(24)(25)들이 형성되어 다리부(6)의 구멍(22) 및 (23)에는 스프로켓 휠(28)이 형성된 램프지지축(26)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리부(7)의 구멍(24) 및 (25)에는 스프로켓 휠(29)이 형성된 램프지지축(27)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체인(16)은 다리부(6) 내부에 위치되며 중앙축(5)의 스프로켓 휠(14)과 램프지지축(26)의 스프로켓 휠(28)을 연결하며 다리부(6)의 전방벽에 설치된 아이들러 스프로켓 휠(30) 및 (31)에 의해서 팽팽하게 유지되고 체인(17)은 다리부(7) 내부에 위치되며 중앙축(5)의 스프로켓 휠(15)과 램프지지축(27)을 연결하며 다리부(7)의 후방벽에 설치된 아이들러 스프로켓 휠(32) 및 (33)에 의해서 팽팽하게 유지되며 다리부(6) 및 (7)들은 그 중간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하면에 다수개의 치차(44)를 가지는 호형부재(10)로 연결되는 케이스 형태의 회전부(8) 및 H자형 몸체(35)를 가지며 몸체(35)는 중앙부(36)로 부터 양 단부(37) 및 (38)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중앙부(36)의 측면에는 상기 램프지지축(26) 및 (27)에 볼트로서 연결되는 연결부(39)가 형성되고 단부(37)의 중간에는 자동차 타이어가 안내되는 사각형 홈(40)이 형성되며 상기 홈(40)속에는 하부에 바퀴(42)가 부착된 타이어 안내부(41)가 그한 단부가 단부(37)에 힌지연결되어 있고 다른 단부(38)의 중간에도 자동차 타이어가 안내되는 사각형 홈(43)이 형성되어 상기 홈(43)속에도 타이어 안내부(41)가 그 한 단부가 단부(38)에 힌지연결되는 각각의 다리부(6) 및 (7)의 하부에 부착되는 램프(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주차장치.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보(8)는 1개 이상 3개까지의 다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주차장치.
KR2019910005405U 1991-04-19 1991-04-19 회전식 주차장치 KR940003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405U KR940003684Y1 (ko) 1991-04-19 1991-04-19 회전식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405U KR940003684Y1 (ko) 1991-04-19 1991-04-19 회전식 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725U KR920019725U (ko) 1992-11-17
KR940003684Y1 true KR940003684Y1 (ko) 1994-06-07

Family

ID=1931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5405U KR940003684Y1 (ko) 1991-04-19 1991-04-19 회전식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6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725U (ko) 199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684Y1 (ko) 회전식 주차장치
JPH10338107A (ja) 自動車移動装置
FI82648B (fi) Bilutstaellningsstativ.
KR100314916B1 (ko) 자동차의 이동용 대차
JPS6310274B2 (ko)
US3418943A (en) Automobile turntable
JP2779766B2 (ja) 立体駐車装置
KR100354889B1 (ko) 주차 및 승하강용 리프트 장치
KR950008102B1 (ko) 로변 주차장치
JP2746765B2 (ja) 2階ガレージ架台
US3927772A (en) Vehicle parking and rotary elevator assembly
KR200225403Y1 (ko) 차량의 보조 방향전환장치
CN2252751Y (zh) 车辆定点回转升降的装置
KR950008460Y1 (ko) 절첩식 파레트
JPH0720283Y2 (ja) 自動車用方向変換台
JPH0681503A (ja) 自動車の自力昇降格納装置
JPH04203173A (ja) 立体式駐車装置
JPH034682Y2 (ko)
JPH0444759Y2 (ko)
JPH0412216Y2 (ko)
KR930006811Y1 (ko) 수직 이동형 주차대
JPH0223713Y2 (ko)
JPH0735029Y2 (ja) 家庭用駐車機
GB2279926A (en) Vehicle turntable
GB2242672A (en) Place-on type assemblab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