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705B1 -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 Google Patents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705B1
KR101386705B1 KR1020130028262A KR20130028262A KR101386705B1 KR 101386705 B1 KR101386705 B1 KR 101386705B1 KR 1020130028262 A KR1020130028262 A KR 1020130028262A KR 20130028262 A KR20130028262 A KR 20130028262A KR 101386705 B1 KR101386705 B1 KR 101386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uide wheel
wheel
farmlan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서시스템
이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서시스템, 이준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서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028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02Lo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운반 대상물을 실을 수 있게 적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적재부가 경작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경작지의 바닥을 구를 수 있게 형성되는 바퀴와, 상기 경작지의 바닥에 설치되는 단일 궤도를 따라 구를 수 있게 구성되며, 안내 바퀴 받침대에 장착되는 안내바퀴와,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안내바퀴가 상기 단일 궤도를 가압하도록,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를 당겨주는 스프링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바퀴에 연결되는 축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안착부와 함께 틸팅되도록,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에 틸팅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지용 운반기계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경작지 바닥에 설치되는 단일궤도를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하는 경작지용 운반기계가 구현된다.

Description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CONVEYING MACHINERY FOR THE USE OF CULTIVATED LAND AND CONVEY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작지에서 단일궤도를 따라 이동하면서 운반 대상물을 운반할 수 있는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 농장, 하우스 등에서는 수확한 수확물 또는 시비용 장비, 농약 살포용 장비 등 각종 장비를 운반하기 위해서 운반기계를 마련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운반기계로 주로 인력에 의한 운반기계, 예를 들어 손수레 등이 이용되어 왔으며, 작업자의 노동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황에 따라 운반 대상물을 다량으로 운송하는 경우도 있으나, 인력에 의한 운반 작업은 한번에 운반할 수 있는 운반 대상물의 양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운반 설비의 기계화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과수원, 농장, 하우스 등과 같은 작업 현장은 필요에 따라 운반기계 또는 설비가 자주 바뀌어야 하므로 기계화가 용이하지 않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1087호는 경작지에 설치가 간단한 궤도를 구비하고, 궤도상에서 자동으로 주행하는 운반기계 를 제시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1087호에서는 운반기계의 주행시 진행방향을 바꾸는 메커니즘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과수원, 농장,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현장은 농경지의 특성상 평탄하지 않은 토사로 된 지표면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운반기계의 주행시 진행방향을 바꾸는 메커니즘은 보다 개량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경작지 바닥에 설치되는 단일궤도를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하는 경작지용 운반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브구간에서 안정적 주행이 가능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경작지용 운반기계는, 상부에 운반 대상물을 실을 수 있게 적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적재부가 경작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경작지의 바닥을 구를 수 있게 형성되는 바퀴와, 상기 경작지의 바닥에 설치되는 단일 궤도를 따라 구를 수 있게 구성되며 안내 바퀴 받침대에 장착되는 안내바퀴와,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안내바퀴가 상기 단일 궤도를 가압하도록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를 당겨주는 스프링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바퀴에 연결되는 축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가 상기 안착부와 함께 틸팅되도록,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에 틸팅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돌출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내 바퀴 받침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축, 및 상기 안착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지지축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바들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에는 일변에서 상기 스프링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들은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연장부의 연장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바퀴는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축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지지바들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가 상기 스프링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틸팅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벽이 상기 지지축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바퀴는 전방 및 후방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방 바퀴의 축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와, 상기 후방 바퀴의 축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경작지 바닥에 모노레일 형태로 설치되는 궤도와 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경작지용 운반기계를 포함하는 운반 시스템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경작지용 운반기계에 의하면, 지지부가 안착부와 함께 틸팅됨에 따라 안내바퀴 받침대 및 안내바퀴가 바퀴의 틸팅에 연동하여 움직이게 된다. 또한, 수용부의 내측벽이 지지축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내바퀴 받침대의 틸팅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 및 안내바퀴 받침대의 틸팅에 의하여 안내 바퀴의 이중 틸팅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운반기계가 구부러진 형태의 궤도를 따라 이동할 때에 안내바퀴의 탈선이 완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작지용 운반기계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경작지용 운반기계를 나타내기 위한 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경작지용 운반기계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경작지용 운반기계의 분해도.
도 5는 도 4의 안내바퀴 부분의 부분 분해도.
도 6은 도 1의 경작지용 운반기계의 동작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작지용 운반기계의 분해도.
도 8은 도 7의 안내바퀴 부분의 부분 분해도.
도 9는 도 7의 경작지용 운반기계의 동작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하는 운반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작지용 운반기계(100) 및 이를 구비하는 운반 시스템(100')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작지용 운반기계를 나타내기 위한 전면 사시도이다.
경작지 바닥에 위치하는 운반기계(100)는 기본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10)에 의해 형성된다. 프레임(110)은, 예를 들어 합성수지로 형성되거나 철(Fe), 철 도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S)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110)은 비용이 저렴한 철판 등을 결합하여 사다리꼴 프레임(ladder type fram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10)의 결합 방법으로, 예를 들어 용접, 리벳이음, 볼트결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프레임(110)에는 운반 대상물을 실을 수 있는 적재부(111)가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이 적재부(111)가 될 수 있다. 적재부(111)는 수확된 과일, 채소 또는 각종 장비와 같은 운반 대상물을 내부에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적재부(111)에는 운반 대상물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난간 또는 측벽이 일정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에는 경작지의 바닥을 구를 수 있게 바퀴(120)가 장착된다.
바퀴(120)는, 회전 구동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저렴하게 구비할 수 있다. 바퀴(120)는 바퀴(1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 도 3 참조)와 연결된다. 바퀴(120)가 회전 구동되면 경작지 바닥과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를 통하여 운반기계(100)가 이동될 수 있다.
프레임(110)과 바퀴(120)의 사이에는 고무 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경작지 바닥에는 운반기계(100)의 진행경로가 되는 궤도(150)가 깔려 있으며,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궤도(150)를 따라 구를 수 있게 구성되는 안내 바퀴(140, 도 3 참조)가 장착된다.
궤도(15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진 부재, 예를 들어 파이프(151, Pipe) 등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단일 선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이프(151)를 연결함으로써 구부러질 수 있는 궤도(110)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 내면에서 일단은 제1 파이프(151a)와 타단은 제2 파이프(151b)와 결합하는 파이프 연결구(152) 등을 이용하여 궤도(150)의 단면의 크기의 변화가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궤도의 단면은 원형에 국한되지 않으며, 사각 단면 또는 홈이 있는 형태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안내바퀴(140)의 외주면에는 궤도(150)를 수용하는 홈(143, 이하 도 3 또는 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바퀴(140)는 궤도(150)를 수용한 채로 상기 궤도(150)를 따라 구름으로써 운반기계(100)의 진행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운반기계(100)의 바퀴(120)는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내 바퀴(140)는 프레임(1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바퀴(1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운반기계(100)가 곡선으로 굽어지는 궤도(150)를 향하여 진행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구동부(130)에 의하여 바퀴(120)가 구동되고, 궤도(150)와 안내 바퀴(140)에 의하여 운반 기계의 진행이 안내되어 경작지에서 운반 대상물을 자동으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경작지에는 운반기계(100)의 정지를 유도하는 정지유도체(150')가 위치한다. 정지유도체(150')는, 예를 들어 농작물 포장 박스, 사다리, 사람 등 경작지 내의 모든 물체로써 운반기계(100)와 충돌 가능한 것을 뜻한다.
운반기계(100)에는 정지유도체(150')와 접촉가능하게 프레임(110)의 일단에 돌출 장착되어, 바퀴(1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프레임이 정지유도체(150')와 접촉하기 전에 정지유도체(150')와 먼저 접촉하여 눌러지도록 형성되어, 운반기계(100)를 정지시키는 안전장치가 될 수 있다.
운반기계(100)가 정지하길 원하는 지점에 정지유도체(150')를 배치하여 운반기계(100)가 그 지점에서 정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서로 떨어져 있는 작업공간 사이에서 이동하며, 일정한 작업공간에서 정지유도체(150')의 배치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지하는 운반 시스템(100')을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경작지용 운반기계(100)를 나타내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바퀴(120)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부(130)는 바퀴(120)를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구를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동부(130)는, 예를 들어 배터리(131)와 직류모터(132)를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배터리(131)는, 예를 들어 차량용 배터리 등과 같이 수명이 비교적 길고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131)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가정용 전원과 같은 교류를 전원으로 사용할 경우 교류를 직류로 바꾸어 주는 컨버터(converter)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로 12V 정도의 저전압을 제공하며, 이러한 저전압에서 작동하는 소형 직류모터와 함께 보다 소형화의 구동부(130)를 이루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안내바퀴(140)는 프레임(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이를 통하여 프레임(110) 및 운반 대상물 등의 하중을 적어도 2개의 바퀴(120)과 적어도 2개의 안내 바퀴(140)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내바퀴의 틸팅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틸팅 메커니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경작지용 운반기계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안내바퀴 부분의 부분 분해도이며, 도 6은 도 1의 경작지용 운반기계의 동작도이다.
도시에 의하면, 안착부(193)가 프레임(110)에 틸팅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안착부(193)에 상기 바퀴(120)의 축(123)이 안착된다. 예를 들어, 안착부(193)는 베어링(197)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93)에는 커브길에서 좌우 바퀴가 차등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좌우 바퀴와 각각 연결되는 차동기어부(195)가 장착될 수 있다. 차동기어부(195)는 바퀴의 축(123)과 연결되는 차동기어(differential gear)로 구성된다. 차동기어부(195)는 자동차의 뒤차축 구동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구동력을 전달받는 링기어, 차동 피니언 기어 및 차동 사이드 기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안내바퀴(140)의 외주면은 궤도(150, 도 1 참조)를 수용하는 홈(143)이 구비되는 단면으로 형성된다.
홈(143)은, 예를 들어 'U' 또는 'V'자와 같이 형성되어 안내바퀴(140)가 은 궤도(150)상에서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안내바퀴(140)는 궤도(150)의 방향에 따라 정렬되도록 프레임(110)에 대해 방향 전환가능하게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내바퀴(140)는 중심축(14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바퀴 받침대(160)에 장착된다. 안내바퀴 받침대(160)는 판재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170)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안내바퀴(140)와 궤도(150)의 이탈을 완화 또는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210)에는 안내바퀴(140)를 궤도(150)를 향해 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80)이 장착될 수 있다. 안내바퀴 받침대(160)의 일단부에는 안내바퀴(140)가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180)은 인장 스프링으로서 안내바퀴 받침대(160)에 연결된다. 이를 통하여 스프링(180)은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160)의 타단부를 당겨주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내바퀴 받침대(160)의 타단부에서는 돌기(161)가 돌출되며, 상기 스프링(180)은 상기 돌기(161)에 연결된다. 상기 돌기(161)는 상기 지지축(171)을 중심으로 안내바퀴 받침대(160)에서 안내바퀴(140)가 장착되는 면의 반대면에서 돌출된다. 스프링(180)이 가지는 탄성력은 안내바퀴 받침대(160)의 돌기(161)를 당겨주며, 마치 시소(seesaw)와 같이 안내바퀴 받침대(160)의 일단부는 프레임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축(17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안내바퀴(140)가 단일 궤도(150)를 가압하게 된다.
도시에 따르면, 안내바퀴(140)의 틸팅 메커니즘에 의하여, 안내바퀴 받침대(160)는 상기 스프링(18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틸팅된다. 즉, 상기 지지부(170)가 상기 안착부(193)와 함께 틸팅되도록, 상기 안착부(193)는 상기 프레임에 틸팅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170)는 상기 안착부(193)에서 돌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170)는 상기 안착부(193)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193)와 함께 틸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70)는 상기 안착부(193)에서 돌출되어 지지축(171)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바들(172, 17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193)에는 일변에서 상기 스프링(180)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19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들(172, 173)은 상기 연장부(194)에서 상기 연장부(194)의 연장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172, 173)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단부가 연결바(17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바들(172, 173)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지지축(171)이 장착되며, 안내바퀴 받침대(160)는 지지축(17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도 6과 같이, 안내바퀴 받침대 및 안내바퀴가 바퀴의 틸팅에 연동하여 움직이게 되며, 이를 통하여 커브길에서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 뿐만 아니라 안내바퀴 받침대의 틸팅에 의하여 안내 바퀴의 이중 틸팅이 가능하게 하는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이하,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앞선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작지용 운반기계의 분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안내바퀴 부분의 부분 분해도이며, 도 9는 도 7의 경작지용 운반기계의 동작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바퀴(220)는 전방 바퀴(221) 및 후방 바퀴(222)를 포함하며, 전방 바퀴(221) 및 후방 바퀴(222)는 각각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운반기계는 4륜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안내바퀴(240)는 전방 안내바퀴(241) 및 후방 안내바퀴(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안내바퀴(241)는 프레임(2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바퀴(221)의 전방에 배치되고, 후방 안내바퀴(242)는 후방 바퀴(22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바퀴(22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르는 것과 관계없이 항상 안내바퀴(240)가 바퀴(220)보다 선행될 수 있다. 이는 바퀴(220)에 의한 운반기계(200)의 구동보다 안내바퀴(240)에 의한 운반기계(200)의 진행방향 안내가 선행되도록 하여 운반기계(200)가 궤도(250)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완화 또는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전방 바퀴(221)의 축(223)을 지지하는 전방 안착부(293)와, 상기 후방 바퀴(222)의 축(224)을 지지하는 후방 안착부(294)는 각각 프레임에 틸팅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전방 안착부(293)와 후방 안착부(294)는 각각 베어링(297)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안내바퀴(240)의 제2 틸팅 메커니즘에 의하여, 안내바퀴 받침대(260)는 상기 스프링(28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틸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260)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축(271)을 수용하는 수용부(262)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62)는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260)가 상기 스프링(28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틸팅되도록 상기 수용부(262)의 내측벽이 상기 지지축(271)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수용부(262)는 안내바퀴 받침대의 타단부가 절곡됨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62)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지지축(271)은 수용부(262) 내에서 이동 및 틸팅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장공을 한정하는 상기 수용부(262)의 내측벽은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260)의 틸팅을 제한하도록 폐루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수용부(262)는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272, 27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지지바들(272, 273)은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260)의 틸팅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260)는 제1부분(263) 및 제2부분(264)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부분(263)에는 안내바퀴(24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부분(263)의 양변(양모서리)은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제2부분(264)는 상기 수용부(262)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지지바들(272, 273)과 연결바(274)가 형성하는(한정하는) 공간상에 배치된다.
제2부분(264)은 상기 복수의 지지바들(272, 273)과 이격되도록 양변이 서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260)가 틸팅할 수 있는 공간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부분(264)는 스프링 지지봉(281)을 향하여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안내바퀴(240)가 장착되는 제1부분(263)의 폭이 보다 크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262)의 내측벽이 지지축(271)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내바퀴 받침대(260)의 틸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예시에서는 바퀴의 4륜 구동 메커니즘에 의하여, 운반기계는 4륜 구동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전방 및 후방 바퀴(221, 222)는 4륜 구동되도록 체인 연결부(29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퀴(220)의 축(223)에는 체인스프라켓(291)이 장착되고, 체인(292)이 상기 체인 스프라켓(291)에 감기게 됨에 따라 전방 및 후방 바퀴(221, 222)는 체인 연결된다. 이를 통하여 직류모터(232)에 전방 및 후방 바퀴(221, 222) 중 어느 하나만이 연결되어도 4륜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커브길에서, 좌우 바퀴의 회전수가 달라짐은 전방 및 후방바퀴의 회전수가 달라짐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슬립이 발생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는 연결부(296)를 구비한다.
연결부(296)는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부가 함께 틸팅되도록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부를 서로 연결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296)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을 관통하는 나사가 축의 케이싱에 체결될 수 있다. 연결부(296)가 전방 바퀴(221)의 축(223)의 케이싱과 후방 바퀴(222)의 축(224)의 케이싱을 서로 연결시킴에 따라 전방 및 후방 바퀴는 동일한 각도만큼 틸팅된다. 이 경우에, 전방 및 후방 바퀴의 틸팅량을 제한하기 위하여 프레임에서 연결부(296)의 양측을 마주보는 부분에는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커브길에서 안내바퀴 회전의 일부는 안내바퀴(240)의 회전이 담당하고, 다른 일부는 안내바퀴 받침대(260)의 틸팅이 담당하며, 나머지는 지지부(270)의 틸팅이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안내바퀴(240)의 회전이 보다 원할하게 되며, 특히 평탄하지 않은 지표면에서 안내바퀴(240)의 탈선이 완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는 위에서 설명된 경작지용 운반기계에 관련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농사용 또는 산업용 운반기계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8)

  1. 상부에 운반 대상물을 실을 수 있게 적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적재부가 경작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경작지의 바닥을 구를 수 있게 형성되는 바퀴;
    상기 경작지의 바닥에 설치되는 단일 궤도를 따라 구를 수 있게 구성되며, 안내 바퀴 받침대에 장착되는 안내바퀴;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안내바퀴가 상기 단일 궤도를 가압하도록,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를 당겨주는 스프링;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바퀴에 연결되는 축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안착부와 함께 틸팅되도록,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에 틸팅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지용 운반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내 바퀴 받침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축; 및
    상기 안착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지지축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바들을 포함하는 경작지용 운반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일변에서 상기 스프링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들은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연장부의 연장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지용 운반기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바퀴는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축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지지바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지용 운반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안내바퀴 받침대가 상기 스프링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틸팅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벽이 상기 지지축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지용 운반기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지용 운반기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전방 및 후방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방 바퀴의 축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와, 상기 후방 바퀴의 축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지용 운반기계.
  8. 경작지 바닥에 설치되는 단일 궤도; 및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경작지용 운반기계를 포함하는 경작지용 운반 시스템.
KR1020130028262A 2013-03-15 2013-03-15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KR101386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262A KR101386705B1 (ko) 2013-03-15 2013-03-15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262A KR101386705B1 (ko) 2013-03-15 2013-03-15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705B1 true KR101386705B1 (ko) 2014-04-18

Family

ID=5065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262A KR101386705B1 (ko) 2013-03-15 2013-03-15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82728A1 (en) * 2019-01-21 2020-07-22 B&A Automation BVBA Drive for a tube-rail cart and combination of such a drive and a tube-rail car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8926A (ja) 2000-12-12 2002-06-26 Matsuzaki:Kk 運搬台車
KR100871087B1 (ko) 2008-05-09 2008-11-28 이준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그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KR20090001141U (ko) * 2007-07-27 2009-02-02 주식회사 재원 농작물 운반차
KR20110103449A (ko) * 2009-03-25 2011-09-20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궤도계 차량용 대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8926A (ja) 2000-12-12 2002-06-26 Matsuzaki:Kk 運搬台車
KR20090001141U (ko) * 2007-07-27 2009-02-02 주식회사 재원 농작물 운반차
KR100871087B1 (ko) 2008-05-09 2008-11-28 이준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그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KR20110103449A (ko) * 2009-03-25 2011-09-20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궤도계 차량용 대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82728A1 (en) * 2019-01-21 2020-07-22 B&A Automation BVBA Drive for a tube-rail cart and combination of such a drive and a tube-rail cart
BE1026985B1 (nl) * 2019-01-21 2020-08-24 B&A Automation Bvba Aandrijving voor een buisrailwagen en combinatie van zulke aandrijving en een buisrailwag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73567B (zh) 用于车辆的橡胶履带单元
US10377403B2 (en) Powered utility cart and compliant drive wheel therefor
KR100871087B1 (ko)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그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DE112008001310B4 (de) Allrichtungsfahrzeug
KR101617706B1 (ko)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KR101327367B1 (ko) 리프트 및 덤프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
KR20180109553A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다기능 농업용 무인반송차량
US11319006B2 (en) Spiral drive mechanism, particularly for mechanical vehicles, land and marine machines
KR101386705B1 (ko)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KR101071095B1 (ko)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
JP2004097166A (ja) 農業用温室の簡易搬送装置
KR101272579B1 (ko) 단일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KR101387989B1 (ko)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US99631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hand-propelled vehicles
KR101377046B1 (ko) 전동 수레
SE543737C2 (en) Autonomous robotic lawnmower
KR101334304B1 (ko) 틸팅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
KR101387703B1 (ko) 무한궤도형 이동대차
US20130264785A1 (en) Narrow articulated vehicle
KR101592833B1 (ko) 가변형 컨베이어 장치
US754409A (en) Traction-engine.
KR102541616B1 (ko)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
US717134A (en) Apparatus for moving trees.
CN106275074A (zh) 全地形履带式万向牵引转运机
KR20160100742A (ko) 농작물 운반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6